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고려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고려대학교는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를 전신으로 하여 1946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 사립대학교이다. '민족고대'라는 슬로건으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Global KU Frontier Spirit'을 내걸고 세계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캠퍼스와 세종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학부, 대학원,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다. 1973년부터 와세다 대학교와 교류를 시작했으며, 매년 연세대학교와 정기전을 개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용익 - 이용익 (드라마)
    이영후가 이용익 역을, 정욱이 고종 역을, 이미숙이 명성황후 역을, 남성훈이 민영익 역을 맡아 열연한 드라마 이용익은, 김희갑이 함경도 사투리를 지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별 생방송이나 스포츠 중계로 인해 편성 시간이 변경되기도 했다.
  • 이용익 - 보성사
    보성사는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중학교의 교재를 출판하기 위해 1906년에 세워진 인쇄소로,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인쇄하여 배포하고 《조선독립신문》을 발행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소실되었고 현재는 기념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08년 동원여자의숙으로 시작하여 1950년 동덕여자대학으로 개교,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와 여성 교육에 대한 헌신을 이어왔으나 남녀공학 전환 논의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는 1936년 이숙종 박사가 설립한 사립 종합대학으로, 서울 성북구 수정캠퍼스와 강북구 운정그린캠퍼스에서 10개의 단과대학과 5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 사립 대학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는 1859년 예수회가 설립한 필리핀의 사립 대학교로, 케손 시티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사회 참여를 강조한다.
  • 사립 대학 -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는 1866년 시리아 개신교 대학으로 설립되어 192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레바논 베이루트 소재 사립대학교로, 중동 지역 고등 교육을 선도하며 64,41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고려대학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고려대학교
로마자 표기Goryeo Daehakgyo
한자 표기高麗大學校
영어 이름Korea University
별칭KU
표어자유, 정의, 진리
라틴어 표어Libertas, Justitia, Veritas
설립일1905년 5월 5일
유형사립
설립자이용익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총장김동원
위치서울특별시 성북구
캠퍼스도시형
과거 이름보성전문학교 (1905–1946)
상징색크림슨
상징 동물호랑이
운동팀 별칭안암 타이거즈
소속APRU, U21
웹사이트고려대학교 홈페이지
통계
교원1,511명 (2022년)
직원1,150명 (2022년)
학생29,445명 (2022년)
학부생19,598명 (2022년)
대학원생9,847명 (2022년)
캠퍼스 정보
캠퍼스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세종캠퍼스 (세종특별자치시)
학부 및 대학원
학부법과대학
경영대학
문과대학
생명과학대학
정경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의과대학
사범대학
간호대학
정보통신대학
조형학부
국제학부
언론학부
보건과학대학
자유전공학부
인문대학
과학기술대학
경상대학
공공행정학부
대학원일반대학원
국제대학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교육대학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정책대학원
공학대학원
경영정보대학원
언론대학원
노동대학원
법무대학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인문정보대학원
행정대학원
보건대학원
임상치의학대학원
의용과학대학원
기타 정보
고려대학교 글로벌 심볼
고려대학교 로고 (영문 버전)
고려대학교 본관

2. 연혁

고려대학교는 1905년 5월 5일 대한제국 탁지부 대신 이용익에 의해 보성전문학교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총장은 신해옹이었다. 민족주의적 교육기관으로서 일제강점기 동안 민족적 자긍심의 상징으로 여겨졌다.[7]

보성전문학교 설립 직후 을사늑약이 체결되었고, 이용익망명을 떠나 학교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천도교 지도자 손병희가 학교 운영을 맡으면서 재정 위기를 극복했다. 1929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다시 재정 위기에 직면했으나, 1932년 김성수가 총장이 되면서 완화되었다. 1934년 안암동에 위치한 6만 3천 평 규모의 부지에 본관 건물이 완공되었고, 1935년 도서관 건립이 시작되어 2년 후 완공되었다. 이듬해 7월에는 운동장이 캠퍼스에 추가되었다. 1944년 4월, 일제강점기 일본 식민 정부는 보성전문학교의 명칭 변경을 강제하고 일본 당국의 감독하에 두었다.[8]

1945년 광복 이후, 보성전문학교는 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46년 보성전문학교는 고려대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초대 총장 현상윤은 캠퍼스 확장을 시작했다. 1949년 6월 고려대학교는 최초의 학사 학위를 수여했고, 같은 해 9월 대학원이 설립되었다. 제4대 총장 유진오는 고려대학교의 확장을 계속했다.[6] 이후 고려대학교 설립자인 김성수는 정부부통령이 되었다.[9]

1961년 6월 현재의 문과대학 건물(석관)이 완공되었고, 박물관, 농업 실험실, 온실 및 학생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시설들도 완공되었다. 1963년 12월 한국 최초의 대학원 경영학과가 설립되었다. 1965년 10월 유진오는 고려대학교 제4대 총장으로 15년간 재임 후 은퇴했고, 이어 이종우가 제5대 총장이 되었다. 1966년 이후 고려대학교는 계속 확장되었다.[6]

1970년 10월, 정치학 교수 김상협이 제6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1971년 12월 고려대학교는 우석대학교의 모든 단과대학을 완전히 통합했다.[10] 1972년 6월 경영관(교양관)이 완공되었고, 같은 해 12월 교육학과가 설립되었다.[6]

1975년 4월 김상협 총장을 이어 차락훈이 제7대 총장이 되었다. 1976년 12월 상과대학은 경영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77년 12월 이과대학과 공과대학이 분리되었다. 1978년 3월 새로운 중앙도서관이 개관했다. 1983년 7월 의과대학병원이 확장 및 개편되어 고려대학교 의료원이 되었고, 같은 해 9월 과학도서관이 과학기술연구센터로 개관했다. 2001년 6월 고려대학교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와 공동 학술 프로그램을 체결하고, 리세움을 완공했으며, SK텔레콤의 기여를 받았다. 같은 해 7월 국제학부와 언론정보대학이 설립되었고, 10월 고려대학교는 ISO9001 인증을 획득했다.[11]

이승만 정권 하에서는 학생운동이 활발하였다. 삼성그룹이건희 회장은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관 건설을 위해 410억을 기부하였다. 와세다 대학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979년 9월 22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설립 계획이 승인되었다.

2005년 5월 5일, 고려대학교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했다.[12] 같은 해 3월, 생명과학대학이 출범했고, 보건과학대학(Junior College)은 폐지되어 새롭게 설립된 고도화된 보건과학대학에 통합되었다.[6] 고려대학교는 18개의 학부와 대학, 그리고 22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서관, 박물관, 홍보실 등 11개의 부속시설을 갖추고 있다.[13][14]

2. 1. 고려대학교의 모태

고려대학교의 모태는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이다.[7] 보성전문학교는 법률전문학과와 재정전문학과를 설치하였다.[53] 1932년 동아일보 창업자 김성수가 학교를 인수하였고,[7] 1934년 안암동의 현재 위치로 학교를 옮겼다.[7] 1944년 일제는 학교 이름을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변경했다.[54] 1921년부터 김성수가 경영을 이어받았다.

2. 2. 광복 이후

1945년 광복 이후, 보성전문학교는 정치학과, 법학과, 상경학과, 문과대학으로 구성된 대학교로 승격되었다. 초대 총장 현상윤은 산림과 토지를 매입하여 캠퍼스 확장을 시작했으며, 1949년 6월 고려대학교는 최초의 학사 학위를 수여했고, 같은 해 9월 대학원이 설립되었다.[6] 이후 고려대학교 설립자인 김성수는 정부부통령이 되면서 고려대학교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9]

1961년 6월 현재의 문과대학 건물(석관)이 완공되었고, 박물관, 농업 실험실, 온실 등 다양한 시설들도 완공되었다. 같은 해 약 1,680,000평 규모의 실험 농장이 시설에 추가되었고, 이과 및 공과대학에는 실험실과 기기가 갖춰졌다. 1963년 12월 한국 최초의 대학원 경영학과가 설립되었다. 1966년 이후 고려대학교는 이과대학과 공과대학, 농과대학의 학과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계속 확장되었고, 교육대학원도 설립되었다. 새로운 별관 건물, 일반교육관(교양관), 대중매체관(홍보관) 등 더 많은 시설이 추가되었다.[6]

1970년 10월, 정치학 교수 김상협이 제6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1971년 12월 고려대학교는 우석대학교의 모든 단과대학을 완전히 통합했다.[10] 1972년 6월 상과대학과 대학원 경영학과를 수용하기 위해 경영관(교양관)이 완공되었고, 같은 해 12월 교육학과가 설립되었다.[6]

1975년 4월 차락훈이 제7대 총장이 되었다. 1976년 12월 상과대학은 경영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듬해 1월 식량농업대학원이 설립되었다. 1977년 12월 이과대학과 공과대학이 분리되었고, 1978년 3월에는 새로운 중앙도서관이 개관했다. 1983년 7월 의과대학병원이 확장 및 개편되어 고려대학교 의료원이 되었고, 1983년 9월 과학도서관이 과학기술연구센터로 개관했다. 2001년 6월 고려대학교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와 공동 학술 프로그램을 체결하고, 리세움을 완공했으며, SK텔레콤의 기여를 받았다. 7월 국제학부와 언론정보대학이 설립되었고, 10월 고려대학교는 모든 교육 및 행정 분야에서 ISO9001 인증을 획득했다.[11]

이승만 정권 하에서는 학생운동이 활발하였다. 삼성그룹이건희 회장은 모교인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관 건설을 위해 410억을 기부하였다. 와세다 대학교와는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2. 2. 1. 종합대학으로 승격과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의 흡수·합병

1945년 해방 후 보성전문학교로 교명을 환원했고, 1946년에는 종합대학으로 승격 인가를 받으며 고려대학교로 개칭했다.[66] 해방 이듬해인 1946년에 본교는 애기능 인근 부지를 매입하였으며,[75] 이는 후일 이공계캠퍼스가 자리 잡는 기반이 된다. 1971년 12월에는 1970년에 시작된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을 흡수 및 합병하였다.[68][69]

2. 2. 2. 반복적인 시위와 잦은 휴교 사태

1960년 4월 11일, 3·15 부정선거와 관련하여 마산에서 실종되었던 김주열의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되면서,[71][76] 5개 단과대학 운영위원장들의 주도로 수많은 학생들이 '마산사건의 책임자를 즉시 처단'할 것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70] 그러나 학생들은 돌아오는 길에 신도환대한반공청년단 소속 폭력배들에게 피습을 당했고,[77][78] 이는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고려대학교는 매년 4월 18일에 '''4·18 의거'''를 기념하며 독재정권에 맞섰던 선배들의 정의로운 행동을 계승하기 위해 '4·18 구국대장정' 행사를 개최한다.[79]

4·18 피습사건은 4·19 혁명 발발의 도화선이 됐다.


1960년대와 1970년대는 잦은 휴교 사태가 발생한 시기였다. 1965년 9월 4일에는 한일협정 반대 시위로 인해 무기한 휴업 명령을 받았으며,[80][81] 1971년 10월 15일에는 27일간의 강제 휴교 조치와 함께 교내에 군이 투입되고 위수령이 발동되기도 하였다.[82][83] 1975년 4월, 당시 정부는 유신헌법 철폐 시위의 중심이었던 고려대학교만을 대상으로 긴급조치 제7호를 발동하였다.[72][84][85] 제5공화국이 들어선 이후에도 학생들의 독재정권을 향한 시위는 계속되었다.

