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권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권도는 1945년 광복 이후 한국에서 여러 무술 도장이 생기면서 시작되었으며, 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 등 5대 관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이들은 1960년대에 통합되어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되었으며, 이후 국제 태권도 연맹(ITF)과 세계 태권도 연맹(WT)으로 분리되어 각각 독자적인 체계를 갖추었다. 태권도는 품새, 겨루기, 격파를 주요 종목으로 하며, 발차기 기술을 중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한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택견
    택견은 춤과 같은 유연한 움직임과 발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 전통 무예로, 조선 시대 민속놀이에서 기원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무술로 명맥을 유지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현재는 전국 규모의 대회가 열리고 있다.
  • 태권도 - 무덕관
    황기가 창시하여 화수도에서 당수도를 거쳐 수박도로 명칭이 변경된 무덕관은 택견에서 영감을 얻고 무예도보통지를 연구하며 발전했으나, 태권도 통합 시도 등의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는 미국 수박도 무덕관 연맹이 관련 상표를 보유하고 있다.
  • 태권도 - 창무관
    창무관은 윤병인이 YMCA 권법부를 모태로 설립하여 쿵푸 기반 무술을 가르치다 태권도 발전에 기여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관장의 월북과 함께 태권도를 수용하며 고유성을 잃고 현재는 친목 클럽 형태로 운영되며 전통 무술 보존 노력을 하고 있다.
  • 실내 스포츠 - 네트볼
    네트볼은 농구에서 파생된 여성 구기 종목으로, 7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정해진 포지션에서 패스와 슛을 통해 득점하며, 국제 규칙과 월드컵이 존재하고 영연방 국가에서 인기가 높다.
  • 실내 스포츠 - 당구
    당구는 큐를 사용하여 공을 쳐서 득점하는 실내 스포츠로, 캐롬과 포켓 등의 종류가 있으며, 당구대와 큐 등의 장비를 사용하고, 1998년 아시아 경기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태권도
기본 정보
2020년 하계 올림픽 태권도 경기
다른 이름TKD, 태권도, 태권-도, taekwon-do, tae-kwon-do
초점타격, 발차기
국가대한민국
창시자단일 창시자 없음; 원래 9개 관 대표들의 협력 노력, 초기에는 최홍희의 감독하에 이루어짐.
계보주로 택견 및 가라테(특히 쇼토칸 및 슈도칸, 원래 9개 관에서 수련한 스타일의 기반이 됨.) 일부 중국 무술
유명 수련자(주목할 만한 수련자 참조)
올림픽2000년부터 (세계 태권도 연맹) (1988년 시범 종목)
스포츠 정보
유형격투 스포츠, 무술 스포츠
접촉풀 컨택트 (WT), 라이트 및 미디엄 컨택트 (ITF, ITC, ATKDA, GBTF, GTF, ATA, TI,TCUK, TAGB)
연맹세계 태권도 연맹 (대한민국)
기원한국
성별남녀 모두
장비호구, 머리 보호구
월드 게임1981년–1993년
패럴림픽2020년부터
올림픽2000년부터
국가/지역전 세계
한국어 명칭
한글태권도
한자跆拳道
로마자 표기taegwond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t'aekwŏndo
용어
품새품새
겨루기겨루기
격파격파
도복dobok
추가 정보
설명테권도는 한국의 무술이다.
태권도는 발차기를 중점으로 하는 무술이다.
태권도는 1955년에 창시되었다.
테권도는 최홍희에 의해 만들어졌다.
태권도는 월드 태권도 연맹(WT)과 국제 태권도 연맹(ITF)으로 나뉜다.
태권도는 2000년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었다.
태권도는 태껸과 가라테의 영향을 받았다.
태권도는 품새, 겨루기, 격파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어 명칭
다른 이름跆拳道
경기 형식형, 組手 (1대1로 싸우는), 試割
사용 무기없음
발생 연도1955년 (택견의 역사는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감)
창시자최홍희
유파WT
ITF
파생 종목없음
주요 기술徒手空拳(주로 발차기)
올림픽2000년 -
공식 웹사이트없음
원류택견, 송도관류 가라테
한국어 정보
명칭태권도
총괄세계 태권도 연맹
유형격투 스포츠, 무술 스포츠
기원대한민국
인원1명 (개인전), 2명 (품새 복식), 3명 이상(단체전)
장소실내
장비호구
최상위 대회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올림픽채택 (2000년~현재)
월드 게임제외 (1981년~1993년)
청소년 올림픽채택 (2010년~현재)
패럴림픽채택 (2020년~현재)
데플림픽채택 (2009년~현재)
아시안 게임채택 (1986년~현재)
아프리칸 게임채택 (1987년~현재)
유러피언 게임채택 (2015년~현재)
팬아메리칸 게임채택 (1987년~현재)
퍼시픽 게임채택 (1995년~현재)

2. 역사

1945년 광복을 전후해 대한민국에는 여러 무술 도장들이 생겨났다. 그중 소위 '5대관'(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이 가장 유명하였는데, 이 도장들이 분화하여 생긴 9개관이 1960년대에 합쳐져서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된다.

특히 영향력이 강했던 도장은 청도관무덕관이었다. 최초의 태권도장인 청도관은 이원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그는 일본 유학 중 근대 가라테의 아버지 후나코시 기친에게 송도관 가라테를 배웠다. 무덕관황기에 의해 설립되었는데,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우고 중국에서 태극권과 쿵푸를 배웠다고 전해진다.

군 장성이었던 최홍희는 청도관 출신 인사들이 많던 군대 내 도장 오도관을 창립하고 초대 관장이 된다.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웠다는 말도 있고[88], 일본 중앙대학을 다니면서 가라테를 배운 뒤, 군에서 복무하며 군대 격투기로 가라테를 지도하였다. 1954년 그의 부대를 시찰한 이승만이 일종의 변형 가라테 시범을 관람한 후 택견으로 착각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최홍희택견과 비슷한 단어를 찾다 태권에 도를 합하여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했다.

1959년 처음 대한태권도협회가 만들어졌고, 1966년 국제 태권도 연맹(ITF)이 만들어져 최홍희가 총재로 취임한다. 1972년 최홍희가 정권과 갈등을 빚다 캐나다로 망명하며 ITF 본거지를 토론토로 옮기자, 대한태권도협회를 중심으로 새로 세계 태권도 연맹(WTF)을 창립하여 태권도 보급에 나선다. 1973년에는 국기원이 건립되었다. ITF는 북미권에서 인지도를 얻다 1980년대 이후 북한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에 태권도를 중심적으로 보급하며, WTF와 함께 세계 태권도계를 양분하게 된다.

태권도의 역사적 영향에 대한 논의는 전통주의와 수정주의라는 두 가지 주요 견해로 나뉘어 논란이 되어왔다. 전통주의는 태권도의 기원이 한국 고유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현재 주류 이론인 수정주의는 태권도가 가라테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13]

2. 1. 태권도 명칭 제정 이전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는 여러 무술 도장들이 생겨났는데, 그중 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의 '5대관'이 가장 유명했다. 이 도장들은 1960년대에 분화하여 9개 관으로 나뉘었고,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되었다.

특히 청도관무덕관이 영향력이 컸다. 최초의 태권도장인 청도관은 이원국이 설립했는데, 그는 일본 유학 중 근대 가라테의 아버지 후나코시 기친에게 송도관 가라테를 배웠다. 이원국은 스스로를 한국 태권도 창시주로 칭하기도 했다.

당시 최대 규모였던 무덕관황기가 설립했다.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우고, 중국에서 태극권과 쿵푸를 배웠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황기의 경력은 자료 부족으로 의심받기도 하며, 그가 택견을 실제로 알고 있었는지도 의문이다. 황기는 가라테를 직접 배우지는 않았지만, 책을 통해 접한 적이 있다.[87] 그는 전통무예에 관심이 많아 당수도로 시작한 도장 명칭을 화수도, 수박도 등으로 바꾸기도 했다.

다른 도장들도 주로 가라테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군 장성이었던 최홍희는 민간 도장과는 관계가 없었지만, 청도관 출신 인사들이 많았던 군대 내 도장 오도관을 창립하고 초대 관장이 되었다.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웠다는 이야기가 있으며[88], 일본 중앙대학에서 가라테를 배운 후 군대에서 가라테를 지도했다.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이 그의 부대 시범을 보고 택견으로 착각했다는 일화가 있다. 최홍희는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했고, 1953년에는 자신이 사단장으로 있던 제29보병사단을 태권도부대로 명명하고 경례 구호도 '태권'으로 정했다.

1940년대 중반, 조선에서는 일본에서 전래된 가라테(空手)가 "곤수도"(空手道), "탄수도"(唐手道), "카라테"(韓手) 등의 이름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당시 주요 도장은 다음과 같다.

도장명설립 연도관장비고
청도관1944년이원국일본 유학 중 송도관에서 후나코시 기친에게 사사. 4개의 분관(오도관, 국무관, 정도관, 청룡관) 파생.
오도관최홍희군대 내 도장. 창헌류 당수로도 불림. 베트남 전쟁 당시 태권도 사범 파견.
국무관청도관 분관
정도관청도관 분관
청룡관청도관 분관
송무관1946년노병직일본 유학 중 송도관에서 후나코시 기친에게 사사. 대한태권도협회 제5대 회장 역임.
조선연무관 가라테부 / 지도관1946년 - 1967년전상섭유도 도장 내에서 발생. 후년에 지도관으로 개칭.
YMCA 권법부 / 창무관1946년윤병인후년에 지도관과 교류. 강덕원, 한무관 등의 분관 파생.
무덕관황기철도국 내 클럽으로 시작. 수박도라는 명칭으로 보급. 대한수박도회의 전신.


