맨위로가기

동진 간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진 간문제는 동진 원제의 아들로, 371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372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총명하고 학문에 능했으나 정치적 수완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환온의 권력 독점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환온의 위세에 눌려 폐위될 것을 걱정하며 불안한 시기를 보냈다. 간문제는 환온에게 황위를 선양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결국 8개월 만에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사후에는 12세의 동진 효무제가 황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진 원제의 황자 - 동진 명제
    동진 명제는 사마예의 장남으로 왕돈의 난을 진압하고 강남 호족과의 융화 정책을 펼쳤으며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320년 출생 - 사안
    사안은 동진 시대의 정치가이자 군사 전략가로서, 비수 전투에서 승리하며 동진의 실권을 장악하고 북벌을 추진했으나, 사마도자의 방해로 좌절된 인물이다.
동진 간문제
기본 정보
이름간문제 사마욱
한자 표기晉簡文帝
로마자 표기Jin Jianwen Di
사마 (司馬)
욱 (昱, yù)
도만 (道萬)
묘호태종 (太宗)
시호간문황제 (簡文皇帝)
출생320년
사망372년 9월 12일
사망 장소건강, 동진
매장지고평릉 (高平陵), 난징시, 장쑤성
연호함안 (咸安): 372년
왕조동진
가문사마씨
통치 정보
즉위372년 1월 6일
퇴위372년 9월 12일
이전 통치자폐제
다음 통치자효무제
가족 관계
아버지원제
어머니간문선황후
배우자간문순황후, 효무문황후
자녀사마도생
효무제
사마도자
파양공주
신안민공주
무창공주

2. 생애

320년원제와 정아춘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3]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원제의 사랑을 받았으며, 풍채가 좋고 몸가짐이 단정했다. 학문에 관심을 보였고 서예를 좋아했다.[4] 3살 때 낭야왕에 봉해졌는데, 이는 원제가 이전에 가지고 있던 칭호로 특별한 영예로 여겨졌다.[3] 327년, 생모인 정아춘이 사망하자 복상(服喪)을 위해 회계왕으로 개봉(改封)되었다.[4][5]

345년에 무군대장군이 되고 상서를 관장했으며 이듬해 2월, 황제 보좌에 참여했다.[4] 347년, 환온성한을 멸망시키고 권력을 장악할 것을 우려한 황실은 인호를 등용하여 환온을 견제하려 했으나, 354년 인호의 북벌 실패로 인해 실패했다. 366년 10월에는 승상이 되었다.[4]

장성해서는 마음이 깨끗했고 욕심이 적었지만 큰 뜻은 없었다. 환온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친필로 '만약 진나라의 복이 오래 지속된다면 경이 이 나라를 섬겨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나라를 알아서 하라'라고 보냈다. 이에 환온은 정곡을 찔려 땀을 흘리며 대경실색했는데 그래도 환온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 있어 간문제는 항상 폐위될 걱정에 사로잡혀 있었다.

371년 11월, 환온폐제를 폐위하고 사마욱을 황제로 추대했다. 간문제는 폐제의 할아버지 명제의 이복동생이었으므로 폐제의 작은 할아버지였다. 즉위 과정은 순탄치 않았는데, 환온은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간문제를 발기 부전이라 모함하고, 그의 아들들이 실은 총애하는 남자들의 아들이라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다. 결국 환온은 추태후에게 칙령을 내려 간문제를 폐위시키고 사마욱을 옹립했다.

황제에 즉위한 후, 대사마 환온을 불러놓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는데 은근히 양심이 찔리던 환온은 땀을 흘리며 아무 말도 못했다. 간문제는 환온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친필로 '만약 진나라의 복이 오래 지속된다면 경이 이 나라를 섬겨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나라를 알아서 하라'라고 보냈다. 이에 환온은 정곡을 찔려 땀을 흘리며 대경실색했는데 그래도 환온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 있어 간문제는 항상 폐위될 걱정에 사로잡혀 있었다.

