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가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물가오리는 가오리목에 속하는 가오리과의 일종으로, 주로 열대 및 아열대 남아메리카의 민물에서 서식한다. 몸은 거의 원형에 가깝고, 크기는 작은 종은 지름이 31cm에서 큰 종은 2m까지 자란다. 민물가오리는 곤충, 벌레, 연체동물, 갑각류, 물고기 등을 먹는 포식자이며, 꼬리에 독침을 가지고 있어 위험한 물고기로 인식된다. 어획, 서식지 파괴, 댐 건설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민물가오리과는 Heliotrygon, Paratrygon, Plesiotrygon, Potamotrygon, Styracura의 4개 속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민물가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otamotrygonidae |
명명자 | Garman, 1877 |
속 | 헬리오트리고 파라트리고 플레시오트리고 포타모트리고 스티라쿠라 |
모식종 | Potamotrygon histrix |
모식종 명명자 | J. P. Müller & Henle, 1841 |
몸길이 | 31 ~ 200cm |
영명 | River stingrays Freshwater stingrays |
2. 분포 및 서식지
민물가오리는 거의 원형에 가까우며, 크기는 지름이 31cm에 달하는 ''Potamotrygon wallacei''부터 지름이 2m까지 자라는 추파레가오리(''S. schmardae'')까지 다양하다.[10] 추파레가오리는 이 과에 속하는 단 두 종의 해양 종 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S. pacifica''이다).[4][5] 이 과에서 가장 큰 담수 종은 지름이 최대 1.5-1.6m까지 자라는 원반가오리 (''Paratrygon aiereba'')와 단미강가오리 (''Potamotrygon brachyura'')이다.[8][11] 최대 220kg에 달하는[8] 이 과의 담수 구성원 중 가장 무거운 종은 단미강가오리이며, 남아메리카의 엄격한 담수어 중에서 아라파이마(''Arapaima'')와 피라이바 메기(''Brachyplatystoma filamentosum'')와 견줄 만하다.[12] Potamotrygonidae과의 각 종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큰 크기에 달한다.[1]
민물가오리과의 구성원들은 포식자이며, 곤충, 벌레, 연체동물, 갑각류, 가시가 있는 메기를 포함한 물고기 등 다양한 동물을 먹고 산다.[1] 식물 재료가 때때로 위장에서 발견되지만, 이는 실수로 섭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 정확한 식단은 종에 따라 다르며, 일부는 잡식성 포식자이고 다른 일부는 특정 먹이만 먹는 포식자이다. ''P. leopoldi''는 주로 민물 달팽이와 민물 게를 먹고 살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잡식성 식단에 쉽게 적응한다.[1][8] ''Paratrygon''과 같은 가장 큰 종은 서식지에서 최상위 포식자이다.[1] 가오리의 턱 관절은 "느슨"하여 포유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먹이를 씹는 것이 가능하다.[15] 이 과에는 주행성인 종과 야행성인 종이 모두 포함된다.[1]
다른 가오리와 마찬가지로, 민물가오리과(Potamotrygonidae)에 속하는 종들은 꼬리에 독침을 가지고 있어 신열대구 지역에서 가장 두려운 민물고기 중 하나로 꼽힌다.[21][22][23] 이 독침은 자기 방어를 위해 사용되며,[25] 주로 사람이 가오리를 밟거나 어획 과정에서 부상을 입는다.[25] 부상 시에는 심한 통증, 홍반, 부종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27] 또한, 세균 감염의 위험이 크고, 내장 기관에 손상을 입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25][27] 민물가오리 독의 성분은 종, 성별, 연령, 환경에 따라 다르며, 아직 특정 해독제는 없다.[26]
민물가오리는 어획, 서식지 손실, 댐 건설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28] 식량 및 수족관 산업[28]을 위한 어획과 광산 오염, 댐 건설과 같은 서식지 손실[28]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
민물가오리 과에는 4개의 속, ''Heliotrygon'', ''Paratrygon'', ''Plesiotrygon'', 민물가오리속(Potamotrygon)이 있다.[43] 민물가오리의 분류는 복잡하며, 아직 기술되지 않은 종들이 남아 있다. ''Heliotrygon''과 ''Paratrygon''이 자매군이며, ''Plesiotrygon''과 ''Potamotrygon''이 자매군이다.[43]
민물가오리는 열대 및 아열대 북부, 중부, 동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카리브해로 흘러드는 강과 아르헨티나의 라플라타 강까지 남쪽으로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강에서 서식한다.[1][2] 소수의 일반종은 널리 분포하지만, 대부분은 더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단일 강 유역이 원산지이다.[1][2] 가장 많은 종 풍부도는 아마존강 유역, 특히 히우네그루, 타파조스 강, 토칸틴스 강 유역에서 발견된다.[3] 일부 종의 분포는 폭포에 의해 제한된다.[1]
포토마트리곤과가 서식하는 담수는 호수에서 급류, 흑수, 백수 및 청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바닥은 모래에서 바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1][2] 적어도 일부 종에서는 유어들이 성어보다 얕은 물에서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1] 대부분의 종은 엄격한 담수어이지만, 일부는 최대 12.4‰의 염분 농도에서 기수의 강어귀 서식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1]