2. 2. '태권도' 명칭 제정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는 여러 무술 도장들이 생겨났는데, 그중 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 등 5대 관이 가장 유명했다. 이 도장들은 1960년대에 통합되어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된다.

특히 청도관과 무덕관의 영향력이 컸다. 청도관은 이원국이 설립했으며, 그는 일본 유학 중 근대 가라테의 아버지 후나코시 기친에게 송도관 가라테를 배웠다. 무덕관은 황기가 설립했으며,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우고 중국에서 태극권과 쿵푸를 배웠다고 한다. 그러나 황기는 수박도를 창안하는 등 전통무예에 관심이 많았지만, 태권도 통합 과정에는 소극적이었다.

최홍희는 군 장성 시절 청도관 출신 인사들이 많던 군대 내 도장 오도관을 창립하고 초대 관장이 되었다.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웠다는 이야기도 있고,[88] 일본 중앙대학에서 가라테를 배운 후 군대 격투기로 가라테를 지도했다. 1954년 그의 부대를 시찰한 이승만은 변형 가라테 시범을 보고 택견으로 착각했다는 일화가 있다. 최홍희는 택견과 비슷한 단어를 찾다가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했다.

1955년, 각 관의 지도자들은 통합된 한국 무술을 만들기 위해 논의를 시작했다. 당시 한국식 가라테는 "당수도"라고 불렸으며, "태수도"(跆手道|label=none한국어)라는 이름도 사용되었다. 최홍희는 "태권도"라는 이름을 제안했고, 이 이름은 "택견" 발음과 가장 비슷했다.[19][15][20]

1959년 대한태권도협회가 만들어졌고, 1966년 국제 태권도 연맹(ITF)이 만들어져 최홍희가 총재로 취임했다. 1972년 최홍희가 캐나다로 망명하며 ITF 본거지를 옮기자, 대한태권도협회를 중심으로 세계 태권도 연맹(WTF)이 창립되었다. 1973년에는 국기원이 건립되었다.

1950년대에는 한국 내 무도 단체 통합 움직임 속에서 '태권도'라는 명칭이 정해졌다. 최홍희는 1954년 12월 자신이 훈련시켜 온 무도의 명칭을 ‘태권도’(跆拳道)로 결정하였고, 1955년 4월 11일 명칭 제정 위원회를 소집하여 이승만 대통령에게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 3. 분파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는 여러 무술 도장들이 생겨났는데, 그중 '5대관'으로 불리는 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이 가장 유명했다. 이 도장들이 분화하여 9개 관이 되었고, 1960년대에 이들이 통합되어 현대 태권도의 모체가 되었다.

날아오르는 양발 옆차기


점프 역후려차기

  • 청도관: 최초의 태권도장으로, 이원국이 설립했다. 이원국은 일본 유학 중 후나코시 기친에게 가라테를 배웠고, 중국에서 쿵후를 수련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청도관은 가라테 도장 스타일로 운영되었다.
  • 무덕관: 황기가 설립한 도장으로, 당시 최대 규모였다. 황기는 어릴 때 택견을 배우고 중국에서 태극권쿵후를 배웠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가라테는 직접 배우지 않았지만, 책을 통해 접했다.[87] 황기는 전통무예에 관심이 많았지만, 태권도 통합 과정에는 소극적이었고, 결국 무덕관에서 제명당했다.
  • 기타 도장: 주로 가라테를 기반으로 한 도장이 많았다.


한편, 군 장성이었던 최홍희는 민간 도장과는 관련이 없었지만, 청도관 출신 인사들이 많았던 군대 내 도장인 오도관을 창립하고 초대 관장이 되었다. 그는 어릴 때 택견을 배웠다는 이야기가 있으며[88], 일본 중앙대학에서 가라테를 배운 후 군대에서 가라테를 지도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그의 부대 시범을 보고 택견으로 착각했다는 일화가 있다. 최홍희는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했고, 1953년에는 자신의 부대를 태권도 부대로 명명하고 경례 구호도 '태권'으로 정했다.

1959년 대한태권도협회가 창설되었고, 1966년 국제 태권도 연맹(ITF)이 창설되어 최홍희가 총재가 되었다. 1972년 최홍희가 캐나다로 망명하면서 ITF 본부는 토론토로 이전되었고, 대한태권도협회는 세계 태권도 연맹(WTF)을 창립하여 태권도 보급에 나섰다. 1973년에는 국기원이 건립되었다.

ITF는 북미에서 인지도를 얻고 1980년대 이후 북한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에 태권도를 보급하며 WTF와 함께 세계 태권도계를 양분하게 되었다. 2007년 기준으로 WTF에는 185개국, ITF에는 102개국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89]

태권도의 초기 창시자들은 일본에서 가라테, 유도, 검도 등을 접했고,[10] 중국과 만주 지역의 무술에도 영향을 받았다.[6][11][12]

태권도의 역사적 영향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 전통주의: 태권도의 기원이 한국 고유의 것이라고 주장한다.
  • 수정주의: 태권도가 가라테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현재 주류 이론)[13]


한국 정부는 태권도를 일본과의 연관성에서 분리하고 한국에 "정당한 문화적 과거"를 부여하기 위해 전통주의적 견해를 지지해 왔다.[14]

3. 주요 단체

1959년 한국당수도협회가 설립되었고, 1965년 대한태권도협회(KTA)로 개칭되었다. 2004년 10월 28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설립 허가되었다.

세계 태권도 연맹(WT)의 한국 지부인 대한태권도협회(KTA)는 1960년에 설립되었다. 최홍희는 KTA 회원들이 자신의 창헌식 태권도를 채택하기를 원했으나, 다른 관들은 모든 관의 의견을 반영한 통일된 스타일을 원하며 저항했다.[7] 1966년 최홍희는 KTA와 결별하고 국제태권도연맹(ITF)을 설립했다.[7][15]

1972년 KTA와 문화체육관광부는 국기원을 설립, 1973년 세계태권도연맹(WTF, 2017년 세계태권도 (WT)로 변경) 설립을 지원했다.[21]

3. 1. ITF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1966년 최홍희미국, 일본, 아르헨티나 등 9개국의 승인을 받아 서울에서 국제 태권도 연맹(ITF)을 발족했다.[89] 라이트 콘택트제 규칙을 따르지만, 한국만의 독자적인 무술을 만들기 위해 3600개의 새로운 기술 형태와 총 16권의 태권도 백과사전이 만들어졌다. '''틀'''(WTF의 품새에 해당)에는 천지, 중근, 세종, 통일 등 한국의 역사나 신화 속 인물에서 따온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ITF는 태권도 창시자를 최홍희로 규정하고 있다.[89]

1972년, 최홍희가 박정희 정권과의 정치적 대립으로 캐나다로 망명하면서 ITF 본부가 캐나다로 옮겨졌다.[89] 이후 말레이시아를 시작으로 북미, 남미, 서유럽, 오세아니아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여러 공산국가에도 태권도를 보급하였다.

2002년 최홍희 사망 이후, ITF는 3개의 계승 그룹으로 분파되었다.[89]

2018년 11월 - WT와 북한의 ITF 장웅(張雄) 계열 총재 리영선(李永善)은 남북 태권도 통합 및 발전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하였다. 통합을 위한 공동 기구 설립 및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비롯하여 중국, 러시아, 스위스, 미국, 일본에서의 합동 시범 추진에 합의하였다.[73]

3. 2. WT (World Taekwondo)

1972년 최홍희가 망명한 이후, 남한에서 1973년 세계 태권도 연맹(WTF)이 설립되었다. 현재 올림픽의 정식 경기가 되고 있는 것은 이 단체에서 주관한다. 머리와 몸통을 보호하는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 스포츠에 적합화하여, 국제 태권도 연맹(ITF) 태권도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WT의 품새에는 고려(高麗), 금강(金剛) 등의 명칭이 쓰인다. WT는 ITF와 달리 태권도의 기원을 멀리 잡아 "가깝게는 택견으로, 멀게는 삼국시대의 화랑도와 수박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만 이에 대해선 이견이 존재한다. World Taekwondo Federation (WTF)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으나, 영어 약자가 내포할 수 있는 부정적인 뜻을 원천 차단하고자 2017년 World Taekwondo (WT)로 이름을 바꾸었다.

2020 도쿄 올림픽 여자 경기


태권도는 머리 높이 차기, 점프와 회전 차기, 빠른 차기 기술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WT 스파링 경기에서는 회전 차기, 머리 차기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타격에 추가 점수를 부여한다.[24]

1970년대에 한국의 국기로 자리를 잡은 세계태권도(WT) 태권도는 1980년대에 들어 올림픽 종목 채택을 향해 나아가게 되었다.

연도사건
1980년제83차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세계태권도(WT)와 태권도 경기가 승인되었다.
1986년WT 태권도가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실시되었다.
1987년WT 태권도가 1988년 서울 올림픽의 시범 종목으로 결정되었다.
1988년WT 태권도가 서울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실시되었다.
1992년WT 태권도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실시되었다.
1994년WT 태권도가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결정되었다.
2000년WT 태권도가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실시되었다.
2017년세계태권도연맹 (WTF)이 세계태권도 (WT)로 개칭.
2018년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 전에, 한국의 WT 시범단과 북한의 ITF 시범단의 합동 시범이 공개됨.
2018년WT와 북한의 ITF 장웅(張雄) 계열 총재 리영선(李永善)은 남북 태권도 통합 및 발전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 통합을 위한 공동 기구 설립 및 2020년 하계 올림픽을 비롯하여 중국, 러시아, 스위스, 미국, 일본에서의 합동 시범 추진에 합의[73]


3. 3. KTA (Korea Taekwondo Association)

1959년 한국당수도협회(후에 대한태권도협회(KTA)로 개칭)가 한국 무술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7] 1965년 대한태권도협회로 개칭되었다. 2004년 10월 28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설립허가 되었다.

