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이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이트어는 "이누이트의 언어"를 의미하며,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 러시아 등 북극 지역에 거주하는 이누이트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과거에는 "에스키모어"로 불렸으나, 현재는 이누이트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누피아크어, 그린란드어, 이누크티투트어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약 1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누이트어는 교착어 및 포합어의 특징을 가지며, 풍부한 형태론적 시스템을 통해 하나의 단어에 많은 의미를 담아 표현한다. 이누이트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유픽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이트어 - 이누피아크어
이누피아크어는 알래스카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의 일종으로, 5,000년 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수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20진법을 사용하는 다합성어이자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언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이누이트어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족의 언어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고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누이트어 | |
---|---|
개요 | |
유형 | 에스키모어족 |
사용 지역 | 알래스카, 누나부트, 노스웨스트 준주 (이누비알루이트 지역), 퀘벡 (누나비크), 래브라도 (누나치아부트, 누나투카부트), 그린란드 |
사용자 | 이누이트 |
추정 화자 수 | 100,000명 |
어족 | |
상위 어족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하위 어족 | 에스키모어 |
언어 코드 | |
글롯토로그 | inui1246 |
글롯토로그 참조 | 이누이트 |
하위 언어 |
2. 명칭
'이누이트어'는 "이누이트의 언어"를 의미하며, "이누이트"는 "사람"을 뜻하는 이누이트어 단어 '이누크(inuk)'의 복수형이다.[4] 과거에는 "에스키모"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타칭이자 멸칭으로 간주되어 현재는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특히 캐나다에서는 이누이트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에스키모어"는 유픽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용어이며, 이누이트어와 유픽어를 모두 포함하는 더 넓은 범주의 언어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지역에 따라 이누이트어는 다르게 불린다.
-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Inupiaq language), 세워드 반도의 변형은 카위아라크어(Qawiaraq) 또는 베링 해협 이누피아크어(Bering Strait Inupiatun)
- 캐나다: 이누크티투트어(Inuktitut) (누나부트와 노스웨스트 준주의 공식 언어), 누나부트 서부와 노스웨스트 준주 동부의 변형은 이누인나크툰어(Inuinnaqtun), 노스웨스트 준주의 변형은 이누비알루크툰어(Inuvialuktun) (과거 이누크툰어(Inuktun)로도 불림), 퀘벡은 이누티투트어(Inuttitut), 래브라도는 이누투트어(Inuttut)
- 그린란드: ''Kalaallisut'' (그린란드어)
3. 현황
오늘날 이누이트계 언어를 구사하는 인구는 대략 10만 명 정도로 추정되지만, 관련 자료가 대부분 자기 보고를 토대로 한 인구조사에 근거하기 때문에 정확한 파악은 어렵다.[15]
이누이트어는 지역별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이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누이트어를 특정 언어로 나누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 각 지역의 이누이트들은 자신들의 언어 변형과 전체 언어 그룹에 대해 다른 단어를 사용하며, 이는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 그린란드: ''Kalaallisut'' (그린란드어)
- 알래스카: ''이누피아크어''(Inupiaq language), 세워드 반도 지역은 ''카위아라크어''(Qawiaraq) 또는 ''베링 해협 이누피아크어''(Bering Strait Inupiatun)
- 캐나다:
- ''이누크티투트어''(Inuktitut): 누나부트, 노스웨스트 준주의 공식 언어
- ''이누인나크툰어''(Inuinnaqtun): 누나부트 서부, 노스웨스트 준주 동부
- ''이누비알루크툰어''(Inuvialuktun): 노스웨스트 준주
- ''이누티투트어''(Inuttitut): 퀘벡
- ''이누투트어''(Inuttut) 또는 ''Labradorimiutut'': 래브라도
''이누이트 언어''라는 구절은 주로 전문적인 담론에서 사용되거나, 각 지역 변형을 포괄하는 용어가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누나부트에서는 정부가 이누크티투트어(Inuktitut)와 이누인나크툰어(Inuinnaqtun)의 모든 방언을 ''이누크투트어''(Inuktut)라는 용어로 묶고 있다.[4]
많은 사람들이 이누이트 언어를 ''에스키모어''(Eskimo language)라고 부르지만, 이는 유픽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용어이며, 캐나다에서는 사용이 강력하게 금지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이누이트어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비교적 밀접하게 연결된 언어 집합이다. 전통적으로 이누이트인들은 언어의 지역적 특이성을 설명하기 위해 지명을 사용하여 방언의 차이를 설명했다. (예: 이글루릭 방언, 이콰루이트 방언) 그러나 정치적, 사회학적 분열은 다른 문어, 문학적 전통, 학교, 미디어 소스 및 차용된 어휘와의 연관성 때문에 이누이트어의 다양한 변이를 설명하는 주요 기준으로 점점 더 자리 잡고 있다.