372년 7월, 간문제는 병이 깊어져 환온에게 황위를 선양하려 했다.[4] 유조로서 "태자(사마요)가 보좌할 만한 인물이라면 보좌해 주었으면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온(桓溫) 스스로가 황위를 차지해도 좋다"고 작성했다[6]。 하지만 시중 왕탄지가 간문제 앞에서 유조를 찢어 버리고 "천하는 선제·원제의 천하이옵니다. 폐하께서 마음대로 하실 수는 없습니다!"라고 일갈했다[7]。 결국 사안의 기책으로 "국사는 일률적으로 환온에게 보고하고, 제갈무후·왕승상의 고사처럼 하라"고 다시 말하고 붕어했다[8]

이러한 경위로 인해 다음 황위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지만, 사안·왕탄지·왕표지 등의 노력으로 12세의 효무제가 계승했다。 재위 8개월 만에 53세의 나이로 태극전 동당에서 죽었고 10월에 고평릉(高平陵)에 안장되었다.[4]

사마욱의 증손녀 왕씨(왕헌원)는 효무제 유준의 황후가 되었다.

2. 1. 즉위 전

320년원제와 정아춘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3]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원제의 사랑을 받았으며, 풍채가 좋고 몸가짐이 단정했다. 학문에 관심을 보였고 서예를 좋아했다.[4] 3살 때 낭야왕에 봉해졌는데, 이는 원제가 이전에 가지고 있던 칭호로 특별한 영예로 여겨졌다.[3] 327년, 생모인 정아춘이 사망하자 복상(服喪)을 위해 회계왕으로 개봉(改封)되었다.[4][5]

345년에 무군대장군이 되고 상서를 관장했으며 이듬해 2월, 황제 보좌에 참여했다.[4] 347년, 환온성한을 멸망시키고 권력을 장악할 것을 우려한 황실은 인호를 등용하여 환온을 견제하려 했으나, 354년 인호의 북벌 실패로 인해 실패했다. 366년 10월에는 승상이 되었다.[4]

장성해서는 마음이 깨끗했고 욕심이 적었지만 큰 뜻은 없었다. 환온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친필로 '만약 진나라의 복이 오래 지속된다면 경이 이 나라를 섬겨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나라를 알아서 하라'라고 보냈다. 이에 환온은 정곡을 찔려 땀을 흘리며 대경실색했는데 그래도 환온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 있어 간문제는 항상 폐위될 걱정에 사로잡혀 있었다.

2. 2. 즉위 과정

320년원제와 정아춘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3살 때 낭야왕, 7살 때 회계왕이 되었다.

371년 11월에 환온폐제를 폐위한 뒤 사마욱을 황제로 추대했다. 그는 폐제의 할아버지 명제의 이복동생이었으므로 폐제의 작은 할아버지였다. 황제에 즉위한 후, 대사마 환온을 불러놓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는데 은근히 양심이 찔리던 환온은 땀을 흘리며 아무 말도 못했다.

간문제는 어릴 때부터 총명해서 원제의 사랑을 받았고 풍채가 좋았다. 몸가짐이 단정했고 학문에 관심을 보였으며 서예를 좋아했다. 장성해서는 마음이 깨끗했고 욕심이 적었지만 큰 뜻은 없었다. 환온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친필로 '만약 진나라의 복이 오래 지속된다면 경이 이 나라를 섬겨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나라를 알아서 하라'라고 보냈다. 이에 환온은 정곡을 찔려 땀을 흘리며 대경실색했는데 그래도 환온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 있어 간문제는 항상 폐위될 걱정에 사로잡혀 있었다.

365년 말, 간문제는 사마 Yu에게 낭야왕(琅琊王)의 작위를 제안했고, 그의 태자인 사마 요(司馬曜)를 회계왕으로 봉했다. 사마 Yu는 아들을 대신하여 거절했고, 자신 또한 낭야왕의 작위를 거절했으며, 계속해서 회계왕으로 자칭했다. 간문제는 더 높은 작위를 받도록 강요하지 않았다.