세계 태권도 연맹(WT)의 한국지부인 대한태권도협회(KTA,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는 1960년에 설립된 대한태권도협회를 기원으로 한다.

최홍희는 KTA의 다른 모든 회원 관(館)들이 자신의 창헌식 태권도를 통일된 스타일로 채택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다른 관들은 모든 관의 의견을 바탕으로 통일된 스타일을 만들어 모든 스타일의 유산과 특징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저항했다. 단일 관의 스타일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7] 이에 대한 반응으로, 북한에서의 태권도 교육과 한반도 전체 통일에 대한 정치적 의견 차이와 더불어, 최홍희는 1966년 (대한민국) KTA와 결별하고 캐나다에서 자신의 창헌식 태권도를 제도화하기 위한 별도의 지배 기구인 국제태권도연맹(ITF)을 설립했다.[7][15]

1972년, KTA와 대한민국 정부의 문화체육관광부는 새로운 태권도 국가 기관인 국기원을 설립했다. 국기원은 현재 정부가 후원하는 통일된 태권도 스타일을 정의하는 측면에서 이전에 KTA가 수행했던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1973년 KTA와 국기원은 세계태권도연맹(WTF, 2017년 약칭이 인터넷 속어와 겹친다는 이유로 "세계태권도" (WT)로 변경)의 설립을 지원했다.[21]

4. 태권도의 기본 기술

태권도는 다양한 기본 기술들을 바탕으로 수련하는 무술이다. 이러한 기본 기술들은 공격과 방어 동작을 포함하며,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태권도 도장이나 학교마다 수련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25]


  • '''품새''': 가라테의 카타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정해진 동작 순서를 통해 자세, 위치, 기술 숙련도를 높인다.
  • '''겨루기''': 자유 겨루기, 7단 겨루기, 3단 겨루기, 2단 겨루기, 1단 겨루기, 점수제 겨루기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 '''격파''': 보드, 벽돌, 기와, 얼음 등을 격파하며, 파워 격파, 스피드 격파, 특수 기술 격파로 나뉜다.
  • '''호신술''': 자기 방어를 위한 기술이다.
  • '''던지기 및/또는 낙법''': 상대를 던지거나 넘어졌을 때 안전하게 착지하는 기술이다.
  • '''기타''': 무산소 및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이완 및 명상 운동, 정신 및 윤리 훈련 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태권도 연맹에서는 무기 훈련을 공식 커리큘럼에 포함하지 않지만, 일부 도장에서는 , 칼, 막대기 등을 사용한 추가 훈련을 하기도 한다.

태권도에는 여러 유파와 단체가 존재하며, 주요 기술적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26]

  • 각 유파에서 연습하는 형 ( ''품새'', 또는 )의 차이
  • 경기 스파링 규칙의 차이
  • 무술 철학의 차이

4. 1. 기본 동작

세계 태권도 연맹과 국제 태권도 연맹은 수련 내용이나 기술 명칭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여기서는 세계 태권도 연맹의 내용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태권도의 기본 동작은 크게 '서기', '손기술', '발기술'로 나뉜다.

  • '''서기''': 공격과 방어 태세를 갖추기 위한 기본적인 기술이다. 모아서기, 나란히서기, 왼서기, 오른서기, 주춤서기, 앞굽이, 앞서기, 뒷굽이, 학다리서기, 범서기, 겻다리서기, 오금서기 등이 있다.

  • '''손기술''': 팔과 손을 이용한 공격과 방어 기술이다.
  • '''지르기''': 주로 주먹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공격하는 기술이다. 몸통 지르기, 옆 지르기, 명치 지르기, ㄷ자 지르기, 편 손 끝 지르기, 정권 지르기 등이 있다.
  • '''찌르기''': 손끝을 사용하여 공격하는 기술이다. 편 손 끝 찌르기, 엎은 손 끝 찌르기, 가위 손 끝 찌르기, 한 손 끝 찌르기 등이 있다.
  • '''치기''': 손날치기, 등주먹치기, 메주먹치기 등이 있다.
  • '''막기''': 상대방의 공격을 막는 방어 기술이다. 아래 막기, 몸통 막기(안막기), 올려막기(얼굴 막기), 옆 막기, 한 손날 막기, 양 손날 막기, 금강막기, 외산틀막기 등이 있다.

  • '''발기술''': 뻗어차기, 앞차기, 옆차기, 돌려차기, 반달차기, 뒤차기, 밀어차기, 굴러차기, 앞후려차기, 뒤후려차기, 돌개차기(턴차기), 하단 뒤후리기, 540도 차기, 720도 차기, 900도 차기, 역턴, 외발턴 등이 있다.


홍띠를 맨 젊은 수련생이 고려 태권도 품새를 시행하고 있다.

4. 2. 응용 동작

품새는 공격 기술과 방어 기술을 연결하여 혼자서도 겨루기를 할 수 있게 구성된 연속 동작이다. 기본 기술 숙달, 특수 동작 연습, 겨루기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품새 종류로는 유급자 품새인 태극 1~8장, 유단자 품새인 고려, 금강, 태백, 평원, 십진, 지태, 천권, 한수, 일여, 그리고 팔괘 등이 있다.[25]

겨루기는 기본 동작과 품새에서 얻은 공격 및 방어 기술을 응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으로, 자유겨루기와 맞춰겨루기로 나뉜다. 자유겨루기는 기본 기술과 품새에서 익힌 기술로 약속 없이 상대와 겨루는 것이고, 맞춰겨루기는 약속된 사항 아래 공격과 방어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세 번 겨루기, 한 번 겨루기 등이 있다.[25]

격파는 훈련, 시험, 무술 시범 등에 사용되는 기술로, 보드, 벽돌, 기와, 얼음 조각 등을 격파한다. 파워 격파, 스피드 격파, 특수 기술 격파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25]

호신술, 던지기, 낙법,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 이완 및 명상 운동, 정신 및 윤리 훈련 등도 태권도 수련 과정에 포함된다.[25]

5. 태권도의 수련 방법

태권도의 수련 방법은 크게 형(품새), 대련(겨루기), 단련(격파) 세 가지로 나뉜다.[25]


  • '''품새''': 혼자서 상대방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동작을 연구하는 것이다. 가라테 수련에서의 kata|가타일본어와 같은 기능을 한다.
  • '''겨루기''': 품새에서 익힌 것을 바탕으로 두 사람이 마주 겨루어 실전에 대비하는 것이다. 자유 겨루기, 7단 겨루기, 3단 겨루기, 2단 겨루기, 1단 겨루기, 점수제 겨루기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 '''격파''': 송판, 벽돌 등을 깨뜨려 태권도 기술을 연마하는 것이다. 파워 격파, 스피드 격파, 특수 기술 격파로 나뉜다. 시범에는 벽돌, 기와, 얼음 조각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호신술, 던지기 및 낙법, 유·무산소 운동, 이완 및 명상, 정신 수양 등이 수련 과정에 포함된다. 대부분의 태권도 연맹에서는 무기 훈련을 공식 커리큘럼에 포함하지 않지만, 일부 도장에서는 봉, 칼 등을 사용한 훈련을 하기도 한다.

태권도에는 여러 유파가 존재하며, 각 유파는 고유한 형(품새), 경기 규칙, 철학을 가지고 있다.[26]

  • 전통 태권도: 1940~50년대 9개의 원류 관(館)에서 수련했던 무술을 지칭하며, 당수도, 수박도 등으로도 불린다.[7][15] 1959년, 대한태권도협회(KTA)가 설립되어 공통 교육 과정(국기원)을 만들었다.
  • 국제택견연맹(ITF) 스타일 태권도: 최홍희가 정의한 창헌 스타일 태권도로, 24개의 틀(품새)이 있다.[27] 1990년 세계태권도연맹(GTF)이 ITF에서 분리되었고, ITF는 2001~2002년에 3개의 연맹으로 분리되었다.[28][29][30]
  • 미국 태권도 협회(ATA) 스타일 태권도: 이항웅이 설립한 송암 태권도로, 미국에서 가장 큰 태권도 학원 체인 중 하나이다.[31]
  • 익스트림 태권도: 신민철이 창시한 혼합격투기 스타일로, 다른 무술을 접목한 태권도 대회를 홍보한다.[34]

6. 태권도 용구와 경기 시설

ITF나 국기원과 같은 단체에서 태권도의 일반적인 스타일을 정의하지만, 개별 도장과 학교에서는 태권도 수련 방식을 자신들의 방식에 맞추는 경향이 있다.[25] 각 태권도 도장이나 학교마다 다르지만,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대부분 또는 모든 과정에 참여한다.