2016년, 이전에 ''히만투라''(Himantura)에 포함되었던 두 종의 완전한 해양 종이 포토마트리곤과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져 자체 속인 ''Styracura''로 이동되었다.[4][5] 이들은 카리브해를 포함한 열대 서대서양의 ''S. schmardae''(Chupare stingray)와 갈라파고스 제도를 포함한 열대 동태평양의 ''S. pacifica''(Pacific chupare)이다.[4][5]
포토마트리곤과는 주로 담수 서식지에 제한된 유일한 가오리과의 가오리목이다.[6][7] 다스아티스과에도 진정한 담수 종이 있지만, 이 과의 대부분의 종은 해수어이다.[8]
3. 형태
상단 표면은 피부 소치 (날카로운 이빨 모양의 비늘)로 덮여 있다. 대부분의 종은 갈색 또는 회색을 띠며 종종 독특한 반점 또는 얼룩 무늬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종은 대조적인 밝은 반점이 있는 흑갈색을 띤다.[3][13] 어린 개체는 일부 종에서 성체와 색상과 무늬가 크게 다르다.[3] 포타모트리곤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종은 꼬리에 독침을 가지고 있다.[51] 체반 폭은 100cm를 넘는 종도 있지만, 보통은 중형이다. 몸은 원반형이며 꼬리의 모양은 속마다 다르다. ''Paratrygon''속과 ''Plesiotrygon''속은 가늘고 실 모양의 꼬리로 채찍과 같지만, ''Potamotrygon''속은 비교적 굵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51]
4. 생태
다른 판새류와 마찬가지로, 수컷 민물가오리는 짝짓기 시 사용되는 골반 지느러미의 변형인 한 쌍의 클래스퍼로 쉽게 구별된다. 짝짓기는 배에서 배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암컷은 새끼를 낳는다.[1] 어미의 자궁 안에 있는 동안 발달 중인 배아는 영양액이라고 하는 영양사샘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을 먹는다.[1][16][17] 정확한 종에 따라 임신 기간은 3~12개월이며, 각 번식당 1~21마리의 새끼가 있다.[1][18] 번식 주기는 일반적으로 홍수 수위와 관련이 있다.[16]
몇몇 종(포타모트리곤 모토로 등)은 여러 유역에 서식하며, 브라질 북동부, 동남부의 열대 우림에 있는 태평양에서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하천 등에 서식하지만, 그중에는 단일 하천에만 서식하는 종도 있다(폴카도트 스팅레이 등).[51] 난태생이며, 한 번에 2~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51]
5. 인간과의 관계
민물가오리는 식용으로도 이용되는데, 특히 라플라타 강 유역에서는 ''P. brachyura''의 살이 귀하게 여겨진다.[29] 아마존에서는 ''Paratrygon''과 특정 ''Potamotrygon''이 가장 많이 잡히며, 일본과 대한민국으로 수출되기도 한다.[28] 그러나 무게가 2kg 미만인 개체는 생존율이 낮아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28]
민물가오리는 수족관에서 기르기도 하는데, 큰 수조가 필요하며 다른 생물을 먹이로 삼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8][31] ''Potamotrygon motoro''(모토로가오리)는 비교적 사육이 쉬운 편이지만, ''Paratrygon aiereba''(에이레바가오리), ''Plesiotrygon nana''(난나가오리), ''Potamotrygon tigrina''(타이그리나가오리) 등은 관리가 더 어렵다.[31][33]
브라질은 과거 야생 민물가오리 수출을 금지했지만, 현재는 일부 종에 대해 할당량을 두고 있다.[28] 콜롬비아와 페루도 주요 수출국이며, 불법 수출을 막기 위해 일부 종은 CITES 부속서 III에 포함되었다.[40][41]
''P.motoro''나 ''P.leopoldi'' 등은 관상어로 거래될 뿐만 아니라, 수족관에서도 전시된다.[51]
6. 보존
댐 건설은 일부 종에게는 서식지 확장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타이푸 댐 건설로 구아이라 폭포가 사라지면서 ''Potamotrygon amandae''와 ''P. falkneri''가 상부 파라나 유역으로 확산되었고,[36][45] 투쿠루이 댐 건설은 ''P. henlei''의 개체수 증가에 기여했다.[37] 그러나 댐은 개체군을 고립시키고 유전자 흐름을 막아 ''P. magdalenae''와 같은 종을 위협하며,[38] ''P. brachyura''는 댐 건설로 생성된 저수지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12]
식용으로 남획될 뿐 아니라,[28] 독침 때문에 현지인과 관광객에게 위험을 초래하여 많은 수가 살처분된다.[7] 아마존에서는 생태 관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특정 지역에서 수천 마리의 강 가오리가 제거되기도 한다.[7]
브라질은 과거 수족관 거래를 위한 야생 민물가오리 수출을 금지했으나, 이후 일부 종에 대한 할당량을 도입했다.[28] 콜롬비아와 페루도 주요 수출국이며,[40] 불법 수출을 막기 위해 ''Paratrygon aiereba''와 여러 ''Potamotrygon'' 종이 CITES 부속서 III에 포함되었다.[41]
유럽과 북미의 동물원과 공공 수족관에서는 여러 Potamotrygonidae 종에 대한 개체 기록 프로그램을 시작했다.[31][35] 몇몇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는 2종이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 종의 상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IUCN 적색 목록은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다.
