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로카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로카노어는 타이완에서 기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필리핀 코르디예라 하위 어군에 속한다. 필리핀 일로코스 지방을 중심으로 바부얀 제도, 코르디예라 행정구, 카가얀 계곡, 중앙 루손 북부 및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200만 명 이상이 제2 언어로 사용한다. 또한 미국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캐나다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로마자를 사용하며, 29개의 문자로 구성된 현대 알파벳을 사용한다. 스페인 식민지 이전에는 카위 문자의 일종인 바이바인 문자를 사용했다. 일로카노 문학은 서사시, 민담, 속담, 종교 문서 등 다양한 문학 형식을 포함하며, 스페인어와 영어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일로카노어는 복잡한 접사와 반복을 통해 문법 범주를 나타내며, 술어-초두 구조(VSO)를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루손어군 - 이바나그어
    이바나그어는 필리핀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필리핀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모국어 기반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학교에서 교육된다.
  • 북루손어군 - 팡가시난어
    팡가시난어는 필리핀 루손섬 중서부 팡가시난주에서 팡가시난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교착어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 라틴 문자 도입 후 문학이 번성했으나 현재 쇠퇴를 막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일로카노어
언어 정보
이름일로카노어
다른 이름일로코어
고유어Ilokano, Iloko, Iluko, Iloco, Pagsasao nga Ilokano, Samtoy, Sao mi datoy
사용 국가필리핀
사용 지역루손섬 북부, 루손섬 중부 다수 지역, 민다나오섬 일부 지역
사용자일로카노족
언어 인구8,746,169명 (2020년)
제2 언어 화자200만 명 (2000년)
순위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토착어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필리핀어군 - 북부 루손어군
문자라틴 문자 (일로카노 알파벳), 일로카노 점자, 역사적으로 쿠리탄
공용어 지정라 union
관리 기관필리핀 언어 위원회
ISO 639-2ilo
ISO 639-3ilo
Glottologilok1237
언어 지도
일로카노어 지도
일로카노어가 사용되는 지역 (Ethnologue 기준). 줄무늬 지역은 이트네그어-일로카노어 이중 언어 사용 지역 (아브라 주)

2. 분류

'''일로카노어'''는 다른 모든 필리핀 언어와 마찬가지로, 타이완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8][9] 필리핀 코르디예라 하위 어군 내에서 자체적인 분파를 형성하며, 약 700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한다.[2]

이바나그, 이바탄, 팡가시난, 삼발을 비롯한 다른 지역 언어 사용자 200만 명 이상이 제2 언어로 사용한다.[10]

3. 지리적 분포

일로카노어는 주로 일로코스 지방, 바부얀 제도, 코르디예라 행정구, 카가얀 계곡, 중앙 루손의 북부 및 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11][12][13][14] 또한 바타네스, 민도로와 팔라완 일부 지역, 민다나오의 흩어진 지역, 특히 소크사르겐 지역에서도 사용된다.[15]

필리핀 별 일로카노어 사용 인구 밀도. 백분율 분포를 보려면 사진을 확대하십시오.


일로카노어가 다수 언어인 지역.

국제적으로는 미국에서도 사용되며, 가장 많은 사용 인구가 하와이와 캘리포니아에 집중되어 있고,[16] 캐나다에서도 사용된다.[17] 하와이에서는, 집에서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17%가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며, 이는 하와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영어권 언어이다.[18]

2012년 9월, 라 유니온 주는 필리핀에서 필리핀어 및 영어와 함께 일로카노어(일로코)를 공식 지방 언어로 인정하는 조례를 통과시킨 최초의 주가 되었다.[19][3] 이 조례는 일로카노어를 보호하고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라 유니온 주에서는 팡가시난어, 칸카나에이어, 이발로이어와 같은 다른 언어도 사용된다.

4. 문자 체계

로마자가 사용된다. 스페인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카위 문자/카위 문자영어(Kawi script)의 일종이 사용되었다.