  • 품새: 품새는 가라테 수련에서의 가타|kata일본어와 같은 기능을 한다.
  • 겨루기: 겨루기에는 자유 겨루기(경쟁자들이 몇 분 동안 중단 없이 겨루는 것), 7단 겨루기, 3단 겨루기, 2단 겨루기, 1단 겨루기(학생들이 미리 정해진 겨루기 조합을 연습하는 것), 그리고 점수제 겨루기(각 점수가 매겨진 후 겨루기를 중단했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 등의 변형이 포함된다.
  • 격파: 보드를 격파하는 것은 시험, 훈련 및 무술 시범에 사용된다. 시범에는 종종 벽돌, 기와, 얼음 조각 또는 기타 재료도 포함된다. 이러한 기술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 파워 격파: 가능한 한 많은 보드를 격파하기 위해 직선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것
  • * 스피드 격파: 보드를 한쪽 가장자리에서 느슨하게 잡고, 격파에 필요한 속도에 특히 중점을 두는 것
  • * 특수 기술: 더 적은 보드를 격파하지만 점프나 회전 발차기 기술을 사용하여 더 높은 높이, 더 먼 거리 또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
  • 호신술
  • 던지기 및/또는 낙법 기술
  •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포함
  • 이완법 및 명상 운동, 호흡 조절
  • 정신적, 윤리적 훈련, 예의, 정의, 존중, 자신감, 리더십 기술에 대한 집중
  • 다음 단계로 진급하기 위한 시험


무기 훈련은 대부분의 태권도 연맹 커리큘럼의 공식적인 부분은 아니지만, 개별 도장에서는 종종 , 칼, 막대기와 같은 무기를 사용한 추가 훈련을 포함한다.

6. 1. 용구

도복은 품 도복, 단 도복, 띠로 구성되는데, 상하의는 백색 목면 천으로 만든다.

태권도에서 띠별 색깔의 의미는 태권도라는 무예를 일정 기간 수련하여 태권도의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그 수준을 인정해주는 하나의 표식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띠의 색깔만 보더라도 그 사람이 태권도에 대해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수련을 거듭했는지, 실력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각 색깔별 띠는 다음과 같다.

띠 색깔급수수련 기간의미배우는 내용
흰색무급처음 입문하고 1개월 이내새출발, 시작, 예의, 존경기본 자세, 예의
노란색10~92~3개월인내어렵고 힘들더라도 참고 견뎌내는 정신
초록색8~74~5개월염치절대 자만하지 말고 항상 체면을 차리고 부끄러움을 알아기는 정신
파란색6~56~7개월극기인내하고는 달리 어렵고 힘든 일을 의지로 억압하여 극복하는 정신
밤색4~38~9개월정의바르고 곧은 마음 올바른 도리
빨간색2~110~12개월열정불타는 열정으로 훈련에 매진
검정&빨강(15세 이하)12개월 이상백절불굴백번을 꺽더라도 굴복하지 않고 바르게 이긴다는 의미
검정색(15세 이상)완성흰띠가 검게 변하도록 오랜시간 열심히 수련했다는 것을 의미



보호구는 대련 시에 한해서만 착용한다.

6. 2. 경기장

겨루기는 사방 8m의 정사각형, 팔각형, 원형 경기장에서 진행된다. 어린이 경기에서는 사방 7m 경기장을 사용한다. 시범 대회는 10m의 정사각형 경기장을 사용한다.

7. 경기 방법 및 규칙

태권도 시합은 개인전과 단체전(5인 1조)으로 나뉘며, 정해진 규칙 아래 기술을 겨루어 득점제로 승패를 결정한다.[25]

태권도 도장이나 학교마다 수련 방식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른다.


  • 품새: 가라테의 kata와 유사하며, 정해진 동작을 연습한다.
  • 겨루기: 자유 겨루기, 7/3/2/1단 겨루기, 점수제 겨루기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 격파 (격파|gyeokpa한국어 또는 weerok|위력한국어): 파워 격파, 스피드 격파, 특수 기술 격파로 나뉜다.
  • 호신술 (호신술|hosinsul한국어)
  • 던지기 및 낙법 기술 (던지기|deonjigi한국어 또는 떨어지기|tteoreojigi한국어)
  •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 스트레칭
  • 이완법 및 명상, 호흡 조절
  • 정신 및 윤리적 훈련, 예의, 정의, 존중, 자신감, 리더십 기술
  • 승급 시험


대부분의 태권도 연맹에서는 공식적으로 무기 훈련을 포함하지 않지만, 일부 도장에서는 , 칼, 막대기 등을 사용한 훈련을 하기도 한다.

태권도는 여러 유파로 나뉘며, 각 유파는 관련 지배 기구나 연맹이 있다. 주요 기술적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26]

  • 형(형, 형|hyeong한국어, 품새|pumsae한국어, 또는 틀|teul한국어): 자세, 위치, 기술 숙련도를 보여주는 규정된 동작 순서이다.
  • 경기 스파링 규칙
  • 무술 철학


"전통 태권도"는 1940~50년대 9개의 원류 관(관)들이 수련했던 무술을 지칭하며, 당수도, 공수도, 태수도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7][15] 1959년, 9개 관은 "태권도"라는 명칭에 합의하고 대한태권도협회(KTA)를 설립하여 공통 교육 과정을 만들기 시작했다. 여기서 국기원과 국기원식 태권도가 탄생했다. 원류 관들은 현재도 세계태권도와 국기원을 지지하는 독립적인 친목 단체로 존재하며, 회원들에게 국기원 단증과 품증을 발급한다.

국제택견연맹(ITF) 스타일 태권도는 1983년 최홍희의 『태권도 백과사전』에 정의되어 있다.[27] 1990년, 세계태권도연맹(GTF)은 ITF에서 분리되어 ITF 스타일 태권도를 기반으로 추가 요소를 통합하여 수련하고 있다. ITF 자체도 2001년과 2002년에 세 개의 연맹으로 분리되었다.[28][29][30] GTF와 세 ITF 모두 최홍희의 ITF 스타일 태권도를 수련하며, "형" 대신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24개의 창혼 틀을 사용한다. GTF는 6개의 추가 틀을 수련한다.

ITF 태권도 내에는 두 가지 하위 스타일이 있다.

  • 1973년 KTA 분리 이전 ITF 스타일 ("전통 ITF 태권도")
  • 1973년 분리 이후 최홍희가 개발한 스타일 (1983년 『태권도 백과사전』에 발표): "사인 웨이브" 기술 포함


익스트림 태권도는 2008년 신민철이 창시한 혼합격투기 스타일이다. 가라테, 카포에라 등 다른 무술을 혼합한 태권도 대회를 홍보한다.[34]

특공무술은 대한민국 특수부대에서 개발된 전투 시스템으로, 상대를 빠르게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스포츠 경기에도 사용된다. 태권도, 유도, 합기도, 산타, 한국식 킥복싱 등을 혼합한 무술이며, 음양오행 철학을 따른다. 1979년 특수부대 훈련에 도입되었다.[41][42]

호신무술은 태권도 9단 이광영 사범이 창시한 무술 및 전투 시스템이다. 베트남 전쟁 근접 전투 교관, 프랑스 경찰 특수부대 RAID (RAID) 교관, 한국 및 프랑스 정보기관 요원 경험에서 영감을 받았다.

WT 스타일의 ''도복(dobok)''


''도장(dojang)''


태권도 수련자는 허리에 띠를 매고 도복|dobok한국어 (道服)이라는 유니폼을 착용한다. 겨루기 시에는 패드가 부착된 장비를 착용한다. ITF는 손과 발에만 패드를 부착하지만, 국기원/WT는 호구(hogu)라고 불리는 패드가 부착된 몸통 보호대와 헬멧을 포함한 광범위한 장비를 사용한다. 발, 정강이, 사타구니, 손, 팔뚝 보호대도 착용한다. 수련 장소는 도장|dojang한국어(道場)이라고 한다.

멕시코시티 몬테레이 공과대학교 태권도 학생들의 시범


태권도 계급은 유파마다 다르며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초급 계급은 숫자와 급|geup한국어 (급, gup 또는 kup)이라는 용어로 표시되며 띠 색깔(줄 포함)로 나타낸다. 계급은 높은 숫자에서 낮은 숫자로 내려간다. 고급 계급("검은띠")은 단(段) 또는 "단"이라고 부르며 숫자가 올라간다.[43]

승급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승급은 학교마다 다르다. 직함이 계급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태권도연맹에서 1~3단은 부사범|boosabum한국어 (조교), 4~6단은 사범|sabum한국어 (사범), 7~8단은 사현|sahyun한국어 (사현), 9단은 사성|saseong한국어 (사성)이라고 불린다.[44]

WT/국기원 태권도에서는 1~3단은 조교(교사님|kyosa-nim한국어)로 간주되며 계급 부여 권한이 없고, 4~6단은 사범(사범님|sabum-nim한국어)으로 간주되어 하위 계급 학생에게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7~9단은 관장으로 간주된다. 국기원 계급은 연령 요건이 있으며, 관장은 40세 이상이어야 한다.[45]

핀란드 쿠오피오의 쿠오피오 홀리에서 시범을 보이는 모습


태권도 형 또는 품새를 지칭하는 데 세 가지 한국어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 형(형|hyeong한국어): 전통 태권도에서 사용
  • 품새|pumsae한국어: 국기원/WT 및 ATA 스타일 태권도 공식 용어
  • 틀|teul한국어: ITF/창혼 스타일 태권도 용어


형은 무기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수행되는 체계적이고 미리 정해진 무술 기술이다. 다양한 태권도 스타일 및 단체(ATA, ITF, GTF, WT 등)에서 서로 다른 태권도 형을 사용한다.

태권도의 여러 스타일은 서로 다른 철학적 토대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부분 화랑의 오계에 기반한다. 최홍희는 태권도 철학적 기반을 태권도의 오대 원칙으로 제시했다.[46]

  • 예의 (예의|yeui한국어)
  • 염치 (염치|yeomchi한국어)
  • 인내 (인내|innae한국어)
  • 극기 (극기|geukgi한국어)
  • 백절불굴 (백절불굴|baekjeolbulgul한국어)


이 원칙들은 최홍희의 태권도 선서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 나는 태권도의 원칙을 준수할 것을 서약한다.
  • 나는 사범과 선배를 존중할 것을 서약한다.
  • 나는 태권도를 결코 악용하지 않을 것을 서약한다.
  • 나는 자유와 정의의 옹호자가 될 것을 서약한다.
  • 나는 더 평화로운 세상을 건설할 것을 서약한다.


