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명여자대학교는 1906년 순헌황귀비가 설립한 명신여학교를 모체로 하여, 1948년 숙명여자대학으로 재설립된 대한민국의 여자대학교이다. 1955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제2 창학을 선언하고 리더십 교육을 강조하며 발전을 거듭했다. 2010년에는 여성 학군사관 후보생 시범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6년에는 여자대학교 최초로 공과대학을 신설했다. 숙명여자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S리더십을 기반으로 한 리더십 교육과 복수학위 제도를 통해 여성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캠퍼스는 제1캠퍼스와 제2창학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서관, 박물관, 학생회, 교내 언론 등 다양한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명여자대학교 - 순헌황귀비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는 궁녀로 입궁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아 영친왕 이은을 낳았고, 아관파천 당시 고종을 보필했으며, 귀인, 순빈, 순비를 거쳐 황귀비에 책봉되었고, 교육 사업에도 힘썼으며 사후 순종에 의해 시호를 받았다. - 숙명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71년 개관하여 2004년 르네상스 플라자로 이전한 숙명여자대학교의 박물관으로,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서울에 설립되어 1984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수원과 서울에 캠퍼스를 운영하는 사립 대학이다. - 대한관광대학학생회의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서울 용산구의 학교 - 서울자동차고등학교
서울자동차고등학교는 1988년 1월 21일 이광실업고등학교로 시작하여 정보처리과를 개설하고, 1999년 11월 3일에 이광자동차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며 자동차과를 신설했으며, 2005년 8월 19일에 현재의 교명인 서울자동차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 서울 용산구의 학교 -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는 국방부 장관 소속의 대학원 중심 고등교육기관으로, 안전보장대학원과 국방관리대학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제공하며 군 장교, 공무원, 기업체 간부 등을 교육하는 기관이다.
숙명여자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숙명여자대학교 |
로마자 표기 | Sookmyeong Yeoja Daehakgyo |
한자 표기 | 淑明女子大學校 |
영문 표기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표어 | 정숙·현명·정대 (貞淑·賢明·正大) |
설립일 | 1906년 5월 22일 (명신여학교), 1909년 12월 1일 (숙명여자전문학교), 1948년 5월 22일 (숙명여자대학교) |
학교 종류 | 사립, 여자대학, 종합대학 |
설립 구분 | 학교법인 숙명학원 |
총장 | 문시연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
캠퍼스 | 제1캠퍼스, 제2창학캠퍼스 |
규모 | 11개 단과대학, 3개 독립학부, 10개 대학원 |
학부생 | 10,158명 (2018년) |
대학원생 | 2,209명 (2018년) |
교원 수 | 460명 (2018년) |
상징 | 매화, 소나무, 백로 |
교색 | 파랑 |
마스코트 | 눈송이 |
웹사이트 | 숙명여자대학교 홈페이지 |
학부 | |
단과대학 | 문과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생활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경상대학 음악대학 약학대학 미술대학 기초교양대학 |
독립학부 | 글로벌서비스학부 영어영문학부 미디어학부 |
기타 | |
![]() | |
![]() | |
![]() | |
![]() |
2. 역사
1906년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가 출자하여 용동궁에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으로 정경부인 이정숙(李貞淑)이 취임하였다.[1] 1908년 명칭을 '''명신고등여학교'''(明新高等女學校)로, 1909년 '''숙명고등여학교'''(淑明高等女學校)로, 1911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淑明女子高等普通學校)로 개칭하였다.[8] 1935년 이정숙이 교장에서 퇴임하고 오다 쇼고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8]
1912년 경선궁과 영친왕이 하사한 토지의 수익금으로 숙명여자보통학교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숙명학원을 설립하였다.[10] 1938년 숙명학원은 현재의 부지에 '''숙명여자전문학교'''(淑明女子專門學校)를 설립하고, 다음 해인 1939년에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의 교장이던 오다 쇼고가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10] 1944년 태평양 전쟁이 격화되자 이름을 여자청년연성지도양성소로 바꾸었고, 황혜성과 김호직을 제외한 조선인 교사를 모두 해임하였다.[9] 1945년 11월 숙명여자전문학교로 다시 개교하여 숙명여자전문학교의 교장으로 재직하던 임숙재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1948년 5월 미군 군정청이 대학 승격 인가를 하여 숙명여자대학으로 재설립 되었으며,[10]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에 부산으로 피난하여 동대신동에서 가교사를 짓고 수업을 계속하였으며, 서울 지역을 다시 수복하자 1953년에 서울로 복귀하였다. 1955년 종합 대학으로 승격되어 초대 총장으로 임숙재가 취임하였다.[10]
1964년 10월 21일 32명의 교수가 김순식 총장이 부정하게 신입생 입학과 건물 신축을 결정했다며 총장 사임과 이사진 퇴진을 요구하고 총장실을 점거하여 농성하였다.[11] 11월 19일 32명의 교수 중 5명의 해면이 결정되자 일부 학생들이 가담하여 농성을 계속하였고 23일 김순식 총장은 학교가 정상화될 때까지 무기한 휴교한다고 발표하였다.[12] 농성을 계속하던 교수들은 문교부가 해산을 지시하자 농성을 해제하였다.[13]
1965년 1월 21일 김순식 총장이 사임하자 22일 제5대 총장으로 철학 박사 윤태림이 취임하였다.[14] 1966년 학내 분규가 발생하여 윤태림 총장이 횡령 혐의로 고발 당하였다.[15] 1968년 김신조 등이 청와대를 습격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발생한 이후 6관구 사령관이 한강 이북 방위선을 구축한다는 명목으로 숙명여대가 소유한 남현동 토지를 강제 점유하자, 숙명여대는 1975년부터 1986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점유 당한 토지를 전국에 산재한 국방부의 유휴지로 환지 받았다.[16]
1981년 정치학 박사 김옥렬이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김옥렬은 숙명여대를 다니다가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숙명여대 출신 총장이었다.[81] 김옥렬 총장은 장기 발전 계획을 추진하여 1984년 현재의 중앙도서관 건물을 신축하였고, 용인군에 부지를 매입하여 1990년 연수원을 건립하였다. 또한 1991년 국방부 소유가 소유한 B지구(현재의 제2 창학 캠퍼스)의 토지 일부를 취득하였다.[17][18]