; 현대 알파벳

현대 일로카노어 알파벳은 29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20]

A, B, C, D, E, F, G, H, I, J, K, L, LL, M, N, Ñ, NG, O, P, Q, R, S, T, U, V, W, X, Y, Z

; 근대 이전 문자 체계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모든 계층의 일로카노족은 바이바인으로 알려진 음절 문자로 글을 썼다. 아부기다 또는 음절 문자라고 불리는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각 문자가 자음-모음(CV) 시퀀스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타갈로그어 및 팡가시난어 문자와 유사했다. 그러나 일로카노어 버전은 1621년의 Doctrina Cristiana(교리서)에 나타난 것처럼, 종결 자음을 나타내는 구별 기호(십자 또는 비라마)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Doctrina Cristiana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로카노어 출판물 중 하나이다. 비라마가 추가되기 전에는 필기자들이 종결 자음을 표기할 방법이 없었고, 독자는 모음 뒤에 오지 않는 자음을 읽을지 여부를 추측해야 했다. 모음 아포스트로피는 'e' 또는 'i', 'o' 또는 'u' 사이에서 상호 교환된다. 이 때문에 모음 'e'와 'i'는 서로 바꿔 쓸 수 있고, 예를 들어 tenderailo와 tindirailo('점원')의 'o'와 'u'도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1621년 ''Doctrina Cristiana''의 일로카노어로 쓰여진 '주기도문'. 바바이인 문자로 쓰여졌다.


; 현대 문자 체계

타갈로그 시스템으로 작성된 일로카노어 버전의 몰몬경, 문자 K의 사용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에는 스페인어 시스템과 타갈로그어 시스템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스페인어 시스템에서는 스페인어 기원의 단어는 철자를 유지했다. 반면에, 고유어는 스페인어 철자 규칙에 따랐다. 대부분의 구세대 일로카노어 사용자는 스페인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 시스템에서는 음소와 글자 간의 대응이 더 많아 단어의 실제 발음을 더 잘 반영한다. 문자 ''ng''는 이중자를 구성하며 알파벳 순서에서 ''n'' 다음에 나오는 한 개의 문자로 간주한다. 그 결과, 새로운 사전에서는 ('겸손')가 ('씹다')보다 먼저 나타난다. 외래어, 특히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일로카노어 음운론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철자를 변경해야 한다.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이 철자법을 따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는 주간지 ''반나와그''이다.

; 두 시스템의 비교

다음은 주기도문의 두 가지 버전이다. 왼쪽은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고, 오른쪽은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Amami, ñga addaca sadi lañgit,
Madaydayao cuma ti Naganmo.
Umay cuma ti pagariam.
Maaramid cuma ti pagayatam
Cas sadi lañgit casta met ditoy daga.
Itedmo cadacami iti taraonmi iti inaldao.
Quet pacaoanennacami cadaguiti ut-utangmi,
A cas met panamacaoanmi
Cadaguiti nacautang cadacami.
Quet dinacam iyeg iti pannacasulisog,
No di quet isalacannacami iti daques.
Amami, nga addaka sadi langit,
Madaydayaw koma ti Naganmo.
Umay koma ti pagariam.
Maaramid koma ti pagayatam
Kas sadi langit kasta met ditoy daga.
Itedmo kadakami iti taraonmi iti inaldaw.
Ket pakawanennakami kadagiti ut-utangmi,
A kas met panamakawanmi
Kadagiti nakautang kadakami.
Ket dinakam iyeg iti pannakasulisog,
No di ket isalakannakami iti dakes.



규칙스페인어 기반타갈로그어 기반번역
c ktocactukak개구리
ci, ce si, seaceroasero강철
ch tsochootso여덟
f pfamiliapamilia가족
gui, gue gi, gedaguitidagitithe(그)
ge, gi he, hipáginapahina페이지
ll licaballokabalio
ñ nibañobanio화장실
ñg, ng̃ ngñgioat, ng̃ioatngiwat
Vo(V) Vw(V)aoanawan없음
qui, que ki, keiquitikit고모
v bvocesboses목소리
z szapatossapatos신발



''참고''




4. 1. 현대 알파벳

현대 일로카노어 알파벳은 29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20]

A, B, C, D, E, F, G, H, I, J, K, L, LL, M, N, Ñ, NG, O, P, Q, R, S, T, U, V, W, X, Y, Z

로마자가 사용된다. 스페인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카위 문자의 일종이 사용되었다.

