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는 1950년 3.2만 명에서 2020년 11.5만 명으로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중위 연령은 24.4세이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5%로 젊은 인구 구조를 보인다. 2019년 유엔 인구 통계에 따르면 총인구는 11만 3800명이며, 15세 미만 인구 비율이 31.5%로 높다. 2021년 추정 인구는 104,832명이며, 영어, 추크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가 주요 종교이다. 1980년 기준 문맹률은 89%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 | |
---|---|
개요 | |
![]() | |
전체 인구 | 101,009명 (2022년 추정) |
국적 | 미크로네시아인 |
인구 구조 | |
0-14세 | 28.24% |
65세 이상 | 4.95% |
인구 변동 | |
인구 증가율 | -0.67% (2022년 추정) |
출생률 | 1,000명당 18.39명 (2022년 추정) |
사망률 | 1,000명당 4.19명 (2022년 추정) |
순 이동 | 1,000명당 -20.91명 (2022년 추정) |
영아 사망률 | 1,000명당 21.9명 |
기대 수명 | |
남성 | 72.34세 |
전체 | 74.44세 |
여성 | 76.66세 |
합계 출산율 | 여성 1인당 2.24명 (2022년 추정) |
유전 | |
관련 연구 | 핑겔라프 및 모킬 환초: 역사적 유전학 핑겔라프 및 모킬 환초: 완전 색맹 |
2. 인구학적 동향
유엔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는 1950년 3.2만 명에서 2020년 11.5만 명으로 증가했다.[6] 중위 연령은 같은 기간 19.8세에서 24.4세로 상승했고,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에서 5%로 증가하여 다른 국가들에 비해 젊은 인구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950-1955년 3.4%에서 점차 하락하여 2000년대에는 일시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10-2020년에는 1.1%로 다시 증가했다.[7] 합계출산율은 1950-1955년 7.20명에서 2015-2020년 3.08명으로 감소했지만,[8] 여전히 대체출산율(2.1명) 및 세계 평균(2.45명, 2019년 기준)을 상회한다.
출생 시 기대수명은 1950-1955년 51.3세에서 2015-2020년 67.7세로 꾸준히 증가했으며,[9] 신생아 사망률은 같은 기간 1000명당 95명에서 23명으로 감소했다.[9] 2019년 유엔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가 2050년에는 13만 90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CIA 월드 팩트북의 2020년 추정치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는 102,436명이며, 인구 성장률은 -0.6%, 출생률은 인구 1,000명당 18.9명, 사망률은 4.3명, 순 이동률은 인구 1,000명당 -20.9명이다. 출생 시 기대 수명은 73.9세(남성 71.8세, 여성 76.1세)이며, 합계 출산율은 2.29명이다.
2. 1. 인구 변화 추이
유엔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는 1950년 3.2만 명에서 2020년 기준 11.5만 명까지 증가했다.[6] 중위 연령은 1950년 19.8세에서 2020년 24.4세로 조금씩 상승했고, 65세 이상 인구 비율도 같은 기간 1%에서 5%로 증가하는데 그쳐 다른 국가들에 비해 인구가 매우 젊은 편이다.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950-1955년 3.4%에서 점차 하락해 2000-2005년 -0.2%, 2005-2010년 -0.6%로 감소세로 돌아섰으나, 이후 반등해 2010-2020년 평균 1.1%로 증가세로 돌아섰다.[7] 합계출산율은 1950-1955년 7.20명에서 2015-2020년 3.08명으로 감소했으나[8], 이는 대체출산율 2.1을 상회함은 물론 전 세계 평균 2.45명(2019년 기준)보다도 높은 수치이다.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 | |||||||
---|---|---|---|---|---|---|---|
1950 | 197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3.2만 명 | ↗6.1만 명 | ↗9.6만 명 | ↗10.7만 명 | ↘10.6만 명 | ↘10.3만 명 | ↗10.9만 명 | ↗11.5만 명 |
출생시 연평균 기대수명은 1950-1955년 51.3세에서 계속 증가해 2015-2020년 67.7세를 기록했으며[9], 같은 기간 신생아 사망률은 1000명당 1950-1955년 95명에서 2015-2020년 23명으로 줄어들었다. 2019년 유엔은, 중위 추계를 기준으로,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가 2050년 13만 9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음은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른 2020년 추정치이다.[5]
- 인구: 102,436명
- 인구 성장률: -0.6%
- 출생률: 인구 1,000명당 18.9명
- 사망률: 인구 1,000명당 4.3명
- 순 이동률: 인구 1,000명당 -20.9명
- 유아 사망률: 출생 1,000명당 17.8명
- 출생 시 기대 수명: 73.9세 (남성 71.8세, 여성 76.1세)
- 합계 출산율: 여성 1명당 2.29명
2. 1. 1.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유엔의 2019년 인구 통계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총인구는 11만 3800명이었다. 연령별로는 15세 미만이 31.5%, 15~24세가 20.5%, 25~64세가 43.9%, 65세 이상이 4.2%였다.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는 10.5명이었다.[6]항목 | 내용 |
---|---|
인구 성장률 | 1.1% |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 22.7명 |