1994년에는 정치학 박사 이경숙이 교수 직선으로 제13대 총장이 되었으며,[19] 1995년 창학(創學) 100주년을 맞이하는 2006년을 목표로 한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제2 창학을 선언하였다. 제2 창학 캠퍼스를 조성하기 위하여 약학대학 뒤에 위치한 산림청과 국방부 소유의 토지에 지정된 공원 부지를 해제하고 매입하였다.[20] 한편 이경숙 총장은 재정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동문들을 대상으로 한 “등록금 한 번 더 내기 운동”을 전개하였다.[21] 2005년 제2 창학 캠퍼스에 백주년기념관을 완공하였고[22] 2006년 제2 창학 캠퍼스에서 창학 100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다.[23]
2008년 이경숙 총장이 정년 퇴임하자 이학 박사 한영실이 교수 직선으로 당선, 제17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4][25] 2010년 한영실 총장은 새로운 학교 비전인 ‘숙명 블루 리본 프로젝트’(Blue Ribbon Project)를 선포하였다.[26][27] 같은 해 학제 개편의 일환으로 경상대학 소속이었던 경영학부와 경제학부를 분리하고 경영학부를 3개의 학과로 분할하여 경영대학에 소속시키고 경제학부를 사회과학대학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발표하였으나, 소속 교수들이 집단적으로 반발하자 한영실 총장은 경상대학의 현재 체제를 유지한다고 발표하여 사태를 진정시켰다.[28][29] 2010년 9월 14일 여성 학군사관 후보생 시범 대학으로 선정되어 같은 해 12월 10일 학생 군사 교육단(학군단) 창설식을 거행하였다.[39][40]
2012년 3월 15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숙명학원이 대학의 기부금을 재단의 계좌로 이체하여 다시 대학에 교부한 것을 이유로 이용태 숙명학원 이사장을 포함한 이사 5명과 감사 1명에 대한 승인을 취소하였다.[30] 이사회는 한영실 총장이 언론 매체에 해당 사실을 유출하여 이사회의 업무를 방해했다며 한영실 총장의 해임을 의결하였다.[31] 3월 30일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숙명여대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한영실 총장을 해임한 이사회 결의의 효력을 임시로 정지하였고, 한영실 총장은 업무에 복귀하였다.[32] 한편 4월 4일 교과부는 최종적으로 이들의 승인을 취소하였다.[33] 승인 취소된 이사들은 서울행정법원에 교과부의 취소 처분에 대한 집행 정지를 신청하였고 법원이 4월 25일 이들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승인이 취소된 이사들은 이사회로 복귀하였다.[34] 8월 16일 서울행정법원은 교과부의 승인 취소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하였다.[35]
2013년 공과대학 창설을 선언하고, 2016년에 이화여자대학교에 이어 여대에서 두 번째로 공과대학을 신설하였다.[36][37] 같은 해 교육부가 실행하는 "산업 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 대학 사업(프라임 사업)"의 "사회 수요 선도 대학"으로 선정되었다.[38]
2. 1. 설립 초기 (1906년 ~ 1945년)
1906년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가 출자하여 용동궁에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으로 정경부인 이정숙(李貞淑)이 취임하였다.[1] 1908년 명칭을 '''명신고등여학교'''(明新高等女學校)로, 1909년 '''숙명고등여학교'''(淑明高等女學校)로, 1911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淑明女子高等普通學校)로 개칭하였다.[8] 1935년 이정숙이 교장에서 퇴임하고 오다 쇼고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8]
1912년 경선궁과 영친왕이 하사한 토지의 수익금으로 숙명여자보통학교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숙명학원을 설립하였다.[10] 1938년 숙명학원은 현재의 부지에 '''숙명여자전문학교'''(淑明女子專門學校)를 설립하고, 다음 해인 1939년에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의 교장이던 오다 쇼고가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10] 1944년 태평양 전쟁이 격화되자 이름을 여자청년연성지도양성소로 바꾸었고, 황혜성과 김호직을 제외한 조선인 교사를 모두 해임하였다.[9] 1945년 11월 숙명여자전문학교로 다시 개교하여 숙명여자전문학교의 교장으로 재직하던 임숙재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48년 5월 미군 군정청이 대학 승격 인가를 하여 숙명여자대학으로 재설립 되었으며,[10]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1년에 부산으로 피난하여 동대신동에서 가교사를 짓고 수업을 계속하였으며, 서울 지역을 다시 수복하자 1953년에 서울로 복귀하였다. 1955년 종합 대학으로 승격되어 초대 총장으로 임숙재가 취임하였다.[10]1964년 10월 21일 32명의 교수가 김순식 총장이 부정하게 신입생 입학과 건물 신축을 결정했다며 총장 사임과 이사진 퇴진을 요구하고 총장실을 점거하여 농성하였다.[11] 11월 19일 32명의 교수 중 5명의 해면이 결정되자 일부 학생들이 가담하여 농성을 계속하였고 23일 김순식 총장은 학교가 정상화될 때까지 무기한 휴교한다고 발표하였다.[12] 농성을 계속하던 교수들은 문교부가 해산을 지시하자 농성을 해제하였다.[13]
1965년 1월 21일 김순식 총장이 사임하자 22일 제5대 총장으로 철학 박사 윤태림이 취임하였다.[14] 1966년 학내 분규가 발생하여 윤태림 총장이 횡령 혐의로 고발 당하였다.[15] 1968년 김신조 등이 청와대를 습격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발생한 이후 6관구 사령관이 한강 이북 방위선을 구축한다는 명목으로 숙명여대가 소유한 남현동 토지를 강제 점유하자, 숙명여대는 1975년부터 1986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점유 당한 토지를 전국에 산재한 국방부의 유휴지로 환지 받았다.[16]
1981년 정치학 박사 김옥렬이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김옥렬은 숙명여대를 다니다가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숙명여대 출신 총장이었다.[81] 김옥렬 총장은 장기 발전 계획을 추진하여 1984년 현재의 중앙도서관 건물을 신축하였고, 용인군에 부지를 매입하여 1990년 연수원을 건립하였다. 또한 1991년 국방부 소유가 소유한 B지구(현재의 제2 창학 캠퍼스)의 토지 일부를 취득하였다.[17][18]
1994년에는 정치학 박사 이경숙이 교수 직선으로 제13대 총장이 되었으며,[19] 1995년 창학(創學) 100주년을 맞이하는 2006년을 목표로 한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제2 창학을 선언하였다. 제2 창학 캠퍼스를 조성하기 위하여 약학대학 뒤에 위치한 산림청과 국방부 소유의 토지에 지정된 공원 부지를 해제하고 매입하였다.[20] 한편 이경숙 총장은 재정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동문들을 대상으로 한 “등록금 한 번 더 내기 운동”을 전개하였다.[21] 2005년 제2 창학 캠퍼스에 백주년기념관을 완공하였고[22] 2006년 제2 창학 캠퍼스에서 창학 100주년 기념식을 거행했다.[23]
2008년 이경숙 총장이 정년 퇴임하자 이학 박사 한영실이 교수 직선으로 당선, 제17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4][25] 2010년 한영실 총장은 새로운 학교 비전인 ‘숙명 블루 리본 프로젝트’(Blue Ribbon Project)를 선포하였다.[26][27] 같은 해 학제 개편의 일환으로 경상대학 소속이었던 경영학부와 경제학부를 분리하고 경영학부를 3개의 학과로 분할하여 경영대학에 소속시키고 경제학부를 사회과학대학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발표하였으나, 소속 교수들이 집단적으로 반발하자 한영실 총장은 경상대학의 현재 체제를 유지한다고 발표하여 사태를 진정시켰다.[28][29] 2010년 9월 14일 여성 학군사관 후보생 시범 대학으로 선정되어 같은 해 12월 10일 학생 군사 교육단(학군단) 창설식을 거행하였다.[39][40]