4. 2. 근대 이전 문자 체계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모든 계층의 일로카노족은 바이바인으로 알려진 음절 문자로 글을 썼다. 아부기다 또는 음절 문자라고 불리는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각 문자가 자음-모음(CV) 시퀀스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타갈로그어 및 팡가시난어 문자와 유사했다. 그러나 일로카노어 버전은 1621년의 Doctrina Cristiana(교리서)에 나타난 것처럼, 종결 자음을 나타내는 구별 기호(십자 또는 비라마)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Doctrina Cristiana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로카노어 출판물 중 하나이다. 비라마가 추가되기 전에는 필기자들이 종결 자음을 표기할 방법이 없었고, 독자는 모음 뒤에 오지 않는 자음을 읽을지 여부를 추측해야 했다. 모음 아포스트로피는 'e' 또는 'i', 'o' 또는 'u' 사이에서 상호 교환된다. 이 때문에 모음 'e'와 'i'는 서로 바꿔 쓸 수 있고, 예를 들어 tenderailo와 tindirailo('점원')의 'o'와 'u'도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4. 3. 현대 문자 체계



최근에는 스페인어 시스템과 타갈로그어 시스템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스페인어 시스템에서는 스페인어 기원의 단어는 철자를 유지했다. 반면에, 고유어는 스페인어 철자 규칙에 따랐다. 대부분의 구세대 일로카노어 사용자는 스페인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 시스템에서는 음소와 글자 간의 대응이 더 많아 단어의 실제 발음을 더 잘 반영한다. 문자 ''ng''는 이중자를 구성하며 알파벳 순서에서 ''n'' 다음에 나오는 한 개의 문자로 간주한다. 그 결과, 새로운 사전에서는 ('겸손')가 ('씹다')보다 먼저 나타난다. 외래어, 특히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일로카노어 음운론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철자를 변경해야 한다.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는 이 철자법을 따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는 주간지 ''반나와그''이다.

로마자가 사용된다. 스페인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Kawi script)의 일종이 사용되었다.

4. 3. 1. 두 시스템의 비교

다음은 주기도문의 두 가지 버전이다. 왼쪽은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고, 오른쪽은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Amami, ñga addaca sadi lañgit,
Madaydayao cuma ti Naganmo.
Umay cuma ti pagariam.
Maaramid cuma ti pagayatam
Cas sadi lañgit casta met ditoy daga.
Itedmo cadacami iti taraonmi iti inaldao.
Quet pacaoanennacami cadaguiti ut-utangmi,
A cas met panamacaoanmi
Cadaguiti nacautang cadacami.
Quet dinacam iyeg iti pannacasulisog,
No di quet isalacannacami iti daques.
Amami, nga addaka sadi langit,
Madaydayaw koma ti Naganmo.
Umay koma ti pagariam.
Maaramid koma ti pagayatam
Kas sadi langit kasta met ditoy daga.
Itedmo kadakami iti taraonmi iti inaldaw.
Ket pakawanennakami kadagiti ut-utangmi,
A kas met panamakawanmi
Kadagiti nakautang kadakami.
Ket dinakam iyeg iti pannakasulisog,
No di ket isalakannakami iti dakes.



규칙스페인어 기반타갈로그어 기반번역
c ktocactukak개구리
ci, ce si, seaceroasero강철
ch tsochootso여덟
f pfamiliapamilia가족
gui, gue gi, gedaguitidagitithe(그)
ge, gi he, hipáginapahina페이지
ll licaballokabalio
ñ nibañobanio화장실
ñg, ng̃ ngñgioat, ng̃ioatngiwat
Vo(V) Vw(V)aoanawan없음
qui, que ki, keiquitikit고모
v bvocesboses목소리
z szapatossapatos신발



''참고''





로마자가 사용된다. 스페인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카위 문자/카위 문자영어(Kawi script)의 일종이 사용되었다.

