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시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시연은 1965년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제3대학교에서 석사 및 연극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프랑스 교육공로훈장 및 문화예술공로훈장을 받았으며, 숙명여자대학교 한국문화교류원 원장, 정책대학원 교수,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했다. 전국여교수협의회사무총장, 세계한류학회 회장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 등이 있고, 최인훈의 희곡 《둥둥 낙랑둥》을 프랑스어로 번역했다. 2024년 9월 숙명여자대학교 제21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불문학자 - 이인성 (소설가)
이인성은 실험적인 문체와 독창적인 서술 기법으로 인간의 정체성과 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는 한국의 소설가이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 대한민국의 불문학자 - 박정자 (교수)
박정자는 미셸 푸코와 장 폴 사르트르 연구를 통해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한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학자이며, 푸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사르트르 철학 입문서를 저술하는 등 학술적 성과와 대중적 인지도를 동시에 얻었다. - 학회장 - 김누리
김누리는 독일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독일 문학 연구와 저서 집필, 사회적 발언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독일문학자이자 대학교수이다. - 학회장 - 심봉근
심봉근은 한국 청동기 시대 문화를 주요 연구 분야로 하는 고고학자로, 동아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한일 고고학 관계 연구에 기여했으나 일부 연구 결과에 객관성 논쟁이 있다.
| 문시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문시연 |
| 로마자 표기 | Mun Si-yeon |
| 출생일 | 1965년 9월 11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
| 국적 | 대한민국 |
| 거주지 | 대한민국 |
| 직업 | 연극학자, 프랑스 문학 연구자 |
| 소속 | 숙명여자대학교 |
| 학력 | 파리 제3대학교 대학원 |
| 학문 | |
| 분야 | 연극학, 프랑스 문학 |
| 지도교수 | (정보 없음) |
| 영향을 준 인물 | (정보 없음) |
| 영향을 받은 인물 | (정보 없음) |
| 경력 | |
| 직장 | 숙명여자대학교 |
| 수상 | 문화예술공로훈장 오피시에 |
| 기타 활동 | 세계한류학회 회장 |
2. 생애 및 학력
1965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11] 1984년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입학하여 1988년 졸업하였다.[11] 1989년 파리 제3대학교(소르본누벨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95년 동 대학원에서 연극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9][11]
이후 2007년 프랑스 교육부로부터 교육공로훈장 슈발리에(Chevalier·기사장)를 받았고, 2012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공로훈장 오피시에(Officier)를 받았다.[10][11][12][13] 2010년 AMOPA 한국지부 사무총장,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문화교류원 원장, 2018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프랑스문화매니지먼트전공 교수 및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였다.[11] 그 외에 전국여교수협의회사무총장, 대학정책학회국제이사, 한불협회이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13] 2021년 세계한류학회 3대 회장에 취임하였다.[14] 2024년 9월, 숙명여자대학교 제 21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저서로는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가 있으며, 역서로는 낙랑공주와 호동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최인훈의 희곡 《둥둥 낙랑둥》[15]의 프랑스어 역 《Pour qui sonne le tambour de Nangnang?프랑스어》이 있다.[16]
2. 1. 출생 및 성장
서울특별시에서 1965년에 태어났다.[11]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1984년에 입학하여 1988년에 졸업하였다.[11]2. 2. 학력
| 연도 | 내용 |
|---|---|
| 1984년 |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입학[11] |
| 1988년 |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11] |
| 1989년 | 파리 제3대학교(소르본누벨대학) 대학원 석사[9][11] |
| 1995년 | 파리 제3대학교(소르본누벨대학) 대학원 연극학 박사[9][11] |
1965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11] 1984년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입학하여 1988년 졸업하였고, 1989년 파리 제3대학교(소르본누벨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1995년 동 대학원에서 연극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9][11]
3. 주요 경력 및 활동
3. 1. 교육 및 학술 활동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문화교류원 원장을 맡았고, 2018년부터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프랑스문화매니지먼트전공 교수 및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장을 지냈다.[11] 전국여교수협의회 사무총장, 대학정책학회 국제이사, 한불협회 이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13] 2021년 세계한류학회 3대 회장에 취임하였다.[14] 2024년 9월, 숙명여자대학교 제21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저서로는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 등이 있고, 역서로는 낙랑공주와 호동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최인훈의 희곡 《둥둥 낙랑둥》[15]의 프랑스어 번역본 《''Pour qui sonne le tambour de Nangnang?''》 등이 있다.[16]
3. 2. 국제 교류 및 기타 활동
2007년 프랑스 교육부로부터 교육공로훈장 슈발리에(Chevalier·기사장)를 받았고, 2012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공로훈장 오피시에(Officier)를 받았다.[10][11][12][13] 2010년 AMOPA 한국지부 사무총장으로 취임하였다.[11] 그 외에 한불협회 이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13]
4. 저서 및 역서
저서로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가 있으며, 역서로 최인훈의 희곡 《둥둥 낙랑둥》[15]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Pour qui sonne le tambour de Nangnang?''》[16]이 있다. 이 희곡은 낙랑공주와 호동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4. 1. 저서
저서로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가 있으며, 최인훈의 희곡 《둥둥 낙랑둥》[15]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Pour qui sonne le tambour de Nangnang?''》[16]이 있다.4. 2. 역서
최인훈의 희곡 《둥둥 낙랑둥》[15]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Pour qui sonne le tambour de Nangnang?''》[16]이 있으며, 이 희곡은 낙랑공주와 호동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참조
[1]
뉴스
문시연(文時姸)
http://cdb.chosun.co[...]
조선일보
2020-09-02
[2]
Daum
문시연
https://search.daum.[...]
[3]
NAVER
문시연
https://people.searc[...]
2020-04-21
[4]
뉴스
문시연 숙대 교수, 佛 문화예술공로훈장 받아(ムン・シヨン淑大教授, 仏文化芸術功労勲章受ける)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12-06-12
[5]
뉴스
[단신]문시연 숙대교수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회장 선출([短信]ムン・シヨン淑大教授フランス文化芸術学会会長選出)
https://www.news1.kr[...]
뉴스1
2019-11-21
[6]
웹사이트
"[사람들] 세계한류학회 3대 회장에 숙명여대 문시연 교수"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21-10-01
[7]
NAVER
둥둥 낙랑둥
https://terms.naver.[...]
[8]
NAVER 책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
https://book.naver.c[...]
[9]
웹인용
문시연(文時姸)
http://cdb.chosun.co[...]
조선일보
2022-03-12
[10]
웹인용
문시연
https://search.daum.[...]
Daum
2022-03-12
[11]
웹인용
문시연
https://search.naver[...]
NAVER
2022-03-12
[12]
웹인용
문시연 숙대 교수, 佛 문화예술공로훈장 받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03-12
[13]
웹인용
"[단신] 문시연 숙대교수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회장 선출"
https://www.news1.kr[...]
뉴스1
2022-03-12
[14]
웹인용
"[사람들] 세계한류학회 3대 회장에 숙명여대 문시연 교수"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22-03-12
[15]
서적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현대문학
인문과교양
2022-03-12
[16]
웹인용
프랑스 문학과 사랑의 테마
https://book.naver.c[...]
NAVER 책
2022-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