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레리아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리아족은 국화과의 아족으로, 2022년 4월 기준으로 Global Compositae Database에서 여러 속을 포함하여 분류된다. 밀레리아족은 과르디올라아족, 데스만토디움아족, 디스크리토탐누스아족, 멜람포디움아족, 밀레리아아족, 별꽃아재비아족, 야이게리아아족, 에스펠레티아아족으로 세분된다. 또한, 일부 속은 분류 불확실 상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레리아족 - 야콘
    야콘은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원산의 여러해살이 풀로, 덩이줄기는 고구마와 비슷하며 프락토올리고당이 풍부해 단맛이 나고 생식이나 요리에 사용되며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도 활용된다.
  • 밀레리아족 - 별꽃아재비속
    별꽃아재비속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속이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아과
    진달래아과는 진달래속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가솔송족, 브리안투스족, 시로미족, 에리카족, 진달래족 등 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파파야과
    파파야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목본 또는 초본 식물 과로, 손바닥 모양의 잎과 측막태좌에 다수의 종자가 붙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아메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6개의 속을 포함한다.
밀레리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Millerieae Lindl.
명명자Lindl.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국화군
국화목
국화과
아과국화아과
밀레리아족
하위 분류
본문 참조
모식속Milleria Houst. ex L.

2. 하위 분류

밀레리아족에는 2022년 4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아족과 속이 Global Compositae Database에서 인정받고 있다.[2]

아족
과르디올라아족(Guardiolinae)Guardiola
데스만토디움아족(Desmanthodiinae)Desmanthodium
디스크리토탐누스아족(Dyscritothamninae)Bebbia, Cymophora, Dyscritothamnus, Tridax
멜람포디움아족(Melampodiinae)Acanthospermum, Lecocarpus, Melampodium
밀레리아아족(Milleriinae)진득찰속(Sigesbeckia), Axiniphyllum, Guizotia, Ichthyothere, Micractis, Milleria, Rumfordia, Smallanthus, Stachycephalum, Trigonospermum, Unxia, Zandera
별꽃아재비아족(Galinsoginae)별꽃아재비속(Galinsoga), Alepidocline, Alloispermum, Aphanactis, Cuchumatanea, Faxonia, Oteiza, Sabazia, Schistocarpha, Selloa, Stenocarpha
야이게리아아족(Jaegeriinae)Jaegeria
에스펠레티아아족(Espeletiinae)Carramboa, Coespeletia, Espeletia, Espeletiopsis, Libanothamnus, Paramiflos, Ruilopezia, Tamananthus, Tamania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Freya, Tetragonotheca


2. 1. 과르디올라아족 (Guardiolinae)

H.Rob.이 과르디올라아족(Guardiolinae)을 명명했다.[12]

  • ''Guardiola'' Cerv. ex Bonpl.

2. 2. 데스만토디움아족 (Desmanthodiinae)

데스만토디움아족(Desmanthodiinae H.Rob.)[13]

  • ''Desmanthodium'' Benth.

2. 3. 디스크리토탐누스아족 (Dyscritothamninae)

2. 4. 멜람포디움아족 (Melampodiinae)


  • ''Acanthospermum'' Schrank[15]
  • ''Lecocarpus'' Decne.
  • ''Melampodium'' L.

2. 5. 밀레리아아족 (Milleriinae)

Benth. & Hook.f.가 1873년에 명명한 밀레리아족(Milleriinae)은 다음 속들을 포함한다.[16]

  • 진득찰속(''Sigesbeckia'' L.)
  • ''Axiniphyllum'' Benth.
  • ''Guizotia'' Cass.
  • ''Ichthyothere'' Mart.
  • ''Micractis'' DC.
  • ''Milleria'' Houst. ex L.
  • ''Rumfordia'' DC.
  • ''Smallanthus'' Mack.
  • ''Stachycephalum'' Sch.Bip. ex Benth.
  • ''Trigonospermum'' Less.
  • ''Unxia'' Kunth
  • ''Zandera'' D.L.Schulz

2. 6. 별꽃아재비아족 (Galinsoginae)

별꽃아재비속(''Galinsoga'' Ruiz & Pav.)[17]

  • ''Alepidocline'' S.F.Blake
  • ''Alloispermum'' Willd.
  • ''Aphanactis'' Wedd.
  • ''Cuchumatanea'' Seid. & Beaman
  • ''Faxonia'' Brandegee
  • ''Oteiza'' La Llave
  • ''Sabazia'' Cass.
  • ''Schistocarpha'' Less.
  • ''Selloa'' Kunth
  • ''Stenocarpha'' S.F.Blake

2. 7. 야이게리아아족 (Jaegeriinae)


  • ''Jaegeria'' Kunth[18]

2. 8. 에스펠레티아아족 (Espeletiinae)

에스펠레티아아족(Espeletiinae)은 Cuatrec.가 분류한 아족이다.[19]

다음과 같은 속을 포함한다.

  • ''Carramboa'' Cuatrec.
  • ''Coespeletia'' Cuatrec.
  • ''Espeletia'' Bonpl.
  • ''Espeletiopsis'' Cuatrec.
  • ''Libanothamnus'' Ernst
  • ''Paramiflos'' Cuatrec.
  • ''Ruilopezia'' Cuatrec.
  • ''Tamananthus'' V.M.Badillo
  • ''Tamania'' Cuatrec.

2. 9.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 ''Freya'' V.M.Badillo[2]
  • ''Tetragonotheca'' Dill. ex L.

3.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20]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21][22][23]

국화아과에 속하는 분지군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Asteroideae - Taxonomy https://www.uniprot.[...]
[2] 웹사이트 Millerieae Lindl.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3] 웹사이트 Desmanthodiinae H.Rob.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4] 웹사이트 Dyscritothamninae Panero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5] 웹사이트 Espeletiinae Cuatrec.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6] 웹사이트 Galinsoginae Benth. & Hook.f.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7] 웹사이트 Guardiolinae H.Rob.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8] 웹사이트 Jaegeriinae Panero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9] 웹사이트 Melampodiinae Less.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10] 웹사이트 Milleriinae Benth. & Hook.f. https://www.composit[...]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18
[11] 서적 An Encyclopedia of Plants John Claudius Loudon
[12] 논문 Phytologia
[13] 논문 Phytologia
[14] 논문 Phytologia
[15] 논문 Linnaea
[16] 논문 Genera Plantarum
[17] 논문 Genera Plantarum
[18] 논문 Phytologia
[19] 논문 Phytologia
[20]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21] 저널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03
[22] 저널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23
[23]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s://botany.si.e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