2012년 3월 15일 교육과학기술부는 숙명학원이 대학의 기부금을 재단의 계좌로 이체하여 다시 대학에 교부한 것을 이유로 이용태 숙명학원 이사장을 포함한 이사 5명과 감사 1명에 대한 승인을 취소하였다.[30] 이사회는 한영실 총장이 언론 매체에 해당 사실을 유출하여 이사회의 업무를 방해했다며 한영실 총장의 해임을 의결하였다.[31] 3월 30일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숙명여대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한영실 총장을 해임한 이사회 결의의 효력을 임시로 정지하였고, 한영실 총장은 업무에 복귀하였다.[32] 한편 4월 4일 교과부는 최종적으로 이들의 승인을 취소하였다.[33] 승인 취소된 이사들은 서울행정법원에 교과부의 취소 처분에 대한 집행 정지를 신청하였고 법원이 4월 25일 이들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승인이 취소된 이사들은 이사회로 복귀하였다.[34] 8월 16일 서울행정법원은 교과부의 승인 취소 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하였다.[35]
2013년 공과대학 창설을 선언하고, 2016년에 이화여자대학교에 이어 여대에서 두 번째로 공과대학을 신설하였다.[36][37] 같은 해 교육부가 실행하는 "산업 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 대학 사업(프라임 사업)"의 "사회 수요 선도 대학"으로 선정되었다.[38]
3. 역대 총장
역대 | 성명 | 비고 |
---|---|---|
제1대 | 임숙재 | 1955년 3월 취임 |
제2대 | 김두헌 | 1958년 9월 취임 |
제3대 | 김두종 | 1960년 7월 취임 |
제4대 | 김순식 | 1963년 6월 취임 |
제5대 | 윤태림 | 1966년 1월 취임 |
제6대 | 이인기 | 1969년 2월 취임 |
제7대 | 김경수 | 1973년 2월 취임 |
제8대 | 서명원 | 1972년 2월 취임 |
제9대 | 차낙훈 | 1977년 7월 취임 |
제10대 | 김옥렬 | 1981년 8월 취임 |
제11대 | ||
제12대 | 정규선 | 1990년 3월 취임 |
제13대 | 이경숙 | 1994년 3월 취임 |
제14대 | ||
제15대 | ||
제16대 | ||
제17대 | 한영실 | 2008년 9월 취임 |
제18대 | 황선혜 | 2012년 9월 취임 |
제19대 | 강정애 | 2016년 9월 취임 |
제20대 | 장윤금 | 2020년 9월 취임 |
제21대 | 문시연 | 2024년 9월 취임 |
4. 교육
숙명여자대학교는 다양한 리더 육성 프로그램을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여성 리더 전문 육성을 위해 리더십 교양학부 및 연계 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 22개국 140개 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 또한 해외 교류 대학에서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 리더십 교양학부
리더십 특성화 대학으로서 S리더십(후술)의 기초를 강화하기 위해 1학년 전체 학생이 리더십 교양학부에 소속되어 14학점을 이수함으로써 리더십을 함양한다. 여기에는 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한 숙명 리더십과 실제 리더십 역량을 체험할 수 있는 리더십 특강이 포함된다.
; 멘토 프로그램
성공적인 사회 진출과 각 분야 전문직 종사에 요구되는 직무 핵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멘토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폭넓은 산학 협력을 통해 다양한 경력 및 현장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등 평생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 복수학위 제도
“세계적인 여성 지도자” 양성을 위해 해외 교류 대학에서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다. 한국 최초로 미국과 중국 대학과 학부·대학원 복수학위 제도를 도입하여 세계적인 인재 양성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 1. 학부
숙명여자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7] 문과대학에는 한국어문학부, 역사문화학과, 프랑스어문화학과, 중국어중문학부, 독일어문화학과, 일본학과, 문헌정보학과, 문화관광학부(문화관광학전공, 르 꼬르동 블루 외식경영전공), 교육학부가 있다. 이과대학에는 화학과, 생명시스템학부, 수학과, 통계학과, 체육교육과, 무용과가 있다.공과대학에는 화공생명공학부, ICT융합공학부(IT공학전공, 전자공학전공, 응용물리전공), 소프트웨어학부(컴퓨터과학전공, 소프트웨어융합전공), 기계시스템학부, 기초공학부가 있다. 생활과학대학에는 가족자원경영학과, 아동복지학부,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가 있다.
사회과학대학에는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홍보광고학과, 소비자경제학과, 사회심리학과가 있으며, 법과대학에는 법학부가 있다. 경상대학에는 경제학부와 경영학부가 있으며, 음악대학에는 피아노과, 관현악과, 성악과, 작곡과가 있다.
약학대학에는 약학부가 있으며, 미술대학에는 시각·영상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환경디자인과, 공예과, 회화과가 있다. 기초교양대학에는 기초교양학부와 융합학부가 있으며, 글로벌서비스학부에는 글로벌협력전공과 앙트러프러너십전공이 있다. 영어영문학부에는 영어영문학전공과 TESL전공이 있고, 마지막으로 미디어학부가 있다.
4. 2.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에는 TESOL·국제학 대학원, 문화예술대학원, 심리치료대학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음악치료대학원, 정책대학원, 원격대학원, 교육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이 있다.4. 3. 리더십 교육
숙명여자대학교는 여성 리더 전문 육성을 위해 리더십 교양학부 및 연계 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 22개국 140개 대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 또한 해외 교류 대학에서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1학년 학생들은 리더십 일반교육학부(Division of General Education for Leadership)에 소속되어 리더십을 함양한다.성공적인 사회 진출과 각 분야 전문직 종사에 요구되는 직무 핵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멘토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폭넓은 산학 협력을 통해 다양한 경력 및 현장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등 평생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숙명여자대학교는 국제협력처(global cooperation department)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국제협력 및 창업 전공이 있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BA)와 협력하여 양질의 경영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SBA와 협력하는 대학으로는 서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양대학교, 인하대학교가 있다.[2]
'''S리더십'''은 21세기를 선도하는 리더 양성이라는 숙명여대의 의지가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탄생한 브랜드이다. S리더십은 문화·교양 지식을 바탕으로 어떤 상황에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과 전문적·실용적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지식(Spirit), 디지털 기술·어학 능력·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미래형 기술(Skill), 봉사·배려·협동·신뢰를 갖춘 봉사적인 정신(Service), 건강한 신체·건강한 정신을 갖춘 건강한 심신(Strength)을 기반으로 한 21세기 미래형 리더십이다.