5. 교육에서의 일로카노어

1897년 스페인에 의한 이중 언어 교육 시스템 시행으로 일로카노어는 다른 7개의 주요 언어와 함께 초등학교 2학년까지 교육 매체로 사용될 수 있었다. 필리핀 언어 위원회는 이를 필리핀의 주요 언어 중 하나로 인정한다.[21] 헌법상 일로카노어는 사용되는 지역에서 보조적인 공용어이며, 해당 지역에서 보조적인 교육 매체 역할을 한다.[22]

2009년 교육부는 "모국어 기반 다중 언어 교육"을 시행하도록 규정하는 교육부 명령 제74호, s. 2009를 제정했다. 2012년 교육부 명령 제16호, s. 2012는 모국어 기반 다중 언어 시스템이 2012–2013 학년도부터 유치원부터 3학년까지 시행되도록 규정했다.[23] 일로카노어는 주로 일로코스 지방과 코르디예라에서 공립 학교에서 사용된다. 유치원에서 3학년까지 (필리핀어와 영어 과목 제외) 주요 교육 매체이며, 1학년부터 3학년까지 별도의 과목이기도 하다. 그 이후 영어와 필리핀어가 교육 매체로 도입된다.

6. 문학

일로카노 문학은 일로카노 사람들의 풍부한 문화 유산과 역사를 반영하며, 그 기원은 애니미즘적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신화, 민속, 미신에 대한 심오한 배경을 포괄하며, 주요 설화에는 창조자 ''아란, 앙갈로'' 및 ''나마르수아''와 일로카노의 세계관에 필수적인 선량한 영과 악령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된다.

수 세기에 걸쳐 형성된 일로카노 문학은 서사시, 민담, 속담, 수수께끼, 종교 문서 및 노래를 포함한 광범위한 문학 형식을 포괄한다. 핵심 주제는 회복력, 가족에 대한 충성심, 명예, 자연과 정신적 영역에 대한 깊은 연결을 포함한다. 고대 일로카노 시인들은 민요와 전쟁 노래, 그리고 ''달롯''을 통해 표현했다. 이 문학 전통 내에서 중요한 작품은 서사시 ''비아그니 람앙''(람앙의 삶)으로, 식민지 시대의 영향을 견뎌낸 몇 안 되는 토착 설화 중 하나이다.

일로카노 문화는 노래('kankanta'), 춤('salsala'), 시('dandaniw'), 속담('pagsasao'), 문학 결투('bucanegan')로 표현되는 '삶의 의식, 축제' 및 '구전 전통'을 통해 더욱 기념된다.

스페인 통치 시대 동안, 일로코 시는 스페인 문학 형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621년 로페스는 ''교리 문답서''(Doctrina Cristiana)를 출판했다. 17세기 작가 ''페드로 부카네그''는 "''일로카노 시와 문학의 아버지''"로 칭송받고 있다. 일로카노 영웅 람앙의 모험을 서술하는 ''비아그니 람앙''은 일로카노 사람들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18세기에는 선교사들이 종교 및 세속 텍스트를 출판하여 일로카노 인구 사이에서 문맹 퇴치와 종교 교육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에는 ''레오나 플로렌티노''가 "''필리핀의 국가 시인''"으로 인정받았다.

20세기 초에는 ''마누엘 아르길라''와 같은 주목할 만한 일로카노 작가들이 등장했다. ''카를로스 불로산''은 그의 소설 ''미국은 가슴에 있다''가 필리핀계 미국 문학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칭송받았다. 이 시대의 다른 저명한 작가로는 팡가시난을 배경으로 한 서사시로 유명한 F. 시오닐 호세와 ''이세벨로 데 로스 레예스''가 있다.

일로카노어로 된 십계명

7. 음운

일반적으로 5개의 모음(/a/, /i/, /u/, /ɛ ~ e/, /o/)을 사용하며, 남부 방언은 6개의 모음(/a/, /i/, /u/, /ɛ ~ e/, /o/, /ɯ/)을 사용한다. 중복 모음은 중간에 성문 파열음이 개입되어 별도로 발음된다.[24] 예를 들어, /sa.ʔan//saanilo '아니요', /si.ʔit//siitilo '가시'와 같다.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특정 위치에서 [ɐ]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mɐˈdi]/madíilo('할 수 없다')와 같이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ɐ]로 발음되지만, /ˈŋiwat//ngiwatilo('입')과 같이 마지막 음절의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단어 경계를 넘어 대부분 [ɐ]로 발음된다.

