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부얀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부얀 제도는 루손 해협에 위치하며, 루손섬과 바타네스 제도 사이에 있는 24개의 화산 및 산호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섬으로는 바부얀 섬, 칼라얀 섬, 카미긴 섬, 달루피리 섬, 푸가 섬 등이 있으며, 총 면적은 약 590km²이다. 이 지역은 독특한 동식물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필리핀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로스 늑대뱀과 칼라얀 뜸부기의 서식지이다. 또한 혹등고래의 집결지이자,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바부얀 제도는 카가얀 주의 관할 하에 있으며, 칼라얀 자치구를 구성하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는 일로카노족이다.
바부얀 제도는 루손 해협에 위치하며, 루손섬과 바타네스 제도 사이에 있다. 루손 해협은 바부얀 제도를 기준으로 둘로 나뉘는데, 루손섬과의 사이는 바부얀 해협, 바타네스 제도와의 사이는 바린탕 해협이라고 한다. 바부얀 제도는 24개의 화산섬 및 산호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590km2이다.[1] 가장 큰 섬은 칼라얀 섬(196km2)이며, 최고봉은 바부얀 클라로 섬의 팡아순 산(1108m)이다.[2]
2. 지리
2. 1. 위치
루손 해협은 바부얀 제도를 사이에 두고 둘로 나뉘며, 루손섬과 바부얀 제도 사이는 바부얀 해협, 바부얀 제도 북쪽의 바타네스 제도와 바부얀 제도 사이는 바린탕 해협이다.
2. 2. 구성
바부얀 제도는 24개의 화산-산호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면적은 590km2이다.[1] 주요 섬은 바부얀 섬, 칼라얀 섬, 카미긴 섬, 달루피리 섬, 푸가 섬이다. 이 중 가장 큰 섬은 면적이 196km2인 칼라얀 섬이며, 이 제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바부얀 클라로 섬의 팡아순 산(1108m)이다.[2]
주요 섬 | 인접한 작은 섬 | 면적 | 최고 고도 |
---|---|---|---|
바부얀 클라로 | 100km2 | 1108m | |
칼라얀 | 196km2 | 499m | |
카미구인 | 166km2 | 828m | |
다루피리 섬 | 50km2 | 297m | |
푸가 | 70km2 | 208m | |
디디카스 섬 | 0.7km2 | 244m | |
발린탕 제도 |
2. 3. 지질


바부얀 제도의 동쪽 섬들은 루손 화산 호에 속한다. 역사 시대에 2개의 섬에서 3개의 화산이 분화했다. - 카미귄 데 바부야네스(카미귄 섬)[4], 바부얀 클라로 화산과 스미스 화산(바부얀 섬)[5]
디디카스 화산은 카미귄 섬에서 북동쪽으로 2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또 다른 작은 화산섬인데, 1952년에 해수면 위로 200m 이상 솟아오르면서 영구적인 섬이 되었다.[6][7]
3. 동식물
바부얀 제도는 하리본 재단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핵심 생물 다양성 지역'으로 분류되며,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동식물군을 보유하고 있다. 환경천연자원부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최소 5개의 동물군 지역이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밀도이다.