369년, 환온(桓溫)이 전연(前燕)을 상대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으나 모용수에게 참패한 후, 그는 자신의 권력을 과시할 또 다른 방법을 고려했다. 그는 간문제를 폐위시키기로 결정하고, 간문제가 발기 부전이며 그의 아들들이 실제로는 그가 총애하는 남자들의 아들이라는 거짓 소문을 퍼뜨렸다(그와 그 남자들 사이의 동성애 관계를 암시). 371년 겨울, 환온은 추태후(褚太后)에게 칙령을 내려 간문제를 폐위하고 사마 Yu를 대신하도록 강요했다. 사마 Yu는 두려움 속에서 왕위에 올랐지만,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느꼈다.

태화 4년(369년), 전연에 대한 북벌에 나섰던 환온이 방두 전투에서 모용수에게 대패했다.。그 위세가 실추되자, 환온은 이를 만회하고자 태화 6년(371년) 11월에 입조하여, 종손인 황제 해서공 (큰 형 명제의 손자)이 남색에 빠져있다고 저태후에게 진언하여 폐위시켰다. 같은 달 기유(372년 1월 6일)에는 사마욱을 황제로 옹립했다.。이러한 경위로 간문제는 환온의 괴뢰였으며, 환온의 말대로 황족, 관료의 임면과 상벌이 이루어졌다.。

2. 3. 재위 기간

371년 11월에 환온폐제를 폐위한 뒤 사마욱을 황제로 추대했다. 황제에 즉위한 후, 대사마 환온을 불러놓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는데 은근히 양심이 찔리던 환온은 땀을 흘리며 아무 말도 못했다. 간문제는 환온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친필로 '만약 진나라의 복이 오래 지속된다면 경이 이 나라를 섬겨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나라를 알아서 하라'라고 보냈다. 이에 환온은 정곡을 찔려 땀을 흘리며 대경실색했는데 그래도 환온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 있어 간문제는 항상 폐위될 걱정에 사로잡혀 있었다.

372년 7월, 간문제는 병이 깊어져 환온에게 황위를 선양하려 했다.[4] 유조로서 "태자(사마요)가 보좌할 만한 인물이라면 보좌해 주었으면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온(桓溫) 스스로가 황위를 차지해도 좋다"고 작성했다[6]。 하지만 시중 왕탄지가 간문제 앞에서 유조를 찢어 버리고 "천하는 선제·원제의 천하이옵니다. 폐하께서 마음대로 하실 수는 없습니다!"라고 일갈했다[7]。 결국 사안의 기책으로 "국사는 일률적으로 환온에게 보고하고, 제갈무후·왕승상의 고사처럼 하라"고 다시 말하고 붕어했다[8]

이러한 경위로 인해 다음 황위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지만, 사안·왕탄지·왕표지 등의 노력으로 12세의 효무제가 계승했다。 재위 8개월 만에 53세의 나이로 태극전 동당에서 죽었고 10월에 고평릉(高平陵)에 안장되었다.

2. 4. 사망 이후

간문제는 372년 7월에 재위 8개월 만에 53세의 나이로 태극전 동당에서 죽었고 10월에 고평릉(高平陵)에 안장되었다.[4] 죽음을 맞이하며 환온에게 황위를 선양하려 했고, 유조로서 "태자(사마요)가 보좌할 만한 인물이라면 보좌해 주었으면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온(桓溫) 스스로가 황위를 차지해도 좋다"고 작성했다.[6] 하지만 시중 왕탄지가 간문제 앞에서 유조를 찢어 버리고 "천하는 선제·원제의 천하이옵니다. 폐하께서 마음대로 하실 수는 없습니다!"라고 일갈했다.[7] 사안의 기책으로 "국사는 일률적으로 환온에게 보고하고, 제갈무후·왕승상의 고사처럼 하라"고 다시 말하고 붕어했다.[8]

이러한 경위로 인해 다음 황위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지만, 사안·왕탄지·왕표지 등의 노력으로 12세의 효무제가 계승했다.[8] 효무제가 즉위했으나, 동진 왕조의 쇠퇴는 계속되었다. 사마욱의 증손녀 왕씨(왕헌원)는 송나라 효무제 유준의 황후가 되었다.

