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희 (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정희는 1947년 전라남도 보성군 출생의 시인이다. 진명여자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동국대학교에서 강의했다. 1969년 《월간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하여, 낭만주의적 정신을 바탕으로 사랑, 고뇌, 자유 등을 서정적으로 표현하는 시를 썼다. 2014년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국립한국문학관 관장과 동국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1965년 첫 시집 《꽃샘》을 발간했으며, 《현대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이보영 (배우)
이보영은 미스코리아 출신 배우로, 드라마 《내 딸 서영이》, 《너의 목소리가 들려》 등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고, 2013년 배우 지성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고 있다.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이유진 (1977년)
2001년 드라마 《아름다운 날들》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진은 《불새》, 《두 아내》, 《내 남자의 로맨스》, 《마파도 2》 등에 출연하며 활동했고,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과 CF 모델로도 활약했으며, 2003년에는 혼혈임을 고백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정영애
정영애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학 박사 출신 여성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국여성학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여성 현안을 다루었다. - 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나혜석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유로운 삶을 주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예술적 업적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문정희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한글 표기 | 문정희 |
한자 표기 | 文貞姬 |
로마자 표기 | Mun Jeonghui |
출생일 | 1947년 5월 25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
직업 | 시인, 대학 교수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최종 학력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현대문학 박사 (졸업) |
출신 대학 | 동국대학교 |
경력 | |
주요 경력 | 2022.10~ 국립한국문학관 관장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부 석좌교수 2014.9 제40대 한국시인협회 회장 2007 고려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2005.3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석좌교수 1997.11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겸임교수 1994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
겸임 |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겸임 교수) |
작품 활동 | |
데뷔 작품 | 「꽃의 숨결」 |
대표 작품 | 「황진이의 노래 1」 |
장르 | 시 |
활동 기간 | 1965년 - |
수상 | |
주요 수상 | 2015 제8회 목월문학상 2015 제47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문학부문 2013 제10회 육사시문학상 2010 제7회 시카다상 2008 제28회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올해의 최우수 예술가 문학부문상 2004 제16회 정지용문학상 2000 제14회 동국문학상 1996 제11회 문학사상사 소월시문학상 1975 제21회 현대문학상 1969 월간문학 신인상 |
2. 생애 및 학력
문정희는 1947년 5월 25일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태어났다.[2] 진명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며, 같은 대학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료하고 강의를 했다.[3] 고등학교 재학 중 첫 시집 《꽃샘》(1965)을 발간했다.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9년 문정희는 시 "불면"과 "하늘"이 《월간문학》 신인상에 당선되면서 문단에 등단했다.[4]
그녀의 시는 낭만주의적인 정신을 기본으로 하며, 청순한 감각과 명료한 언어로 표현된다. 또한 사랑, 고뇌, 자유, 슬픔과 같은 센티멘털한 감정을 서정적으로 그리거나, 설화적인 모티프를 현실과 연결하여 그리기도 했다. 2014년에는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진명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과를 졸업했다.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과를 졸업했다.
2. 1. 생애
문정희는 1947년 5월 25일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태어났다.[2] 진명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며, 같은 대학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료하고 강의를 했다.[3] 고등학교 재학 중 첫 시집 《꽃샘》(1965)을 발간했다.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9년 문정희는 시 "불면"과 "하늘"이 《월간문학》 신인상에 당선되면서 문단에 등단했다.[4]그녀의 시는 낭만주의적인 정신을 기본으로 하며, 청순한 감각과 명료한 언어로 표현된다. 또한 사랑, 고뇌, 자유, 슬픔과 같은 센티멘털한 감정을 서정적으로 그리거나, 설화적인 모티프를 현실과 연결하여 그리기도 했다. 2014년에는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2. 2. 학력
- 진명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과를 졸업했다.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과를 졸업했다.
