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자리 8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병자리 88은 분광형 K1 III의 오렌지색 거성이다. 태양의 약 30배 반지름, 2배 질량, 4,470K 표면 온도, 300배 광도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안정적인 단독성이고 변광이나 적외선 과잉을 보이지 않아 적외선 간섭계를 이용한 별의 겉보기 지름 측정 시 보정 별로 사용된다. 적색 거성 가지 또는 수평 가지 단계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최근 분석에서는 수평 가지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게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 K형 거성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K형 거성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물병자리 88 | |
|---|---|
| 명칭 | |
| 이름 | 물병자리 88 |
| 다른 명칭 | 물병자리 c² BD-21 6368 FK5 873 HD 218594 HIP 114341 HR 8812 IRC -20629 SAO 191683 |
| 관측 정보 | |
| 별자리 | 물병자리 |
| 시선 속도 | 21.3 km/s |
| 고유 운동 (적경) | 55.40 밀리초/년 |
| 고유 운동 (적위) | 30.49 밀리초/년 |
| 연주 시차 | 12.05 ± 0.22 밀리초각 |
| 겉보기 등급 | +3.679 |
| 위치 정보 | |
![]() | |
| 물리적 특징 | |
| 분광형 | K1 III |
| B-V 색 지수 | +1.215 |
| U-B 색 지수 | +1.239 |
| 반지름 | 29.39 R☉ |
| 질량 | 2.08 M☉ |
| 광도 | 308.73 L☉ |
| 표면 온도 | 4,470 K |
| 표면 중력 | 0.07 G1 |
| 자전 속도 | 3.59 km/s |
| 금속 함량 | -0.20 ± 0.10 |
| 나이 | 1.1 년 |
| 거리 정보 | |
| 거리 | 231.1 광년 |
| 절대 등급 | -0.6 |
2. 특징
물병자리 88은 분광형 K1 III의 오렌지색 거성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약 30배, 질량은 태양의 약 2배로 추정된다. 표면 온도는 약 4,470K, 광도는 태양의 약 300배로 추정된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성으로 안정적인 단독성이며, 변광이나 적외선 과잉을 보이지 않아 적외선간섭계를 이용한 별의 겉보기 지름 측정에서 보정을 위한 비교 별로 사용된다.
적색 거성 가지 단계인지, 수평 가지 단계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 중이며, 최근 분석에서는 4:1의 확률로 수평 가지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진다.
2. 1. 물리적 특성
물병자리 88은 분광형이 K1 III로 분류되는 오렌지색 거성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30배 가까이 되고, 질량은 태양의 2배 정도로 추정된다. 표면 온도는 약 4,470K, 광도는 태양의 300배 정도로 추정된다.물병자리 88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성이며, 안정적인 단독성이고, 변광이나 적외선 과잉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적외선간섭계에 의한 별의 겉보기 지름 측정에 있어서 보정을 위한 비교 별로 이용된다.
물병자리 88은 진화가 진행되어 거성이 되었지만, 적색 거성 가지 단계에 있는지, 수평 가지 단계에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되고 있다. 최근의 분석에서는 4:1의 확률로 수평 가지에 있는 편이 더 그럴듯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2. 2. 관측 상의 특징
물병자리 88은 분광형이 K1 III로 분류되는 오렌지색 거성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30배 가까이 되고, 질량은 태양의 2배 정도로 추정된다. 표면 온도는 약 4,470K, 광도는 태양의 300배 정도로 추정된다.물병자리 88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성이며, 안정적인 단독성이고 변광이나 적외선 과잉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적외선간섭계에 의한 별의 겉보기 지름 측정에서 보정을 위한 비교 별로 이용된다.
물병자리 88은 진화가 진행되어 거성이 되었지만, 적색 거성 가지 단계에 있는지, 수평 가지 단계에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되고 있다. 최근의 분석에서는 4:1의 확률로 수평 가지에 있는 편이 더 그럴듯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2. 3. 진화 단계
물병자리 88은 분광형 K1 III로 분류되는 오렌지색 거성이다.[1] 반지름은 태양의 약 30배, 질량은 태양의 약 2배로 추정된다. 표면 온도는 약 4,470K, 광도는 태양의 약 300배로 추정된다.[2]물병자리 88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거성이며, 안정적인 단독성이고 변광이나 적외선 과잉을 보이지 않아 적외선간섭계를 이용한 별의 겉보기 지름 측정에서 보정을 위한 비교 별로 사용된다.[3]
물병자리 88은 진화가 진행되어 거성이 되었지만, 적색 거성 가지 단계에 있는지, 수평 가지 단계에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최근 분석에서는 4:1의 확률로 수평 가지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진다.[2]
참조
[1]
기타
[2]
웹사이트
c02 Aqr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20-03-05
[3]
간행물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1995-11
[4]
논문
Optimized Trajectories to the Nearest Stars Using Lightweight High-velocity Photon Sails
2017-09
[5]
논문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X. Bayesian stellar parameters and evolutionary stages for 372 giant stars from the Lick planet search
2018-08
[6]
논문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III. Spectroscopic stellar parameters
2007-12
[7]
논문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VII. Occurrence rate of giant extrasolar planets as a function of mass and metallicity
2015-02
[8]
논문
First results from the ESO VLTI calibrators program
2005-05
[9]
논문
The enigma of GCIRS 3. Constraining the properties of the mid-infrared reference star of the central parsec of the Milky Way with optical long-baseline interferometry
20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