7. 하위 속
2016년에 ''Styracura''의 두 종이 이 과로 이동되었다.[5]
참조
[1]
서적
Sharks and Their Relatives II: Biodiversity, Adaptive Physiology, and Conservation
CRC Press
[2]
간행물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white, black, and clearwater rivers of the Amazon Basin and its implication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stingrays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3]
간행물
Description of two extraordinary new species of freshwater stingrays of the genus ''Potamotrygon'' endemic to the rio Tapajós basin, Brazil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with notes on other Tapajós stingrays
http://www.mapress.c[...]
[4]
간행물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Dasyatidae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based on new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sights
[5]
간행물
A new subfamily, Styracurinae, and new genus, ''Styracura'', for ''Himantura schmardae'' (Werner, 1904) and ''Himantura pacifica'' (Beebe & Tee-Van, 1941)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6]
문서
"The exploitation and conservation of freshwater elasmobranchs: status of taxa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Journal of Aquariculture & Aquatic Sciences
[7]
간행물
Freshwater Stingrays (Potamotrygonidae): statu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hallenges
https://www.research[...]
[8]
서적
Rays of the World
CSIRO
[9]
간행물
A new species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from the Rio Negro, Amazonas, Brazil: the smallest species of ''Potamotrygon''
[10]
FishBase
[11]
간행물
Occurrence of freshwater stingrays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in the Uruguay River and its tributaries, Uruguay, South America
[12]
간행물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short-tailed river stingray (Potamotrygon brachyura): assessing habitat loss and fishing as threats to the world's largest obligate freshwater elasmobranch
[13]
간행물
''Potamotrygon rex'', a new species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from the middle and upper rio Tocantins, Brazil, closely allied to ''Potamotrygon henlei'' (Castelnau, 1855)
[14]
간행물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freshwater stingrays (Elasmobranchii, Potamotrygonidae) from the middle Negro River, Amazonas, Brazil
[15]
간행물
Always chew your food: freshwater stingrays use mastication to process tough insect prey
[16]
간행물
Reproductive Aspects of Freshwater Stingrays (Chondrichthyes: Patamotrygonidae) in the Brazilian Amazon Basin
[17]
간행물
Reproductive system of females of the Magdalena river endemic stingray Potamotrygon magdalenae: Anatomical and functional aspects
[18]
웹사이트
Definitive guide to South American freshwater rays
http://www.practical[...]
Practical Fishkeeping
2016-06-13
[19]
뉴스
New to Nature No 37: ''Heliotrygon'' stingrays
https://www.theguard[...]
2011-04-10
[20]
간행물
Periodic shedding and replacement of venomous caudal spin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outh American freshwater stingrays, ''Potamotrygon'' spp.
[21]
FishBase family
[22]
FishBase
[23]
서적
Complete Encyclopedia of the Freshwater Aquarium
Firefly Books Ltd.
