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셸 케르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셸 케르베르는 프랑스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난 수학자이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 대학교 쿠란트 연구소와 제네바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스위스 수학회 명예 회원으로 활동했다. 미분 위상수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케르베르 불변량 연구에 기여했다. 여러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으며, 존 밀너와 공저한 논문은 호모토피 구의 매끄러운 구조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수학자 -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스위스 태생의 독일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로, 원주율의 무리수성 증명, 쌍곡선 함수 삼각법 도입, 비유클리드 기하학 추측 제시 등 수학과 과학 분야는 물론 '현상학' 용어 사용과 칸트와의 서신 교환 등 철학 분야에도 기여했다.
  • 스위스의 수학자 - 야코프 슈타이너
    야코프 슈타이너는 스위스 출신의 기하학자로, 사영기하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슈타이너 원뿔곡선을 제시했으며, 저서를 통해 현대 종합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컴퍼스 없이 직선만으로 2차 방정식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였다.
  • 미국에 거주한 스위스인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에 거주한 스위스인 - 제르단 샤키리
    제르단 샤키리는 코소보 출신 알바니아계 스위스 축구 선수로, 스위스 국가대표팀에서 125경기 32골을 기록하고 FC 바젤, 바이에른 뮌헨 등 여러 클럽을 거쳐 2024년 은퇴했다.
  • 대수학자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대수학자 - 에미 뇌터
    에미 뇌터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추상대수학과 이론물리학에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대수학의 추상적인 개념 정립과 뇌터 정리 증명, 여성에 대한 차별 극복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미셸 케르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Michel André Kervaire
출생일1927년 4월 26일
출생지폴란드 쳉스토호바
사망일2007년 11월 19일
사망지스위스 제네바
국적프랑스
학문
분야수학
소속뉴욕 대학교
제네바 대학교
출신 대학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지도 교수하인츠 호프
베노 에크만 (Beno Eckmann)
주요 업적케르베르 불변량(Kervaire invariant)
매끄러움 구조가 없는 위상다양체의 존재 증명

2. 생애

미셸 케르베르는 프랑스 사업가 앙드레 케르베르와 넬리 데랑쿠르의 아들이었다. 프랑스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47년부터 1952년까지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55년 하인츠 호프와 베노 에크만의 지도하에 "일반화된 적분 곡률과 호모토피"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뉴욕 대학교 쿠란트 연구소(1959년~1971년)와 제네바 대학교(1971년~1997년)에서 교수로 재직했다.[2] 1986년 뇌샤텔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위스 수학회 명예 회원이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미셸 케르베르는 프랑스 사업가 앙드레 케르베르와 넬리 데랑쿠르의 아들이었다. 프랑스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47년부터 1952년까지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55년 하인츠 호프와 베노 에크만의 지도하에 "일반화된 적분 곡률과 호모토피"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2. 학문적 경력

뉴욕 대학교 쿠란트 연구소에서 1959년부터 1971년까지 교수로 재직했으며, 1971년부터 1997년 은퇴할 때까지 제네바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2] 1986년 뇌샤텔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위스 수학회 명예 회원이었다.[3]

3. 연구 업적

미셸 케르베르는 미분 위상수학 분야에서 존 밀너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호모토피 구의 군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1] 미분 불가능한 다양체의 존재를 증명했다. 이 외에도 고차원 매듭 이론,[3] 매끄러운 호몰로지 구와 그 기본군, 단항 아이디얼의 최소 해상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3. 1. 미분 위상수학

존 밀너와 함께 호모토피 구의 군(Groups of homotopy spheres)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1] 이 연구는 n > 4인 n-구에 대한 매끄러운 구조의 군의 구조를 설명한다.[1] 미분 가능한 구조를 허용하지 않는 매니폴드(A manifold which does not admit any differentiable structure)라는 논문을 통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다양체가 미분 구조를 가질 수 없음을 증명했다.

Groups of homotopy spheres: I영어[1]

A manifold which does not admit any differentiable structure영어

3. 2. 기타 연구

미셸 케르베르는 고차원 매듭 이론에 기여했다.[3] 1965년 《Bulletin de la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 주제를 다루었다.[3]

또한, 케르베르는 매끄러운 호몰로지 구와 그 기본군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1969년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에 게재되었다.

1990년에는 샬롬 엘리아후와 함께 일부 단항 아이디얼의 최소 해상도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이 논문은 《Journal of Algebra》에 게재되었다.

4. 저서

연도제목저널비고
1960A manifold which does not admit any differentiable structure영어[1]Commentarii Mathematici Helvetici
1963Groups of homotopy spheres: I영어[2]Annals of Mathematics존 밀너와 공저
1965Les nœuds de dimensions supérieures프랑스어[3]Bulletin de la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1969Smooth homology spheres and their fundamental groups영어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90Minimal resolutions of some monomial ideals영어Journal of Algebra샬롬 엘리아후와 공저


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Collaborateurs retraités http://www.unige.ch/[...]
[3] 웹사이트 Honorary members of the SMS http://www.math.ch/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