4. 4. 복수학위 제도
숙명여자대학교는 두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이중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한 한국 최초의 대학이다. 학생들은 각 학교에서 4학기 동안 수학하며 전공에 대한 더욱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경험한다.4. 5. 군사 교육
숙명여대는 국방부에 의해 2010년 9월 14일 여성 학군사관 후보생 시범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39] 2010년 12월 1일 최초의 여성 학군단 창설식을 백주년기념관에서 거행하였다.[40] 숙명여대는 학군사관 후보생 기숙사인 명재관에서 단체생활과 더불어 효창운동장과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군사 훈련을 실시한다. 숙명여대에서는 매년 30명의 여성 학군사관 후보생을 선발한다.[39]
한편, 숙명여대는 여군 장교 양성을 위한 ROTC동문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41] 또한 2012년 학군사관 동계 훈련과 하계, 동계 훈련을 합산한 종합 성적에서 1위(대통령상)를 차지하기도 하였다.[42]
5. 사회 교육
부속교육기관으로는 글로벌사회교육원, 미래교육원, 르꼬르동블루-숙명아카데미, 숙명글로벌어학원이 있다.
6. 캠퍼스
숙명여자대학교의 캠퍼스는 크게 제1캠퍼스와 제2창학 캠퍼스로 나뉜다. 제1캠퍼스에는 순헌관(純獻館, 구 본관), 명신관(明新館, 구 서관), 진리관(眞理館, 구 대학원관), 학생회관, 행정관, 명재관(기숙사) 등이 있으며, 순헌관 앞에는 정원(庭園)과 원형 극장(圓形劇場)이 조성되어 있다. 제2창학 캠퍼스는 1995년 제2창학 선언으로 건설되었으며, 음악대학, 미술대학, 약학대학, 사회교육관, 르네상스플라자, 백주년기념관, 중앙도서관, 이과대학(과학관), 다목적관 등이 있다. 르네상스플라자 내에는 정영양 자수 박물관, 문신 미술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이 있다.
제2창학캠퍼스는 숙명 리더십의 문화적 기반이며, 1998년 한국 대학 최초로 무선랜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2002년에는 개인 모바일을 통해 개인 맞춤 정보를 알리는 서비스와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7. 도서관
7. 1. 중앙도서관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38년 숙명학원이 숙명여자전문학교를 설립하면서 함께 설치한 부속 도서실에서 시작하였다.[45] 1948년 숙명여자전문학교가 대학기관으로 승격하면서 숙명여자대학으로 인가되며 부속 도서관으로 개칭하였며, 1955년 종합 대학교로 승격되면서 부속 도서관이 정식 도서관으로 발족하였다.[45] 1961년에 도서관이 3층짜리 건물로 신축하였고, 1964년 4층을 신축하였다.[45] 1984년 과거 건물을 철거하고 현재 도서관으로 사용하는 건물인 지하 1층, 지상 6층의 건물을 신축하였다.[45] 2005년 도서관과 이과대학 사이의 공간에 지하 열람실을 설치하였으며, 2006년 2년 동안의 내부 개조(리노베이션)를 마쳤다.[45] 2013년 이용자 친화적 웹기반통합시스템을 열었다.[45] 2015년에 2차리노베이션을 완료하였다.[45]
8. 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은 학교가 수집한 유물들을 전시하고 보존하기 위해 1971년 6월 10일에 개관했다.[46][47] 2003년 르네상스 플라자를 완공하기 전까지 소강당, 도서관, 본관 등에 전시실을 설치하고 소장품을 전시했으며, 현재는 르네상스 플라자 지하 1층에 전시실을 두고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를 병행하여 연다.[46][47] 상설 전시에는 조선 황실 관련 유물, 조선 시대 그림이나 도자기 등을 전시하며,근사록(대한민국 보물 제1077호)과 흥완군 의복(중요민속자료 제121호) 등을 소장하고 있다.[46][47]
숙명여자대학교에 위치한 중영양 자수박물관(Chung Young Yang Embroidery Museum)은 자수 및 섬유 예술에 대한 지식과 감상을 높이기 위한 전시, 교육 및 연구 시설이다. 2004년 5월 개관한 이 박물관은 다양한 시대와 지역을 대표하는 광범위한 자수 및 직물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이 박물관의 상설 전시는 주로 동아시아 의상과 장식 예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시아에서 가장 종합적인 컬렉션 중 하나이다. 전시실, 정보 센터, 도서관, 보존 작업실, 강의실 및 동시통역용 이어폰이 설치된 300석 규모의 강당을 포함하는 새로운 건물에 자리 잡은 이 박물관은 자수 및 기타 섬유 예술 분야의 선도적인 학술 연구 센터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영양 자수 박물관은 자수와 직물 예술에 대한 평가와 인식을 높이고자 2004년 5월에 개관하였다.[48] 전시실은 르네상스 프라자 1층에 있다. 정영양 박사가 수집하여 기증한 자수, 직물, 복식 등을 소장한다.[49]
문신 미술관은 조각가 문신의 작품을 전시하고 연구하는 목적으로 개관한 박물관이다. 1999년 6월 9일,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은 문신의 부인이자 창원시립문신미술관 관장인 최성숙을 만나 청파동 일본식 주택에 문신 미술 연구소를 설립하였다.[50] 2002년 숙명여대 미술대학으로 연구소가 이전하였고, 2003년 10월 문신 미술관을 완공하였다. 2004년 5월 10일, 르네상스 플라자 B1, B2층에 문신 미술관이 개관하면서 문신 미술 연구소는 폐지되었다.[50]
문신미술관은 빛 갤러리, 문 갤러리, 은하수 갤러리, 무지개 갤러리, 영상실로 구성되어 있다. 빛 갤러리에는 주로 사진을 전시하며, 기획전이나 공모전에서 발굴한 신인들의 작품을 전시한다.[51][52] 문 갤러리에는 문신의 유화, 도자기, 판화, 미발표 드로잉, 그리고 그와 연계한 소형 조각을 전시한다.[53] 무지개 갤러리는 문신의 작업장을 찍은 사진이나 실제 작업 도구 등을 전시한다.[54] 은하수 갤러리에는 문신의 중, 대형 조각(브론즈, 스테인리스), 석고 원형을 전시하며,[55] 천장에는 원형 모양 창문을 뚫어 빛이 들어오는 구조다.