2. 2. 3. 교육시설의 확충

1935년, 창립 30주년 기념사업으로 중앙도서관 구관이 착공[75]되어 1937년에 개관하였다. 1975년에는 창립 70주년을 기념하여 중앙도서관 신관을 신축, 1978년 3월에 개관하였다.[68][86][87] 1980년 1월에는 정부의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에 따라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분교(현 세종캠퍼스) 설립이 인가되었다.[68]

2. 3. 2000년대 이후

2005년 5월 5일, 고려대학교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했다.[12]

이 해 3월, 생명과학과와 생명환경과학대학이 통합되어 생명과학대학이 출범했다. 동시에 기존의 보건과학대학(Junior College)은 폐지되고, 새로 설립된 보건과학대학으로 통합되었다.[6] 당시 고려대학교는 18개의 학부 및 대학, 22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도서관, 박물관, 홍보실 등 11개의 부속시설을 갖추고 있었다.[13][14]

2. 3. 1. 졸업요건의 변화

2000년대 들어 세계화 추세에 따라 고려대학교 졸업생의 실력을 세계적인 수준에 맞춰야 한다는 ‘Global KU 프로젝트’ 등의 영향으로 졸업 요건이 대폭 강화되었다. 2000년 3월 신입생부터 TOEIC, TOEFL 등 공인영어시험 성적을 일정 수준 이상 받아야 졸업할 수 있는 졸업 인증 제도가 도입되었다.[88][89][90] 2004년 3월 신입생부터는 한자 2급 수준의 졸업 요건이 신설되었으나,[88][91] 2011년에 일부 학과에서 이 요건을 폐지하였다.[126] 또한 2004년 3월 신입생부터 심화전공, 이중전공, 연계전공, 학생설계전공 중 하나를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제2전공 의무 이수 제도가 도입되었다.[92]

2. 3. 2. 개교 100주년 기념사업

2005년 5월 5일, 고려대학교는 개교 100주년을 맞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12] 이와 함께 여러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는데, 캠퍼스 내 주요 시설 확충도 그중 하나였다. 학생과 교직원의 편의를 위해 중앙광장이 조성되었고, 백주년기념 삼성관과 화정체육관이 건립되어 교육 및 문화 시설이 확충되었다.

3. 위상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의 야경


고려대학교는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가 전신이며, 1921년부터 김성수가 경영을 이어받았다.[53] 1944년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가 1945년 광복과 함께 해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종합대학으로 재설립되었다.[54] 1938년 설립된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55]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으로 통합되어 남녀공학이 되었다.

이승만 정권 하에서는 학생운동이 활발하였다. 삼성그룹이건희 회장은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관 건설을 위해 410억을 기부하였다. 와세다 대학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재계에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스포츠 명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을 기원으로 하는 서울대학교, 미국인 설립 대학이 기원인 연세대학교와 달리, 순수 민간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고려대학교는 “민족고대”라는 슬로건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Global KU Frontier Spirit”을 내걸고 학내 글로벌화를 추진하고 있다.

3. 1. 세계 대학 순위 평가

고려대학교는 세계 대학 학술 순위, QS 세계 대학 순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평가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학 평가 기관들에서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2015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104위를 기록하여 역대 최고 순위에 올랐고,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평가에서는 연세대학교와 함께 200~225위를 기록했다.[106] 2021년에는 세계 대학 순위 69위를 기록했으며,[18] 2016-17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아시아 16위를 차지했다.[19] 2014년 QS 세계 대학 학과 순위에서는 정치학, 경제학, 화학공학, 커뮤니케이션 학과가 세계 50위권에 들었다.[20]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은 미국 대학 경영대학원 협의회(AACSB)와 유럽 품질 개선 시스템(EQUIS) 인증을 모두 획득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22] 2007년에는 대한민국 최고의 MBA 프로그램으로 선정되기도 했다.[23] 2015년 파이낸셜 타임스 EMBA 순위에서는 경영자 과정(Executive MBA)(E-MBA) 프로그램이 세계 27위를 차지했다.[24]

3. 2. 학문 분야별 평가

고려대학교는 경영학, 법학, 행정학, 교육학 등이 포함된 사회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2012 조선일보·QS 아시아대학평가'에서 사회과학 분야 아시아 12위를 차지했다.[97] 2014년 QS 세계 대학 학과 순위에서는 정치학, 경제학, 화학공학, 커뮤니케이션 학과가 모두 세계 50위권에 들었다.[20]

경영대학은 2009년 에듀니버설 조사에서 '추천하고 싶은 대학' 국내 1위에 올랐으며,[98] 2010년 대한민국 경영대 평가 1위,[99] 2012년 UTD 랭킹 86위로 대한민국 대학 중 1위를 차지하였다.[100] MBA교육과학기술부BK21 평가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101] BK21 플러스 사업에서도 사업단 수와 지원 금액에서 서울대학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102] 또한, 대한민국 경영대학 중 최초로 AACSB와 EQUIS 인증을 모두 획득했다.[103] 2015년 파이낸셜 타임스 EMBA 순위에서는 경영자 과정(E-MBA) 프로그램이 세계 27위를 차지했다.[24]

법학전문대학원 역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2003년에는 연례 한국 변호사 시험 합격자의 15% 이상을 배출했다.[21] 2009년 제51회 사법시험에서는 155명의 합격자를 배출하여 최다 합격자를 기록했다.[105] 2011년 신규 임용된 42기 사법연수생 중 고려대학교 출신은 189명으로 서울대학교 다음으로 많았다.[104]

2015년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평가에서 고려대학교는 36개 분야 중 20개 학과가 세계 100위권 안에 들어 대한민국 사립대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106] 2016년부터 2018년까지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꾸준히 순위가 상승하여 2018년에는 86위를 기록, 대한민국 대학 중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과대학교,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100위 안에 포함되었다.[108] 2021년에는 세계 대학 순위 69위를 기록했다.[18]

4. 개설 학과·전공

1946년 보성전문학교에서 고려대학교로 승격된 이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이 모두 개설되었다.[6] 1949년 6월에는 최초의 학사 학위가 수여되었고, 같은 해 9월 대학원이 설립되었다.[6]

1963년 12월에는 한국 최초의 대학원 경영학과가 설립되었고,[6] 1972년 12월에는 교육학과가,[6] 1977년 1월에는 식량농업대학원이 설립되었다.[6]

2005년 5월 5일, 고려대학교는 창립 100주년을 맞이했다.[12]

4. 1. 학부 과정

2022년 기준으로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에는 12개 단과대학, 세종캠퍼스에는 5개 단과대학이 설치되어 있다.

'''서울캠퍼스'''

단과대학학과
자유전공학부(없음)
경영대학경영학과
문과대학국어국문학과, 철학과, 한국사학과, 사학과, 사회학과, 한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러시아어러시아문학과, 일본어일본문학과, 스페인어스페인문학과, 언어학과
생명과학대학생명과학부, 생명공학부, 식품공학과, 환경생태공학부, 식품자원경제학과
정경대학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통계학과, 행정학과
이과대학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지구환경과학과
공과대학화공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부, 건축사회환경공학과, 건축학과, 기계공학부, 산업경영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과, 융합에너지공학과, 차세대통신공학과
의과대학의예과
사범대학교육학과, 체육교육과, 가정교육과, 수학교육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지리교육과, 역사교육과
간호대학간호학과
보건과학대학바이오의공학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보건정책관리학부
정보대학컴퓨터학과, 데이터과학과
국제대학국제학부, 글로벌한국융합학부
디자인조형학부(없음)
미디어학부(없음)
스마트보안학부사이버국방학과, 스마트보안학부
심리학부(없음)



'''세종캠퍼스'''

단과대학학과
과학기술대학응용수리과학부(데이터계산과학전공),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디스플레이융합전공·반도체물리전공), 신소재화학과,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 전자및정보공학과, 생명정보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전자·기계융합공학과, 환경시스템공학과, 미래모빌리티학과, 지능형반도체학과, 인공지능사이버보안학과
약학대학약학과
글로벌비즈니스대학글로벌학부(한국학전공·중국학전공·영미학전공), 융합경영학부(글로벌경영전공·디지털경영전공), 표준·지식학과
공공정책대학정부행정학부,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공공사회학전공·통일외교안보전공), 경제통계학부(경제정책학전공),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문화스포츠대학국제스포츠학부(스포츠과학전공·스포츠비즈니스전공), 문화유산융합학부, 문화창의학부(미디어문예창작전공·문화콘텐츠전공)
스마트도시학부(없음)



'''융합전공'''

복수의 학과·학부가 협력하여 개설한 융합전공은 2004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112], 2004학번부터 이수가 의무화된[92] 제2전공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융합전공
과학기술학, 인문학 및 법학, 신흥시장 및 라틴 아메리카 프로그램, 언어, 뇌 및 컴퓨터, 인문학 및 창의산업, 동아시아 세기의 글로벌 리더, 생태 경관, 기후변화 프로그램, 의생명과학 및 공학, 금융공학, 법학 및 행정학, 정치, 경제 및 법학, 암호학, 패션 디자인 및 상품기획, 다문화 한국 교육, 뇌 및 인지 과학, 소프트웨어 기술 및 창업 프로그램, 식품산업경영, 공공거버넌스 및 리더십, 의료융합공학, 융합보안, 정보보안, 사회복지, 디지털 미디어 문화, 금융파생상품공학, 글로벌 한국 장학금 주요 융합


4. 2. 대학원 과정

고려대학교는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한다.[113] 2009년에 개원한 법학전문대학원은 120명을 배정받았다.[113] 의학전문대학원은 전문대학원 53명을 의학과 53명과 병행하여 임시로 운영하였으나 2015년에 폐지되었다.[113]

일반대학원 학과 목록
인문사회계열자연과학계열공학계열의약학계열예체능계열


  • 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 경영전문대학원
  • Global MBA*
  • Finance MBA*
  • Korea MBA*
  • Executive MBA*
  • S3 Asia MBA*
  • 국제대학원
  •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교육대학원
  •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정책대학원
  • 공학대학원
  • 경영정보대학원
  • 언론대학원
  • 노동대학원
  • 법무대학원
  •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 인문정보대학원
  • 행정대학원
  • 보건대학원
  • 임상치의학대학원
  • 의용과학대학원

5. 교육 방침상의 특징

고려대학교는 2003년부터 어윤대 전 총장(15대)의 주도로 'Global KU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교육 방침에 큰 변화를 겪었다. 이 프로젝트는 고려대학교를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25]

어윤대 전 총장은 교수 승진 요건을 강화하고 영어 강의 비율을 높였다.[25] 인문대학 핵심 강좌는 전임 교수가 담당하도록 하고, 공과대학, 법과대학, 의과대학을 제외한 모든 학생들에게 복수전공을 의무화했다.[25]

2000년대 초, 세계화 추세에 따라 졸업 요건이 강화되었다. 2000년 신입생부터 TOEIC 등 공인 영어 시험 성적을 일정 수준 이상 취득해야 했고,[88][89][90] 2004년 신입생부터는 한자능력검정시험 2급 수준의 한자 능력도 요구되었으나,[88][91] 2011년부터 일부 학과에서 폐지되었다.[126]

2004학년도 학부 입학생부터는 제1전공 외에 심화전공, 이중전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중 하나를 제2전공으로 의무 이수해야 한다.[92]

5. 1. 국제 교류

고려대학교는 1973년부터 와세다 대학(1920년대부터 실질적인 교류 시작)과, 1989년부터 베이징 대학과 공식적인 국제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114][115] 이들 대학과는 학사 및 석사 복수 학위 제도를 운영하며, 캠퍼스 아시아(Campus Asia) 프로그램 등을 통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114][115]

국제처에서는 국제 교류 프로그램으로 SEP(Student Exchange Program)와 VSP(Visiting Student Program)를 운영한다. SEP는 학술 교류 협정을 맺은 외국 대학과 학생을 교환하는 프로그램으로, 본교는 해당 학교의 자격 요건을 갖춘 학생을 추천하고, 최종 입학 허가는 해당 학교에서 결정한다. SEP는 자비유학이나 방문학생과 달리 본교에만 등록금을 납부하는 것이 특징이다. VSP는 소수 학교와 별도 협정을 맺어 본교 학생들을 대규모로 파견하는 프로그램이다. 캐나다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영국의 로얄할러웨이 대학교, 호주의 그리피스 대학교, 미국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등이 VSP 대상 학교이다.[116] VSP의 경우, 등록금은 파견 학교와 본교에 모두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본교에 납부하는 등록금의 대부분은 장학금 형태로 돌려받는다.[117] 일부 단과대학은 본교와 별도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118]

현재 재학 중인 유학생 수는 약 4,000명이다.[26] 고려대학교는 국제학부(CIS)와 국제대학원(GSIS)에서 영어로 진행되는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27] 유학생들은 국제처를 통해 다른 학위 과정에도 지원할 수 있지만, 강의는 일반적으로 한국어로 진행된다.[28]

고려대학교는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 세계 각국의 대학과 활발한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다음의 4개 대학과는 협정을 통해 매년 많은 교환학생을 파견하고 있다.



