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언어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언어학은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문화언어학과 민족 의미론을 포함한다. 문화언어학은 언어가 문화적 개념화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탐구하며, 응용 언어학, 국제 문화 간 의사소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민족 의미론은 언어에서 단어 분류 방식을 통해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문화 상대주의와 언어 상대성 이론에 기반한다. 민족언어학은 공간적 방향 표현과 같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언어와 문화 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문화언어학은 언어와 문화적 개념화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언어학의 관련 분과이다.[4] 문화언어학은 인지과학 (복잡성 과학 및 분산 인지 포함)과 인류학의 이론적 및 분석적 발전을 활용하고 확장한다. 문화언어학은 인간 언어의 다양한 특징이 문화적 도식, 문화적 범주 및 문화적 은유를 포함한 문화적 개념화를 어떻게 인코딩하는지 조사한다.[4] 문화언어학에서 언어는 화자 공동체의 집단 수준, 문화적 인지에 깊이 뿌리내린 것으로 간주된다.
'''민족 의미론'''은 '''민족 과학''' 또는 '''인지 인류학'''이라고도 불리며, 특정 문화의 사람들이 언어를 통해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분류하는지를 연구하는 민족언어학의 한 분야이다.[6] 이 방법론은 사람들이 주변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적 현상에 이름을 붙이고 분류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의미 범주를 분석함으로써, 단어 사용 뒤에 숨겨진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7][8][9] 민족 의미론 연구는 민족지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며, 의미론에 중점을 둔다.[6]
2. 문화언어학
2. 1. 문화언어학의 적용 분야
문화언어학적 접근 방식은 응용 언어학 연구, 국제 문화 간 의사소통, 제2 언어 습득, 국제 영어 교육, 그리고 월드 잉글리시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채택되었다.[5]
3. 민족 의미론
3. 1. 민족 의미론의 이론적 배경
민족 의미론은 프란츠 보아스가 제시한 문화 상대주의와 언어 상대성 이론에 주요한 이론적 배경을 두고 있다.[8] 이는 각 문화를 보편적인 이론에 맞추기보다, 해당 문화 고유의 언어와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으로 이어진다.[8]
3. 1. 1. 방법론 및 사례
'''민족 의미론'''은 '''민족 과학''' 및 '''인지 인류학'''이라고도 불리며, 사람들이 언어에서 단어를 분류하는 방식을 조사하여 의미론[6]에 초점을 맞춘 민족지학적 연구 및 민족언어학의 한 방법론이다. 민족 의미론은 사람들이 세상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적 현상에 어떻게 이름을 붙이고 분류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분류가 생성하는 의미 범주를 분석하여 사람들이 세상의 사물을 묘사하는 방식 뒤에 숨겨진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연구한다.[7][8][9]
민족 의미론은 프란츠 보아스의 문화 상대주의 이론과 언어 상대성 이론에 의존하는 방법론이다. 민족 의미론적 분석에서 문화 상대주의의 사용은 문화와 언어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만드는 데 민족 의미론을 사용하는 대신, 개별 문화와 그 자체 언어 용어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8] 민족언어학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특정 주제에 사용되는 언어의 모든 단어를 수집하여 해당 단어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모델을 생성하는 데 사용한다. 이러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민족언어학을 활용하는 인류학자들은 이것이 특정 언어 사용자들이 묘사되는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나타낸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해리엇 오텐하이머(Harriet Ottenheimer)는 저서 『언어 인류학: 언어 인류학 입문』에서 식물과 민들레가 어떻게 분류되는지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여 민족언어학이 문화가 특정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차이점을 조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그녀의 예에서 오텐하이머는 "식물"이라는 주제가 "상추"와 "잡초"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음을 설명한다. 민족언어학은 인류학자들이 특정 문화가 "민들레"를 "상추" 또는 "잡초"로 분류하는지 발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문화가 식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무언가를 발견할 수 있다.