3. 가계

동진 원제와 간문제 선황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사마진이며, 어머니는 하후광희이다. 할아버지는 사마주이고, 할머니는 낭야 제갈씨 부인이다. 외할아버지는 정개이고, 외할머니는 부여 오씨 부인이다. 외증조부는 정하이다.

왕간희(간문순황후)는 동진 간문제 즉위 후에 황후로 추존되었다. 간문제의 정실이며, 사마도생과 사마유생을 낳았다.

효무문 황태후 이능용(351년 ~ 400년)은 사마요, 회계 문효왕과 파양공주를 낳았다. 파양공주는 낭야 왕가(瑯琊 王嘏)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숙의 호씨는 임천 헌왕과 사마주생을 낳았다. 숙의 왕씨는 사마천류를 낳았다. 귀인 서씨는 신안민공주를 낳았으며, 신안민공주는 환온의 둘째 아들인 괵교 환제(譙國 桓濟)와 왕헌지에게 시집갔다.

생모 불명으로 무창공주는 환충의 아들인 괵교 환수(譙國 桓脩)에게 시집갔다.


  • 간문순 황후 왕간희(증 순황후)
  • * 사마 도생(회계사왕) (첫째 아들)
  • * 사마유생 (둘째 아들, 요절)
  • 이령용(효무문 황태후)
  • * 사마 요(동진 효무제) (셋째 아들)
  • * 사마도자(회계문효왕) (다섯째 아들)
  • * 파양공주 낭야 왕가(瑯琊 王嘏)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 서의 호씨
  • * 사마욱(임천헌왕) (넷째 아들, 요절)
  • * 사마주생 (여섯째 아들, 요절)
  • 서의 왕씨
  • * 사마천류 (일곱째 아들, 요절)
  • 서의 서씨(淑儀 徐氏)
  • * 신안민공주 이름은 도복(道福), 셋째 딸
  • ** 환온의 둘째 아들인 괵교 환제(譙國 桓濟)에게 시집갔다.
  • ** 왕헌지(琅琊, 344–386)에게 시집가서 자녀를 낳았다. (안희황후)
  • 불명
  • * 무창공주
  • ** 환충의 아들인 괵교 환수(譙國 桓脩)에게 시집갔다.

3. 1. 부모

동진 원제와 간문제 선황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사마진이며, 어머니는 하후광희이다. 할아버지는 사마주이고, 할머니는 낭야 제갈씨 부인이다. 외할아버지는 정개이고, 외할머니는 부여 오씨 부인이다. 외증조부는 정하이다.

3. 2. 후비

왕간희(간문순황후)는 동진 간문제 즉위 후에 황후로 추존되었다. 간문제의 정실이며, 사마도생과 사마유생을 낳았다.

효무문 황태후 이능용(351년 ~ 400년)은 사마요, 회계 문효왕과 파양공주를 낳았다. 파양공주는 낭야 왕가(瑯琊 王嘏)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숙의 호씨는 임천 헌왕과 사마주생을 낳았다. 숙의 왕씨는 사마천류를 낳았다. 귀인 서씨는 신안민공주를 낳았으며, 신안민공주는 환온의 둘째 아들인 괵교 환제(譙國 桓濟)와 왕헌지에게 시집갔다.

생모 불명으로 무창공주는 환충의 아들인 괵교 환수(譙國 桓脩)에게 시집갔다.