이들 대학에 파견되는 학생들은 파견 대학과 고려대학교에 모두 수업료를 납부해야 하지만, 고려대학교에 납부하는 수업료는 장학금으로 돌려받아 상쇄된다.

5. 2. Global KU 프로젝트와 한자졸업요건

2000년대 들어 세계화 추세에 따라 고려대학교 졸업생의 실력을 세계적인 수준에 맞춰야 한다는 'Global KU 프로젝트'의 영향으로 졸업 요건이 대폭 강화되었다. 2000년 3월 신입생부터 졸업 인증 제도로 TOEICTOEFL 등 공인 영어 시험 성적 일정 수준 이상을 취득해야 졸업이 가능하게 되었다.[88][89][90]

  • '''Global KU 프로젝트''': 2010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 진입을 목표로, 제15대 어윤대 총장이 주도하여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119] 장기적으로 영어 강의 확충,[120] 해외 대학과의 교류 증진,[121] 외국인 교수 채용 확대 등을 목표로 하였다. 졸업 요건으로 요구하는 토익 점수를 대폭 상승시키고, 2005년 5월에는 개교 100주년을 기념하여 세계 대학 총장 포럼을 개최하는[122] 등 단기적인 계획도 함께 진행하였다. 현재 공인 영어 성적의 일정 수준 이상을 취득해야 졸업이 가능하다.[90] 각 단과대의 특성을 고려해 영어 강의와 관련된 졸업 요건을 단과대별로 완화하거나 강화할 계획이며,[123] 2012년 기준으로 대체로 5개 이상의 영어 강의를 수강하면 졸업이 가능하지만, 단과 대학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영어 강의를 수강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124][125]


2004년 3월 신입생부터는 한자 2급 수준으로 졸업 요건이 신설되었으나,[88][91] 2011년 들어 일부 학과들이 이 요건을 폐지하였다.[126]

  • '''한자 졸업 요건''': 학부 과정에서 국가 공인 혹은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인증 한자 2급 획득 또한 의무화하였으나 법과대학을 시작으로 한자 졸업 요건은 단과대 자율에 맡기는 방침으로 변경되었다. 한자 인증을 가장 먼저 폐지한 법과대학과 정보통신대학은 ‘한자 인증의 사회적 필요성이 높지 않으며, 이에 학생들이 원하는 공부를 하도록 하자’라는 설명과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라는 설명을 한자 인증 폐지 이유로 각각 제시하였다. 그러나 문과대, 공과대, 사범대 등에서는 한자는 꼭 필요한 소양이고, 학과 특성상 이런 기회에 한자 인증 졸업 요건을 유지한다는 원칙을 밝혔다.[126]

5. 3. 제2 전공의 의무화

2004학년도 학부 입학생부터 제1전공 외에 심화전공, 이중전공, 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중 하나를 제2전공으로 선택하여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다.[92] 일부 학과는 학부제로 모집하며, 이 경우 2학년 진급 시 전공을 배정받는다.[111] 졸업 학점 이수와 더불어 영어 강의, 졸업 논문, 공인 영어 성적, 한자 인증 등 전공별 추가 요구 조건을 충족해야 졸업이 가능하다.[127] 졸업 요구 학점을 모두 이수했으나 기타 졸업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료 상태가 된다.[127]

연세대학교의 전과 제도 없이도 복수 전공이 가능하도록, 고려대학교는 제1전공 이수 학점을 연세대학교보다 10학점 이상 낮게 설정하였다.[132]

6. 캠퍼스 및 학교 소유 시설

'''서울캠퍼스'''는 인문·사회계 캠퍼스, 자연계 캠퍼스, 녹지 캠퍼스, 정릉캠퍼스를 포함한다. 어윤대 총장 재임 시기에 3500억의 발전 기금을 유치하고 기업의 후원을 받아 교내 전체 건물의 40% 정도를 신축 및 리모델링하여 건물 양식이 전체적으로 일관된 형태를 보인다.[134][135] 인문사회계 캠퍼스에는 중앙광장, 자연계 캠퍼스에는 하나스퀘어가 위치하여 각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분교인 세종캠퍼스 또한 웅장한 건물들이 주를 이루며, '창조캠퍼스'라는 이름으로 제3캠퍼스 설립이 추진 중이다.[136][137] 제3캠퍼스는 약 520000m2 규모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부지 매입 협상 중에 있다.[138]

고려대학교 의료원은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세 곳을 운영한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에 있는 안암병원은 1051병상,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구로병원은 1057병상,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있는 안산병원은 710병상을 가동한다.[186]

그 밖의 시설로는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에 있는 낙산수련원,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에 있는 대천수련원[189],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에 있는 완도수련원[190]이 있으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송추운동장, 경기도 남양주시 덕소읍에 있는 덕소농장이 있다.

고려대학교 대천수련원

6. 1. 서울캠퍼스(본교)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인문·사회계 캠퍼스, 자연계(이공계) 캠퍼스, 녹지 캠퍼스, 정릉캠퍼스로 구성된다.[134][135] 어윤대 총장 재임 시절, 3500억의 발전 기금을 유치하여 교내 전체 건물의 40% 정도를 신축 및 리모델링하여 건물 양식이 전체적으로 일관된 형태를 보인다.

각 캠퍼스의 중심에는 중앙광장(인문사회계)과 하나스퀘어(자연계)가 위치한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세종캠퍼스 또한 웅장한 건물들이 주를 이루며, '창조캠퍼스'라는 이름으로 제3캠퍼스 설립이 추진 중이다.[136][137] 제3캠퍼스는 약 520000m2 규모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부지 매입 협상 중에 있다.[138]

서울 캠퍼스는 과학기술대학, 인문사회대학, 의과학대학, 정릉캠퍼스 등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서울 수도권에 위치한다. 캠퍼스에서 도보 5분 거리에는 다양한 레스토랑, 바, 상점, 그리고 유명한 불교 사찰이 있다.[31]

  • 부속 시설[31]
  • 도서관 시스템
  • 박물관 - 한국 최초의 대학 박물관. 역사, 고고학, 민족학, 예술 등을 포함한 10만 점이 넘는 자료 소장.
  • 백주년기념 삼성홀 - 고려대학교 창립 100주년 기념관. 디지털 도서관과 여러 국보급 문화재 보유.
  • LG-POSCO홀 - 기업 및 동문의 기부금 250억을 들여 건립된 경영대학 신축 건물 (14,122m2).
  • 리체움
  • 중앙광장
  • 하나광장
  • 타이거돔 - 2006년에 완공된 다목적 스포츠 콤플렉스 (18,182m2, 지상 3층, 지하 3층).
  • 동원관
  • 한국학관 -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홍보를 위해 설립.
  • 정산-MK문화센터 - 한국과 일본 간의 문화 교류와 일본학 연구 장려를 위해 2007년에 개관한 6층 건물.
  • 아이스링크 - 올림픽 규격의 스케이트 링크.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기지 역할.
  • 미디어홀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생들을 위한 건물 (11,663m2, 2011년 8월 완공). 학생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미디어 시설과 스튜디오를 갖춤.
  • 융합기술국제센터 - 2008년 8월에 건립 (7,665m2). 과학기술 연구 활동 지원.
  • 녹지 운동장 - 축구 경기 또는 체육 교육을 위해 조성.

6. 1. 1. 인문·사회계 캠퍼스

본관을 중심으로 중앙광장 오른편에는 중앙도서관 구관이 있다. 보성전문학교 창립 3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935년에 착공[75]하여 1937년에 개관하였다. 김성수는 도서관 건립을 포함한 기념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을 돌며 직접 모금 운동을 펼쳤다.[151] 이 건물은 사적 제286호로 지정되었다.[152][153] 1975년 개교 70주년을 기념하여 중앙도서관 신관을 신축하였고, 1978년 3월에 개관하였다.[68][86][87] 2005년과[154][155] 2010년에[156] 리모델링을 했다. 현재 중앙도서관 신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중앙도서관은 단행본만 160만 권 이상[157] 소장하고 있으며, 중앙도서관, 과학도서관, 학술정보관, 법학도서관, 의학도서관, 세종학술정보원 등 5개 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도서관은 중앙도서관 신관과 특수서적을 주로 다루는 구관, 과학도서관, 해송법학도서관, 학술정보관(CDL)을 총괄한다. 이 중 학술정보관(CDL)은 백주년기념관 내에, 과학도서관은 자연계지역에, 해송법학도서관은 법학관 신관 앞에 있다. 과학도서관 단행본실은 1층에 있으며, 인문사회계 지역에 위치한 중앙도서관과 마찬가지로 동양서와 서양서 단행본을 모두 취급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110614223725/http://medlib.korea.ac.kr/ 의학도서관]은 의과대학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의과대학 교우회와 재단의 지원으로 개관하였다.[158] 2018년 기준으로 모든 분관을 합쳐 3,587,338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159]

문과대학이 사용하는 서관(西館)은 1961년 6월에 준공되었으며[68][161] 중앙광장 서편에 위치한다. 건물 꼭대기에는 4면 시계탑이 있는데, 1968년 쌍용그룹 회장 김성곤이 기증하였다.[162] 매일 정오에 이 시계탑에서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노래가 나온다. 이 노래는 녹두장군 정신을 이어받자는 의미로 선곡했다는 의견 등이 있다.[146][162]

6. 1. 2. 자연계(이공계) 캠퍼스

자연계 캠퍼스는 2006년 9월에 완공된 하나스퀘어를 중심으로 공과대학, 이과대학, 정보통신대학, 생명과학대학, 보건과학대학, 정보대학의 교수 연구실 및 강의실이 위치한다.

  • '''과학도서관과 하나스퀘어''' : 1983년 9월에 과학도서관이 개관되었다.[68] 과학도서관은 자연계 지역의 한가운데에 위치하며, 이공계 관련 서적은 대부분 이곳에 있다. 하나스퀘어는 하나은행에서 130억을 기부하여 건립된 지하 건축물로서,[164] 2006년 8월에 완공되었다.[165] 과학도서관과 하나스퀘어는 서로 연결되어 지상으로 가지 않고도 이동할 수 있다.

6. 1. 3. 녹지 캠퍼스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의 교수연구실이 위치하며 기숙사와 체육 시설 등이 있다. 모든 부지는 안암동에 속한다. 녹지운동장이 있어 ‘녹지 캠퍼스’로 부른다.