현대 (타갈로그어) 표기 시스템은 대체로 음성적이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관례가 있다.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 모음 ==

일반적으로 5개의 모음(/a/, /i/, /u/, /ɛ ~ e/, /o/)을 사용하며, 남부 방언은 6개의 모음(/a/, /i/, /u/, /ɛ ~ e/, /o/, /ɯ/)을 사용한다. 중복 모음은 중간에 성문 파열음이 개입되어 별도로 발음된다.[24] 예를 들어, /sa.ʔan//saanilo '아니요', /si.ʔit//siitilo '가시'와 같다.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특정 위치에서 [ɐ]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mɐˈdi]/madíilo('할 수 없다')와 같이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ɐ]로 발음되지만, /ˈŋiwat//ngiwatilo('입')과 같이 마지막 음절의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단어 경계를 넘어 대부분 [ɐ]로 발음된다.

현대 (타갈로그어) 표기 시스템은 대체로 음성적이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관례가 있다.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 복합 모음 ==

복합 모음은 모음과 /i/ 또는 /u/의 조합이다. 정자법에서 두 번째 모음(기저 /i/ 또는 /u/)은 각각 해당 활음, 'y' 또는 'w'로 표기된다. 가능한 모든 조합 중에서 /aj/ 또는 /ej/, /iw/, /aw/ 및 /uj/만 발생한다.[30] 정자법에서 'uo' 및 'ai'와 같은 연속된 모음은 복합 모음으로 합쳐지지 않고, 예를 들어 부옥/buokilo '머리카락' 및 다잇/daitilo '꿰매다'와 같이 중간의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복합 모음
복합 모음정자법예시
/au/aw (고유어) / au (스페인어 차용어)카바우/kabawilo 노망, 아우토리다드/autoridadilo ‘권위’
/iu/iw일리우/iliwilo '향수병'
/ai/ay (고유어) / ai (스페인어 차용어)마이사/maysailo 하나, 바일레/baileilo ‘춤’
/ei/ey이디에이/idieyilo 거기 (지역 변형; 표준 이디아이/idiayilo)
/oi/, /ui/oy, uy바보이/baboyilo '돼지'



복합 모음 /ei/는 고유어에서 /ai/의 변형이다. 다른 예로는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있다. 예로는 레이나/reynailo (스페인어 레이나/reinaes, '여왕'에서 유래) 및 트레이네르/treynerilo ('트레이너')가 있다. 복합 모음 /oi/ 및 /ui/는 /o/가 최종 음절에서 /u/의 이음이므로 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아푸이/apúyilo ('불')는 /ɐ.ˈpoi/로 발음될 수 있고 바보이/baboyilo ('돼지')는 /ബാ.bui/로 발음될 수 있다.

복합 모음 /au/의 경우 일반적인 규칙은 고유어에 /aw/를 사용하고, 'autoridad, autonomia, automatiko'와 같은 스페인어 차용어에 /au/를 사용하는 것이다. 동일한 규칙이 복합 모음 /ai/에도 적용된다.

== 자음 ==

를 제외한 모든 자음 음소는 음절 첫머리 또는 종결이 될 수 있다. 성문 파열음 은 음절 종결로 허용되지 않으며, 음절 첫머리에만 나타날 수 있다. 파열음은 무기음으로 발음된다. 일로카노어는 - 변이음이 제외된 필리핀어 중 하나이며, 전동음 을 가지고 있으며, ''rr''로 표기한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 운율 ==

일로카노어에서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 주 강세 ==

일로카노어에서 강세의 위치는 어휘적이다. 이는 ('나무')와 ('당신' (복수 또는 존칭)) 또는 ('수업, 유형, 종류')와 ('보다')와 같은 최소 대립쌍으로 이어진다. 쓰여진 일로카노어에서 독자는 문맥에 의존해야 한다.[10] 주요 강세는 두 번째 음절 또는 마지막 음절에만 올 수 있다.

