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밀은 북위 시대의 인물로, 고호의 아들이자 고수생과 고번의 아버지이다. 그는 문성제 시기에 비서랑을 지냈으며, 헌문제의 스승으로 난태어사에 임명되었다. 서적을 무단 수정했다는 탄핵을 받았으나 칭송을 받았으며, 472년에 사망했다. 북위 효무제 시기에는 사절, 시중, 도독 청서제제연오주제군사, 태위공, 청주자사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무정공이었다. 북제가 건국된 후에는 무정부군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태조로 위패가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28년 출생 - 문목황후
    문목황후는 남조 송 효무제 유준의 황후로, 동진 간문제와 송 무제의 외손녀이며 유준과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고, 효무제 사후 태후가 되었으나 아들의 폭정을 막지 못하고 병사했다.
  • 428년 출생 - 북위 경목제
    북위 경목제는 태무제의 아들이자 태자로, 감국으로 임명되어 국경을 방어하고 농업을 장려했으며 불교를 옹호했으나, 측근과의 갈등과 환관과의 불화로 젊은 나이에 사망 후 황제로 추존되었다.
  • 북제의 추존황제 - 고징
    동위의 권신이자 북제의 추존 황제인 고징은 고환의 장남으로 아버지 사후 승상이 되어 권력을 장악했으나, 암살당한 후 아들 고양에 의해 북제 건국 후 문양황제로 추존되었다.
  • 북제의 추존황제 - 고환 (북위)
    고환은 북위에서 태어나 이주씨와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동위를 건국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효무제와 효정제를 옹립하고 서위와의 대립 속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다 사망했다.
  • 472년 사망 - 리키메르
    리키메르는 5세기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게르만계 군사령관이었으며, 여러 황제를 꼭두각시로 내세워 권력을 행사하고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안테미우스와의 갈등 끝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 472년 사망 - 올리브리우스
    올리브리우스는 아니키우스 가문 출신으로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사위이자 가이세리크의 지지를 받아 리키메르에 의해 서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7개월 만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혼란을 가중시킨 인물이다.
고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북제 칠묘 배향자 (태조)
재위(추존)
전임자진주사군
후임자문목제
고밀(Gomil)
별호없음
연호없음
존호없음
시호무정부군(Mujeongbugun)
능호없음
부친고호
출생일428년
출생지북위 발해수현
사망일472년 9월
사망지북위

2. 생애

고밀은 진주자사(秦州刺史) 고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문무에 재능을 보였다. 젊은 시절 법을 어겨 회삭진(懷朔鎭)으로 이주해야 했으나, 이후 공신의 자손으로 인정받아 황궁에서 일하게 되었다. 문성제의 신임을 얻어 비서랑(祕書郎)이 되었고, 북위 헌문제의 스승을 맡기도 했다. 난태어사(蘭臺御史)로 재직 중에는 서적을 무단 수정했다는 탄핵을 받았지만 소신을 굽히지 않아 칭송을 받았다. 472년 9월에 4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이후 북위 효무제에 의해 높은 관직과 시호가 추증되었다. 북제 건국 이후에는 태조(太祖)로 추존되어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2]

2. 1. 출생과 가문

고밀은 진주자사(秦州刺史) 고호의 셋째 아들로, 문무(文武)에 소질이 있었으나 법을 어겨 회삭진(懷朔鎭)으로 이주했고, 증손대(代)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태안(太安, 문성제의 연호) 연간에 공신 고호의 아들로써 황궁에 들어가 전적(典籍)을 관리하다 문성제에게 발탁되어 비서랑(祕書郎)이 되었다. 일부 전적이 손상되자 문성제에게 청하여 새 전적을 받아 필사하여 소장하였다.

2. 2. 북위에서의 관직 생활

북위 헌문제 시기 헌문제를 가르치는 스승이 되었고 난태어사(蘭臺御史)에 임명되었다.[2] 후에 서적을 무단 수정 및 월권 행위 죄목으로 탄핵되었으나 두려워하지 않았고 칭송을 받았다.[2] 치서로 전임하여 권위를 두려워하지 않고 내관·외관의 불법을 규탄했기 때문에 칭찬을 받았다.[2] 472년(연흥 2년) 9월에 사망하였다.[2] 향년 45세였다.[2]

2. 3. 사망과 추증

472년(연흥 2년) 9월에 사망하였다. 향년 45세였다.[2] 532년(태창 원년), 북위 효무제 시기 사지절, 시중, 도독청서제제연오주제군사(都督青徐齊濟兗五州諸軍事), 표기대장군, 태위공, 청주자사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무정공(武貞公)이었다.[2] 북제 건국 후 무정부군(武貞府君)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태조(太祖)로 위패가 안치되었다.[2]

2. 4. 북제에서의 추존

북위 효무제 시기 사절, 시중, 도독청서제제연오주제군사(都督青徐齊濟兗五州諸軍事), 태위공, 청주자사(青州刺史)에 추증되었고 시호를 무정공(武貞公)이라 하였다. 후에 북제가 건국되자 무정부군(武貞府君)[2]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태조(太祖)로써 위패가 안치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부친고호
아내숙손씨(叔孫氏)숙손숭(叔孫崇)의 딸, 시호는 진류군군(陳留郡君)
장남고수생문목제(文穆帝)로 추존
차남고번(高翻)고악의 아버지


참조

[1] 문서 하북 경현
[2] 웹사이트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