  • '''의료원''' : 1971년 12월에 고려대학교는 1970년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을 흡수 및 합병하였다.[68][167] CJ식품안전관 맞은편 안암병원은 고려대학교 의료원 산하 병원 세 곳 중 하나이며, 1971년 12월 고려중앙학원이 우석학원을 합병하고, 과거 혜화병원을 1991년 7월 22일에 현재 위치에 신축 이전[169]하여 현재에 이른다.[170][171] 혜화병원의 역사는 1938년 5월에 설립된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172]의 부속 병원으로 1941년 9월에 문을 연 경성의전부속병원에 그 뿌리를 두며, 여러 명칭을 거쳐 1976년 3월 고려대의대 부속병원으로 개칭하여 지금에 이른다.[171] 의료원 오른편에 위치한 건물은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이 사용하며 이들 건물 사이에 의학도서관이 위치한다. 현재 의과대학 건물 뒷 편에는 의학관 건물 신축공사를 진행한다. 자연계와 녹지를 잇는 길은 의료원의 오른편을 에둘러 지나가는 형태다. 의과대학에서는 시신을 기증한 고인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며 매해 4월 말에 의과대학 뒷편의 감은탑 앞에서 ‘감은제’를 거행하는데,[173] 감은탑 앞이 협소하여서 이 행사를 진행할 때 부득이 녹지지역으로 향하는 길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 '''KU R&D센터''' : 1997년 8월 착공[174][175]하여 2000년 5월에 준공된 건물[176]로, '''생명공학원'''이라고 부르다가 '''생명과학관(녹지)'''로 명칭을 변경한 채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및 생명공학부 교수 연구실 및 강의실이 위치한다. 생명과학부 학사지원부 또한 이 곳에 위치한다. 2015년 1월에 생명과학대학이 하나과학관 A동으로 이전하면서 이곳은 KU R&D센터로 명칭을 변경했다.
  • '''녹지운동장과 화정체육관''' : 녹지운동장은 잔디 운동장으로, 예약해야 이용할 수 있다.[177] 매해 5월 응원단에서 주최하는 ‘입실렌티 지·야의 함성’을 이 곳에서 진행한다. 이 행사는 화정체육관 공사가 진행하기 이전에는 노천극장에서 진행했으나 공사로 인해 노천극장을 폐쇄하면서 녹지운동장으로 옮겼다. 화정체육관은 중앙광장, 백주년기념관과 더불어 고려대학교 100주년 기념 사업[96]으로 2006년 7월 25일 건립했으며, 고려중앙학원에서 공사비 262억 전액을 출연하였다. 현승종 당시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은 화정체육관 완공으로 “김병관 전 고려중앙학원 이사장이 약속한 고려대 캠퍼스 종합개발 3대 마스터플랜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178] 화정체육관 건립 이전에 이 곳에는 노천극장이 있었다.[179][180] 화정체육관에서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2015섬머, 2019섬머 시즌의 결승전 등 많은 e스포츠 대회를 개최했다.

6. 1. 4. 정릉캠퍼스

정릉캠퍼스는 원래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의과기술초급대학을 제외한 나머지 학과가 있던 캠퍼스였다. 1971년 고려대학교가 우석대학교를 인수한 이후 2004년까지 고려대학교 병설보건대학이 이곳에 위치했으나, 2005년 10월 25일 교육인적자원부가 고려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병설 보건대학의 통합을 승인하면서 고려대학교에 신규 단과대학인 [http://chs.korea.ac.kr 보건과학대학]을 이곳에 신설했다. 정릉캠퍼스는 정의관, 진리관, 호림관, 학생회관, KU-MAGIC 연구원 등 5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또한 정릉캠퍼스에 위치한다. 2015년에 보건과학대학은 안암동 자연계 캠퍼스에 신축한 하나과학관으로 모두 이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2016년부터 정릉캠퍼스는 KU-MAGIC(Medical Applied R&D Global Initiative Center) Project One의 연구시설로 사용한다.

  • '''KU-MAGIC 연구원''' : KU-MAGIC의 MAGIC(매직)은 ‘Medical Applied R&D Global Initiative Center’의 약자로 의료, 연구, 개발, 글로벌 네트워킹, 국책과제 수행, 사업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거대한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정릉캠퍼스는 KU-MAGIC Project One을 통해 첨단의료과학센터로 거듭날 예정이다.

6. 2. 세종캠퍼스(분교)

세종캠퍼스의 도서관으로서 정식 명칭은 학술정보원이다. 건물 옥탑 4면 시계탑이 특징이다. 분관대출을 통해 안암캠퍼스에 위치한 자료를 상호 대차 이용하며 관련 홈페이지에서 열람실 좌석 현황을 확인한다.

6. 3. 의료원 및 기타 시설

고려대학교 의료원은 산하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세 곳의 병원을 운영한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에 있는 안암병원은 1051병상을 가동하며,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구로병원은 1057병상,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있는 안산병원은 710병상을 가동한다.[186] 구로병원은 1983년에 개원하였으며, 2008년에 증축했다. 안산병원은 1985년에 개원했고, 1998년 증축하여 시설을 확대 및 개선하였다.[187] 2013년 3월 26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10개의 연구중심병원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구로병원이 포함되어, 한 대학에서 2곳의 병원이 선정된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188]

그 밖의 시설로는 수련원으로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에 있는 낙산수련원,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에 있는 대천수련원[189],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에 있는 완도수련원이 있으며, 이 중 완도수련원은 2010년 8월 10일에 완공했다.[190] 이 외에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 송추운동장, 경기도 남양주시 덕소읍에 있는 덕소농장이 있다. 덕소농장에서는 참기름을 생산하지만 상용화된 제품으로 판매하지 않으며, 교내에서만 선물용으로 판매한다.[191]

6. 4. 서울캠퍼스 주변 상권

이전 초기에는 정문 앞과 제기동 주변이 학교 주변의 가장 주요한 상권이었으나 안암병원 개원과 더불어 개운사길 복개를 완료하면서 그 중심이 유흥 상권이 형성된 안암로터리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지하철 6호선 안암역 개통을 계기로 안암로터리 부근 상권이 안암역 사거리까지 확장되어 현재 참살이길을 형성하였다. 정경대학 후문을 24시간 개방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다.[192] 근래에는 단순히 상권 위치만 옮겨간 것이 아니다. 과거에는 식사 시간 밥집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이 일반적인 풍경이었지만, 학생들의 식생활 변화와 연이은 물가 상승 등으로 학교 주변 밥집들이 상당한 위기를 겪는다고 한다.[193] 2010년대 초반에는 정문 앞 캠퍼스타운 개발 문제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섰다.[194]

7. 주요 학생 단체

고려대학교에는 학생들의 자치 활동 및 다양한 관심사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학생 단체들이 존재한다.


  • 총학생회: 이승만 정권 시절 학도호국단 해체 이후, 학생들의 요구를 대변하기 위해 설립된 학생 자치 기구이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학도호국단 해체와 함께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군사정권 시절 탄압을 받기도 했으나 1984년 이후 매년 선거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195][196][197][198][199][200][201][202] 학생 복지를 위한 학생복지위원회도 별도로 운영된다.
  • 학내 공식 언론단체:
  • '''고대신문'''(주간신문): 1947년 창간된 학생 주도 주간 신문으로, 4·18 고대생 의거의 촉매제가 된 사설을 싣기도 했다.[203][204][72]
  • '''고대문화'''(계간지): 1945년 창간된 교지로, 학내외 사안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는다.[209][210][211]
  • '''The Granite Tower''': 민영빈이 창간한 고려대학교 유일의 영자 매체이다.[212]
  • '''KUBS·KTN·KUTV·KDBS''': 교내 방송 및 영상 제작을 담당하는 단체들이다. KUBS는 교육방송국, KTN은 TV 방송국, KUTV는 학생 자치방송국, KDBS는 세종캠퍼스 언론기관이다.[214][215][216][217][218][219]
  • '''석순'''(여성주의 교지): 1983년부터 학내외 여성주의 문제를 다루는 교지이다.[154]
  • 동아리: 인문계 캠퍼스의 중앙동아리와 자연계 캠퍼스의 애기능중앙동아리로 나뉘며, 단과대 및 학과별 동아리도 존재한다. 사회과학, 전시 및 창작예술, 사회봉사, 예술, 종교, 언어 연구, 생활문화, 스포츠, 문학예술,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동아리가 활동 중이다.
  • 기타 단체:
  • '''고려대학교 교환학생 교류회(KUBA)''': 외국인 교환학생의 학교 적응을 돕는 국제처 산하 봉사 단체이다.[220]
  • '''고려대학교 응원단''': 1927년 보연전부터 시작된 응원 단체로, 입실렌티 등 주요 행사에서 응원을 주도한다.[221][222][223]
  • '''고려대학교 학생홍보대사 여울''': 학교를 대외적으로 알리는 홍보 단체이다.[224]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학생홍보대사 홍랑''': 세종캠퍼스에서 운영하는 학생홍보대사이다.
  • '''생활도서관''': 1990년 전국 대학 최초로 설립되어 타 대학 학생 및 일반 시민에게도 개방된 도서관이다.[225][226]
  • '''고전음악감상실''': 고전음악 감상과 휴식을 위한 공간이다.[229][230]
  • '''재학생 커뮤니티''': 세종캠퍼스는 쿠플존, 서울캠퍼스는 고파스를 운영한다.

7. 1. 총학생회

고려대학교 총학생회는 학교 당국과 독립적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대외적으로 관철시키기 위한 학생자치기구이다. 총학생회의 기원은 이승만 정권 당시 존재한 중앙학도호국단의 해체와 관련이 깊다. 1960년 4·19 혁명 후 학생들은 1949년 9월 이승만 정권 당시 대통령령 86호로 결성된 학도호국단[195]과 관련하여 ‘어용기구인 중앙학도호국단에서 탈퇴하여 이의 해산을 강력히 주장한다’고 선언하였으며[196], 이와 같은 주장이 5월 4일 국무회의를 통해 실현[197]된 것이 현재 총학생회의 기원이다. 1965년 교칙위반을 이유로 활동정지 처분되는 사건이 있었으며,[198] 1975년 6월에는 군사정권에 의해 강제로 학도호국단으로 재편되는 수모를 겪는 등 탄압으로 인해 그 명맥이 끊어질 뻔한 적도 있었으나,[199] 1984년 학도호국단을 폐지한 이래[200][201] 매년 선거로 총학생회가 선출되고 있다. 2019년에는 51대 총학생회 ‘SYNERGY’가 활동하였고, 2020~21년에는 총학생회 중앙비상대책위원회가 활동하고 있다. 학생처가 총학생회 활동의 지원을 담당하고 있으며,[202] 학생 복지를 관장하는 기구로 학생복지위원회라는 별도의 기구가 존재한다.

7. 2. 학내 공식 언론단체


  • '''고대신문'''(주간신문) : 1947년 창간[203]된 고려대학교의 주간 교내신문으로, 학생 주도로 발행하며 발행 비용은 학교 당국이 보조한다. 1960년 4월 2일 '우리는 행동성이 결여된 기형적 지식인을 배격한다'는 사설[204]은 4·18 고대생 의거의 촉매제가 되었다. 1975년 긴급조치 제7호 당시 '고대의 문은 누구도 닫을 수 없습니다'라는 광고를 통해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렸다.[72] 1998년부터 인터넷 고대신문이 발행되었고, 2006년부터는 '쿠키'라는 이름으로 미디어 포털로 확장하였다.[203] 신문사는 홍보관 건물 2층에 있다.
  • '''고대문화'''(계간지) : 1945년에 창간된 고려대학교의 교지이다. 2003년부터 월간으로 발행하다가[209] 2010년부터 계간으로 발행 중이다.[210] '세계를 변혁하는 대항언론'을 표방하며, 학내외 여러 사안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다.[211] 2005년 2학기부터 교지대 분리납부가 시행되었다.[154]
  • '''The Granite Tower''' : 1954년 YBM 창립자 민영빈이 창간한 고려대학교 유일의 영자 매체이다. 1997년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했다.[212] 신문사는 홍보관 2층에 있다.
  • '''KUBS·KTN·KUTV·KDBS''' : KUBS는 고려대학교 교육방송국으로, 아침, 점심, 저녁 라디오 방송과 정기적인 영상프로그램을 제작한다. 고연전, 석탑대동제 기간에도 활동하며, 학내 특별 사안 발생 시 특별방송을 한다.[214] KTN은 고려대학교 TV 방송국으로, 교내 행사 영상 기록 및 정규 프로그램 제작, 송출을 담당한다.[215] 교내 케이블TV 채널 4번을 통해 24시간 방송을 한다. KUTV는 학생 자치방송국으로,[216] 학내 TV를 통해 아침, 점심으로 방송을 하며,[217] 정규 방송은 1주일 단위로 편집된다.[218] KDBS는 세종캠퍼스 내 학교 부속 언론기관이다.[219]
  • '''석순'''(여성주의 교지) : 1983년부터 시작된 여성주의 교지로, 학기당 1회 발행하며 학내외 여성주의 문제를 다룬다. 교지대 강제 징수를 둘러싸고 진통을 겪었다.[154]

7. 3. 동아리

고려대학교의 동아리는 인문계 캠퍼스 학생회관에 동아리방이 있는 고려대학교 동아리연합회 소속의 중앙동아리와 자연계 캠퍼스 애기능학생회관에 동아리방이 있는 고려대학교 애기능동아리연합회 소속의 애기능중앙동아리로 나뉘며, 두 동아리연합은 동격이다. 이 외에도 단과대, 학과별 동아리도 존재한다.

