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므라브리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라브리족은 "숲 사람들"을 의미하는 크무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태국과 라오스에서 "피 떵 루앙" 또는 "노란 잎의 사람들"이라고도 불리는 민족이다.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는 수렵채집민이었으며, 1990년대 이후 태국 북부 지역에 정착하여 생활 방식을 변화시켰다. 유전자 분석 결과, 므라브리족은 500~800년 전 소수 집단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에 대한 반박도 있었다. 현재는 공립학교 교육, 의료 서비스 혜택을 받으며, 고산 농업, 일용직 노동 등 다양한 경제 활동에 종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 수렵채집민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아시아 수렵채집민 - 네안데르탈인
    네안데르탈인은 유럽과 서아시아에 살았던 고대 인류로, 큰 뇌 용량과 독특한 신체적 특징을 지녔으며, 무스테리안 문화를 사용하고 동굴에서 거주하며 매장 의례를 치르는 등 복잡한 사회생활을 영위했지만, 현생 인류와의 경쟁, 기후 변화 등으로 약 4만 년 전 멸종한 종이며, 현생 인류와 이종교배하여 현생 인류 유전체에 일부 유전자가 남아있다.
  • 라오스의 민족 - 라오스인
    라오스인은 라오스의 주민을 지칭하며, 라오스 정부는 라오룸, 라오틍, 라오쑹의 세 가지 주요 민족으로 분류하여 국민 통합을 추구한다.
  • 라오스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므라브리족
기본 정보
믈라브리족
믈라브리족
인구약 400명 (추정)
거주지라오스, 태국
종교기독교, 애니미즘
언어믈라브리어, 기타

2. 명칭

므라브리(Mlabri)라는 명칭은 크무어에서 "숲 사람"을 의미하는 'Mrabri'라는 단어의 태국어/라오스어 변형이다.[1] 현지에서는 "노란 잎의 사람들"이라는 의미인 떵루앙족(Phi Tong Leuang)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이 잎이 노랗게 물들기 시작하면 거주지를 버리고 떠나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1]

크무어어에서 "mra"는 "사람"을, "bri"는 "숲"을 의미한다.[2] 므라브리족은 잎이 노랗게 변하기 시작하면 거처를 버리기 때문에 현지에서는 "피 통 루앙(Phi Tong Leuang)" (ผีตองเหลืองth, ຜີຕອງເຫລືອງlo) 또는 "노란 잎의 영혼"으로도 알려져 있다.[2]

3. 기원 및 유전적 특징

히로키 오타(Hiroki Oota) 연구팀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므라브리족의 mtDNA 다양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했으며, 이들이 500~800년 전에 극소수의 집단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 그러나 2005년 PLoS Biology 저널에서 히로키 오타 연구팀과 토니 워터스 사이에 이 주장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4. 생활 양식

므라브리족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해왔다. 이들은 자주 거처를 옮겨 영구적인 집이 없었으며, 야자나무 잎과 대나무 줄로 임시 거처를 만들었다. 오늘날에는 대부분 다른 산악 부족과 무역으로 얻은 공장제 옷을 입지만, 과거에는 나무껍질이나 천 조각으로 하체만 가렸다.[6] 이들은 대부분 식량을 채집으로 얻는 수렵채집민이다. 여성들은 숲에서 혼자 아이를 낳았으며, 과거 영아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므라브리족은 체계적인 사회 제도가 거의 없다. 형식적인 신앙 체계도 없는 것으로 전해지며, 숲이나 기타 자연의 정령을 믿는다. 결혼은 간단한 요청으로 이루어지며 신붓값은 없다. 사망자는 숨진 곳 근처에 매장되고 부족은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6]

5. 현대 사회의 변화

1990년대 이후, 태국의 므라브리족은 프래 주와 난 주에 정착했다. 태국 정부는 그들이 예전에 살던 숲 지역을 국유림으로 선포하고 므라브리족이 그곳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6] 므라브리족이 사는 집은 시멘트 블록과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금속 지붕과 전기 시설을 갖추고 있다. 므라브리족 아이들은 공립 학교에 다니고, 의료 서비스도 개선되었다.[5] 2013년에는 므라브리족의 자살률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었다.[6] 므라브리족은 여전히 수렵과 채집을 하지만, 고산 농업과 해먹 짜기, 일용직 노동도 한다.

