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는 2007년 2월 27일,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기지 외곽 정문에서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 사건이다. 이 테러로 인해 한국군 윤장호 하사를 포함하여 23명이 사망하고 2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당시 아프가니스탄을 방문 중이던 딕 체니 미국 부통령을 노린 공격이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탈레반은 체니를 목표로 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 측은 이를 부인했다. 이후 공개된 보고서를 통해 테러범이 체니를 공격 목표로 삼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해외 파병 군인의 안전 문제와 테러 방지 대책 강화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르반주 - 차리카르
    차리카르는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주의 주도로, 역사적으로 여러 주요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이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곳으로, 홍수 피해와 도시 이름 변경 시도 등의 사건을 겪었다.
  • 2007년 아프가니스탄 -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
    탈레반 한국인 납치 사건은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이 분당샘물교회 신도 23명을 납치하여 인질 살해 위협과 한국군 철수 등을 요구하며 협상 끝에 2명이 사망하고 19명이 석방된 사건이다.
  • 2007년 대량 살인 - 사프란 혁명
    사프란 혁명은 2007년 미얀마에서 연료 가격 급등과 군부 독재에 대한 저항으로 촉발된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불교 승려들이 주도하여 군부의 강경 진압과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지만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2007년 대량 살인 -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은 2007년 4월 16일 버지니아 공대 캠퍼스에서 조승희의 총기 난사로 33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한 미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총기 난사 사건 중 하나이며, 총기 규제 강화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했다.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
공격 개요
목표바그람 공군 기지, 미국 부통령 딕 체니
위치아프가니스탄 바그람
날짜2007년 2월 27일
시간오전 10시
시간대UTC+4:30
유형자살 공격, 암살 시도
사망자23명
부상자20명
가해자탈레반, 알카에다
2004년 아프가니스탄 바그람에서 여러 군인과 포즈를 취하는 딕 체니 미국 부통령
2004년 딕 체니 (공격 약 3년 전)

2. 사건 개요

2007년 2월 27일,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 기지 외곽 정문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3명이 사망하고 2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이 사건은 딕 체니 미국 부통령의 아프가니스탄 방문 중에 일어났으며, 탈레반은 이 테러가 체니 부통령을 노린 것이라고 주장했다.[3] 그러나 미국 관리들은 이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3]

2. 1. 공격 발생

2월 27일 현지 시간 오전 10시경, 자살 폭탄 테러범이 바그람 공군 기지 외곽 정문을 공격하여 23명이 사망하고 최소 20명이 부상당했다. 사망자 중에는 미군 PFC 다니엘 지줌보, 미국 계약자, 대한민국 군인 윤장호 하사, 기지에서 일하던 아프가니스탄 노동자 20명이 포함되었다.[2]

체니 당시 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 도착하여 미국 동맹국들과 회담을 가질 예정이었다. 미국 관리들은 부통령이 위험에 처한 적이 없으며 폭발 현장으로부터 약 약 1.61km 떨어져 있었다고 보고했다. 탈레반 대변인 카리 유세프 아흐마디는 AP통신에 탈레반이 체니의 방문에 대한 사전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체니가 목표였다고 밝혔지만, 미국 관리들은 이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 미국 대변인은 이를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칭하며 "부통령은 하룻밤을 여기 머물 예정조차 없었기에, 이는 모두에게 놀라운 일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미국 대변인 데이비드 아체타 중령은 공격자가 어떠한 미국 보안 검문소도 통과하려 시도하지 않고, 대신 아프가니스탄인 무리 사이에서 자폭했다고 보고했다. 아체타는 "이를 부통령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노린 시도로 묘사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라고 말했다.[3] 자살 폭탄 테러범은 자폭 당시 첫 번째 검문소에 있었으며, AP통신은 이미 주요 도로에서 카메라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을 촬영하고 있었다.

