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성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성우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사법연수원 11기를 수료했다. 검사, 법무부 차관,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법무법인(유한) 바른의 고문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검찰 재직 중에는 영화 '거짓말' 무혐의 결정을 내렸으며, 검찰 행정 및 수사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기획통으로 평가받는다. 2009년 공직자 재산 공개 당시 12억 333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 박종철 (법조인)
    박종철은 1962년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 후 검사로 임용되어 검사장,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역임하고 제25대 검찰총장에 취임했으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사퇴 후 변호사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 허형구
    허형구는 김해 출신의 법조인으로, 검사,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찰총장 재임 중 봉사하는 검찰상을 정립하고 선거법 위반 사범을 수사했으나 저질 연탄 사건 수사로 경질되었다.
  •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 - 오탁근
    오탁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찰총장 및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활동하다 10·26 사건 처리 후 강제 퇴임, 이후 법무부 장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 남평 문씨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남평 문씨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문성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문성우
원어명문晟祐
로마자 표기Mun Seong-u
출생일1956년 2월 27일
출생지전라도 광주
국적대한민국
직업법조인, 검사
경력
직책검사, 차장검사

2. 학력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과를 수료하였다.

3. 경력

1979년 제21회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11기를 수료하였다. 1984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 검사로 근무하였고, 1987년부터 1988년까지는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검사로 근무하였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재직하였으며, 1991년에는 대검찰청 검찰연구관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미국 워싱턴 법학대학교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92년 다시 서울지방검찰청 검사로 복귀하여 1993년까지 근무하였다.

1993년 광주지방검찰청 해남지청장을 역임하였고,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특수부장검사, 1994년부터 1995년까지 광주지방검찰청 공안부장검사로 근무하였다. 1995년부터 1997년 8월까지 대검찰청 기획과장을 역임하였고, 1997년 8월부터 2000년 2월까지 법무부 검찰제1과장, 검찰제2과장, 검찰제3과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2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서울지방검찰청 형사제3부장검사 및 형사제7부장검사를 역임하였고, 2001년 6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서울지방검찰청 의정부지청 차장검사로 근무하였다. 2002년 2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수원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 2003년 3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서울지방검찰청 제2차장검사를 역임하였다.

2004년 6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을 역임하였고, 2005년 4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을 역임하였다. 2006년 2월 법무부 검찰국장에 임명되었으며, 2008년 3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법무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2009년 1월부터 7월까지 대검찰청 차장검사로 근무하였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법무법인(유한) 바른 대표 변호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법무법인 바른 총괄 대표 변호사,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법무법인(유한) 바른 구성원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법무법인(유한) 바른 고문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한국법죄방지재단 이사를 맡고 있다.

4. 주요 사건

2000년 서울지방검찰청 형사제7부장을 맡고 있을 때, 음란 여부를 놓고 큰 논란이 됐던 영화 "거짓말"에 대해 무혐의 결정을 내렸다.[1]

5. 평가

문성우는 검찰 행정과 수사 분야를 폭넓게 경험한 기획통으로 평가받는다.[2] 2005년에는 검ㆍ경 수사권 조정과 관련하여 검찰 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다.[2] 법무부 검찰제3과장, 제2과장, 제1과장 등을 역임하며 검찰 행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2] 대검 기획조정부장 재직 시에는 일선 검찰 수사와 관련된 인권 보호 장치와 선진 제도 도입을 주도했다.[2]

6. 재산

2006년 공직자 재산 공개 당시, 문성우는 3억 5233만원을 신고하여 법무부 및 검찰 고위직 중 안대희에 이어 꼴찌에서 2등을 차지했다.[3] 문성우는 "18년 전에 산 집을 옮기지 않고 당시 기준으로 신고해서 그렇지 실제로는 부자"라고 해명했다.[3]

2009년 3월 27일 공직자 재산 변동사항 발표에 따르면, 문성우와 그 친족의 재산은 12억 3331만원이다.[4] 이 중 14억 3200만원은 본인 명의의 대치동 국제아파트와 대치동 선경아파트 전세권으로 인한 것이며, 3억 1399만원의 채무를 지고 있다.[4]

참조

[1] 뉴스 ‘거짓말’ 음란물 아니다…서울지검 무혐의 결정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0-06-30
[2] 뉴스 <프로필> 문성우 검찰국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2-01
[3] 뉴스 검찰-안대희, 법원-이인복 ‘영예의 꼴찌’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6-03-02
[4] 간행물 대한민국 정부 관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