현대 ITF 단체들은 이 철학을 갱신하고 확장해 왔다.[47][48]

세계태권도연맹(WTF) 또한 태권도 철학을 설명하는 데 화랑의 계명을 언급한다.[49] ITF 철학과 마찬가지로, 태권도 수련의 최종 목표 중 하나로 평화로운 사회 건설에 중점을 둔다. WT의 철학은 화랑 정신을 계승하고, 합리적으로 행동하며("천리에 따른 교육"), 태극|taegeuk한국어 (음과 양, 즉 "상반된 것들의 통일")과 삼태극 (하늘, 땅, 사람의 상호작용) 철학을 인식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기원 철학 또한 화랑 전통에 기반한다.[50]

최홍희가 연구한 태권도의 속도와 민첩성 강조는 그 정의적 특징이며, ITF 실무자들에게는 '''힘의 이론(Theory of Power)'''으로 알려져 있다. 최홍희는 생체역학(biomechanics)과 고전역학(Classical mechanics)/뉴턴 물리학(Newtonian physics), 중국 무술을 바탕으로 힘에 대한 이해를 구축했다. 속도가 크기보다 힘 생성에 더 중요하며, 이 원리는 태권도 초기 설계에 통합되어 현재까지 사용된다.[15][27]

최홍희는 "이완/타격(relax/strike)" 원칙을 주장했다. 즉, 블록, 킥, 타격 사이에 이완 후 기술 수행 시에만 근육을 긴장시켜 힘을 증가시킨다. "사인파(sine wave)" 기술은 중심을 높였다 낮추는 상하 운동을 생성한다.[27]

힘의 이론 구성 요소:[51]

  • 반작용력(Reaction Force): 타격 사지가 앞으로 나아갈 때 신체 다른 부분을 뒤로 가져와 힘을 제공 (예: 오른발 돌려차기 시 오른팔 뒤로).
  • 집중(Concentration): 가능한 많은 근육 사용, 충격 영역 최소화.
  • 균형(Equilibrium): 기술 전반에 걸쳐 올바른 중심 균형 유지.
  • 호흡 조절(Breath Control): 타격 시 호흡 내쉬고, 충격 순간에 호흡 내쉬기 완료.
  • 질량(Mass): 가능한 많은 신체 부분 사용 (예: 돌려차기 시 다리뿐 아니라 힙도 회전).
  • 속도(Speed): 태권도 기술 실행 속도가 힘 제공에 질량보다 중요.

7. 1. 경기 종목

세계태권도(WT) 경기는 제한적인 풀컨택트 방식의 규칙을 따르지만, 안전을 위해 손, 발, 머리, 몸통에 보호대를 착용한다. 하단 공격(로킥 등)과 얼굴 주먹 공격은 금지되며, 연속적인 찌르기는 점수로 인정되지 않아 발차기가 더 중요하다. 경기 종목에는 겨루기, 품새, 격파가 있으며, 이 중 "겨루기"만이 올림픽 정식 종목이다.

WT 공식 보호대(몸통, 상완, 정강이 부분)


국제태권도연맹(ITF) 겨루기 시합은 라이트 컨택트 방식의 규칙에 따라 강한 타격은 금지된다. 등과 아래쪽 공격은 금지되지만, 머리를 포함한 위쪽 공격은 허용된다. WT와 달리 몸통 보호대는 착용하지 않고, 손과 발, 그리고 경기마다 협의에 따라 머리에 보호대를 착용한다. 경기 종목은 "겨루기"(마소기), "품새"(투르), "격파"(윌료), 특수 기술의 "특기"(투키)가 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이 외에도 2인 겨루기 연무 형식의 "프리 어레인지드 스파링(Pre-Arranged Sparring)" 경기가 진행된다.

thumb

7. 2. 경기 시간

올림픽에서 태권도 경기는 2분씩 3회전을 하며, 각 회전 사이에는 30초씩 휴식 시간을 갖는다.[25] 대회에 따라 경기 시간을 조정할 수 있으며, 1분 30초 경기도 많이 이루어진다. 2008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3분씩 3회전을 하였고, 각 회전 사이에는 1분씩 휴식 시간을 가졌었다.[25]

7. 3. 득점

주먹 공격은 1점, 몸통 공격은 2점이다. 회전 기술을 사용하면 3점을 얻고, 얼굴 공격은 3점이다. 얼굴에 회전 기술을 사용하면 4점을 얻는다. 강한 타격으로 상대 선수에게 카운터가 들어가면 1점이 추가된다.[25]

득점은 다음 규칙에 따라 주어진다.

  • 주먹 공격은 완전한 자세로 단일 공격이어야 한다.
  • 발목 아래 부위로 차야 득점이 된다. 단, 낭심 공격은 경고 1회 또는 감점 1점을 받는다.
  • 쇄골 위로는 얼굴 공격, 호구로 보호되는 몸통 부위 중 척추를 제외한 부분이 몸통 득점 부위가 된다.

7. 4. 심판

태권도 경기의 심판은 주심 1명, 부심 4명, 배심 1명(국제대회는 2명)으로 구성된다.

7. 5. 판정

세계태권도(WT) 경기는 제한적인 풀컨택트 방식의 규칙을 따르지만, 손과 발뿐만 아니라 머리와 몸통에도 보호대를 착용하는 등 안전을 고려하여 스포츠적인 면모가 강하다. 또한, 하단 공격(로킥 등)과 얼굴에 대한 주먹 공격은 금지되어 있으며, 연속적인 찌르기는 점수가 되지 않는 등 발차기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경기 종목으로는 스파링인 "겨루기"(Kyorgi), 품새인 "품새"(Poomsae), 격파인 "격파"(Kyeoppa)가 있다. "겨루기"만이 올림픽 정식 종목이다.

국제태권도연맹(ITF)의 겨루기 시합은 라이트 컨택트 방식의 규칙에 따라 강한 타격은 금지된다. 공격 부위로는 등과 아래쪽 공격은 금지되며, 머리를 포함한 위쪽 공격은 허용된다. WT와 달리 몸통에는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고, 손과 발, 그리고 경기마다 협의에 따라 머리에 보호대를 착용한다.

경기 종목은 "겨루기"(마소기), "품새"(투르), 격파의 "격파"(윌료), 특수 기술의 "특기"(투키)가 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이 외에도 2인 겨루기 연무 형식의 "프리 어레인지드 스파링(Pre-Arranged Sparring)" 경기가 진행된다.

ITF 대표적인 스타일의 보호대

7. 6. 반칙

경기 중에 비신사적인 행위나 아래에 열거된 금지 사항을 범하면 주의, 경고, 감점 등의 벌칙이 주어진다. 경고 없이 바로 1점 감점이며, 5점 감점을 당하면 상대 선수에게 승리가 돌아간다.[25]

  • 넘어진 상대를 계속 공격할 때.
  • 이마로 박치기를 하거나 얼굴을 손 또는 주먹으로 공격했을 때.
  • 무릎으로 공격하거나 낭심을 공격했을 때.
  • 상대 선수를 붙들어 넘어뜨렸을 때.
  • 심판의 '갈려' 선언 이후 고의로 공격했을 때.


세계태권도(WT) 경기는 풀컨택트 방식의 규칙을 따르지만, 안전을 위해 손과 발뿐만 아니라 머리와 몸통에도 보호대를 착용한다. 하단 공격(로킥 등)과 얼굴에 대한 주먹 공격은 금지되며, 연속적인 찌르기는 점수가 되지 않는 등 발차기에 더 중점을 둔다.

국제태권도연맹(ITF)의 겨루기 시합은 라이트 컨택트 방식의 규칙에 따라 강한 타격은 금지된다. 등과 아래쪽 공격은 금지되며, 머리를 포함한 위쪽 공격은 허용된다. WT와 달리 몸통에는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고, 손과 발, 그리고 경기마다 협의에 따라 머리에 보호대를 착용한다.