  • 사회과학: 철학마을, 왜건휠, 사람은 세상, 문화연구회, 노동자, KUCC, 현대경제연구회, UNSA(유엔학생회), 한국근현대사연구회, 시사경제학회, 한국사회연구회, 한국정신수련회, B&B[32]
  • 전시 및 창작예술: 예술비평연구소, 우리문학연구소, 고려대학교 문학회, 한국화연구회 돌빛(고려대 영화평론 동아리), 그림마당(고려대 만화 동아리), 글말문학연구소(고려대 시인회), 호영회 진보창작문학회, 서화 PAPCON[32]
  • 사회봉사: 하나둘다섯(장애인 캠페인), 적십자봉사회 로타렉트(대학연합 봉사동아리), 나달모음(농업 동아리), 호우회(고려대 봉사동아리), 은화회(야간대 학생회), 새벽광장(환경보존 동아리), KUSA[32]
  • 예술: 고려대학교 합창단(구 고려대 글리클럽), 고려대 농악, 고려대 오케스트라, 우리가 사랑하는 탈(한국 전통탈), 고려대 관악합주단, 노래얼 극장, 국악 클래식 기타 동아리, 1905, 크림슨, 고려대학교 아카펠라 그룹 LoGS, KUDT(고려대학교 댄스팀), 그루토기(어쿠스틱 기타 동아리), TTP, 불라스(스포츠댄스), TERRA(힙합)[32]
  • 종교: 원불교 학생회, 에브리네이션 미션(ENM), 증산도, 기독교 학생회,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CCC), 한국기독학생회, 그리스도의 사자 미션(CAM) 대학선교회, 불교 학생회, 조이 미션, 천주교 학생회, 스튜던트 포 크라이스트(SFC), IVF[32]
  • 언어 연구: 니드 다미(프랑스어 동아리), 동수초이, 고려대학교 한국일본문화연구소, S.I. S TIME, 고려대학교 중국연구소, E.C.S(영어회화연구회), LECA(영어회화 동아리), A.L.C[32]
  • 생활문화: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연구회, 유스호스텔(여행 동아리), 호진회(연극 감상 및 평론 동아리), 스카우트/호동회(재일 한국인이 만든 동아리), 바둑사랑모임(바둑 동호회)[32]
  • 스포츠: 펜싱 동아리, 아마추어 축구팀, 스킨스쿠버 다이빙, 고려대학교 아마추어 야구 동아리, 고려대학교 양궁 동아리, 수영 호랑이 동아리, 배드민턴/탁구 동아리, 수박도[32]
  • 문학예술: 노래마당, 탈패 하나들래, 고려대 민속음악 동아리, 열구림, ICCUS, TERRA, 선향재, 다크룸[32]
  • 과학기술: KULS, KUERA, 아마추어 천문 동아리(KUAAA), 아마추어 무선협회(HAM), 지능형 로봇 동아리(KAsimov)[32]
  • 기타: 호농회, 이슬, 세포를 깨다, 불교학생회, 햇살마을, 청년과 미래, 고려대학교 익스트림 스포츠 동아리(KESC)[32]

7. 4. 기타


  • '''고려대학교 교환학생 교류회(KUBA)''' : 'Korea University Buddy Assistants'의 약자로, 외국인 교환학생이나 방문학생이 학교 및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 국제처 산하 자원봉사 단체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버디매칭, 조별활동, 언어 교환(Language exchange), 매달 미션 수행, 축제 및 문화행사(웰커밍 파티, 필드데이, 입실렌티/고연전, International Students' Festival, 페어웰 파티) 등이 있다.[220]
  • '''고려대학교 응원단''' : 1927년 11월 첫 보연전부터 비공식 단체로 시작하여 1968년 공식 단체가 되었다. 정기 및 비정기 고연전[221], 입실렌티[222] 등에서 응원을 담당한다.[223]
  • '''고려대학교 학생홍보대사 여울''' : 대외협력처 홍보팀 소속 재학생 홍보단체이다. 1998년 9월 1기[224] 이후 2012년 기준 14기까지 선발되었다. 캠퍼스 견학, 입학식, 졸업식 등 교내외 행사에서 고려대학교를 알리는 활동을 한다.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학생홍보대사 홍랑''' : 세종캠퍼스에서 운영하는 별도의 학생홍보대사이다.
  • '''생활도서관''' : 1990년 5월 전국 대학 최초로 설립된 생활도서관은 타 대학 학생이나 일반 시민에게도 개방되어 있으며, 운영 전반을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한다.[225][226] 2003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와 함께 대학도서관 개방운동인 '올리브'(OLIB) 운동에 참여하여 대학 도서관 개방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열람실 부족을 이유로 일부 학생들의 반발도 있었다.[227][228]
  • '''고전음악감상실''' : 1978년 처음 만들어져 학생들의 휴식공간 역할을 한다. 다양한 고전음악과 해설을 제공하며, 신청곡도 받는다.[229] 중앙광장 120호로 이전하면서 운영시간이 평일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로 단축되었다. 2011년 2월부터 고파스에서 '24시간 클래식 음악방송'을 제공했지만 현재는 중단되었다.[230]
  • '''재학생 커뮤니티''' : 세종캠퍼스 재학생 대상으로는 쿠플존, 서울캠퍼스 재학생 대상으로는 고파스를 운영한다.

8. 연례행사

고려대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연례행사들이 있다.


  • '''사발식''': 커다란 사발에 담긴 막걸리를 마시는 행사로, 신입생들이 고려대학교의 일원이 되기 위해 거치는 관문이다.[231] 1970년대에 생겨난 것으로 추정되며,[232] 신입생들에게 "학문의 진리와 민족의 정의를 위해 나아가는 고대인이 되라"는 의미를 전달한다.[233]
  • '''동아리 박람회''': 매년 3월경 고려대학교 중앙동아리연합회와 애기능동아리연합회 주최로 열리는 행사로, 각 동아리들이 신입생들에게 자신들의 동아리를 홍보한다.[234][235]
  • '''4·18 의거 기념 마라톤과 구국 대장정''':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의거를 기념하고 선배들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행사이다.[79] 1969년 총학생회에서 처음 시작한 4·18 기념 마라톤은 학교에서 출발하여 국립 4·19 묘지를 거쳐 다시 학교로 돌아오는 코스로 진행된다.[241] 구국대장정은 각 단과대별로 모여 교내 중앙광장에서 출발하여 수유동 국립 4·19 묘지까지 행진한 후 참배하고 학교로 돌아오는 행사이다.[242]
  • '''석탑대동제''': 매년 5월에 열리는 학생 축제로, 1962년 '석탑축전'에서 시작되었다.[243] '석탑'이라는 이름은 조지훈 교수가 지었으며,[243] 1984년부터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244][245] 대동제 기간에는 학과/반 학생회와 동아리에서 주점 등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한다.
  • '''입실렌티 지·야의 함성''': 고려대학교 응원단이 주최하는 응원제로, '입실렌티'는 보성전문학교 시절부터 사용된 고려대학교 교호의 일부이며, '지·야'는 지성과 야성을 의미한다.
  • '''고연전''': 연세대학교와의 친선을 위해 스포츠 경기, 강연,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승부를 겨루는 행사이다.[259][260][261] 매년 9월에 열리는 '정기 고연전'과 그 외 기간에 열리는 '비정기 고연전'으로 나뉜다.[221][264] 보성전문학교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이어져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965년부터 현재의 경기 방식이 정착되었다.[270]


분류:고려대학교

8. 1. 사발식

사발식(沙鉢式)은 커다란 사발에 부어진 막걸리를 선배들이 불러주는 ‘막걸리찬가’에 맞추어 신입생들이 마시는 행사이며, 고려대학교의 교우로 남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거쳐야 하는 관문이다.[231] 오랜 역사를 지닌 사발식의 기원이 언제부터였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이와 같은 문화가 1970년대 즈음에 생겨났다는 증언이 있다.[232] 신입생환영회에서 많은 양의 막걸리를 마시도록 하는 것에는 “그간의 획일화된 교육과 얽매인 생활의 묵은 때를 모두 토해 비워버리고 학문의 진리와 민족의 정의를 위해 나아가는 고대인이 되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233]

8. 2. 동아리 박람회

동아리 박람회(약칭 '동박')는 고려대학교에 소속된 각 동아리들이 학부 신입생들에게 홍보를 하는 행사이다. 매년 3월 중에[234], 고려대학교 중앙동아리연합회 주최의 동아리 박람회와 애기능동아리연합회 주최의 동아리 박람회가 각각 이틀 간 민주광장과 애기능학생회관 앞에서 열린다.[235] 2010년 3월 기준으로 모두 185개의 동아리가 교내에 등록돼 있다.[236] 동아리 구성원들은 박람회 외에도 포스터나 공연, 콘서트, 지인을 통한 여러 홍보활동을 통해 그들이 속한 동아리를 알린다.[237]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추고, 전체동아리대표자회의를 거쳐 가등록과 정식 등록 절차를 거친 동아리는 중앙동아리로 활동할 수 있으며[238], 이미 등록된 동아리들도 매년 재등록신청서를 작성하여야 한다.[237] 애기능동아리연합회 소속의 동아리로 활동하고자 할 때도 비슷한 절차를 거치게 된다. 중앙동아리로 인가를 받으면 동아리방을 배정받고 학교의 지원금을 받게 되는데[238], 교비를 지원받으려면 정해진 기간 내에 교비 지원 신청을 해야 한다.[239]

8. 3. 4·18 기념 마라톤과 구국 대장정

1960년 4월 18일, 3·15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의거를 기념하고, 독재정권에 맞선 선배들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매년 4·18 기념 마라톤과 구국대장정을 진행한다.[79]

4·18 기념 마라톤은 1969년 총학생회에서 처음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학교에서 출발하여 국립 4·19 묘지를 거쳐 다시 학교로 돌아오는 16.2km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241] 4·18 의거가 4·19 정신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를 담아 최종 목적지를 국립 4·19 묘지로 설정하였다.[241]

구국대장정은 각 단과대별로 모여 교내 중앙광장에서 출발하여 수유동 국립 4·19 묘지까지 행진한 후, 4·19 기념탑에서 참배하고 학교로 돌아오는 행사이다.[242] 1969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초기에는 참가자 수에 제한을 두었으나 1984년부터 제한이 없어졌다.[242] 구국대장정에서 외치는 구호는 그 해의 이슈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며, 팜플렛을 통해 시민들과 공유하기도 한다.[242]

이러한 행사에 대해, 선배들의 정신을 계승하기보다는 고대생이 되기 위한 하나의 절차 정도로 인식하여 알맹이가 빠져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지만, 꾸준히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242]