합계출산율 | 3.01명 |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 6.6명 |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 22명 |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 31명 |
출생시 기대수명 | 67.9세 |
2. 1. 2. 인구 구조 (2021년 추정)
2021년 7월 1일 기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 구조는 다음과 같다.[4] 이 자료는 2010년 인구 주택 총조사 및 2013/2014 가구 소득 및 지출 조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연령대 | 남성 | 여성 | 총계 | % |
---|---|---|---|---|
총계 | 53,202 | 51,630 | 104,832 | 100 |
0–4 | 6,261 | 6,045 | 12,306 | 11.74 |
5–9 | 6,257 | 5,913 | 12,170 | 11.61 |
10–14 | 6,643 | 6,287 | 12,930 | 12.33 |
15–19 | 6,359 | 5,861 | 12,220 | 11.66 |
20–24 | 5,001 | 4,541 | 9,542 | 9.10 |
25–29 | 3,917 | 3,879 | 7,796 | 7.44 |
30–34 | 3,463 | 3,256 | 6,718 | 6.41 |
35–39 | 2,985 | 3,077 | 6,062 | 5.78 |
40–44 | 2,772 | 2,919 | 5,691 | 5.43 |
45–49 | 2,693 | 2,598 | 5,291 | 5.05 |
50–54 | 2,347 | 2,367 | 4,713 | 4.50 |
55–59 | 1,911 | 1,771 | 3,682 | 3.51 |
60–64 | 1,192 | 1,145 | 2,336 | 2.23 |
65세 이상 | 1,404 | 1,969 | 3,373 | 3.22 |
colspan="5" | | ||||
연령대 | 남성 | 여성 | 총계 | 백분율 |
0–14 | 19,161 | 18,245 | 37,406 | 35.68 |
15–64 | 32,637 | 31,416 | 64,053 | 61.10 |
65세 이상 | 1,404 | 1,969 | 3,373 | 3.22 |
2. 2. 인구 통계
유엔에 따르면,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는 1950년 3.2만 명에서 2020년 기준 11.5만 명까지 증가했다.[6] 중위 연령은 1950년 19.8세에서 2020년 24.4세로 조금씩 상승해왔고, 65세 이상 인구 비율도 같은 기간 1%에서 5%로 증가하는데 그쳐 다른 국가들에 비해 인구가 매우 젊은 편이다.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950-1955년 3.4%에서 점차 하락해 2000-2005년 -0.2%, 2005-2010년 -0.6%로 감소세로 돌아섰으나, 이후 반등해 2010-2020년 평균 1.1%로 증가세로 돌아섰다.[7] 합계출산율은 1950-1955년 7.20명에서 2015-2020년 3.08명으로 감소했으나,[8] 이는 대체출산율 2.1을 상회함은 물론 전 세계 평균 2.45명(2019년 기준)보다도 높은 수치이다.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 | |||||||
---|---|---|---|---|---|---|---|
1950 | 197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3.2만 명 | ↗6.1만 명 | ↗9.6만 명 | ↗10.7만 명 | ↘10.6만 명 | ↘10.3만 명 | ↗10.9만 명 | ↗11.5만 명 |
출생시 연평균 기대수명은 1950-1955년 51.3세에서 계속 증가해 2015-2020년 67.7세를 기록했으며,[9] 같은 기간 신생아 사망률은 1000명당 1950-1955년 95명에서 2015-2020년 23명으로 줄어들었다. 2019년 유엔은, 중위 추계를 기준으로,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인구가 2050년 13만 9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항목 | 내용 |
---|---|
총인구 | 11만 3800명 |
15세 미만 인구 | 31.5% |
15~24세 인구 | 20.5% |
25~64세 인구 | 43.9% |
65세 이상 인구 | 4.2% |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 10.5명 |
인구 성장률 | 1.1% |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 22.7명 |
합계출산율 | 3.01명 |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 6.6명 |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 22명 |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 31명 |
출생시 기대수명 | 67.9세 |
2021년 7월 1일 기준 성별 및 연령대별 인구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4]
연령대 | 남성 | 여성 | 총계 | % |
---|---|---|---|---|
총계 | 53 202 | 51 630 | 104 832 | 100 |
0–4 | 6 261 | 6 045 | 12 306 | 11.74 |
5–9 | 6 257 | 5 913 | 12 170 | 11.61 |
10–14 | 6 643 | 6 287 | 12 930 | 12.33 |
15–19 | 6 359 | 5 861 | 12 220 | 11.66 |
20–24 | 5 001 | 4 541 | 9 542 | 9.10 |
25–29 | 3 917 | 3 879 | 7 796 | 7.44 |
30–34 | 3 463 | 3 256 | 6 718 | 6.41 |
35–39 | 2 985 | 3 077 | 6 062 | 5.78 |
40–44 | 2 772 | 2 919 | 5 691 | 5.43 |
45–49 | 2 693 | 2 598 | 5 291 | 5.05 |
50–54 | 2 347 | 2 367 | 4 713 | 4.50 |
55–59 | 1 911 | 1 771 | 3 682 | 3.51 |
60–64 | 1 192 | 1 145 | 2 336 | 2.23 |
65세 이상 | 1 404 | 1 969 | 3 373 | 3.22 |
연령대 | 남성 | 여성 | 총계 | 백분율 |
0–14 | 19 161 | 18 245 | 37 406 | 35.68 |
15–64 | 32 637 | 31 416 | 64 053 | 61.10 |
65세 이상 | 1 404 | 1 969 | 3 373 | 3.22 |
다음 인구 통계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CIA 월드 팩트북(CIA World Factbook)에서 가져온 것이다.