이후 SIGAR 보고서의 일부로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체니의 방문에 대한 정보가 유출되었고, 자살 폭탄 테러범은 체니가 탑승했다고 믿고 기지를 떠나는 호송대를 공격했음이 밝혀졌다. 체니는 원래 30분 후에 출발할 예정인 다른 호송대를 이용할 계획이었다. 언론 매체는 이러한 폭탄 테러 상황이 미국 관리들의 회의적인 발언을 약화시키고, 폭탄 테러가 체니의 생명을 노린 심각한 시도였다는 탈레반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언급했다.[4]

2. 2. 피해 상황

공격으로 인해 미군 PFC 다니엘 지줌보, 미국 계약자, 대한민국 군인 윤장호 하사, 기지에서 일하던 아프가니스탄 노동자 20명 등 23명이 사망했고 최소 20명이 부상당했다.[2]

3. 딕 체니 부통령 암살 시도 논란

2007년 2월 27일 현지 시간 오전 10시경, 바그람 공군 기지 외곽 정문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3명이 사망하고 최소 20명이 부상당했다. 이 공격으로 미국 군인, 미국 계약자, 대한민국 군인 윤장호 하사, 기지에서 일하던 아프가니스탄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었다.[2]

당시 딕 체니 미국 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국 동맹국들과 회담을 가질 예정이었다. 미국 관리들은 부통령이 위험에 처한 적이 없으며 폭발 현장에서 약 약 1.61km 떨어져 있었다고 밝혔다.[3]

3. 1. 탈레반의 주장

탈레반 대변인 카리 유세프 아흐마디는 AP통신에 탈레반이 체니의 방문에 대한 사전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체니가 목표였다고 밝혔다.[3] 그러나 미국 관리들은 이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 미국 대변인은 이를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칭하며 "부통령은 하룻밤을 여기 머물 예정조차 없었기에, 이는 모두에게 놀라운 일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미국 대변인 데이비드 아체타 중령은 공격자가 어떠한 미국 보안 검문소도 통과하려 시도하지 않고, 대신 아프가니스탄인 무리 사이에서 자폭했다고 보고했다. 아체타는 "이를 부통령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노린 시도로 묘사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라고 말했다.[3]

3. 2. 미국 측의 반박

미국 관리들은 탈레반의 주장이 터무니없다고 일축했다. 이들은 딕 체니 부통령이 위험에 처한 적이 없으며 폭발 현장에서 약 약 1.61km 떨어져 있었다고 보고했다.[3] 한 미국 대변인은 "부통령은 하룻밤을 여기 머물 예정조차 없었기에, 이는 모두에게 놀라운 일이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3] 또 다른 미국 대변인 데이비드 아체타 중령은 공격자가 어떠한 미국 보안 검문소도 통과하려 시도하지 않고, 대신 아프가니스탄인 무리 사이에서 자폭했다고 보고하며, "이를 부통령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노린 시도로 묘사하는 것은 터무니없다"라고 말했다.[3]

3. 3. SIGAR 보고서와 언론 보도

이후 SIGAR 보고서의 일부로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체니의 방문에 대한 정보가 유출되었고, 폭탄 테러범은 체니가 탑승했다고 믿고 기지를 떠나는 호송대를 공격했다.[4] 체니는 원래 30분 후에 출발할 예정인 다른 호송대를 이용할 계획이었다.[4] 언론 매체는 이러한 폭탄 테러 상황이 미국 관리들의 회의적인 발언을 약화시키고, 폭탄 테러가 체니의 생명을 노린 심각한 시도였다는 탈레반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언급했다.[4]

4.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바그람 공군 기지 폭탄 테러윤장호 하사가 희생된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슬픔과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사건은 해외 파병 군인의 안전과 테러 방지 대책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뉴스 Cheney unhurt in blast outside Afghan base http://www.cnn.com/2[...] CNN 2007-02-27
[2] 뉴스 Cheney OK After Afghan Blast; 23 Killed https://www.denverpo[...] 2007-02-27
[3] 뉴스 Bomb within earshot of Cheney kills 23 http://www.boston.co[...] 2007-02-27
[4] 뉴스 Deceptions and lies: What really happened in Afghanistan https://www.washingt[...] 202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