8. 종목

태권도의 종목은 크게 품새, 겨루기, 격파로 나뉜다. 이 외에도 호신술(호신술|護身術|hosinsul한국어), 던지기 및 낙법(던지기|deonjigi한국어 또는 떨어지기|tteoreojigi한국어), 무산소 및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이완법 및 명상, 호흡 조절, 정신 및 윤리 훈련, 예의, 정의, 존중, 자신감, 리더십 기술 훈련 등이 있다.[25]

태권도 수업의 스파링


겨루기는 두 선수가 맞붙어 발차기와 주먹 기술을 사용하여 득점을 겨루는 경기이다. 자유 겨루기, 7단 겨루기, 3단 겨루기, 2단 겨루기, 1단 겨루기, 점수제 겨루기 등의 변형이 있다.[25]

세계태권도연맹(WT) 및 올림픽 경기 규칙에 따르면, 겨루기는 풀컨택(Full Contact) 방식으로 진행되며, 선수들은 점수를 낸 후에도 경기를 계속할 수 있다. 경기는 8미터 정사각형 또는 팔각형 경기장에서 두 명의 선수가 성별과 체급에 따라 맞붙는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개 체급, 올림픽에서는 4개 체급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승리는 점수, 넉아웃, 우세, 기권, 실격, 심판의 벌점 선언 등으로 결정된다.[54] 각 경기는 2분 3라운드로 구성되며, 라운드 사이에는 1분간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선수들은 호구, 헤드 프로텍터, 정강이 보호대, 발목 양말, 팔보호대, 핸드글러브, 마우스피스, 사타구니 보호대를 착용해야 한다.[53]

득점은 전자 채점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며, 허용된 기술이 유효한 득점 영역에 적중했을 때 부여된다. 허용되는 기술은 발차기, 주먹, 밀기이다. 전자 호구, 전자 발목 양말, 전자 헤드 프로텍터를 사용하여 득점을 기록하고, 심판은 기술 점수와 주먹 점수를 평가한다.[53]

점수는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 상대방의 호구에 강하게 접촉하는 주먹: 1점
  • 호구에 대한 일반 발차기(회전 없음): 2점
  • 머리에 대한 일반 발차기(회전 없음): 3점
  • 호구에 대한 기술 발차기(회전 발차기): 4점
  • 머리에 대한 기술 발차기: 5점[58]


심판은 규칙 위반에 대해 언제든지 페널티를 줄 수 있으며, "감점" 페널티는 상대 선수에게 1점을 추가한다. 10회의 "감점"이 누적되면 심판의 벌점 선언에 의해 선수는 패배한다.[53]

3라운드 종료 후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선수가 승리하며, 무승부일 경우 1분 휴식 후 4라운드 "서든데스" 연장전(골든포인트)이 진행된다. 이 라운드에서 먼저 득점하는 선수가 승리하며, 추가 라운드에서도 득점이 없으면 심판진의 결정 또는 반칙 수에 따라 승자가 결정된다. 2라운드 종료 시점 또는 3라운드 중 20점 차이가 나면 경기가 종료되고 해당 선수가 승리한다.[53]

국제태권도연맹(ITF)의 겨루기 규칙은 WT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ITF 지점 겨루기 장비의 일반적인 스타일

  • 머리에 대한 손 공격이 허용된다.[60]
  • 경기는 완전 접촉식이 아니며, 과도한 접촉은 허용되지 않는다.
  • 상대 선수를 부상시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만든 경우 실격된다.
  • 채점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 몸통 또는 머리에 대한 주먹 공격: 1점
  • * 몸통에 대한 점프 킥 또는 머리에 대한 킥, 또는 머리에 대한 점프 펀치: 2점
  • * 머리에 대한 점프 킥: 3점
  • 국제 대회의 경기장 크기는 9×9미터이다.


경기자는 호구를 착용하지 않지만, 승인된 발과 손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하며, 머리 보호대는 선택 사항이다. ITF 경기에서는 연속 점수 시스템을 사용하며, 선수는 기술을 득점한 후에도 경기를 계속할 수 있다. 과도한 접촉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심판은 상대 선수를 부상시켜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만든 선수에게 실격 페널티를 부과한다. 2분(또는 다른 지정된 시간)이 끝나면 득점 기술이 더 많은 선수가 승리한다.[61]

일부 단체에서는 다분야 경기를 개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국대학태권도연맹(British Student Taekwondo Federation)의 대학 간 경기는 1992년부터 WT 규칙 스파링, ITF 규칙 스파링, 국기원 품새, 창혼 품새 종목을 병행하여 개최해 왔다.[62]

8. 1. 품새

태권도의 종목에는 품새, 겨루기, 격파가 있으며, 품새는 각 등급마다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품새는 급수 및 단수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25]

급수/단수품새 종류품새선
초급~1급태극 1~8장
1품고려
2품금강
3품태백
4품평원
1단고려
2단금강
3단태백
4단평원
5단십진
6단지태ㅗ (한글모음)
7단천권ㅜ (한글모음)
8단한수
9단일여



WT의 품새는 태극(太極)과 고려(高麗), 금강(金剛) 등 한국의 지명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으며, 국기원의 통일 교본에 따라 표준화되어 있다.


  • 8급~1급 - 태극 1장~8장 (팔괘의 품새)
  • 1단부터 - 고려, 금강, 태백, 평원, 십진, 지태, 천권, 한수, 일여


ITF에는 24개의 품새(투르)가 있으며, 그 명칭은 조선반도의 역사와 신화 속 인물에서 유래되었다. 이동 시 상하로 물결치는 독특한 "사인 웨이브" 동작이 특징이다.[27]

  • 9급~1급 - 천지, 단군, 도산, 원효, 율곡, 중근, 퇴계, 화랑, 충무
  • 1단부터 - 광개, 포은, 계백, 의암, 충장, 주체, 삼일, 유신, 최영, 연개, 을지, 문무, 서산, 세종, 통일


8. 2. 격파

태권도의 종목에는 품새, 겨루기, 격파가 있다.[25] 격파(격파|擊破|gyeokpa한국어 또는 weerok한국어)는 시험, 훈련 및 무술 시범에 사용된다. 시범에는 벽돌, 기와, 얼음 조각 또는 기타 재료도 포함될 수 있다. 격파 기술은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25]

  • 파워 격파: 가능한 한 많은 판을 격파하기 위해 직선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것
  • 스피드 격파: 판을 한쪽 가장자리에서 느슨하게 잡고, 격파에 필요한 속도에 특히 중점을 두는 것
  • 특수 기술: 더 적은 판을 격파하지만 점프나 회전 발차기 기술을 사용하여 더 높은 높이, 더 먼 거리 또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


격파에는 다음과 같은 종목이 존재한다.[25]

등급격파 재료
초급참나무 송판 (대부분의 체육관에서 사용)
중급기왓장 (체육관에서는 안전상 잘 사용하지 않음)
상급대리석, 얼음 (올림픽 같은 대규모 행사에서 사용)
최상급두께 2cm 철판 (안전상 거의 사용하지 않음)



ITF 경기에는 품새, 격파 및 '특수 기술'(선수가 높이에서 지정된 보드 격파를 수행하는 경우) 시범도 포함된다.[61]

8. 3. 새 품새

국기원은 아시아태권도연맹(ATU)과 함께 2016년 11월 29일 국기원에서 태권도 새 품새 10개를 공식 발표하였다.[92][93]

새 품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구분품새 이름
청소년 품새힘차리, 야망, 새별, 나르샤
청장년 품새새아라, 어울림
중장년 품새비각, 한솔, 나래, 온누리



이러한 새 품새 개발은 44년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태권도 연구소를 비롯한 다양한 태권도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이는 아시안 게임, 올림픽 등에서 겨루기뿐만 아니라 품새 부문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9. 체급 구분 기준(단위: kg)

체급초등학교중학교 남자중학교 여자고등·대학 및 남자 일반여자 일반
30 이하41 이하40까지54 이하43 이하
플라이30~3241~4540~4354~5843~47
밴텀32~3445~4943~4658~6347~51
페더34~3649~5346~4958~6451~55
라이트36~3853~5749~5265~7055~60
라이트웰터38~4057~6152~55-60~65
웰터40~4361~6555~5870~7665~70
라이트미들43~4665~6958~62--
미들46~4969~7362~6660~6470~75
라이트헤비49~5273~7766~70--
헤비52~55+777083~8975~80
무제한55 초과79 초과70 초과89 초과80 초과



미국 아마추어 육상 연맹(AAU) 대회는 매우 유사하지만, 다른 스타일의 패드와 장비가 허용된다는 점이 다르다.[63]

10. 관련 작품

태권도는 영화, 연극,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되었다.

=== 영화 ===


  • 카츠키 히데유키 감독의 태권도 액션 영화 태권도 다마시 : 리버스(テコンドー魂~REBIRTH~)
  • 마르코 베르거 감독의 영화 'TAEKWONDO'
  • 프라차야 핀카엡 감독의 더킥
  • 남상국 감독의 돌려차기
  • 민족과 운명


=== 연극 ===

태권도를 소재로 한 점프라는 연극이 있다.

=== 음악 ===

워크 오프 디 어스의 'TAEKWONDO'[67][68]

10. 1. 영화


  • 카츠키 히데유키 감독의 태권도 액션 영화 태권도 다마시 : 리버스(テコンドー魂~REBIRTH~)
  • 마르코 베르거 감독의 영화 'TAEKWONDO'
  • 프라차야 핀카엡 감독의 더킥
  • 남상국 감독의 돌려차기
  • 민족과 운명
  • 1973년 공개된 홍콩 영화 『테컨도가 격렬할 때』(영제 "When Taekwondo Strikes", 한제 "跆拳震九州")에는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라 불리는 주니 리(Jhoon Goo Rhee)가 출연했다.
  • 1987년 공개된 미국의 인디 영화 『마이애미 커넥션』은 청춘 격투물이다. 주인공 학생 그룹이 ITF 태권도로 악에 맞선다. 극중 당시 ITF 로고를 엿볼 수 있다.
  • 2004년 공개된 한국 영화 『마와시게리(まわし蹴り)』는 WTF 태권도를 소재로 한 학원물 청춘 코미디이다.
  • 2011년 공개된 한국-태국 합작 영화 『초콜릿 밧틀러』(The Kick)는 WTF 태권도가 소재로 다뤄졌다. 한국에서는 극장 미개봉.
  • 2014년 공개된 일본 영화 『태권도魂 ~Rebirth~』는 일본 최초의 태권도 영화이다. 일본국제태권도연맹(ITF-JAPAN)의 전면 협력 하에 액션 장면이 촬영되었다. 주연 배우 井上正大는 박정현에게 사사한 ITF 태권도 유단자이며, 촬영에 있어서는 공연자들도 마찬가지로 태권도 지도를 받았다. 서두의 대회 시합 장면은 실제 전일본 대회 현장에서 로케이션 촬영되었고, 황수일 등의 기술 지도 관계자도 엑스트라로 출연하고 있다.