오스카 루이스(Oscar Lewis)의 저서 『라 비다(La Vida)』의 한 섹션에서 그는 푸에르토리코 여성과의 인터뷰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여성은 매춘부의 사회적 세계에 대해 논의한다. 민족언어학을 사용하여 화자가 해당 사회 서클에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행동에 대해 한 진술을 분석하여 그녀가 자신의 사회적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이 분석의 첫 번째 단계는 화자가 식별한 모든 사회적 범주 또는 사회적 정체성을 식별하고 매핑하는 것이다. 사회적 범주가 매핑되면 다음 단계는 각 범주의 정확한 의미를 정의하려고 시도하고, 화자가 범주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조사하고, 해당 사회적 범주에 그룹화된 사람들의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 화자는 세 가지 기본 사회적 범주(부자, 법, 가난한 사람)를 식별하고 "부자"와 "법"이라는 상위 범주의 사람들을 나쁜 사람들로 특징지었다. 가난한 사람들은 평판이 좋지 않은 지위의 사람들과 평판이 좋은 지위의 사람들로 더 나뉜다. 화자는 평판이 좋지 않은 가난한 사람들을 일반적으로 부정직하고 부패한 사람으로 특징짓지만, 자신은 몇 안 되는 예외 중 하나라고 제시한다. 따라서 화자가 자신의 사회 서클에 대한 설명을 분석하면 그녀가 주변 세계와 그 안의 사람들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3. 1. 2. 성분 분석
민족의미론에서 사용하는 성분 분석 방법은 사람들이 특정 개념을 분류할 때 사용하는 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의 의미론적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이다.[10] 예를 들어, '남자'라는 단어는 '남성', '성인', '인간'이라는 의미적 특징으로 나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자'는 '여성', '성인', '인간'으로, '소녀'는 '여성', '미성숙', '인간'으로, '황소'는 '수컷', '성인', '소과'로 분석될 수 있다.[11] 성분 분석을 통해 특정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조사하고, 그 범주 안에서 단어들이 갖는 중요한 의미나 구별되는 특징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다.[10]
4. 공간적 방향 표현의 예
민족언어학자들은 인식과 개념화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이것이 다양한 문화와 사회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간적 방향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들 수 있다.[2][3]
4. 1. 방위 체계
민족언어학자들은 인식과 개념화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이것이 다양한 문화와 사회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간적 방향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들 수 있다.[2][3]많은 사회에서는 '동쪽'과 '서쪽'과 같은 방위에 대한 단어가 해가 뜨고 지는 현상과 관련된 용어에서 파생되었다. 그러나 그린란드의 이누이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방위 명칭은 강이나 해안에서의 위치와 같은 지리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유록어에는 방위 개념이 없으며, 이들은 주요 지리적 특징인 클라매스 강을 기준으로 방향을 잡는다.
4. 2. 지리적 랜드마크 기반 체계
민족언어학자들은 인식과 개념화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이것이 다양한 문화와 사회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본다.[2][3] 공간적 방향을 표현하는 방식은 문화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많은 사회에서는 '동'과 '서' 같은 방위를 나타내는 단어가 해가 뜨고 지는 현상과 관련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모든 문화가 이러한 방위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린란드의 이누이트어 화자들은 강이나 해안선 같은 주변의 지리적 특징을 기준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명칭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유록어에는 '동서남북'과 같은 추상적인 방위 개념이 없고, 대신 주요 지리적 특징인 클라매스 강을 기준으로 방향을 인식하고 표현한다. 이러한 사례들은 언어가 지리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방향 체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Ethnolinguistics
https://www.britanni[...]
2021-04-20
[2]
서적
Cognitive Foundations of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Prentice Hall
[4]
서적
Cultural Conceptualisations and Language: Theoretical Framework and Applications
John Benjamins
[5]
서적
Applied cultural linguistics: Implications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John Benjamins
[6]
웹사이트
ethnosemantics
https://en.wiktionar[...]
2019-03-14
[7]
서적
The Anthropology of Language: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Anthropology
Wadsworth
[8]
서적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http://dx.doi.org/10[...]
SAGE Publications, Inc.
[9]
학술지
Componential Analysis and the Study of Meaning
[10]
학술지
Simulating the Past: A Method for Using Ethnosemantics in Historical Research
https://www.jstor.or[...]
[11]
웹사이트
Definition of componential analysis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1-05-11
[12]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An Applied Perspective
Cengage Learn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