일로카노어에서 강세는 예측할 수 없지만, 두 번째 음절, 마지막 음절의 구조와 단어의 기원에 따라 강세가 어디에 올지 결정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패턴이 있다.[10]


  • '''외래어''' – 일로카노어로 채택된 외래어(대부분 스페인어)의 강세는 원래 단어와 동일한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의사스페인어 기원
(to) 운전하다스페인어 기원 (나는 운전한다)
(to) 기록하다영어 기원 (동사)
agtárget목표로 하다영어 기원 (동사)


  • '''CVC.'CV(C)#''' ''하지만'' ''''CVŋ.kV(C)#''' – 닫힌 두 번째 음절을 가진 단어에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떨어지지만, 의 경우 예외적으로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있다/있다닫힌 두 번째 음절
대변닫힌 두 번째 음절
(일종의 진미)-ŋ.k 시퀀스


  • ''''C(j/w)V#''' – 마지막 음절이 활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단어에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유령자음–활음–모음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관련시키다자음–활음–모음
창조자음–활음–모음


  • '''C.'CV:.ʔVC#''' –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에 VʔV와 V가 동일한 모음을 가진 단어에서 강세는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발효된 생선 또는 새우 페이스트모음–성문 파열음–모음
바보모음–성문 파열음–모음
가시, 척추, 생선 뼈모음–성문 파열음–모음



== 2차 강세 ==

2차 강세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발생한다.


  • 다음 음절의 종결음이 다음 음절의 시작음인 경우, 즉 자음 중복 앞의 음절.

일로카노어비고
pannakakítailo|보는 능력|자음 중복 앞 음절
keddéngilo|판단, 결정|자음 중복 앞 음절
ubbíngilo|아이들|자음 중복 앞 음절


  • 형태론이나 어휘에서 기인하는 자음-모음 시퀀스 반복.

일로카노어비고
agsasaóilo|말한다, 말하고 있다|CV 반복
ar-ariáilo|유령, 정령|CV 반복
agdadáitilo|꿰맨다, 꿰매고 있다|CV 반복



== 모음 길이 ==

모음의 길이는 강세를 받는 음절(제1 또는 제2)과 일치하며,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열린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카ː요/'ka:.joilo '나무'와 카.'요/ka.'joilo (2인칭 복수 능격 대명사)를 비교해 볼 수 있다.[30]

== 강세 이동 ==

주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 또는 ultima에만 올 수 있으므로, 접미사가 붙으면 강세가 한 음절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열린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은 길어진다.

어근접미사결과의미
/'puː.dut/ (열)/-ɯn/ (목표 초점)/pu.'duː.tɯn/(무언가를) 데우다/덥히다
/da.'lus/ (깨끗함)/-an/ (방향 초점)/da.lu.'san/(무언가를) 청소하다


7. 1. 분절음

일반적으로 5개의 모음(/a/, /i/, /u/, /ɛ ~ e/, /o/)을 사용하며, 남부 방언은 6개의 모음(/a/, /i/, /u/, /ɛ ~ e/, /o/, /ɯ/)을 사용한다. 중복 모음은 중간에 성문 파열음이 개입되어 별도로 발음된다.[24] 예를 들어, /sa.ʔan//saanilo '아니요', /si.ʔit//siitilo '가시'와 같다.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특정 위치에서 [ɐ]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mɐˈdi]/madíilo('할 수 없다')와 같이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ɐ]로 발음되지만, /ˈŋiwat//ngiwatilo('입')과 같이 마지막 음절의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단어 경계를 넘어 대부분 [ɐ]로 발음된다.

현대 (타갈로그어) 표기 시스템은 대체로 음성적이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관례가 있다.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 복합 모음 ===

복합 모음은 모음과 /i/ 또는 /u/의 조합이다. 정자법에서 두 번째 모음(기저 /i/ 또는 /u/)은 각각 해당 활음, 'y' 또는 'w'로 표기된다. 가능한 모든 조합 중에서 /aj/ 또는 /ej/, /iw/, /aw/ 및 /uj/만 발생한다.[30] 정자법에서 'uo' 및 'ai'와 같은 연속된 모음은 복합 모음으로 합쳐지지 않고, 예를 들어 부옥/buokilo '머리카락' 및 다잇/daitilo '꿰매다'와 같이 중간의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복합 모음
복합 모음정자법예시
/au/aw (고유어) / au (스페인어 차용어)카바우/kabawilo 노망, 아우토리다드/autoridadilo ‘권위’
/iu/iw일리우/iliwilo '향수병'
/ai/ay (고유어) / ai (스페인어 차용어)마이사/maysailo 하나, 바일레/baileilo ‘춤’
/ei/ey이디에이/idieyilo 거기 (지역 변형; 표준 이디아이/idiayilo)
/oi/, /ui/oy, uy바보이/baboyilo '돼지'



복합 모음 /ei/는 고유어에서 /ai/의 변형이다. 다른 예로는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있다. 예로는 레이나/reynailo (스페인어 레이나/reinaes, '여왕'에서 유래) 및 트레이네르/treynerilo ('트레이너')가 있다. 복합 모음 /oi/ 및 /ui/는 /o/가 최종 음절에서 /u/의 이음이므로 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아푸이/apúyilo ('불')는 /ɐ.ˈpoi/로 발음될 수 있고 바보이/baboyilo ('돼지')는 /ബാ.bui/로 발음될 수 있다.