8. 1.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은 학교가 수집한 유물들을 전시하고 보존하기 위해 1971년 6월 10일에 개관했다.[46][47] 2003년 르네상스 플라자를 완공하기 전까지 소강당, 도서관, 본관 등에 전시실을 설치하고 소장품을 전시했으며, 현재는 르네상스 플라자 지하 1층에 전시실을 두고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를 병행하여 연다.[46][47] 상설 전시에는 조선 황실 관련 유물, 조선 시대 그림이나 도자기 등을 전시하며,근사록(대한민국 보물 제1077호)과 흥완군 의복(중요민속자료 제121호) 등을 소장하고 있다.[46][47]
숙명여자대학교에는 중영양 자수박물관(Chung Young Yang Embroidery Museum)이 위치해 있는데, 이곳은 자수 및 섬유 예술에 대한 지식과 감상을 높이기 위한 전시, 교육 및 연구 시설이다. 2004년 5월에 개관하여 다양한 시대와 지역의 자수 및 직물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이 박물관의 상설 전시는 동아시아 의상과 장식 예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전시실, 정보 센터, 도서관, 보존 작업실, 강의실 및 300석 규모의 강당을 갖춘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8. 2. 정영양 자수 박물관
정영양 자수 박물관은 자수와 직물 예술에 대한 평가와 인식을 높이고자 2004년 5월에 개관하였다.[48] 전시실은 르네상스 프라자 1층에 있다. 정영양 박사가 수집하여 기증한 자수, 직물, 복식 등을 소장한다.[49]숙명여자대학교에 위치한 중영양 자수박물관은 자수 및 섬유 예술에 대한 지식과 감상을 높이기 위한 전시, 교육 및 연구 시설이다. 2004년 5월 개관한 이 박물관은 다양한 시대와 지역을 대표하는 광범위한 자수 및 직물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이 박물관의 상설 전시는 주로 동아시아 의상과 장식 예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시아에서 가장 종합적인 컬렉션 중 하나이다. 전시실, 정보 센터, 도서관, 보존 작업실, 강의실 및 동시통역용 이어폰이 설치된 300석 규모의 강당을 포함하는 새로운 건물에 자리 잡은 이 박물관은 자수 및 기타 섬유 예술 분야의 선도적인 학술 연구 센터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8. 3. 문신 미술관
문신 미술관은 조각가 문신의 작품을 전시하고 연구하는 목적으로 개관한 박물관이다. 1999년 6월 9일,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은 문신의 부인이자 창원시립문신미술관 관장인 최성숙을 만나 청파동 일본식 주택에 문신 미술 연구소를 설립하였다.[50] 2002년 숙명여대 미술대학으로 연구소가 이전하였고, 2003년 10월 문신 미술관을 완공하였다. 2004년 5월 10일, 르네상스 플라자 B1, B2층에 문신 미술관이 개관하면서 문신 미술 연구소는 폐지되었다.[50]문신미술관은 빛 갤러리, 문 갤러리, 은하수 갤러리, 무지개 갤러리, 영상실로 구성되어 있다. 빛 갤러리에는 주로 사진을 전시하며, 기획전이나 공모전에서 발굴한 신인들의 작품을 전시한다.[51][52] 문 갤러리에는 문신의 유화, 도자기, 판화, 미발표 드로잉, 그리고 그와 연계한 소형 조각을 전시한다.[53] 무지개 갤러리는 문신의 작업장을 찍은 사진이나 실제 작업 도구 등을 전시한다.[54] 은하수 갤러리에는 문신의 중, 대형 조각(브론즈, 스테인리스), 석고 원형을 전시하며,[55] 천장에는 원형 모양 창문을 뚫어 빛이 들어오는 구조다.
9. 총학생회
9. 1. 활동
1965년 한일 협정이 체결되자 6월 23일 3000여 명의 학생이 대강당에서 협정 비준을 반대하는 성토대회를 개최하였다.[56] 12월 17일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의 학생회장과 함께 한일 협정이 굴욕적으로 맺어졌다며 협정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57]1980년 신군부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5월 8일 2500여 명 학생이 비상 학생총회를 개최하여 구국 선언문을 발표하고 계엄 철폐를 주장하며 교내를 행진하였다.[58][59] 학생들은 9일까지 대강당에서 철야로 농성을 계속하고 농성을 해제하면서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58][59]
2010년 4월 11일 숙명인게시판, 스노로즈 등 학생 커뮤니티에서 정치적인 성향 게시물을 학교 측이 스크랩하여 모아둔 파일을 한 재학생이 발견하였다.[60] 2012년 5월 16일 서울중앙지법은 “학교는 이 사건으로 학생들에게 불안과 우려를 준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의 뜻을 표하라”며 “학생들은 관련 문서를 학교 측에 반환하라. 대학 측을 상대로 더 이상 이 사건과 관련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강제 조정 결정을 내렸다.[62]
9. 2. 조직
총학생회는 숙명여자대학교의 재학생 모임이며[63][64] 학생총회, 대의원회, 총학생회, 운영위원회, 단과 대학 학생회, 학과∙학부∙전공 학생회, 기타 학생 문화 활동 단체로 구성한다.[65] 학생총회는 총학생회에 관련한 중대한 사항을 의결하는 기구로서[66] 대의원회의 요구 또는 총학생회 회원 10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총학생회장이 소집한다. 대의원회는 숙명여대의 학과∙학부∙전공 학회장과 부학회장으로 구성하는 기구로서[67] 학생총회의 소집을 요구할 권한 뿐만 아니라 총학생회 회칙의 개정과 발의를 확정할 권한, 총학생회의 업무를 감사할 권한, 총학생회장단에 대한 불신임을 결의할 권한 등을 가진다.[68] 총학생회장은 총학생회를 대표하며 운영위원회와 집행부의 장이 된다.[69] 총학생회장은 총학생회의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편성된 예산과 결산을 대의원회에 제출한다. 또한 총학생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관하여 학교와 관계 기관에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다.[70] 운영 위원회는 총학생회의 심의, 자문 기구로서 총학생회장, 부학생회장, 단과 대학 학생회장, 총학생회 집행부의 부장으로 구성되며, 총학생회가 운영하는 제반 사업, 총학생회장이 대의원회에 제출할 예산과 결산, 총학생회장의 대의원회에 대한 소집 요구 등을 심의, 자문한다.[71]10. 교내 언론
1955년 교내 신문인 《숙대신보》를 창간하였고, 1967년 교내 방송국인 방송실을 설립하였다.[72] 1973년에는 교내 영어 신문인 숙명타임즈/The Sookmyung Times영어를 창간하였다.[72] 2007년 교내 영상 관련 부서를 통합한 영상미디어센터를 신설했다.[72] 2013년 미디어센터를 신설하고 기존의 영상미디어센터를 영상미디어팀으로 편제를 변경하고, 숙대신보사와 영상미디어팀은 숙명미디어센터로 편입하였다.[72] 2017년 숙명미디어센터는 미디어센터로 개칭하였다.[72]
《숙대신보》(淑大新報)는 신문으로, 1955년 10월 25일 월간 《숙대월보》로 창간되었다.[73] 1958년 11월 10일 《숙대신보》로 제호를 변경하고 격주간으로 발행 주기를 변경, 1964년부터 주간으로 발행하고 있다.[73] 숙대신보사는 《숙대신보》와 영어 잡지 《숙명타임즈》를 총괄하며 대학문학상, 여고문학상, 광고공모전을 주최한다.[73]
《숙명타임즈》(''The Sookmyung Times'')는 영어 잡지로, 1973년 10월 25일 창간되었다.[74] 1983년 판형을 변경하고, 1995년 잡지 형태로 변경하였다.[74]
미디어센터는 1967년 방송실로 설립, 1970년에 숙명여대 교육 방송국으로 개칭하였다.[75] 1997년 5월 유선 TV 방송국을 개국하고 2006년 9월 IPTV 방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75] 2007년 4월 영상미디어센터로, 2017년 미디어센터로 개칭하였다.[75]
11. 주요 행사
‘청파제’(靑坡祭)는 숙명여자대학교의 봄 축제로 매년 5월에 3일 동안 개최된다. 주간에는 캠퍼스에 설치된 노점에서 간식이나 팬시상품 등을 판매하고, 캠퍼스 중앙에 설치된 무대에서 동아리, 응원단의 공연과 초대가수의 공연이 열린다
12. 재학생 모델
숙명여대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재학생을 모델로 선발하여 광고를 제작하였다.[78] 숙명여대의 광고는 1997년 “울어라! 암탉아”, “나와라! 여자 대통령” 등을 캐치프라이즈로 하여 시작되었다.[79][80] 2018년도 숙명여대 광고 캐치프라이즈는 "숙명하다"이다. 윤현진(1999년), 정미선 (2002년), 가애란 (2004년), 배현진 (2007년), 장예원 (2012년) 등이 재학생 모델 출신이다.