3. 3. 자녀


  • 간문순 황후 왕간희(증 순황후)
  • * 사마 도생(회계사왕) (첫째 아들)
  • * 사마유생 (둘째 아들, 요절)
  • 이령용(효무문 황태후)
  • * 사마 요(동진 효무제) (셋째 아들)
  • * 사마도자(회계문효왕) (다섯째 아들)
  • 서의 호씨
  • * 사마욱(임천헌왕) (넷째 아들, 요절)
  • * 사마주생 (여섯째 아들, 요절)
  • 서의 왕씨
  • * 사마천류 (일곱째 아들, 요절)

3. 3. 1. 황자


  • 간문순 황후 태원 왕씨(簡文順皇后 太原王氏, ? ~ 348), 이름은 간희(簡姬)
  • * 사마 도생(會稽思世子 司馬道生), 첫째 아들
  • * 사마 유생(司馬俞生), 둘째 아들
  • 효무문 황태후 이씨(孝武文皇太后 李氏, 351~400), 이름은 령용(陵容)
  • * 사마 요, 효무제(孝武皇帝 司馬曜, 362~396), 셋째 아들
  • * 사마 도자, 회계 문효왕(會稽文孝王 司馬道子, 364~403), 다섯째 아들
  • * 파양공주
  • ** 낭야 왕가(瑯琊 王嘏)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 서의 호씨(淑儀 胡氏)
  • * 사마 울, 임천 헌왕(臨川獻王 司馬鬱), 넷째 아들
  • * 사마 주생(司馬朱生), 여섯째 아들
  • 서의 왕씨(淑儀 王氏)
  • * 사마 천류(司馬天流), 일곱째 아들
  • 서의 서씨(淑儀 徐氏)
  • * 신안민공주 이름은 도복(道福), 셋째 딸
  • ** 환온의 둘째 아들인 괵교 환제(譙國 桓濟)에게 시집갔다.
  • ** 왕헌지(琅琊, 344–386)에게 시집가서 자녀를 낳았다. (안희황후)
  • 불명
  • * 무창공주
  • ** 환충의 아들인 괵교 환수(譙國 桓脩)에게 시집갔다.

3. 3. 2. 황녀


  • 신안민공주 사마도복 - 귀인 서씨 소생. 환온의 둘째 아들인 괵교 환제(譙國 桓濟)에게 시집갔다. 이후 왕헌지에게 재가하여 안희황후를 낳았다.
  • 무창공주 - 환충의 아들인 괵교 환수(譙國 桓脩)에게 시집갔다.
  • 파양공주 - 효무문태후 소생. 낭야 왕가(瑯琊 王嘏)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 심양공주(尋陽公主)

4. 평가

젊은 시절부터 풍채가 좋았고, 용모도 아름다웠다. 견식도 있었고, 조용하고 침착한 성격의 인물이었으나, 정치 수완은 부족했다. 사안은 그를 "혜제와 비슷한 인물로, 청담에 조금 뛰어날 뿐"이라고 평했다. 지둔은 "회계왕의 용모는 심오해 보이지만, 정신은 그렇지 않다"라고 비꼬았고, 사령운은 그의 사적으로부터 난왕·헌제와 같은 부류라고 평했다.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젊은 시절부터 풍채가 좋았고, 용모도 아름다웠으며, 견식도 있었고, 조용하고 침착한 성격의 인물이었다. 그러나 정치 수완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안은 그를 "혜제와 비슷한 인물로, 청담에 조금 뛰어날 뿐"이라고 평했다. 지둔은 "회계왕의 용모는 심오해 보이지만, 정신은 그렇지 않다"라고 비꼬았고, 사령운은 그의 사적으로부터 난왕·헌제와 같은 부류라고 평했다.

4. 3. 중립적 평가

4. 4. 한국의 시각 (더불어민주당 관점)

젊은 시절부터 풍채가 좋았고, 용모도 아름다웠으며, 견식도 있었다. 조용하고 침착한 성격의 인물이었으나, 정치 수완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안은 그를 "혜제와 비슷한 인물로, 청담에 조금 뛰어날 뿐"이라고 평했다. 지둔은 "회계왕의 용모는 심오해 보이지만, 정신은 그렇지 않다"라고 비꼬았고, 사령운은 그의 사적으로부터 난왕·헌제와 같은 부류라고 평했다.