8. 4. 석탑대동제

매년 5월 중에는 '''석탑대동제'''(石塔大同祭)라는 이름의 학생 축제가 열린다. 1962년 5월 4일부터 3일간 개최된 ‘석탑축전’이 이 행사의 연원으로 알려져 있는데[243], 여기서 ‘석탑’이라는 이름은 당시 본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조지훈이 지었다고 한다. 석탑축전이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1984년의 일이다.[244][245] 대동제(帶同祭)라는 의미는 직역하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함께 데리고 가는 것 + 추모하는 제(祭)를 지내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위한 대학생들이 독재 정권 항쟁 과정에서 죽임을 당한 학생들을 추모하면서 살아있는 학생들의 참여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독재 정권에 의해 의문의 죽음을 당한 학생들을 추모하는 합동위령굿 등을 지내면서 3년 후인 1987년에는 전국 대부분의 대학에서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축제를 열 정도로 ‘대동제’라는 이름은 대학가 전역에 널리 퍼져나갔다. 인문대학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정태환은 ‘교내 구성원 간에 소속감과 일체감을 느낀다는 면에서 스트레스 해방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면서 교내 축제에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245] 1956년 개교기념일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민주화 투쟁이 발생하는 등 개교 기념일에 여러 가지 이벤트가 발생하였다. 석탑대동제는 개교기념일의 대표 행사였으나 2000년대 들어 개최 기간이 길게는 3주까지 미뤄지며 개교기념일과의 거리가 멀어졌다.[244] 대동제 기간에는 여러 학과/반 학생회와 동아리에서 주점을 비롯한 각종 이벤트들이 교내 곳곳에서 개최되며, 주요 행사 일정은 교내에 비치된 고대신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동제 기간에 애기능 지역에서는 애기능동아리연합회의 주도로 별도의 행사가 열리며 2011년의 경우 공과대, 생명대, 이과대, 보과대, 정통대의 5개 단과대학이 참여하여 노벨광장을 주 무대로 ‘Sound Festival’(사운드 페스티벌)과 ‘애기능 실루엣 가요제’, ‘애기능 요리 경연대회’ 등과 더불어 각종 가수들의 축하공연이 펼쳐졌다.[246]

8. 5. 입실렌티 지·야의 함성

'''입실렌티 지·야의 함성'''(Ipselenti: 知野의 喊聲)은 주로 석탑대동제 마지막 날 저녁에 고려대학교 응원단이 주최하는 응원제로 2011년에 34회째를 맞았다. ‘입실렌티’(Ipselenti)란 보성전문학교 시절부터 사용된 고려대학교의 교호(校號)의 일부이며, ‘지·야’란 지성(知性)과 야성(野性)을 가리킨다. 학우들의 참여 프로그램, 초청 연예인들의 공연과 응원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가[247]와 교호[247]로 행사를 마무리한다. 교가와 교호로 행사를 마무리하는 방식은 입실렌티 이외의 공식적인 행사에서도 일반적이다.[248][249]

  • '''교가와 교호''' :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가[247]는 1955년에 개교 50주년을 맞아 제정된 것이다.[254] 작사는 조지훈[255], 작곡은 윤이상이 맡았다.[256] 교호는 1922년 구 교가(이광수 작사, 김영환 작곡)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다. 즉, 보성전문학교 시절에 제정된 것이다. 그래서 후렴구가 고려대학이 아닌 보전(Pojun, 보성전문)으로 표기돼 있다[257].


고려대학교 교호는 입실렌티(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 체이홉(안톤 체호프? 동명이인 체호프?), 카시코시 코시코(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그리스 카시코시우스?), 칼마시(카를 마르크스)까지 모두 네 사람이 계시는(케시케시) 의미이다. 이들은 출생 연대는 서로 다르지만 사회 저항비판 의식이 강했던 인물들이다. 따라서 교호를 만든 사람은 입실렌티, 체이홉, 카시케시 코시코에게 순서에 관계없이 ‘자유’, ‘정의’, ‘진리’라는 교훈(校訓)을 부여해 고대생에게 사회 저항의식을 가져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258]

8. 6. 고연전

'''고연전'''은 애교심을 높이고 연세대학교와의 친선을 위해 스포츠 경기[259], 강연[260], 온라인 게임[261], 사회공헌활동[262][263]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승부를 겨루는 행사이다. 영국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옥스브릿지(Ox-Bridge)전(戰)’과 일본와세다 대학게이오기주쿠 대학의 ‘소케이센’(早慶戦일본어)과 유사하다.

고연전은 매년 9월에 열리는 ‘정기 고연전’[221]과 그 외 기간에 열리는 ‘비정기 고연전’[264]으로 나뉜다. 보통 ‘고연전’은 ‘정기 고연전’을 의미한다.[266]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는 1925년 ‘제5회 전조선(全朝鮮) 정구대회’에서 처음 만났다. 1927년 경성운동장에서 열린 제8회 전조선 축구대회 준결승에서 보성전문학교 축구부와 연희전문학교 축구부가 맞붙은 것이 양교 간 첫 전면전이었다. 1946년 양교의 교명이 바뀌면서[66][268][269] ‘보연전’이 ‘고연전’으로 바뀌었다.

1965년부터 이틀 동안 축구, 농구, 야구, 럭비, 빙구 다섯 경기가 동시에 열리는 현재의 경기 방식이 정착되었다.[270]

정기전은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가 매년 번갈아 주최하며, 주최하는 학교의 이름을 뒤에 붙인다. 예를 들어 연세대학교 주최 시 ‘고연전’이 공식 명칭이다.[272] 그러나 고려대학교에서는 ‘고연전’, 연세대학교에서는 ‘연고전’으로 부른다.[273]

고연전 전에는 세종 오리엔테이션, 서울 오리엔테이션, 합동 오리엔테이션이 열린다.[274] 고연전 후에는 교우회 주최로 ‘1905 페스티벌’이 열려 선후배 간 화합을 다진다.[275][276]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간의 라이벌전은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두 대학 간에는 매년 가을 정기전이 열린다. 1956년부터 시작된 연세-고려 정기전은 매년 축구, 럭비, 야구, 농구, 아이스하키 5개 종목으로 구성된다.[44]

2014년에는 고려대학교가 5개 종목을 모두 석권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전승을 기록했다.

9. 운동부

축구, 야구, 농구, 아이스하키, 럭비 등 여러 종목의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는 한국대학교스포츠연맹(KUSF) 회원이며, 남자 축구, 남자 농구, 야구, 남자 아이스하키팀이 KUSF U리그에 참가한다.[33]

고려대학교는 연세대학교와 오랜 역사를 가진 운동 경기 라이벌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일제 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4] KUSF 승인 대회 외에도 두 대학은 매년 가을 이틀에 걸쳐 축구, 농구, 야구, 아이스하키, 럭비 5개 종목의 연례 "친선 경기"를 치르는데, 이는 1940년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이다. 이 경기는 고연전 (고려대학교 주최) 또는 연고전 (연세대학교 주최)이라고 불린다.

고려대학교의 마스코트와 상징은 호랑이이며, 학생 운동선수들은 비공식적으로 "호랑이"로 알려져 있다.[35] 교내에는 축구부, 럭비부, 야구부, 농구부, 아이스하키부 등 5개 종목의 스포츠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265]

10. 교우회 및 동문

고려대학교 출신 교우들의 모임인 고려대학교 교우회는 1907년 1월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 동문회인 ‘보전 친목회’로 창립되었다. 초대 회장은 조성구가 맡았으며[277] 현재 교우회장은 승명호이다. 고려대학교 교우회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상당히 강한 결속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에는 대한민국 재벌기업 경영자의 상당수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출신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283]

10. 1. 고려대학교 교우회

고려대학교 출신 교우들의 모임인 고려대학교 교우회는 1907년 1월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 동문회인 ‘보전 친목회’로 창립되었다. 초대 회장은 조성구(趙聲九)가 맡았으며[277] 현재 교우회장은 승명호(무역학과, 74학번)이다. 호남향우회, 해병전우회와 더불어 특별한 유대와 결속을 자랑하는 3대 모임 중 하나로 불릴 정도로 대한민국 사회에서 상당히 강한 결속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결속력은 이명박 대통령 출마와 당선 과정에서도 확인되었지만, 1990년대 후반 들어 입학생들의 구성이 변화하면서 현재의 결속력은 향후 약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278][279] 2010년 6월에는 교우회장 자리를 맡고 있던 천신일 세중나모여행 회장이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하였으며,[280] 이는 2011년 4월 28일에 개최한 대의원 정기총회 자리에서 구천서 차기 교우회장 후보의 인준 안건 부결에 영향을 미쳤다.[281] 교우회관 건물은 1994년 9월 29일에 착공하여 1996년 5월 30일에 개관하였으며[282] 사범대학 동쪽에 위치한다.

10. 2. 주요 동문

고려대학교는 약 28만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46], 이들 중에는 저명한 법조인, 의사, 엔지니어, 연구원, 올림픽 선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명성을 얻은 인물들이 많다. 특히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이명박, 제20대 국회의장 정세균, 제33·34·35대 서울특별시오세훈 등 많은 정치인을 배출했다.

이명박,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한국 포춘 500대 기업 조사 결과 고려대학교가 이들 기업 최고경영자(CEO)를 가장 많이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47]