13. 동문
콜롬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김옥렬이 숙명여대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한 것을 시작으로, 정규선, 이경숙, 한영실, 황선혜가 모두 숙명여대를 졸업한 동문이다.[81][82] 이숙자 전 성신여자대학교 총장, 오영숙 전 세종대학교 총장도 숙명여대를 졸업했다.
예능계에서는 엄앵란, 전원주, 정영숙, 문희경 등이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83] 방송계에서는 KBS 아나운서 가애란,[84] 이금희, 김민정과 MBC 아나운서 유선경, 이선영, SBS 아나운서 윤현진,[83] 정미선,[83] 장예원,[86] JTBC 아나운서 안나경,[85] 채널A 아나운서 김설혜,[95] 연합뉴스 아나운서 박가영, 이윤지, BBS 아나운서 김민영 등이 활동하고 있다. 이익선은 최초의 여성 기상캐스터로 활동하다가 현재 프리랜서 방송인으로 전향했다. 레이디제인은[87] 가수로, 유난희는[88] 쇼핑 호스트로 활동한다.
경제계에서는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딸 이덕희,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의 4남 정몽우의 부인 이행자, 국순당 창업자 배상면의 부인 한상은이 숙명여대를 졸업했다. 정금화 (파스퇴르 유업 전 사장), 김창숙 (김창숙 부띠끄 대표), 조선혜 (지오영 대표) 등이 사업가로 활동한다.[81][89][90]
정계에서는 김종필 전 총리의 부인 박영옥(박정희 전 대통령의 조카), 강영우 전 미국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의 부인 석은옥,[91] 정동영 전 장관의 부인 민혜경,[92] 전 국회의원 김혜성(새누리당),[93] 국회의원 류지영(새누리당),[94] 문화방송 아나운서 출신 정치인 배현진,[95] 바른미래당 의원 김수민 등이 있다.
문화계에서는 시인 신달자, 허영자, 소설가 은희경, 이현이 숙명여대를 졸업했다. 한국 최초 전위무용가 홍신자 (웃는돌무용단 전 대표)가 무용가로 활동한다.[81]
14. 외부 평가
이경숙 총장 취임 이후 제2 창학을 선언하고 리더 양성을 학교의 새로운 목표로 제시하면서, 숙명여대는 교육부로부터 '교육 개혁 추진 우수 대학'(1998년, 1999년, 2001년) 및 '리더십 특성화 대학'(2004년, 2005년)으로 선정되었다.[96] 입학 사정관 제도를 적극 도입하여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입학 사정관 제도 선도 대학’으로 선정하였다.[97] 한영실 총장은 교양 교육 강화를 공약하였고,[25] 2010년 한국언론인연합회에서 수여하는 참교육 대상에서 인재 부분을 수상하였다.[98] 2019년 서울권 4년제 여자대학교에서 취업률 및 2차 유지 취업률 모두 1위를 차지했다.[99]
2018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숙명여자대학교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우수한 여자대학교이며, 전국 대학 순위에서 20위를 차지했다.[3] 입학 경쟁률은 높은 편으로, 일반적으로 수능 성적은 언어, 수학, 외국어 영역에서 1등급 2개, 2등급 1개, 그리고 나머지 영역에서 1등급 2개가 필요하다.[4]
15. 국제 교류
오사카학원대학
벚꽃학원대학
오차노미즈여대
규슈공업대
긴죠학원대학
게이오대학
고난여자대학
고베대
조치대
쇼와여대
다마대
추오대
도쿄외대
히로시마수도대학
히로시마여학원대학
미야자키국제대
메이지대
야마노미용예술단기대
요코하마국립대
리쓰메이칸대
리쓰메이칸아시아태평양대
와세다대
스기야마여학원대학
15. 1. 일본 협정 대학
- 오사카학원대학
- 벚꽃학원대학
- 오차노미즈여대
- 규슈공업대
- 긴죠학원대학
- 게이오대학
- 고난여자대학
- 고베대
- 조치대
- 쇼와여대
- 다마대
- 추오대
- 도쿄외대
- 히로시마수도대학
- 히로시마여학원대학
- 미야자키국제대
- 메이지대
- 야마노미용예술단기대
- 요코하마국립대
- 리쓰메이칸대
- 리쓰메이칸아시아태평양대
- 와세다대
- 스기야마여학원대학
16. 논란
숙명여자대학교 이사회는 2012년 돈세탁 의혹과 관련된 스캔들에 연루되었다.[5] 학교 내규에 따르면 이사회는 재단을 통해 학교 운영 예산에 재정 기여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총 685억 원의 기부금을 받았을 때, 이사회는 이 기부금을 재단 계좌에 넣은 후 학교 행정 계좌로 이체하여 마치 재단이 학교 운영에 재정 기여를 한 것처럼 보이도록 했다.[5] 이러한 "기부금"을 제외하면 재단은 학교 행정에 자체적으로 기여하지 않았다.[5] 결과적으로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숙명여대 학생들은 본래 내야 할 학비보다 5% 더 많은 학비를 납부했다.[5]
2020년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트랜스젠더 학생을 입학 허가했으나, 합격 소식이 논란을 불러일으킨 후 해당 학생은 입학을 포기했다.[6]
16. 1. 재단 비리
숙명여자대학교 이사회는 2012년 돈세탁 의혹과 관련된 스캔들에 연루되었다.[5] 학교 내규에 따르면 이사회는 재단을 통해 학교 운영 예산에 재정 기여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총 685억 원(약 6,100만 달러)의 기부금을 받았을 때, 이사회는 이 기부금을 재단 계좌에 넣은 후 학교 행정 계좌로 이체하여 마치 재단이 학교 운영에 재정 기여를 한 것처럼 보이도록 했다.[5] 이러한 "기부금"을 제외하면 재단은 학교 행정에 자체적으로 기여하지 않았다.[5] 결과적으로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숙명여대 학생들은 본래 내야 할 학비보다 5% 더 많은 학비를 납부했다.[5]2020년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트랜스젠더 학생을 입학 허가했으나, 합격 소식이 논란을 불러일으킨 후 해당 학생은 입학을 포기했다.[6]
16. 2. 트랜스젠더 입학 논란
2020년, 숙명여자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트랜스젠더 학생의 입학을 허가했으나, 합격 소식이 알려진 후 논란이 일자 해당 학생은 입학을 포기했다.[6]참조
[1]
웹사이트
연혁
https://www.sookmyun[...]