3. 경력
3. 1. 문단 경력
문정희는 1969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등단하여 문단에 나왔다. 1994년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1997년 11월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겸임교수, 2005년 3월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석좌교수, 2007년 고려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4년 9월에는 제40대 한국시인협회 회장이 되었고, 2022년 10월부터 현재까지 국립한국문학관 관장직을 맡고 있다.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부 석좌교수로도 재직 중이다.3. 2. 교육 경력
문정희는 1994년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로 교육 경력을 시작했다. 1997년 11월에는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겸임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05년 3월부터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2007년에는 고려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활동했고,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부 석좌교수를 겸임했다.4. 작품 세계
문정희의 시는 낭만주의적 정신을 바탕으로, 생생한 감각과 감정의 상호작용을 맑고 투명한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5] 초기 시는 주로 사랑, 고뇌, 자유, 슬픔 등 개인적인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데 집중했다. 〈황진이의 노래〉, 〈감자〉, 〈사랑하는 사마천 당신에게〉, 〈남한강을 바라보며〉 등에서는 설화적 모티프를 활용하여 현실을 우화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5] 여성으로서의 정체성과 경험을 시에 담아내어 여성 독자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비유와 은유를 통해 주관적인 감정의 변화와 드라마를 섬세하게 그려낸다.[5]
5. 수상 내역
문정희는 1969년 《월간문학》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1975년 제21회 현대문학상, 1996년 제11회 소월시문학상, 2000년 제14회 동국문학상, 2004년 제16회 정지용문학상, 2008년 제28회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올해의 최우수 예술가 문학부문상, 2010년 제7회 시카다상, 2013년 제10회 육사시문학상, 2015년 제47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문학부문, 2015년 제8회 목월문학상, 2022년 제4회 이용악문학상, 2023년 제31회 공초문학상을 수상했다.
6. 저서
- 『꽃숨』한국어(꽃의 숨)[7]
- 『문정희 시집』한국어(문정희 시집)
- 『혼자 무너지는 종소리』한국어(혼자 무너지는 종소리)
- 『아우내의 새』한국어(아우내의 새)
- 『그리운 나의 집』한국어(그리운 나의 집)
- 『제 몸속에 살고 있는 새를 꺼내어 주세요』한국어(제 몸속에 살고 있는 새를 꺼내어 주세요)
- 『남자를 위하여』한국어(남자를 위하여)
- 『오라, 거짓 사랑아』한국어(오라, 거짓 사랑아)
-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한국어(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한국어(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 『나는 문이다』한국어(나는 문이다)
- 『찔레』한국어(찔레)
6. 1. 시집
문정희는 1965년 《꽃숨》[7]을 발표했다. 이후, 1973년 《문정희 시집》, 1984년 《혼자 무너지는 종소리》, 1986년 《아우내의 새》, 1987년 《그리운 나의 집》, 1990년 《제 몸속에 살고 있는 새를 꺼내어 주세요》, 1996년 《남자를 위하여》, 2001년 《오라, 거짓 사랑아》, 2003년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2004년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2007년 《나는 문이다》, 2008년 《찔레》를 발표하였다.6. 2. 번역 시집
문정희의 시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해외 독자들에게 소개되었다. 프랑스에서는 김현자의 번역으로 ''차가운 밥을 먹는 여자'' (édition Bruno Doucey, 2012)가 출간되었다. 이 외에도 ''바람의 꽃'' (문정희 시선), ''테라스의 여인'' (양귀비꽃 머리에 꽂고), ''양귀비꽃을 머리에 꽂고'' (문정희 시선 - 어린 사랑에게) 등이 번역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eng.klti.or.k[...]
2013-05-29
[2]
웹사이트
문정희 시인, 수필가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12
[3]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4]
웹사이트
문정희
http://klti.or.kr/ke[...]
2013-09-21
[5]
웹사이트
문정희
http://klti.or.kr/ke[...]
2013-09-21
[6]
NAVER
NAVER
http://people.search[...]
[7]
웹사이트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8]
웹사이트
Moon Chung-hee
http://eng.klti.or.k[...]
2013-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