덴마크 본토에는 약 7,000명의 그린란드어 사용자가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5]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200명의 자칭 이누크티투트 원어민이 전통적인 이누이트 밖의 캐나다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알래스카 에스키모에서도 이누이트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많고, 러시아에서는 더욱 감소하여 소멸이 우려된다. 그린란드와 캐나다에서는 일부 방언이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족 단위로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4. 하위 분류
이누이트어는 크게 이누피아크어(알래스카), 이누비알룩툰어와 이누크티투트어(캐나다), 그린란드어(그린란드)로 나뉜다. 각 언어는 다시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지역 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의사소통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누이트어 사용자는 대략 1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15]
이누이트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여 각 지역의 방언은 인접 지역과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멀리 떨어진 지역과는 의사소통이 어려워진다. 그린란드에서는 ''Kalaallisut''(그린란드어)가 공식 언어이며, 알래스카에서는 ''이누피아크어''라고 불린다. 캐나다에서는 ''이누크티투트어''가 여러 방언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누나부트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식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4. 1. 알래스카
Iñupiaqiu (이누피아크어)는 알래스카의 이누이트 언어를 지칭하며, 세워드 반도의 변형인 카위아라크어와 알래스카의 다른 변형인 베링 해협 이누피아크어로 구별된다.[7]약 13,000명의 알래스카 이누피아트족 중 3,000명 정도만이 이누피아크어를 말할 수 있으며, 그들 대부분은 40세 이상이다.[6] 이들은 상호 이해가 어려운 세 가지 뚜렷한 방언을 사용한다.[7]
- 카위아라크어는 세워드 반도 남쪽과 노턴 만 지역에서 사용된다. 과거에는 큰 디오미드 섬을 포함한 추코트카에서도 사용되었지만, 유픽어, 추크치어 및 러시아어 사용 공동체에 동화되어 러시아 지역에서는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음운론에서 다른 이누이트어 변이형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 이누피아툰(노스 슬로프 이누피아크)은 알래스카 노스 슬로프와 코체부 만 지역에서 사용된다.
- 말리미우툰 또는 말리미우트 이누피아툰은 코체부 만 지역과 알래스카 북서부의 변이형이다.[6]
4.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이누크티투트어''(Inuktitut)라는 단어가 이누이트 전통 언어의 모든 캐나다 변형을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누나부트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이 이름으로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4] 누나부트 서부와 노스웨스트 준주 동부의 변형 중 하나는 동부 캐나다의 방언과 구별하기 위해 ''이누인나크툰어''(Inuinnaqtun)라고 불리며, 노스웨스트 준주의 변형은 때때로 ''이누비알루크툰어''(Inuvialuktun)라고 불리고 과거에는 ''이누크툰어''(Inuktun)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러한 방언에서는 발음의 방언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이름이 때때로 ''Inuktitun''으로 표기되기도 한다.4. 3. 그린란드
그린란드어는 그린란드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 언어의 공식 형태이자 국가의 공식 언어이다.[4] 다른 언어에서는 ''그린란드어''라고 불린다. 약 7,000명의 그린란드어 사용자가 덴마크 본토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5. 문자
이누이트어는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여러 국가와 정치 단위로 나뉘어 있고, 원래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유럽인들이 서로 다른 시기에 도달했기 때문에 이누이트어를 쓰는 통일된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이 언어를 표기하는 "표준" 방식은 6가지가 있다.
음절 문자를 제외한 모든 방식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만, 알파벳은 발음 구별 부호, 라틴 문자가 아닌 문자 등의 사용에 차이가 있다. 누나부트와 누나빅의 대부분의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를 기반으로 한 이누크티투트 음절 문자를 사용하여 쓰인다. 누나부트의 서부와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누인나크툰으로 식별되는 라틴 문자 알파벳을 사용한다. 알래스카에서는 발음 구별 부호를 사용하는 문자가 있는 또 다른 라틴 알파벳이 사용된다. 누나치아부트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모라비안 선교사들이 고안한 알파벳을 사용하며, 이 알파벳에는 문자 ''크라''가 포함되어 있다. 그린란드어의 라틴 알파벳은 원래 누나치아부트에서 사용된 것과 매우 유사했지만, 1973년에 철자 개혁을 거쳐 발음의 변화에 맞추고 언어의 음소 목록을 더 잘 반영하게 되었다.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이누이트어 음절 문자는 크리어 음절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데바나가리 문자, 즉 브라흐미 문자를 기반으로 선교사 제임스 에반스가 고안했다. 캐나다 이누이트어 음절 문자의 현재 형태는 1970년대에 캐나다 이누이트 문화 연구소에 의해 채택되었다.