10. 2. 연극

태권도를 소재로 한 점프라는 연극이 있다.

10. 3. 음악

워크 오프 디 어스의 'TAEKWONDO'[67][68]

11. 트리비아


  • 과거 미국에 태권도를 보급할 때, 어려운 점 중 하나는 미국인들이 영어로 된 태권도 간판을 보고 중국 음식점이라 생각하고 도장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당시에 동양무술하면 가라테가 전부인 줄 아는 미국사람들은 태권도는 처음 들어 보는 말이었다. 그래서 태권도는 "코리아 가라테", 쿵후는 "차이니즈 가라테"라는 식으로 도장간판을 냈고, 주 체육위원회에서도 가라테로 등록했다.[90] 물론 이후 태권도가 급성장하면서 정식으로 태권도 명칭을 사용했고, 주 체육위원회에서도 가라테에서 독립해서 독자적으로 태권도로 이름을 냈다.

  • 코리언 가라데라는 용어는 1970년대에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독일에서는 생소한 '태권도'란 영어대신 “코리언 가라데”라는 간판을 달고 태권도를 보급했다. 그래야만 유사무도인 한국의 태권도를 알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 가라데의 해외 보급은 태권도보다 20년 이상 먼저 시작됐다. 뒤늦게 해외로 진출하기 시작한 한인사범들은 어쩔수 없이 태권도라는 용어 대신 코리안 가라데라는 간판을 걸고 태권도를 보급해야 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밖에 없었다.[91]

  • 1968년 일본 도쿄에서 인쇄, 발간된 조시학 씨의 저서인 태권도 문헌도 "코리안 가라데"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이 책은 인기리에 판매되었고 1983년에 21쇄가 발간되었다. 조시학씨는 책 서문에서 태권도 대신 코리언 가라데라는 제명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영어권에서는 이미 가라데가 널리 알려져 있었기에 부득이 코리언 가라데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일반적인 태권도 용어 및 신체 부위


태권도 도장에서는 한국 밖에서도 한국어 명령어와 어휘가 자주 사용된다. 한국어 숫자는 명령어를 알려주거나 반복 운동 횟수를 세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도장과 단체에서는 서로 다른 어휘를 사용하며, 같은 이름으로 완전히 다른 기술을 가리킬 수도 있다. 한 가지 예로, 국기원/WT 스타일 태권도에서는 ''ap seogi''가 똑바로 선 자세를 의미하는 반면, ITF/창혼 스타일 태권도에서는 ''ap seogi''는 길고 낮은 전진 자세를 의미한다.

기본 명령어
영어한글한자개정 로마자
Attention차렷Charyeot
Ready준비準備Junbi
Begin시작始作Sijak
Finish / Stop그만Geuman
Bow경례敬禮Gyeonglye
Resume / Continue계속繼續Gyesok
Return to ready바로Baro
Relax / At ease쉬어Swieo
Rest / Take a break휴식休息Hyusik
Turn around / About face뒤로돌아Dwirodora
Yell기합氣合Gihap
Look / Focus시선視線Siseon
By the count구령에 맞춰서口令에 맞춰서Guryeong-e majchwoseo
Without count구령 없이口令 없이Guryeong eobs-i
Switch feet발 바꿔Bal bakkwo
Dismissed해산解散Haesan



손 기술
영어한글한자개정 로마자
Hand Techniques수 기手技Su gi
Attack / Strike / Hit공격攻擊Gong-gyeog
Strike치기Chigi
Block막기Magki
Punch/hitGwon
Punch지르기Jireugi
Middle punch중 권中拳Jung gwon
Middle Punch몸통 지르기Momtong jireugi
Back fist갑 권甲拳 / 角拳Gab gwon
Back fist등주먹Deungjumeog
Knife hand (edge)수도手刀Su Do
Knife hand (edge)손날Son Kal
Thrust / spearGwan
Thrust / spear찌르기Jjileugi
Spear hand관 수貫手Gwan su
Spear hand (lit. fingertip)손끝Sonkkeut
Ridge hand역 수도逆手刀Yeog su do
Ridge hand (lit. reverse hand blade)손날등Sonnaldeung
Hammer fist권도拳刀 / 拳槌Gweon do
Pliers hand집게 손Jibge son
Palm heel장관掌貫Jang gwan
Palm heel바탕손Batangson
Elbow팔꿈Palkkum
Gooseneck손목 등Sonmog deung
Side punch횡진 공격橫進攻擊Hoengjin gong gyeog
Side punch옆 지르기Yeop jileugi
Mountain block산 막기山막기San maggi
One finger fist일 지 권一指拳il ji gwon
1 finger spear hand일 지관 수一指貫手il ji gwan su
2 finger spear hand이지관수二指貫手i ji gwan su
Double back fist장갑권長甲拳Jang gab gwon
Double hammer fist장 권도長拳刀Jang gwon do



발 기술
영어한글한자개정 로마자
Foot Techniques족기足技Jog gi
Kick차기Chagi
Front snap kick앞 차기Ap chagi
...also Front snap kick앞 차넣기Ap chaneohgi
...also Front snap kick앞 뻗어 차기Ap ppeod-eo chagi
Inside-out heel kick or outside crescent kick안에서 밖으로 차기An-eseo bakk-eulo chagi
Outside-in heel kick or inside crescent kick밖에서 안으로 차기Baggeso aneuro chagi
Stretching front kick앞 뻗어 올리 기Ap ppeod-eo olli gi
Roundhouse kick돌려 차기Dollyeo chagi
...also Roundhouse kickAp dollyeo chagi
Side kick옆 차기Yeop chagi
...also Snap Side kick옆 뻗어 차기Yeop ppeod-eo chagi
Hook kick후려기 차기Hulyeogi chagi
...also hook kick후려 차기Huryeo chagi
Back kick뒤 차기Dwi chagi
...also Spin Back kick뒤 돌려 차기Dwi dollyeo chagi
Spin hook kick뒤 돌려 후려기 차기Dwi dollyeo hulyeogi chagi
Knee strike무릎 차기Mu reup chagi
Reverse round kick빗 차기Bit chagi



자세
영어한글 (한글)한자 (한자/漢字)개정 로마자
Stances자세姿勢Seogi (stance) or Jase (posture)
Ready stance준비 자세準備 姿勢Junbi seogi (or jase)
Front Stance전굴 자세前屈 姿勢Jeongul seogi (or jase)
Back Stance후굴 자세後屈 姿勢Hugul seogi (or jase)
Horse-riding Stance기마 자세騎馬 姿勢Gima seogi (or jase)
...also Horse-riding Stance기마립 자세騎馬立 姿勢Gimalip seogi (or jase)
...also Horse-riding Stance주춤 서기Juchum seogi
Side Stance사고립 자세四股立 姿勢Sagolib seogi (or jase)
Cross legged stance교차 립 자세交(叉/差)立 姿勢Gyocha lib seogi (or jase)



기술 방향
영어한글한자개정 로마자
Moving forward전진推進Jeonjin
Backing up / retreat후진後進Hujin
Sideways/laterally횡진橫進Hoengjin
Reverse (hand/foot)역진逆進Yeogjin
Lower하단下段Hadan
Middle중단中段Jungdan
Upper상단上段Sangdan
Two handed쌍수雙手Ssangsu
Both hands양수兩手Yangsu
Lowest최 하단最下段Choe hadan
Right side오른 쪽Oleun jjog
Left side왼 쪽Oen jjog
Other side/Twist틀어Teul-eo
Inside-outside안에서 밖으로An-eseo bakk-eulo
Outside inside밖에서 안으로Bakk-eseo an-eulo
Jumping / 2nd level이단二段Idan
Hopping / Skipping뜀을Ttwim-eul
Double kick두 발Du bal
Combo kick연속連續Yeonsog
Same foot같은 발Gat-eun bal



칭호
영어한글한자개정 로마자
Founder/President관장 님館長님Gwanjang nim
Master instructor사범 님師範님Sabeom nim
Teacher교사 님敎師님Gyosa nim
Senior Student선배先輩Seon bae
Black BeltDan
Student or Color BeltGeup
Master level고단자高段者Godanja



기타/잡다한 것들
영어한글한자개정 로마자
SchoolGwan (kwan)
Country Flag국기國旗Guggi
Salute the flag국기 배례國旗 拜禮Guggi baerye
Pay respect / bow경례敬禮Gyeongnye
Moment of silence묵념默念Mugnyeom
Sit down!앉아!Anj-a!
Thank you감사합니다感謝합니다Gamsa habnida
Informal thank you고맙습니다Gomabseubnida
You're welcome천만에요Cheonman-eyo
Uniform도복道服Dobok
BeltTti
Studio / School / Gym도장道場Dojang
Test심사審査Simsa
Self Defense호신술護身術Hosinsul
Sparring (Kukkiwon/WT-style)겨루기Gyeorugi
...also Sparring (Chang Hon/ITF-style)맞서기Matseogi
...also Sparring대련對練Daelyeon
Free sparring자유 대련自由 對練Jayu daelyeon
Ground Sparring좌 대련座 對練Jwa daelyeon
One step sparring일 수식 대련一數式 對練il su sig daelyeon
Three step sparring삼 수식 대련三數式 對練Sam su sig daelyeon
Board Breaking격파擊破Gyeog pa