1907년 1월 대한민국 최초 대학 동문회인 ‘보전 친목회’로 창립된 고려대학교 교우회는[277] 승명호가 현재 교우회장이다. 고려대학교 교우회는 호남향우회, 해병전우회와 더불어 특별한 유대와 결속을 자랑하는 3대 모임의 하나로 부를 정도로 대한민국 사회에서 상당히 강한 결속력을 발휘한다.[278][279]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 of Korea University https://www.korea.ac[...] Korea University 2023-06-28
[2] 웹사이트 About KU http://www.korea.ac.[...] Korea University 2023-06-28
[3] 웹사이트 고려대학교의 탄생 http://www.inchonmem[...] The Dong-A Ilbo 2023-08-03
[4] 뉴스 How the 'SKY' universities dominate https://koreajoongan[...] 2022-04-28
[5] 웹사이트 Global KU – Frontier Spirit https://web.archive.[...] 2009-11-12
[6] 웹사이트 About KU Promotion Brochures https://www.korea.ed[...] 2022-04-28
[7] 웹사이트 About KU History Outline https://www.korea.ed[...] 2022-04-28
[8] 웹사이트 [정경연 풍수기행] 고창 인촌 김성수 생가, 북향 명당… 청룡·백호가 감싸 보국 형성 http://www.joongboo.[...] 2018-10-03
[9] 웹사이트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한민국은 왜 과거에 빠진 '선동 천국' 됐나? [송의달 LIVE] https://n.news.naver[...] 2023-11-21
[10] 웹사이트 [Who Is ?] 윤을식 고려대의료원장 https://m.businesspo[...] 2023-10-10
[11] 웹사이트 고대소개 고대역사 연표 연표 https://www.korea.ac[...] 2023-11-21
[12] 웹사이트 About KU History Chronology Chronology https://www.korea.ed[...] 2023-07-22
[13] 웹사이트 Schools Graduate Schools https://www.korea.ac[...] 2023-07-22
[14] 웹사이트 대학·대학원 대학 서울캠퍼스 https://www.korea.ac[...] 2023-11-21
[15] 웹사이트 입학안내 대학입학 https://www.korea.ac[...] 2023-11-21
[16]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https://kuruss.korea[...]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3-22
[18]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15-07-16
[19]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http://www.topuniver[...]
[20]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 Rankings http://www.topuniver[...] 2015-07-03
[21] 웹사이트 제 58회 사법시험 합격자 배출 사립대 1위 http://korea.ac.kr/u[...] 2018-04-08
[22] 웹사이트 http://www.koreamba.[...]
[23] 웹사이트 Save Internet 뉴데일리 http://www.newdaily.[...]
[2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7-03
[25]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http://www.korea.ac.[...]
[26] 웹사이트 Global KU - Frontier Spirit http://www.korea.edu[...] 2010-10-19
[27]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Undergraduate Program Academic Curriculum Bachelor of International Studies https://int.korea.ed[...] 2022-12-10
[28] 웹사이트 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oia.korea.ac.[...] 2022-12-10
[29]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연구포탈 https://rms.korea.ac[...] 2023-11-21
[30] 웹사이트 About KU http://www.korea.ac.[...] Korea University 2019-02-20
[31] 웹사이트 고대소개 캠퍼스안내 찾아오시는길 https://www.korea.ac[...] 2023-11-21
[32]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동아리연합회 https://app.club.ku.[...] 2023-11-21
[33] 웹사이트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회원대학 https://kusf.or.kr/k[...] Korea University Sports Federation
[34] 뉴스 '사학 라이벌' 고려대-연세대, 정기전 우정의 맞대결 https://www.donga.co[...] 2019-09-03
[35] 뉴스 [게시판] 고려대·연세대, 6~7일 정기 고연전 개최 https://www.yna.co.k[...] 2019-09-04
[36]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http://www.korea.ac.[...] 2015-07-03
[37]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2010-10-19
[38] 웹사이트 한국경영학회 http://kasba.or.kr/i[...]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8-06-07
[39] 웹사이트 KB금융지주 https://web.archive.[...] 2010-10-19
[40]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http://www.kumc.or.k[...] 2022-04-28
[41]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https://web.archive.[...] 2010-10-19
[42] 웹사이트 장학금안내 - 고려대학교 Global KU - Frontier Spirit! http://www.korea.ac.[...] 2010-10-19
[43] 웹사이트 성적,면학장학금 - 고려대학교 Global KU - Frontier Spirit! http://www.korea.ac.[...] 2010-10-19
[44]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https://web.archive.[...] 2015-01-13
[45] 웹사이트 [Sc 매거진] 연고전의 역사 http://sports.chosun[...] 2008-09-02
[46]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교우회 https://web.archive.[...] 2015-07-03
[47] 웹사이트 500대 기업 총수 최대 學脈 '경복고-고려대 경영학' http://www.asiae.co.[...] 2015-07-03
[48] 웹사이트 [공지] 고려대-와세다 복수학위 프로그램 참여 정경대 학부생 공모 http://econ.korea.ac[...] 2023-11-21
[49] 웹사이트 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 Sam Nunn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inta.gatech.[...] 2023-07-16
[50] 웹사이트 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APSIA) Online Graduate School Fair https://careerservic[...] 2023-07-16
[51] 웹사이트 APSIA Member – Penn State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www.sia.psu.[...] 2023-07-16
[52] 웹사이트 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APSIA) https://ocs.yale.edu[...] 2023-07-16
[53] 서적 現代韓国の教育を知る 明石書店 2024-00-00
[54] 서적 韓国近代大学の成立と展開 名古屋大学出版会 1995-00-00
[55] 문서 조선여자의학강습소 설립
[56] 웹사이트 고려대학교학교규칙일람 https://www.korea.ac[...]
[57] 웹사이트 고려대학교학칙 https://www.korea.ac[...]
[58] 웹사이트 교육·학사|소속변경 https://sejong.korea[...]
[59] 뉴스 「学内の親日派銅像は恥ずかしい」…撤去を要求する韓国の大学生 https://web.archive.[...] 2018-02-28
[60] 웹인용 교훈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7-03-04
[61] 웹인용 고려대학교 대학개별공시 https://web.archive.[...] 대학알리미 2018-07-20
[62] 웹인용 의료원장 인사말 http://www.kumc.or.k[...] 고려대학교 의료원 2019-04-02
[63] 웹인용 고려대학교 현황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9-04-02
[64] 웹인용 고려대학교 상징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7-03-04
[65] 웹인용 고려대학교 상징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7-02-05
[66] 뉴스인용 건국동량(建國動梁)의 새 요람(搖籃)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46-05-20
[67] 웹인용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주요 연혁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2014-11-29
[68]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21-10-20
[69] 뉴스인용 진통(陣痛) 1年9개월만의 안주(安住) 고려대(高麗大) 우석대(友石大)병합의 언저리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1-12-02
[70] 뉴스인용 다시 격발(激發)된 학생(學生)데모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4-19
[71] 뉴스 굽이굽이 미완의 숙제 남기고 흐르는 '굴곡의 현대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6-06
[72] 웹인용 대통령긴급조치 제7호(1975.4.8) http://theme.archive[...] 국가기록원 나라기록 2011-06-06
[73] 웹인용 고대의 문은 누구도 닫을 수 없습니다! http://www.koreapas.[...] 고대신문 2011-06-06
[74] 뉴스 고려대 "`KU' 상표권 등록 어떻게 안될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07
[75] 뉴스 캠퍼스의 봄 (2) 고려대학편(高麗大學篇)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1-07-01
[76] 뉴스 4·19의 횃불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7-10
[77] 뉴스 고대(高大) 데모대(隊) 깡패단습격(團襲擊)으로 유혈소동(流血騷動)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7-10
[78] 뉴스 고대(高大)데모 대원(隊員)의 습격(襲擊) 유지광(柳志光)이 전화(電話)로 지시(指示)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1-07-10
[79] 뉴스 4·18 고대생 의거 50주년 기념 행사들 열려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1-07-10
[80] 뉴스 어리둥절 모두 어리둥절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1-06-06
[81] 뉴스 사학(私學)의 수난(受難) 고대(高大)·연대(延大)의 발자취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1-06-06
[82] 뉴스 무거운침묵(沈默) 위수·휴업령(休業令)내려져 굳게닫힌 캠퍼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6-06
[83] 뉴스 27년 만에 빛 본 1980년 ‘신동아’ 계엄검열 삭제 기사 ‘4·19에서 10·26까지 학생운동이 걸어온 발자취’ https://news.naver.c[...] 신동아 2011-06-06
[84] 뉴스 긴급조치(緊急措置) 7호선포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2011-06-04
[85] 뉴스 35日만에 門열린 고려大 校門의軍人에 "수고했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6-06
[86] 웹인용 도서관 연혁 http://library.korea[...] 고려대학교 도서관 2011-06-06
[87] 뉴스 고대(高大) 새도서관(圖書館)개관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6-24
[88] 뉴스 빛나는 졸업장 받기 힘들다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1-06-24
[89] 뉴스 대학졸업門 갈수록 '좁은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6-24
[90] 뉴스 영어못하면 졸업하기 힘들어진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5
[91] 뉴스 04학번, 한자이해능력 인증돼야 졸업한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5
[92] 뉴스 04학번 제2전공 꼭 선택해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5
[93] 뉴스 내년 개교 100주년 맞는 고려대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11-06-24
[94] 뉴스 치밀한 준비가 본교 도약의 전환점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3
[95]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6-04
[96] 뉴스 김병관 동아일보 명예회장 별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1-06-02
[97] 뉴스 2012 아시아 대학평가 : 사회과학 고려대, 인문학 연세대, 의학 성균관대 약진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05-25
[98] 뉴스 고려대 경영대 ‘추천하고 싶은 대학’ 국내 1위에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8-19
[99] 뉴스 고려대 경영대 왜 강한가 http://magazine.hank[...] 한국경제매거진 2011-08-17
[100] 뉴스 고려대 경영대 세계 86위 국내선 1위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5-05-25
[101] 뉴스 고려대 MBA, BK21 4년 연속 1위 세계 대학과 교류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1-08-17
[102] 뉴스 「BK21 플러스 사업」최종 선정결과 발표 http://www.korea.kr/[...] 교육부 2015-05-25
[103] 뉴스 '재벌 2세 요람', 고려대 경영대 인맥 https://news.naver.c[...] 신동아 2011-08-17
[104] 뉴스 사법연수생 신규 임명자, 주요대 편중 심화 http://news.lec.co.k[...] 법률저널 2011-08-17
[105] 뉴스 사시 2차 합격자수… 고려대 법대 첫 1위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1-08-19
[106] 뉴스 [2015 세계대학평가] 톱 200에 화학 10곳·전자 8곳… 한국대학 '工學 경쟁력' 더 강해졌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04-29
[107] 뉴스 한국 대학 4곳, 세계 톱 100에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09-06
[108] 뉴스 2018 QS 세계대학 순위 설카포 고대 성대 톱5...'성대 첫100위 진입' http://www.veritas-a[...] 베리타스알파 2018-06-07
[109] 뉴스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확장해 정보보호학부 개설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1-07-04
[110] 뉴스 이런 신설학과 아시나요? http://www.ktv.go.kr[...] 한국정책방송 2011-12-22
[111] 웹인용 학부제 전공배정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6-07-17
[112] 뉴스 2004년부터 연계전공 시행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3-11-03
[113] 뉴스 로스쿨 예비大서울권15곳 1140명,지방10곳 860명 잠정 확정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1-06-07
[114] 웹인용 https://www.waseda.jp/campus-asia/ https://www.waseda.j[...] 2024-01-16
[115] 웹인용 고려대 https://campusasia.k[...] 2024-01-16
[116] 웹인용 VSP https://web.archive.[...] Korea University International Exchange 2012-05-03
[117] 웹인용 장학금안내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0-07-16
[118] 웹인용 교환·방문 프로그램 안내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2012-05-03
[119] 뉴스 "고려대 글로벌化"아직도 배고프다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11-06-24
[120] 뉴스 수강생 56% 영어강의 불만족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6-03-13
[121] 뉴스 글로벌 KU 국제하계대학의 현주소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9-08-30
[122]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6-04
[123] 뉴스 고려대 영어강의, 단과대별 탄력운용키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06
[124] 뉴스 영어강의 효율성 높여 내실 갖춰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4-12-04
[125] 웹인용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가이드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2012-05-03
[126] 뉴스 한자졸업요건폐지, "단과대 자율에 맡기겠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5-08
[127] 웹인용 졸업안내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2011-07-03
[128] 웹인용 교과과정표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수학과 2012-05-03
[129] 웹인용 졸업에 관한 세부사항 안내 http://hoan.korea.ac[...]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2011-07-03
[130] 웹인용 졸업요구학점 및 조건 https://web.archive.[...]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2011-07-03
[131] 뉴스 졸업문이 좁아진다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1-07-03
[132] 뉴스 학칙에만 존재하는 전과제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08
[133] 웹인용 부전공/복수전공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6-07-17
[134] 뉴스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어윤대는 누구 https://web.archive.[...] 이투데이 2010-06-15
[135] 뉴스 대학캠퍼스 리모델링 전도사 고려대 장동식 교수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6-09-28
[136] 뉴스 [단독]고려대, KAIST보다 세종시 먼저 접수하나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4-08-14
[137] 뉴스 고려대 교우회, 2015 신년인사회 및 제2회 학술상 개최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5-01-06