시린톤 공주는 난 주의 므라브리족 정착지를 후원하고 있다.

6. 관련 연구

1938년, 오스트리아의 인류학자 휴고 베르나치크(Hugo Bernatzik)는 '노란 잎사귀 민족'이라는 민족지를 출판하여 므라브리족에 대한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므라브리족에 대한 다른 연구로는 다음이 있다:


  • 오오타 히로키 외, "수렵 채집 집단의 최근 기원과 문화적 회귀", PLOS Biology 2005년 3월, 3권 3호.
  • 워터스, 토니, " '수렵 채집 집단의 최근 기원과 문화적 회귀'에 대한 논평," PLoS Biology 2005년 8월, 3권 8호.
  • 리셸, 위르겐. ''므라브리와 몬크메르: 수렵 채집 언어의 역사를 추적하다''. 덴마크 왕립 과학 문학 협회 2007.
  • 슐리징어, 요아힘, ''라오스 민족 집단, 2권'', 화이트 로터스 2000.
  • 사이암 학회. "므라브리" 《사이암 학회 저널》 특별 호 51권(2) 1963.
  • 롱, 유진, 메리 롱, 토니 워터스. "태국 정착 수렵 채집 집단의 인구 통계." 《사이암 학회 저널》(v.105) 2017.
  • 롱, 메리, 유진 롱, 토니 워터스. "태국 북부 므라브리 수렵 채집인들의 자살." 《사이암 학회 저널》(v. 101) 2013.
  • 니몬지야, 슈, "유령에서 산악 부족을 거쳐 태국 시민까지: 태국 북부 므라브리족의 역사로." 《아세아니》 32: 155-176, 2013.
  • 트리어, 예스퍼 ''정령을 부르다'' - 므라브리의 물질적, 정신적 삶에 대한 현장 연구, 2008년 7월.

6. 1. 참고 문헌


  • 베르나치크, 휴고, ''노란 잎의 정령'' 라이프치히 1938; 런던: R. 헤일. E. W. 딕슨 번역. 1958.
  • 롱, 유진, 메리 롱, 토니 워터스. "태국 정착 수렵 채집 집단의 인구 통계." 《사이암 학회 저널》(v.105) 2017.
  • 롱, 메리, 유진 롱, 토니 워터스. "태국 북부 므라브리 수렵 채집인들의 자살." 《사이암 학회 저널》(v. 101) 2013.
  • 니몬지야, 슈, "유령에서 산악 부족을 거쳐 태국 시민까지: 태국 북부 므라브리족의 역사로." 《아세아니》 32: 155-176, 2013.
  • 오오타 히로키 외, "수렵 채집 집단의 최근 기원과 문화적 회귀", PLOS Biology 2005년 3월, 3권 3호.
  • 리셸, 위르겐. ''므라브리와 몬크메르: 수렵 채집 언어의 역사를 추적하다''. 덴마크 왕립 과학 문학 협회 2007.
  • 슐리징어, 요아힘, ''라오스 민족 집단, 2권'', 화이트 로터스 2000, pp. 187–197
  • 사이암 학회. "므라브리" 《사이암 학회 저널》 특별 호 51권(2) 1963.
  • 워터스, 토니, " '수렵 채집 집단의 최근 기원과 문화적 회귀'에 대한 논평," PLoS Biology 2005년 8월, 3권 8호.
  • 트리어, 예스퍼 ''정령을 부르다'' - 므라브리의 물질적, 정신적 삶에 대한 현장 연구, pp. 325, 2008년 7월

참조

[1] 서적 Social Changes and Lifestyle of Mlabris in Tambol Mae Khaning, Amphur Wiangsa, Nan Province http://ird.stou.ac.t[...] Sukhothai Thammathirat Open University
[2] 웹사이트 Mlabri (Tong Lueang) http://www.doa.go.th[...] 2019-07-13
[3] 웹사이트 Mlabri https://www.ethnolog[...]
[4] 서적 Ethnic Groups of Laos, vol. 2
[5] 간행물 The Demographics of a Village of Recently Settled Hunter- Gatherers in Thailand https://www.academia[...]
[6] 논문 "Suicide Among the Mla Bri Hunter-Gatherers of Northern Thailand."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