음절 형태를 띠고 있지만, 음절 문자는 진정한 음절 문자가 아니라 아부기다인데, 이는 동일한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그래픽적으로 유사한 문자로 표기되기 때문이다.
이누이트어 음절 문자에 필요한 모든 문자는 유니코드 문자 집합에서 통합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 전국 기구인 이누이트 타피리이트 카나타미(Inuit Tapiriit Kanatami)는 2019년 9월 모든 이누크티투트 방언을 위한 통합 정자법인 Inuktut Qaliujaaqpait를 채택했다. 이는 분음 부호가 없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13][14]
일반적으로는 로마자로 표기되지만, 캐나다에서는 독자적인 캐나다 원주민 음절 문자가 사용되고 있다.
6. 음운론
대부분의 이누이트어 방언은 15개의 자음과 a, i, u 3개의 모음을 가지며, 모음은 장단 구별이 있다. 일부 알래스카 방언에는 권설음이 있는데, 이는 원시 이누이트어에 존재했다. 권설음은 캐나다 및 그린란드 방언에서는 사라졌다. 나칠링미우투트어에서는 유성 경구개 파열음 이 이전 권설음에서 파생되었다.[8]
거의 모든 이누이트어는 3개의 기본 모음만을 가지며, 모든 모음의 단모음과 장모음을 음운론적으로 구별한다. 예외는 이누이트어권의 가장자리, 즉 그린란드의 일부 지역과 알래스카 서부 지역이다.[8] 음절은 CVC형으로, 장모음은 2모라로 취급된다.
7. 문법
이누이트어는 다른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매우 풍부한 형태론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 체계에서는 다양한 형태소가 어근에 연속적으로 추가되어, 영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여러 단어로 표현해야 할 내용을 나타낸다. (참고: 교착어 및 포합어) 모든 이누이트어 단어는 어근 형태소로 시작하며, 여기에 다른 형태소들이 접미된다. 이 언어에는 수백 개의 서로 다른 접미사가 있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700개에 달한다. 이 언어는 매우 규칙적인 형태론을 가지고 있어 학습자에게 다행이다. 규칙은 때때로 매우 복잡하지만, 영어 및 기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나타나는 예외는 없다.
이러한 체계는 단어를 매우 길고 잠재적으로 고유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누나부트 이누크티투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어가 있다.
Tusaatsiarunnanngittualuujunga.iu
이는 "나는 잘 들을 수 없다."라는 뜻이다.
이러한 종류의 단어 구성은 이누이트어에 널리 퍼져 있으며 영어를 매우 다르게 만든다. 캐나다의 한 대규모 말뭉치인 ''누나부트 한사드''에서는 모든 단어의 92%가 한 번만 나타나는데, 이는 비슷한 크기의 대부분의 영어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작은 비율과 대조적이다. 이로 인해 이누이트어에 지프의 법칙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품사의 개념은 이누이트어에서 다소 복잡할 수 있다. 완전히 굴절된 동사는 명사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lisaijuq"라는 단어는 완전히 굴절된 동사 "그는 공부한다"로 해석될 수 있지만, 명사 "학생"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유창한 화자에게는 문맥에 따라 의미가 명확할 것이다.
이누이트어의 형태론과 구문론은 방언에 따라 어느 정도 다르다. 이 문서 ''이누이트어 문법''은 주로 중앙 누나부트 방언을 설명하지만, 기본 원리는 일반적으로 모든 방언과 유픽어에도 어느 정도 적용된다.
모음은 기본적으로 [a], [i], [u]의 3개(경우에 따라 [e], [o]의 발음이 되기도 함)이며, 장단 구별이 있다. 음절은 CVC형으로, 장모음은 2모라로 취급된다.
문법적으로는 전형적인 복합 통합어(소위 포합어의 일종*)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하나의 문장에 상당하는 의미가 다양한 접사로 동사 안에 포함되어 표현되는 성질이다. 또한 능격 언어이다. 이것들은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기본적인 성격으로 생각되지만, 알류트어에서는 복합 통합성이 상당히 퇴화되어 있다. 복합 통합어는 광의의 포합어에 포함된다. 협의의 포합어는 다수의 접사에 의해 의미론적인 파생을 행하는 언어를 말하지만, 이누이트어는 여기에 해당되지 않고, 어디까지나 복합 통합어이다.