참조

[1] 서적 A Modern History of Taekwondo Pogyŏng Munhwasa
[2] 웹사이트 tae kwon d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08
[3] 웹사이트 tae kwon do https://www.merriam-[...] 2017-01-08
[4] 웹사이트 tae kwon do http://dictionary.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1-08
[5] 웹사이트 Flying Kicks: The Roots of Taekwondo and the Future of Martial Arts http://fightland.vic[...] 2019-02-18
[6] 뉴스 Brief History of Taekwondo http://nl.newsbank.c[...] 2008-07-03
[7] 서적 A Modern History of Taekwondo Pogyŏng Munhwasa
[8] 웹사이트 Korea officially designates taekwondo as nat'l martial art https://www.koreaher[...] 2018-04-02
[9] 웹사이트 Korea: Korean Martial Arts http://www.koreaorbi[...] 2019-07-05
[10] 서적 About the author. In H. H. Choi: Taekwon-Do: The Korean art of self-defenc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aekwondo http://www.worldtaek[...] 2008-06-29
[12] 서적 Traditional Taekwondo: Core Techniques, History and Philosophy YMAA Publication Center
[13] 논문 Historical Views on the Origins of Korea's Taekwondo https://doi.org/10.1[...] 2016-06-12
[14]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Korean Nationalism on the Formational Process of T'aekwŏndo in South Korea https://benjamins.co[...]
[15] 서적 A Killing Art: The Untold History of Tae Kwon Do https://archive.org/[...] ECW Press
[16] 웹사이트 Taekwon-do: A Broken Family? https://www.members.[...]
[17] 뉴스 テコンドーの歴史も2千年? 空手の親? 消された創始者(1/3) https://www.koreawor[...] 2021-07-23
[18] 웹사이트 General Choi, utilizing both his advanced education and Calligraphy skills that involved extensiv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language, searched for and later conceived of the new term Tae Kwon Do. This label more accurately reflected the shifting emphasis on the use of the legs for kicking. https://gtaitf-india[...] 2019-06-05
[1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Nam Tae-Hi making it clear that Tae Kwon Do came from Korean Karate (also known as "Shotokan Karate "Tang Soo Do" and "Kong Soo Do"). At a martial arts meeting in 1955, Choi presented a fictional argument connecting Taekwon-Do to Taekkyon, an old martial art. https://akillingart.[...] 2011-01-01
[20] 웹사이트 Nam and General Choi faced a dilemma as they could not teach the Koreans Karate and call it Taekkyeon. They needed a new name urgently but the President liked the name Taekkyon. https://www.members.[...]
[21] 뉴스 World Taekwondo Federation changes name over 'negative connotations' https://www.bbc.com/[...] 2017-06-24
[22] 웹사이트 Kukkiwon History http://kukkiwon.or.k[...] 2014-09-07
[23] 뉴스 Taekwondo set to join 2018 Commonwealth Games after 'category two' classification https://web.archive.[...] 2010-06-23
[24] 웹사이트 WT Competition Rules http://www.worldtaek[...] 2014-09-07
[25] 서적 Martial Arts Instructors Desk Reference: A Complete Guide to Martial Arts Administration Turtle Press
[26] 웹사이트 Different styles of Taekwondo https://www.myactive[...] 2020-05-14
[27] 서적 Encyclopedia of Taekwon-Do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28] 웹사이트 ITF Austria https://www.itf-tkd.[...] 2020-01-25
[29] 웹사이트 ITF United Kingdom http://www.itf-admin[...] 2014-09-16
[30] 웹사이트 ITF Spain https://web.archive.[...] 2020-01-25
[31] 웹사이트 ATA History https://web.archive.[...] 2014-09-07
[32] 웹사이트 The Jhoon Rhee Story https://web.archive.[...] 2014-09-07
[33] 웹사이트 WTF History https://web.archive.[...] 2014-09-07
[34] 웹사이트 Extreme Taekwondo https://koreajoongan[...] 2017-06-30
[35] 웹사이트 About Hupkwondo https://hupkwondo.ne[...] 2016-09-23
[36] 웹사이트 Questions http://www.hupkwondo[...]
[37] 웹사이트 Hanmoodo https://www.borealha[...] 2023-10-12
[38] 웹사이트 Han Moo Do https://www.kenfuder[...]
[39] 웹사이트 What Is Han Mu Do https://www.hanmudo-[...]
[40] 웹사이트 Han Mu Do https://www.theharve[...] 2023-05-26
[41] 웹사이트 Teuk Gong Moo Sool http://www.tgms.or.k[...]
[42] 웹사이트 Teuk Gong Moo Sool Germany https://www.kcma-ger[...]
[43] 웹사이트 Martial Art - Gradings https://www.britisht[...] 2024-11-04
[44] 서적 Taekwon-Do: The Korean art of self-defenc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45] 서적 Kukkiwon Textbook Osung
[46] 웹사이트 Grand Master, Ph.D. http://www.itatkd.co[...] ITA Institute 2013-03-13
[47] 웹사이트 ITF More Culture http://www.itftkd.or[...] 2014-09-11
[48] 웹사이트 ITF Philosophy http://www.tkd-itf.o[...] 2014-09-11
[49] 웹사이트 WTF Philosophy http://www.worldtaek[...] 2014-09-11
[50] 웹사이트 Kukkiwon Philosophy http://kukkiwon.or.k[...] 2014-09-11
[51] 웹사이트 ITF Theory of Power http://www.tkd.co.uk[...] 2014-09-11
[52] 웹사이트 Kyorugi rules http://www.worldtaek[...] WorldTaekwondo.org 2007-08-11
[53] 웹사이트 WORLD TAEKWONDO FEDERATION COMPETITION RULES & INTERPRETATION http://www.worldtaek[...] 2017-10-01
[54] 웹사이트 Taekwondo Rules https://martialartsw[...] 2017-06-24
[55] 뉴스 New taekwondo scoring system reduces controversy http://gazette.com/a[...] 2009-08-23
[56] 웹사이트 British taekwondo chief says new judging system is far from flawless http://www.morethant[...]
[57] 뉴스 Is that a kick? Taekwondo fighters devise new ways to score http://www.sandiegou[...] 2017-10-02
[58] 웹사이트 Competition rules & interpretation http://www.worldtaek[...] World Taekwondo Federation 2010-10-07
[59] 웹사이트 WORLD TAEKWONDO FEDERATION POOMSAE COMPETITION RULES & INTERPRETATION http://www.worldtaek[...] 2017-10-01
[60] 웹사이트 itf-information.com http://www.itf-infor[...] 2012-01-26
[61] 간행물 ITF World Junior & Senior Tournament Rules—Rules and Regulations
[62] 웹사이트 30 Years of the Student National Taekwondo Championships https://bstf.org.uk/[...] 2019-02-18
[63] 웹사이트 AAU Taekwondo > Rules/Info > Rules Handbook > 2015 AAU Taekwondo Handbook Divided By Sections http://www.aautaekwo[...] 2015-06-13
[64] 웹사이트 Main—World Taekwondo Federation http://www.worldtaek[...] 2016-04-30
[65] 웹사이트 information http://www.worldtaek[...] 2019-02-18
[66] 웹사이트 Paralympic Sports : Taekwondo|The Tokyo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https://tokyo2020.or[...] 2019-02-18
[67] 웹사이트 Taekwondo World Qualification Tournament Outline http://www.worldtaek[...]
[68] 웹사이트 ITF TOURNAMENT RULES https://web.archive.[...]
[69] 리다이렉트
[70] 웹사이트 SoCal TKD Academy - Home Page http://www.socatkda.[...] 2024-03-06
[71] 논문 テコンドーの起源 - テコンドー技法について https://www.taekwond[...] 2020-01-07
[72] 일반
[73] 웹사이트 平壌で南北テコンドーの統合に合意 http://japan.hani.co[...] 2020-01-05
[74] 일반
[75] 웹사이트 北の多才な外交官・張雄氏の“苦悩” https://agora-web.jp[...] 2020-01-05
[76] 웹사이트 Meeting between Grand Master Paul Weiler and Master Oh Chang Jin https://www.facebook[...] 2020-01-05
[77] 논문 テコンドーという競技 https://web.archive.[...]
[78] 논문 李ゾンウ国技院副院長、「テコンドーの歴史」衝撃告白! http://shindonga.don[...] 東亜日報 2010-02-04
[79] 논문 李ゾンウ国技院副院長、「テコンドーの歴史」衝撃告白! http://shindonga.don[...] 東亜日報 2010-02-04
[80] 논문 Global Taekwondo Federation https://taekwondo.fa[...] FANDOM 2020-01-10
[81] 논문 Global Taekwondo Federation https://taekwondo.fa[...] FANDOM 2020-01-10
[82] 웹사이트 セイフティ空手道の巻 http://www5a.biglobe[...] 福昌堂 2010-02-04
[83] 웹사이트 濱田 真由 https://www.ajta.or.[...] 2020-01-08
[84] 웹사이트 山田 美諭 https://www.ajta.or.[...] 2020-01-08
[85] 웹사이트 국기원 https://www.kukkiwon[...] 2024-11-01
[86] 일반
[87] 웹사이트 무덕관의 역사 http://worldmoodukkw[...] 무덕관 공식 홈페이지
[88] 논문 About the author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1993
[89] 일반
[90] 서적 태권도의 어제와 오늘 어문각
[91] 서적 우리 태권도의 역사 상아기획
[92] Youtube 어바웃더태권도 - 국기원 & 아시아태권도연맹 새 품새 모음 (새아라, 힘차리, 야망, 새별, 나르샤, 어울림, 비각, 한솔, 나래, 온누리) https://www.youtube.[...]
[93] 웹사이트 [알림] 성인용 유급자,유단자 새품새 중간보고 시연회 개회 http://research.kukk[...] 2021-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