5. 연호

간문제원년2년
서력
(西曆)
371년372년
간지
(干支)
신미(辛未)임신(壬申)
연호
(年號)
함안(咸安)
원년
2년



함안(咸安, 372년 1월 6일 ~ 373년 2월 9일)은 간문제가 사용한 연호이다.

6. 기타

간문제는 무군장군으로 재임할 당시 의자 먼지도 닦지 않고 쥐 발자국을 보고 징조를 예측했다. 어느 날 쥐를 죽인 참군을 탄핵하려는 막료를 "쥐가 죽은 것도 잊을 수 없는데, 그 일을 재론하여 사람마저 잃을 수는 없지 않은가!"라며 타이르기도 했다.[9]。 승상 시절에는 조정의 사안을 해를 넘겨 재결하는 일이 잦았고, 이를 불만스러워 한 환온의 재촉에도 "하루의 만기를 어찌 빨리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답했다.[10]

당대 명사들과 교유하며 풍류를 즐겼고, 항상 단정한 옷차림을 유지했다. 환온, 무릉왕 사마희와 함께 마차를 타고 가다 환온의 시험에도 태연함을 유지하여 환온을 감복시켰다.[4][11]。 화림원에 행차해서는 "마음에 맞는 곳이 반드시 멀리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주변 경관에 대한 감상을 읊기도 했다.[12]

황실 귀공자로 자라 세상 물정에 어두운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밭의 를 보고 무슨 풀인지 묻고, 용도를 알고 난 후 사흘 동안 후회하며 "정말 그 끝()에 의지하면서도, 근본은 몰랐구나!"라고 하였다.[13]

즉위 직후 환온이 무릉왕 사마희를 제거하려 하자, "운명이 진나라를 돕는다면, 공(환온)은 전날의 조서를 받들어야 할 것이지만, 진나라의 대운이 다했다면, 현명한 길을 위해 피해주겠다"라는 조서를 내려 환온을 당황하게 했다.[4]

회계왕 시절 정실 왕간희와의 사이에서 사마도생과 사마유생을 낳았으나, 도생의 행실이 좋지 않아 폐출되었다. 이후 첩실들이 임신하지 못하자 점을 쳤고, 점쟁이의 말대로 궁녀 이릉용을 측실로 맞이하여 효문제와 사마도자를 얻었다.[14]

태화 6년(371년) 10월, 형혹이 태미원의 단문을 지키는 별의 변동을 일으켜 "천자는 망국에 조우하고, 제후・삼공이 그 이상을 꾀할 것이다"라는 점괘가 나왔다. 간문제는 환온의 측근 희초에게 천명에 대해 묻고, 유천의 시를 읊으며 울음을 터뜨렸다.[4][15]

참조

[1] 서적 Book of Jin, vol.09 372-01-06
[2] 서적 Book of Jin, vol.09 372-09-12
[3] 서적 Zizhi Tongjian, vol.92
[4] 서적 晋書』巻9, 簡文帝紀
[5] 서적 晋書』巻7, 成帝紀
[6] 문서 蜀漢の劉備が諸葛亮にした遺詔と同じである。
[7] 서적 晋書』巻75, 王坦之伝
[8] 서적 晋書』巻98, 桓温伝
[9] 서적 世説新語』第1, 徳行篇37
[10] 서적 世説新語』第3, 政事篇20
[11] 서적 世説新語』第6, 雅量篇25
[12] 서적 世説新語』第2, 言語篇61
[13] 서적 世説新語』第33, 尤悔篇15
[14] 서적 晋書』巻32, 孝武文李太后伝
[15] 서적 晋書』巻13, 天文志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