이 섬은 Dalupiri 섬에서만 발견되는 로스 늑대뱀과 Calayan 섬에서만 발견되는 칼라얀 뜸부기 등 필리핀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의 서식지이다. 또한, 바타네스 제도와 함께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어 대만 녹비둘기, 류큐 수리부엉이, 짧은관두견새, 중국 해오라기, 노랑굴뚝새 등 다양한 조류를 지원한다.[8]
바부얀 제도는 동남아시아에서 몇 안 되는 혹등고래의 집결지이며, 필리핀에서 이 종의 유일한 겨울 서식지이다.[9][10]
3. 1. 생물 다양성
하리본 재단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바부얀 제도의 모든 섬을 지리적, 생물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닌 '핵심 생물 다양성 지역'으로 분류한다. 바부얀 제도는 어떤 대륙에도 속한 적이 없어 독특한 동식물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다른 곳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환경천연자원부의 연구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최소 5개의 동물군 지역이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밀도의 개별 동물군 지역 중 하나이다.이 섬들은 필리핀에서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뱀 종인 로스 늑대뱀(Dalupiri 섬에서만 발견됨)과 새 종인 칼라얀 뜸부기(Calayan 섬에서만 발견됨)의 서식지이다. 바부얀 제도는 인근 바타네스 제도와 함께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 (IBA)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대만 녹비둘기, 류큐 수리부엉이, 짧은관두견새, 통과 중인 중국 해오라기, 겨울을 나는 노랑굴뚝새의 상당한 개체수를 지원하기 때문이다.[8]
바부얀 제도는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한 혹등고래의 집결지이며, 동남아시아에서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이다. 다양한 과학 및 보존 단체들이 자연계와 필리핀 생물 다양성에 대한 가치로 인해 이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포함시키기 위해 로비를 벌이고 있다. 혹등고래가 이 지역에 재정착했으며, 바부얀 제도는 필리핀에서 이 종의 유일한 겨울 서식지가 되었다.[9][10] 바부얀 제도에서 얻은 역사적 기록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11]
4. 인구
일로카노족이 주로 거주하며, 일로카노어를 사용한다. 일로카노인ilo들이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4. 1. 인구 통계
일로카노족들이 일로카노어를 구사하며 살아가고 있다.2020년 인구 조사 기준 섬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섬 이름 | 인구 (명) |
---|---|---|
1 | 칼라얀 섬 | 9,648 |
2 | 카미귄 섬 | 5,231 |
3 | 푸가 섬 | 1,939 |
4 | 바부얀 섬 | 1,910 |
5 | 달루피리 섬 | 621 |
6 | 바리트 섬 | 14 |
4. 2. 주민
일로카노족이 주로 거주하며, 일로카노어를 사용한다.5. 정부와 행정 구역
바부얀 제도는 필리핀 루손섬 북쪽에 위치한 군도로, 카가얀 주와 아파리의 관할 하에 있다. 칼라얀 자치구는 바부얀, 칼라얀, 카미긴, 달루피리로 구성된다.[12] 푸가는 아파리 관할이다.[13]
5. 1. 행정 구역
카가얀 주 관할 하에 있으며, 바부얀, 칼라얀, 카미긴, 달루피리는 칼라얀 자치구를 구성한다.[12] 한편, 푸가는 아파리 관할이다.[13]바부얀과 달루피리는 각각 칼라얀 자치구의 바랑가이(행정 구역)로, 바부얀 클라로와 달루피리로 불리며, 푸가 섬 역시 아파리의 푸가 섬이라는 바랑가이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abuyan Islands - island group, Philippines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8-04-18
[2]
간행물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priority setting in the Babuyan Islands, Philippines
http://isla.org.ph/w[...]
2018-04-18
[3]
서적
United States Coast Pilot, Philippine Islands, Part 1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1919
[4]
웹사이트
Camiguin de Babuyanes
http://www.volcano.s[...]
2013-04-01
[5]
웹사이트
Babuyan Claro
http://www.volcano.s[...]
2013-04-01
[6]
웹사이트
Didicas
http://www.volcano.s[...]
2013-04-01
[7]
웹사이트
From 7,107 to 7,641
https://opinion.inqu[...]
2019-10-18
[8]
웹사이트
Batanes Island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
[9]
웹사이트
humpback whale research in the babuyan islands – research, education and conservation
http://balyena.org.p[...]
The BALYENA.ORG
2014-12-25
[10]
웹사이트
Humpback Whales – Philippines – Babuyan Islands humpback whales project
http://www.conservat[...]
The Center for Rural Empowerment and the Environment
2014-12-25
[11]
간행물
A history of Whaling in Philippines
http://www.murdoch.e[...]
Murdoch University
2009
[12]
웹사이트
Calayan
http://www.cagayan.g[...]
Official Websit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Cagayan
2013-04-01
[13]
웹사이트
Aparri
http://www.cagayan.g[...]
Official Websit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Cagayan
2013-04-01
[14]
문서
カミギン島は、同じ名前の[[カミギン島]]が[[ミンダナオ島]]の北にあるが異なる島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