{| class="wikitable"
|-
!항목!!내용
|-
|인구||102,436명 (2020년 7월 추정)
|-
|인구 성장률||-0.6% (2020년 추정)
|-
|출생률||인구 1,000명당 18.9명 (2020년 추정)
|-
|사망률||인구 1,000명당 4.3명 (2020년 추정)
|-
|순 이동률||인구 1,000명당 -20.9명 (2020년 추정)
|-
|유아 사망률||출생 1,000명당 17.8명 (2020년 추정)
|-
|출생 시 기대 수명||
구분 | 값 |
---|---|
전체 인구 | 73.9세 |
남성 | 71.8세 |
여성 | 76.1세 (2020년 추정) |
|-
|합계 출산율||여성 1명당 2.29명의 자녀 출산 (2020년 추정)
|-
|국적||
구분 | 값 |
---|---|
명사 | 미크로네시아인 |
형용사 | 미크로네시아의; 코스라에인, 폰페이안, 추크인, 야프인 |
|-
|민족||추크인 49.3%, 폰페이인 29.8%, 코스라에인 6.3%, 야프인 5.7%, 기타 8.9%
|-
|종교||로마 가톨릭 54.7%, 개신교 41.1%, 기타 및 무교 4.2%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종교 참조)
|-
|언어||영어 (공용어 및 일반 언어), 추크어, 폰페이어, 야프어, 코스라에어 (각각 추크 주, 폰페이 주, 야프 주, 코스라에 주에서 주 차원에서 인정됨) 또한 핑겔라프어, 응아티케세어, 사타왈어, 풀루와테세어, 모틀록어, 모킬리어, 울리티어, 월레아이어, 누쿠오로어, 카핑아마랑기어와 같은 다른 언어가 인정된다.[5]
|-
|문맹률||
구분 | 값 |
---|---|
정의 | 15세 이상은 읽고 쓸 수 있음 |
전체 인구 | 89% |
남성 | 91% |
여성 | 88% (1980년 추정) |
|}
2. 3. 민족, 언어, 종교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추크인, 폰페이인, 코스라에인, 야프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5] 영어가 공용어이며, 각 주에서는 추크어, 폰페이어, 야프어, 코스라에어 등 토착어도 인정된다.[5] 종교는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가 주를 이룬다.[5]2. 3. 1. 민족 구성
추크인 49.3%, 폰페이인 29.8%, 코스라에인 6.3%, 야프인 5.7%, 기타 8.9%[5]2. 3. 2. 언어
영어 (공용어 및 일반 언어), 추크어, 폰페이어, 야프어, 코스라에어는 각각 추크 주, 폰페이 주, 야프 주, 코스라에 주에서 주 차원에서 인정된다. 핑겔라프어, 응아티케세어, 사타왈어, 풀루와테세어, 모틀록어, 모킬리어, 울리티어, 월레아이어, 누쿠오로어, 카핑아마랑기어와 같은 다른 언어도 인정된다.[5]2. 3. 3. 종교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종교는 로마 가톨릭 54.7%, 개신교 41.1%, 기타 및 무교 4.2%이다.2. 3. 4. 문맹률
1980년 기준으로, 15세 이상 인구 중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89%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91%, 여성이 88%였다.[5]참조
[1]
학술지
Pingelap and Mokil Atolls: historical genetics
[2]
학술지
Pingelap and Mokil Atolls: achromatopsia
[3]
서적
The Island of the Colorblind
[4]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6-04-19
[6]
웹인용
Total population, both sexes combined (thousands)
https://data.un.org/[...]
2021-07-25
[7]
웹인용
Average annual rate of population change (percentage)
https://data.un.org/[...]
2021-07-25
[8]
웹인용
Total fertility rate (live births per woman)
https://data.un.org/[...]
2021-07-25
[9]
웹인용
Life expectancy at birth for both sexes combined (years)
https://data.un.org/[...]
2021-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