[138] 뉴스 고려대, 세종시에 제3캠퍼스 조성…LH와 부지매입협상 돌입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5-06-26
[139] 뉴스 2005 서울사랑시민상 환경부문 시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02
[140] 뉴스 알림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7-04
[141] 뉴스 F학점의 악몽, 1970년대부터 시작됐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7-04-29
[142] 뉴스 고려大 호상(虎像)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2-02-14
[143] 뉴스 제2공학관을 위한 변명 http://kukey.com/new[...] 고대신문 2009-05-24
[144] 뉴스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256) 대학 캠퍼스 안의 역사적 건물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1-03-04
[145] 뉴스 그때 그곳엔 4·18기념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08
[146] 서적 ENJOY 서울 넥서스BOOKS 2009-06-15
[147] 뉴스 운동장을 공원으로 만든다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0-08-04
[148] 뉴스 고려대 중앙광장 준공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03-05
[149] 뉴스 그때 그곳엔 중앙광장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08
[150] 뉴스 고대광장 등 6개 건축물 '올해의 조경상' 수상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10-21
[151] 뉴스 仁村(인촌)선생의 나라사랑-교육사상을 중심으로 40周忌(주기) 추념강연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5-05-21
[152] 뉴스 웅장…화려…고풍…절제…대학가 근대건축물 관람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1-13
[153] 웹인용 고려대학교중앙도서관(高麗大學校中央圖書館)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011-06-04
[154] 뉴스 10대 사건으로 돌아본 어윤대 총장 임기 4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6-12-03
[155] 뉴스 내달 5일 100돌 고려대학교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5-04-10
[156] 뉴스 방학동안 중앙도서관 전면 리모델링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8-31
[157]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도서관 http://library.korea[...]
[158] 웹인용 의학도서관 층별안내 http://medlib.korea.[...] 2017-03-04
[159] 웹인용 고려대학교 도서관 현황/통계 https://library.kore[...] 2019-04-02
[160] 웹인용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학장 인사말 http://wizard.korea.[...]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2012-05-03
[161] 뉴스 그때 그곳엔 서관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08
[162] 뉴스 서관 시계탑, 사람이 돌리나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03
[163] 뉴스 고대 2만 학우를 위해 달리는 청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4-01
[164] 뉴스 그때 그곳엔 하나스퀘어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29
[165] 뉴스 대학 캠퍼스 ‘지하시대’ https://news.naver.c[...] 스포츠경향 2006-09-11
[166] 뉴스 하나스퀘어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7-10-01
[167] 뉴스 진통(陣痛) 1年9개月만의 안주(安住) 고려대(高麗大) 우석대(友石大)병합의 언저리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1-12-02
[168] 웹인용 연혁 http://www.woosuk.ac[...] 2011-07-13
[169] 뉴스 그때 그곳엔 의과대학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5-28
[170] 웹인용 연혁 http://www.kumc.or.k[...] 2011-06-02
[171] 뉴스 고대(高大) 혜화병원 옮긴다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1-07-12
[172] 뉴스 대학재단(大學財團) 그 이면(裏面) (11) 우석(友石) 재단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68-09-26
[173] 뉴스 고대의대, 의학교육 위해 시신 기증한 뜻 되새겨 http://medipana.com/[...] 메디파나 2011-04-22
[174]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korea.ac.kr/m[...] 2017-03-04
[175] 뉴스 인물 동정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97-08-11
[176] 웹인용 고려대학교 약사 http://korea.ac.kr/m[...] 2017-03-04
[177] 웹인용 예약하기 http://www.korea.ac.[...] 2011-06-06
[178] 뉴스 국내 대학 최대규모 고려대 화정체육관 준공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1-06-02
[179] 뉴스 그때 그곳엔 화정체육관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180] 뉴스 노천극장 대신 체육관이 생긴다면?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4
[181] 웹인용 캠퍼스 변천사 https://sejong.korea[...] 2017-03-04
[182] 뉴스 고려대 세종캠퍼스 개교 30주년 기념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24
[183] 뉴스 30년 쌓아올린 세(世)상의 종(宗)심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19
[184] 뉴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명칭 선포식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7-03-04
[185] 웹인용 연혁 http://sejongjwizard[...] 2012-05-03
[186] 웹인용 현황 http://www.kumc.or.k[...] 2011-06-06
[187] 웹인용 연혁 http://www.kumc.or.k[...] 2017-03-04
[18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doctorsne[...] 2013-05-23
[189] 웹인용 편의시설안내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6-06
[190] 뉴스 고려대 '완도청해진 수련관' 준공식 개최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1-06-02
[191] 웹인용 유니스토어 상품소개 http://www.unistore.[...] UNI STORE 2011-06-02
[192] 뉴스 맥도날드에서 "막걸리 달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3
[193] 뉴스 고대에 밥 먹을 곳이 사라지고 있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194] 뉴스 고려대앞 캠퍼스타운 개발 반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02
[195] 뉴스 학도호국단규공포(學徒護國團規公布)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1-06-29
[196] 뉴스 2001년, 최초로 여학생 총학 당선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8-12-12
[197] 뉴스 학도호국단(學徒護國團)드디어해체(解體)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6-29
[198] 뉴스 고대총학생회(高大總學生會) 활동정지처분(活動停止處分)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6-29
[199] 뉴스 97개大 호국단(護國團)발단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2011-06-29
[200] 뉴스 "김준엽 전 총장은 `진정한 선비'의 전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09
[201] 뉴스 실천하는 지성, 시대의 스승 故 김준엽 전 총장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1-06-09
[202] 웹인용 학생처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6-29
[203] 웹인용 고대신문 소개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2
[204] 뉴스 1960년 고대생들 깡패들에게 피습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1-06-06
[205] 웹인용 고대신문의 최근 편집 경향에 대한 단상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자유게시판 2011-06-24
[206] 뉴스 서울大 대학신문 편집권 갈등 창간후 첫 '半백지'발행 파문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1-06-24
[207] 웹인용 대학신문 학생기자단의 '편집권 투쟁'을 지지한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자유게시판 2011-06-24
[208] 뉴스 사과드립니다 http://www.snunews.c[...] 대학신문 2011-06-24
[209] 웹인용 월간호 보기 http://komun.net/zbx[...] 고대문화 2011-06-06
[210] 웹인용 계간호 보기 http://komun.net/zbx[...] 고대문화 2011-06-06
[211] 웹인용 고대문화란? http://komun.net/zbx[...] 고대문화 2011-06-06
[212] 웹인용 About http://thegranitetow[...] 2011-06-06
[213] 웹인용 고려대학교 교육매체실 http://www.korea.ac.[...] 2014-04-30
[214] 웹인용 KUBS 소개 http://www.kubs.ac.k[...] 고려대학교 교육방송국 KUBS 2011-06-06
[215] 웹인용 정규방송 http://www.ktn.ac.kr[...] KTN 고려대학교TV방송국 2011-06-06
[216] 웹인용 KUTV소개 http://kutv.korea.ac[...] KUTV 2014-04-30
[217] 웹인용 정규방송 편성표 http://kutv.korea.ac[...] 2011-06-06
[218] 웹인용 정규방송 전체보기 http://kutv.korea.ac[...] 2011-06-06
[219] 웹인용 KDBS 소개 http://bbbo.homejoa.[...] 고려대학교 방송국 KDBS 2011-06-29
[220] 웹인용 고려대학교 교환학생 교류회 http://cafe.naver.co[...] 고려대학교 교환학생 교류회 2015-11-17
[221] 웹인용 정기 고연전 http://www.kuleader.[...] 고려대학교 응원단 2013-02-23
[222] 웹인용 지.야의 함성 http://www.kuleader.[...] 고려대학교 응원단 2011-06-06
[223] 웹인용 응원단 역사 http://www.kuleader.[...] 고려대학교 응원단 2011-06-06
[224] 웹인용 여울 현황 http://tour.korea.ac[...] 고려대학교 학생홍보대사 여울 2011-06-03
[225] 뉴스 「교양의 공간」 생활도서관 속속 등장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5-08-01
[226] 웹인용 안암에서의 정보운동 : 생활도서관 http://naver.nanet.g[...] 국회전자도서관 2011-07-01
[227] 뉴스 지역주민 향해 열려라! 도서관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1-07-01
[228] 뉴스 올리브·올리버를 아십니까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11-07-01
[229] 뉴스 고전음악들으며 공부할까요?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230] 뉴스 고파스에서 24시간 클래식 음악방송을 즐겨보세요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9
[231] 뉴스 막걸리 찬가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10
[232] 뉴스 교우들이 말하는 '그땐 그랬지'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3
[233] 뉴스 전통을 이어가는 고려대학교 막걸리사발식 http://sportsworldi.[...] SPORTS WORLD 2011-06-10
[234] 뉴스 우와~ 멋있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1
[235] 뉴스 제9회 동아리 박람회 개최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1
[236] 뉴스 '대학생 특권 동아리에 도전하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01
[237] 뉴스 실질활동 회원수 감소로 고심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23
[238] 뉴스 중앙동아리, 물처럼 흘러야 산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23
[239] 뉴스 동아리지원금 신청 안 하면 못받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7-23
[240] 웹인용 4ㆍ18 의거 50주년 기념 행사 http://www.korea.ac.[...] 고대TODAY 2011-07-03
[241] 웹인용 4.18 마라톤, 선배들의 혁명 정신 http://www.korea.ac.[...] 고대TODAY 2011-07-03
[242] 뉴스 4·18 우리는 무엇을 향해 달려가는가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2
[243] 뉴스 석탑축전(石塔祝典)개막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2011-06-29
[244] 뉴스 다사다난했던 개교기념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3
[245] 뉴스 고려대 대동제, 어떻게 변해왔을까?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3
[246] 뉴스 '이공계인' 사로잡을 애기능 축제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5-15
[247] 웹사이트 고대의 노래 http://www.korea.ac.[...]
[248] 뉴스 '고대 37회' 동기회 열려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3-10-06
[249] 웹인용 입실렌티 체이홉 카시코시 코시코 칼마시 케시케시 http://www.hadream.c[...] 한울노동문제연구소 2008-01-08
[250] 뉴스 “지성의 고대인, 응원에서만큼은 야성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07-09-29
[251] 뉴스 ‘뱃노래’부터 ‘슈퍼맨’까지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9-05
[252] 뉴스 "열정만은 너에게 질 수 없어, 친구야"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05-19
[253] 뉴스 가장 인기있는 응원곡 1위 '민족의 아리아'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9-04
[254] 웹인용 마음의 고향 http://ku65.or.kr/tt[...] 고대65동기회 2009-01-06
[255] 뉴스 한국의 名家 현대편 (19) 조지훈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11-05-23
[256] 뉴스 校歌로 만나는 윤이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3-18
[257] 서적 사진으로 본 고려대학교 80년
[258] 간행물 사회비판의식과 「자유」․「정의」․「진리」내포 고대신문 1995-05-01
[259] 뉴스 2011 고연전 '돌아온 호랑이, 고려대의 승리로 막내려' http://bntnews.hanky[...] 한경닷컴 2011-06-26
[260] 뉴스 고려ㆍ연세대 `강의도 고연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0-02
[261] 뉴스 '사이버 고연전' 연다…기업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1-06-11
[262] 뉴스 ‘봉사활동 고연전’ 펼쳐진다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03-30
[263] 뉴스 '피 터지는' 고연전? '피 나누는' 고연전!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7-10-04
[264] 웹인용 비정기 고연전 http://www.kuleader.[...] 고려대학교 응원단
[265] 웹인용 스포츠단체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66] 뉴스 허정무.홍명보 등 축구 스타들의 고연전 추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5-01
[267] 웹인용 고연전 역사 http://www.kuleader.[...] 고려대학교 응원단
[268]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69] 웹인용 연희대학교 http://www.yonsei.ac[...] 연세대학교
[270] 뉴스 캠퍼스 가득한 크림슨, 비슷해 보여도 다 달라요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5-22
[271] 뉴스 고연(高延) 민족해방제 오늘부터 6일간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0-10-08
[272] 뉴스 100년 호랑이 vs 120년 독수리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5-09-22
[273] 서적 세상 밖으로 나온 심리학 네모북스 2006-07-29
[274] 뉴스 응원오티에 참여하세요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0-09-05
[275] 뉴스 고려대 1905페스티벌 “나비처럼 돌아와 범처럼 쏜다” http://media.daum.ne[...] 뉴스와이어 2006-09-20
[276] 뉴스 고려대, 동시간 최다 동문화합 '1905페스티벌'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0-09-09
[277] 웹인용 교우회 연혁 http://www.kuaa.or.k[...] 고려대학교 교우회
[278] 뉴스 특유의 유대감으로 ‘똘똘’ 대통령 이어 의원 25명 배출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09-10-21
[279] 뉴스 高大 교우회, 그 유별난 결속력 어디서 나오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1-17
[280] 뉴스 `알선수재' 천신일 회장 징역 2년6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6-16
[281] 뉴스 구천서 고려대 교우회장 인준 부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4-29
[282] 웹인용 연표 http://www.korea.ac.[...] 고려대학교 2011-06-06
[283] 뉴스 다른 대학 출신은 기업인들 사이에 끼지도 못한다… "두 명문대학교의 질주"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5-04-16
[284] 웹인용 고려대-와세다대 교우회 교류 확대 https://www.donga.co[...] 2024-01-16
[285] 웹인용 ‘고·연전’에 일본 와세다대 응원단 가세 https://news.unn.net[...] 2024-01-16
[286] 웹인용 문희상 한국의장을 모셨을 때, 와세다 대학·스카 코이치(須賀晃一) 부총장 및, 요시노 타카시(吉野孝) 지역간 연구 기구장의 환영사를 아래에 내걸었습니다. 新学術領域研究 和解学の創成 https://www.waseda.j[...] 2024-01-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