2022-12-21
[2]
웹사이트
Entrepreneurship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ttp://article.joins[...]
2014-07-08
[3]
웹사이트
2018 JoonAng Daily Korean universities ranking and evaluation
https://mnews.joins.[...]
2018-11-07
[4]
웹사이트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dmissions requirements
http://www.studyholi[...]
[5]
웹사이트
Board-faculty conflict hits Sookmyung, Inha-프린트화면
http://www.koreahera[...]
[6]
웹사이트
Transgender student withdraws after getting accepted to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ttp://www.koreahera[...]
2020-02-07
[7]
기타
[8]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9]
서적
Yŏltu-ch'ŏp surasang ŭro ch'arin sewŏl : Chosŏn wangjo kungjung ŭmsik chungyo muhyŏng munhwajae Hwang Hye-sŏng ŭi chajŏn esei
https://www.worldcat[...]
Chosŏn Ilbosa
2001
[10]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11]
뉴스
授業은 痲痺 淑大敎授들 總長辭退籠城 계속
동아일보
1964-10-21
[12]
뉴스
淑大, 無期休校
동아일보
1964-11-23
[13]
뉴스
나흘만에 解散 淑大敎授들 籠城
동아일보
1964-10-24
[14]
뉴스
淑大總長更迭 尹泰林 씨 承認
동아일보
1965-01-23
[15]
뉴스
尹泰林 숙명여대총장 해임을 요청. 「횡령혐의」로 고발
조선일보
1966-08-09
[16]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17]
웹인용
숙명 창학 100주년을 맞이하여...
http://www.sookmyung[...]
2010-09-23
[18]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19]
뉴스
[월요 인터뷰]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 "여성 리더 길러내겠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6-02-26
[20]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21]
뉴스
[사람속으로] 숙명여대 이경숙 총장 ‘淑明을 宿命으로’ 헌신
http://media.daum.ne[...]
경향신문
2006-03-05
[22]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23]
뉴스
숙명여대 창학 100주년 기념식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6-05-23
[24]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25]
뉴스
한영실 숙명여대총장 취임…“교양교육 강화에 힘쓸 것”
http://media.daum.ne[...]
세계일보
2008-09-10
[26]
웹인용
숙명여자대학교, 숙명 소개, 학교 Vision
https://web.archive.[...]
2010-09-21
[27]
웹인용
숙명여자대학교, 숙명 소개, 숙명 100년
https://web.archive.[...]
2010-09-22
[28]
뉴스
교수님도 몰랐다... 숙명여대 일방적 학제개편 파문
http://media.daum.ne[...]
오마이뉴스
2010-03-31
[29]
뉴스
'학제개편 진통', 일단 멈춤
http://news.sookmyun[...]
숙대신보
2010-05-11
[30]
뉴스
'기부금 편법운용' 숙명여대 재단이사장 승인 취소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2-03-20
[31]
뉴스
숙명여대 이사회- 총장 ‘진흙탕 싸움’ 왜?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2-03-22
[32]
뉴스
총장 복귀한 숙명여대..재단의 운명은?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3-30
[33]
뉴스
숙대 법인 임원 6명 승인 취소 확정
https://news.zum.com[...]
한국일보
2012-03-30
[34]
뉴스
이용태 이사장 복귀로 한영실 총장 거취 논란 재 점화…'숙대사태' 새국면 돌입
https://www.news1.kr[...]
뉴스1
2012-04-25
[35]
뉴스
법원 "숙명여대 이사장 임원승인 취소 부당"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8-16
[36]
웹인용
베일 벗은 '숙명여대 공대' 2개 학과로 출발
http://media.daum.ne[...]
2016-09-27
[37]
웹인용
공대 신설한 숙명여대, 용산에 '한국형 실리콘앨리' 추진
http://www.hankyung.[...]
2016-09-27
[38]
웹인용
건국대·군산대 등 21개 대학 프라임 사업 선정 - 한국대학신문
https://news.unn.net[...]
2016-09-28
[39]
뉴스
숙명여대, 여성학군단 시범대학 선정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0-09-14
[40]
뉴스
숙명여대 첫 여성 학군단 ROTC 창설
http://www.ytn.co.kr[...]
YTN
2010-12-10
[41]
뉴스
ROTC를 꿈꾸는 그녀들 “열외는 저희도 싫어요”
http://media.daum.ne[...]
서울신문
2010-09-27
[42]
웹인용
'남자 기죽이네'…숙대 ROTC 110개大 중 1위
http://www.yonhapnew[...]
2016-09-27
[43]
웹인용
소개
https://lingua.sookm[...]
2024-11-23
[44]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45]
서적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46]
웹인용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박물관 소개
http://museum.sookmy[...]
2009-11-14
[47]
뉴스
숙명여대에 대한제국 황실유물 기증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5-04
[48]
웹인용
정영양자수박물관, 박물관소개
https://web.archive.[...]
2010-04-04
[49]
뉴스
한·중·일 3국 ‘자수’ 모아 石人·초상화등 ‘얼굴’도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4-05-10
[50]
웹인용
문신미술관, 역사
https://web.archive.[...]
2009-11-14
[51]
웹인용
문신미술관, 빛 갤러리
https://web.archive.[...]
2009-11-14
[52]
뉴스
숙대 문신 미술관, 선과 색이 순수한 전지원 개인전
http://news.cnbnews.[...]
