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차 만디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리차 만디치는 세르비아의 태권도 선수이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세르비아의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두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태권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여자 태권도 선수 - 티야나 보그다노비치
 티야나 보그다노비치는 세르비아의 태권도 선수로, 올림픽 은메달과 동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유러피언 게임 은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올림픽 태권도 참가 선수 - 티야나 보그다노비치
 티야나 보그다노비치는 세르비아의 태권도 선수로, 올림픽 은메달과 동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금메달, 유러피언 게임 은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지중해 게임 은메달리스트 - 다미르 미케츠
 세르비아의 사격 선수 다미르 미케츠는 형 고란 미케츠 또한 사격 선수이며, 엘살바도르의 사격 선수 멜리사 페레스와 결혼하여 슬하에 두 자녀를 두고 있다.
- 세르비아의 지중해 게임 은메달리스트 - 다보르 슈테파네크
 다보르 슈테파네크는 세르비아의 레슬링 선수로,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 밀리차 만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이름 | Милица Мандић (Milica Mandić) | 
| 국적 | 세르비아 | 
| 거주지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 출생일 | 1991년 12월 6일 | 
| 출생지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베오그라드 | 
| 신장 | 185cm | 
| 체중 | 79kg | 
| 종목 | 태권도 | 
| 세부 종목 | 미들급 | 
| 클럽 | TK 갈레브 | 
| 코치 | 드라간 요비치 | 
| 올림픽 메달 | |
| 올림픽 | 금 2개 |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금 1개, 동 1개 | 
| 그랑프리 메달 | |
| 월드 태권도 그랑프리 | 금 1개, 은 2개, 동 3개 | 
|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 |
| 유럽 태권도 선수권 대회 | 은 4개 | 
| 유럽 게임 메달 | |
| 유러피언 게임 | 은 1개 | 
| 지중해 게임 메달 | |
| 지중해 게임 | 은 1개 |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메달 | |
| 세계 주니어 태권도 선수권 대회 | 동 1개 | 
2. 선수 경력
만디치는 선수 생활 초기에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미들급(73kg 미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1] 2012년 유럽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2] 이후 올림픽 무대에서는 2012년 하계 올림픽과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3][4][7][8] 2016년 하계 올림픽에도 출전했다.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1년 동메달에 이어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추가했다.[5]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6]
2. 1. 올림픽
만디치는 총 세 번의 올림픽에 출전하여 두 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태권도 +67kg급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독립 세르비아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이었다.[3][4]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8강전에서 탈락했다.
2020년 4월, 만디치는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코로나19 범유행으로 1년 연기되어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 여자 태권도 +67kg급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의 이다빈을 꺾고 개인 통산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7][8] 이는 세르비아 선수단의 도쿄 올림픽 첫 금메달이기도 했다.[7][8]
2. 1. 1. 2012 런던 올림픽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태권도 +67kg급 결승전에서 프랑스의 앤 캐롤라인 그라페를 9-7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독립 세르비아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이었다.[3][4]2. 1. 2.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8강전에서 영국의 비앙카 워크덴에게 패했다.2. 1. 3. 2020 도쿄 올림픽
2020년 4월, 만디치는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녀는 대한민국의 이다빈을 꺾고 개인 통산 두 번째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7][8] 이는 세르비아 선수단의 도쿄 올림픽 첫 금메달이기도 했다.[7][8]2. 2. 세계 선수권 대회
만디치는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미들급(73kg 미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1]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의 오혜리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5]2. 3. 은퇴
2020년 4월, 만디치는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녀는 대한민국의 이다빈을 꺾고 두 번째 금메달(세르비아의 도쿄 2020 첫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장식했다.[7][8]3. 명예의 전당
만디치와 그녀의 트레이너 드라간 요비치는 2013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태권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 그녀는 세르비아 태권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선정되었다.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한 그녀의 성적은 세르비아 태권도계에서 가장 뛰어난 결과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4. 사생활
그녀는 파르티잔의 열렬한 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ompetition Results
 
http://www.wtf.org/b[...] 
2012-08-15
 
[2] 
웹사이트
 
Results
 
http://www.gbtaekwon[...] 
2012-08-15
 
[3] 
웹사이트
 
Serbia woman wins taekwondo gold
 
https://www.washingt[...] 
2012-08-11
 
[4] 
웹사이트
 
Milica Mandić has an eternal place in Serbia's history books
 
https://www.insideth[...] 
2021-08-17
 
[5] 
웹사이트
 
2017 WTF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Day 6: Golds Won by Germany, Serbia and Niger
 
http://www.worldtaek[...] 
[6] 
뉴스
 
Milica Mandić: Kraj karijere posle Tokija
 
https://www.danas.rs[...] 
2021-07-27
 
[7] 
뉴스
 
Olympics-Taekwondo-Serbia's Mandic wins women's +67kg gold medal
 
https://www.reuters.[...] 
2021-07-27
 
[8] 
뉴스
 
Milica Mandić je olimpijska šampionka!
 
https://www.b92.net/[...] 
2021-07-27
 
[9] 
웹사이트
 
Milica Mandic at Hall of Fame in Las Vegas
 
http://sport.blic.rs[...] 
2013-10-17
 
[10] 
뉴스
 
-올림픽-<태권도> 이인종, 女+67㎏급 노메달(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2-13
 
[11] 
뉴스
 
Olympics taekwondo: Serb Milica Mandic wins country's first gold
 
http://www.bbc.co.uk[...] 
BBC Sport
 
2013-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