[24]
웹사이트
Stingray injuries, envenomation, and medical management
http://www.potamotry[...]
potamotrygon.de
2017-10-22
[25]
간행물
A Severe Accident Caused by an Ocellate River Stingray (Potamotrygon motoro) in Central Brazil: How Well Do We Really Understand Stingray Venom Chemistry, Envenomation, and Therapeutics?
[26]
웹사이트
Freshwater stingray venom varies according to sex and age
https://agencia.fape[...]
2020-10-20
[27]
학위논문
PERFIS PROTEICOS, ENZIMÁTICOS E MIOTOXICIDADE INDUZIDOS PELOS VENENOS DAS ARRAIAS AMAZÔNICAS ''Plesiotrygon iwamae'' Rosa, Castello & Thorson, 1987 E ''Potamotrygon motoro'' Müller & Henle, 1841 (Chondrichthyes – Potamotrygonidae)
https://tede.ufam.ed[...]
Federal University of Amazonas
2013-05-24
[28]
문서
Commercial species of freshwater stingrays in Brazil
Department of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and Forests, [[Brazilian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Renewable Natural Resources]] and [[Ministry of the Environment (Brazil)|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7-05
[29]
Cite iucn
''Potamotrygon brachyura''
2009
[30]
간행물
Injuries by marine and freshwater stingrays: history, clinical aspects of the envenomations and current status of a neglected problem in Brazil
[31]
서적
Husbandry of freshwater stingrays
Special Publication of the Ohio Biological Survey
[32]
간행물
Envenomation by Amazonian freshwater stingray Potamotrygon motoro: 2 cases reported in Europe
[33]
웹사이트
Potamotrygon motoro
http://www.seriously[...]
SeriouslyFish
2017-10-27
[34]
간행물
''Potamotrygon tigrina'', a new species of freshwater stingray from the upper Amazon basin, closely related to ''Potamotrygon schroederi'' Fernandez-Yépez, 1958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35]
웹사이트
Elasmobranch TAG News
http://euac.org/cont[...]
Elasmobranch Taxon Advisory Group
2017-10-27
[36]
논문
A massive invasion of fish species after eliminating a natural barrier in the upper rio Paraná basin
[37]
간행물
"''Potamotrygon henlei''"
2004
[38]
간행물
"''Potamotrygon magdalenae''"
2016
[39]
웹사이트
Rio Negro 'Hystrix' Stingray Gets a Name: Potamotrygon wallacei
https://www.reef2rai[...]
Reef to Rainforest Media
2016-05-21
[40]
간행물
Listing of the species Potamotrygon motoro and Potamotrygon schroederi in Appendix II in accordance with Article II 2a (b) of the Convention, and Resolution Conf. 9.24 (Rev. CoP15)
Sixte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Bangkok (Thailand), [[CITES]]
2013-03-03
[41]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www.cites.or[...]
CITES
2017-10-04
[42]
웹사이트
17.246 to 17.249 Freshwater stingrays (Potamotrygonidae spp.)
https://cites.org/en[...]
CITES
[43]
논문
"''Morph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 remarkable new genus and two new species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s from the Amazon basin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44]
논문
Systematic Revision of the Potamotrygon scobina Garman, 1913 Species-complex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Potamotrygonidae), with the Description of Three New Freshwater Stingray Species from Brazil and Comments on Their Distribution and Biogeography
[45]
논문
Systematic revision of the ''Potamotrygon motoro'' (Müller & Henle, 1841) species complex in the Paraná-Paraguay basin, with description of two new ocellated species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Potamotrygonidae)
[46]
논문
"''Potamotrygon boesemani'' (Chondrichthyes: Myliobatiformes: Potamotrygonidae), a new species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 from Surinam"
[47]
논문
"''Potamotrygon limai'', sp. nov., a new species of freshwater stingray from the upper Madeira River system, Amazon basin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http://www.mapress.c[...]
[48]
논문
Potamotrygon marquesi, a new species of neotropical freshwater stingray (Potamotrygonidae) from the Brazilian Amazon Basin
[49]
논문
"''Potamotyrgon tigrina'', a new species of freshwater stingray from the upper Amazon basin, closely related to ''Potamotrygon schroederi'' Fernandez-Yepez, 1958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50]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Potamotrygonidae Garman, 1877
https://www.marinesp[...]
[51]
웹사이트
FAMILY Details for Potamotrygonidae - River stingrays
https://fishbase.mn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