CNBNEWS
2009-11-20
[53]
웹인용
문신미술관, 문 갤러리
https://web.archive.[...]
2009-11-14
[54]
웹인용
문신미술관, 무지개 갤러리
https://web.archive.[...]
2009-11-14
[55]
웹인용
문신미술관, 은하수 갤러리
https://web.archive.[...]
2009-11-14
[56]
뉴스
大學生 데모
동아일보
1965-06-23
[57]
뉴스
"批准書交換 뒤에올 事態注視" 7個大學校 學生會長성명
동아일보
1965-12-17
[58]
뉴스
大學街 非民主 성토 晝夜계속
동아일보
1980-05-09
[59]
뉴스
大學街 거의 籠城해제
경향신문
1980-05-10
[60]
뉴스
숙명여대 ‘학생 뒤캐기’ 논란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1-26
[61]
뉴스
학생사찰과 구조조정에 학생회는 '단단'해졌다
http://www.vop.co.kr[...]
민중의 소리
2010-04-17
[62]
뉴스
법원 "'학생 사찰' 숙명여대, 학생에 유감 표하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05-16
[63]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3조
[64]
간행물
일반적인 경우에는 총학생회는 총학생회장과 부학생회장, 총학생회 집행부만을 의미한다.
[65]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6조
[66]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7조
[67]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12조
[68]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15조
[69]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18조 제1항, 제2항
[70]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20조
[71]
간행물
숙명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제23조
[72]
간행물
2017학년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7
[73]
웹인용
숙대신보, 학보사 소개
http://news.sookmyun[...]
2010-01-21
[74]
웹인용
The Sookmyung Times, About SMT
http://smtimes.sookm[...]
2010-01-21
[75]
간행물
2010년 숙명여자대학교 요람
숙명여자대학교
2010
[76]
웹인용
숙명여자대학교, 학생문화복지팀, 정기행사
http://welfare.sookm[...]
2011-03-21
[77]
뉴스
대동제, 우리들의 축제를 위하여
http://news.sookmyun[...]
숙대신보
2011-03-22
[78]
뉴스
현모양처의 학교서 글로벌 리더 사관학교로
주간조선
2010-09-23
[79]
웹사이트
숙명 사이버 홍보실
http://pr.sookmyung.[...]
[80]
웹사이트
숙명 사이버 홍보실
http://pr.sookmyung.[...]
[81]
뉴스
104년 역사의 ‘우먼 파워’ 산실
시사저널
2010-09-23
[82]
뉴스
[문화리더] 오영숙 작가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0-08-25
[83]
뉴스
[인물연구] 숙명여대 연예인 베스트9 이금희는 누구?
http://www.g-enews.c[...]
2016-11-09
[84]
뉴스
가애란, 숙명여대 '홍보 모델' 당시 모습 보니…진정한 여신
http://news.chosun.c[...]
2016-11-09
[85]
뉴스
‘JTBC 새 얼굴’ 안나경 아나운서 “친근한 목소리로 소통의 매개체 되겠다”
http://isplus.live.j[...]
2016-11-09
[86]
뉴스
"수천 명의 지원자 중 가장 활짝 웃으려 노력했죠" - 숙대신보
http://news.sookmyun[...]
2016-11-09
[87]
뉴스
홍대여신? 숙대출신이에요! - 숙대신보
http://news.sookmyun[...]
2016-11-09
[88]
뉴스
'1대100' 문희경 "이금희·유난희와 숙명여대 3대 퀸카 출신"
http://news.chosun.c[...]
2016-11-09
[89]
뉴스
미원미풍 ‘조미료 앙숙’의 결합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90]
웹인용
노현정 전 아나운서, 시어머니 이행자 고문 현대家 여자의 삶 최초 공개
http://woman.chosun.[...]
2016-11-09
[91]
웹인용
미주 한국일보 : KAWN 창립4주년 석은옥 여사 초청 강연회
http://www.koreatime[...]
2016-11-09
[92]
뉴스
17대 영부인 ‘4번째 이대 타이틀’ 이어가나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6-11-09
[93]
웹인용
김혜성 국회의원 출판기념회 가져 - 동북아신문
http://www.dbanews.c[...]
2016-11-09
[94]
웹인용
올해의 숙명인상, 류지영 새누리당 국회의원
http://www.anewsa.co[...]
2016-11-09
[95]
뉴스
한국당 배현진·길환영 입당 … 배현진 "인사도 못하고 뉴스에서 쫓겨나"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
2018-05-23
[96]
뉴스
숙명여자대학교, 최고 리더십 대학 발돋움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9-06-29
[97]
뉴스
입학사정관제 선도大 15곳 선정
http://stock.mt.co.k[...]
머니투데이
2009-06-18
[98]
뉴스
언론인연합회 참교육대상 포항공과대 등 10곳 수상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0-08-26
[99]
뉴스
숙명여대, 서울권 4년제 여자대학 취업률 1위 기록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20-08-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논문 표절' 김건희 교사 자격 취소…남부구치소에 결과 통보
스타벅스 ‘대학생 혜택 프로그램’ 론칭 1주년…선택권 한층 강화
[속보] 서울시교육청, 김건희 여사 ‘교원자격’ 취소 수순
서울시교육청, ‘논문 표절’ 김건희에 교원자격증 취소 통지
숙명여대 육군학군단 양은지 후보생, 2025년 하계 입영훈련 1위전국 최우수 후보생 선정
숙명여대 약학연구소, 교육부 '글로컬랩' 선정…노화 치료제 개발에 9년간 135억원 지원
숙명여대,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원 퇴임식 개최
숙명여대-서울AI재단, AI 인재 양성·창업 생태계 조성에 맞손
숙명여대, ‘섬유의 시간’ 특별전 9~10월 서울새활용플라자서 개최
숙명여대, 차세대 나트륨 이차전지 전문기업씨아이피에너지와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협약
구인혁 숙대 교수, 경영학회 학술대회서 최우수·우수논문상 동시 수상
고종 황제와 특별한 인연 품은 숙명여대-에릭슨, 여성 공학도 양성 맞손
숙명여대 스타트업 파워투팜스, 중기부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 선정…"기후위기 대응 친환경 스마트팜 개발"
이영란 숙명여대 명예교수,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이사장 취임
학생들 한류의 매력에 빠지다…숙명여대 2025 국제여름학교(SISS) 4주간 진행
도서관 좌석인식 AI부터 배리어 프리 앱까지… 숙명여대 'SM투게더 동아리' 성과 발표
숙명여대, 미취업 졸업생 역량 강화 '취업의 발견' 3주 과정 마무리
숙명여대, 교육부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전 영역 '최고 등급' 달성
"'아내 역할에만 충실하겠다'더니…" 김건희의 지난 3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