8. 역사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한 갈래인 이누이트어는 유픽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알류트어와도 연관이 있다. 이 언어들은 모두 미국 알래스카 서부와 러시아 추코트카 자치구에서 사용된다.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나 북동아시아 언어와는 뚜렷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누이트어의 초기 형태는 베링기아에서 북극 제도로 동쪽으로 이주한 툴레족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300년경, 이누이트족과 그들의 언어는 서부 그린란드에 도달했고, 동부 그린란드에도 거의 동시에 남부 그린란드의 바이킹 식민지가 사라졌다. 이누이트어가 서부 알래스카와 추코트카에서 사용되는 유픽어와 구별된 것은 수 세기에 걸친 이 동쪽 이주 기간 동안이었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진다.[5]
사우스햄튼 섬에는 1902년까지 ''사들러미우트''(현대 이누크티투트어 표기로는 ''살리르미우트'')라는 도르셋 문화의 월경지가 존재했다. 이들의 언어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지만,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상한 방언"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는 이들이 이누이트어를 사용했지만, 오늘날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형태와는 상당히 다른 언어를 사용했음을 시사한다.[5]
유픽어와 이누이트어는 통사론과 형태론에서 매우 유사하며, 이들의 공통 기원은 다음과 같은 어원 동족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어 | 중앙 유픽어 | 이누피아툰어 | 노스 배핀 이누크티투트어 | 칼라알리수트어 |
---|---|---|---|---|
사람 | yukesu | iñukik | inukiu (ᐃᓄᒃiu) | inukkl |
서리 | kaneqesu | kaniqik | kaniqiu (ᑲᓂᖅiu) | kaneqkl |
강 | kuikesu | kuukik | kuukiu (ᑰᒃiu) | kuukkl |
외부 | ellamiesu | siḷamiik | silamiiu (ᓯᓚᒥiu) | silamikl |
서부 알래스카의 변이형은 원시 이누이트어와 유픽어에 존재하는 많은 특징을 유지하고 있어, 이누이트어와 분리하여 유픽어에 속한다고 분류할 수도 있다.[5]
이누이트어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비교적 밀접하게 연결된 언어 집합이다. 이누이트인들은 전통적으로 지명을 사용하여 방언의 차이를 설명했다. (예: 이글루릭 방언, 이콰루이트 방언) 그러나 정치적, 사회학적 분열은 이누이트어의 다양한 변이를 설명하는 주요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5]
덴마크 본토에는 약 7,000명의 그린란드어 사용자가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5]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200명의 자칭 이누크티투트어 원어민이 전통적인 이누이트 밖의 캐나다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reenland's statistics
http://www.stat.gl/d[...]
2020-06-11
[2]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Profile table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2023-04-16
[3]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s Spoken in the United States (by Language)
https://web.archive.[...]
yourdictionary.com
2012-02-20
[4]
웹사이트
We Speak Inuktut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Nunavut
2022-10-11
[5]
웹사이트
Inuktitut, Greenlandic: A language of Greenland
http://www.ethnologu[...]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2012-02-20
[6]
웹사이트
Alaska Native Languages: Inupiaq
http://www.uaf.edu/a[...]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2012-02-20
[7]
논문
A Grammar of Iñupiaq Morphosyntax
Rice University
2010
[8]
웹사이트
Greenlandic
http://www.ethnologu[...]
[9]
웹사이트
iqaluk
http://www.livingdic[...]
2011-07-19
[10]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https://web.archive.[...]
nunavut.com
2012-02-20
[11]
웹사이트
Project Surname: Listening to Our Past
http://www.tradition[...]
Francophone Association of Nunavut
2012-02-20
[12]
서적
The Great Eskimo Vocabulary Hoax and Other Irreverent Essays on the Stud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2-20
[13]
뉴스
Inuit combine nine different scripts for writing Inuktitut into one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9-10-07
[14]
뉴스
National Inuit org approves new unified writing system
https://nunatsiaq.co[...]
2019-10-07
[15]
웹인용
Greenland's statistics
http://www.stat.gl/d[...]
2020-06-11
[16]
웹인용
Census Profile, 2016 Census
http://www12.statcan[...]
2019-11-04
[17]
웹인용
Indigenous Languages Spoken in the United States (by Language)
http://www.yourdicti[...]
yourdictionary.com
2012-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