복합 모음 /au/의 경우 일반적인 규칙은 고유어에 /aw/를 사용하고, 'autoridad, autonomia, automatiko'와 같은 스페인어 차용어에 /au/를 사용하는 것이다. 동일한 규칙이 복합 모음 /ai/에도 적용된다.

=== 자음 ===

를 제외한 모든 자음 음소는 음절 첫머리 또는 종결이 될 수 있다. 성문 파열음 은 음절 종결로 허용되지 않으며, 음절 첫머리에만 나타날 수 있다. 파열음은 무기음으로 발음된다. 일로카노어는 - 변이음이 제외된 필리핀어 중 하나이며, 전동음 을 가지고 있으며, ''rr''로 표기한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7. 1. 1. 모음

일반적으로 5개의 모음(/a/, /i/, /u/, /ɛ ~ e/, /o/)을 사용하며, 남부 방언은 6개의 모음(/a/, /i/, /u/, /ɛ ~ e/, /o/, /ɯ/)을 사용한다. 중복 모음은 중간에 성문 파열음이 개입되어 별도로 발음된다.[24] 예를 들어, /sa.ʔan//saanilo '아니요', /si.ʔit//siitilo '가시'와 같다.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특정 위치에서 [ɐ]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mɐˈdi]/madíilo('할 수 없다')와 같이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ɐ]로 발음되지만, /ˈŋiwat//ngiwatilo('입')과 같이 마지막 음절의 강세를 받지 않는 /a/는 단어 경계를 넘어 대부분 [ɐ]로 발음된다.

현대 (타갈로그어) 표기 시스템은 대체로 음성적이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관례가 있다.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7. 1. 2. 복합 모음

복합 모음은 모음과 /i/ 또는 /u/의 조합이다. 정자법에서 두 번째 모음(기저 /i/ 또는 /u/)은 각각 해당 활음, 'y' 또는 'w'로 표기된다. 가능한 모든 조합 중에서 /aj/ 또는 /ej/, /iw/, /aw/ 및 /uj/만 발생한다.[30] 정자법에서 'uo' 및 'ai'와 같은 연속된 모음은 복합 모음으로 합쳐지지 않고, 예를 들어 부옥/buokilo '머리카락' 및 다잇/daitilo '꿰매다'와 같이 중간의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복합 모음
복합 모음정자법예시
/au/aw (고유어) / au (스페인어 차용어)카바우/kabawilo 노망, 아우토리다드/autoridadilo ‘권위’
/iu/iw일리우/iliwilo '향수병'
/ai/ay (고유어) / ai (스페인어 차용어)마이사/maysailo 하나, 바일레/baileilo ‘춤’
/ei/ey이디에이/idieyilo 거기 (지역 변형; 표준 이디아이/idiayilo)
/oi/, /ui/oy, uy바보이/baboyilo '돼지'



복합 모음 /ei/는 고유어에서 /ai/의 변형이다. 다른 예로는 스페인어와 영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있다. 예로는 레이나/reynailo (스페인어 레이나/reinaes, '여왕'에서 유래) 및 트레이네르/treynerilo ('트레이너')가 있다. 복합 모음 /oi/ 및 /ui/는 /o/가 최종 음절에서 /u/의 이음이므로 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아푸이/apúyilo ('불')는 /ɐ.ˈpoi/로 발음될 수 있고 바보이/baboyilo ('돼지')는 /ബാ.bui/로 발음될 수 있다.

복합 모음 /au/의 경우 일반적인 규칙은 고유어에 /aw/를 사용하고, 'autoridad, autonomia, automatiko'와 같은 스페인어 차용어에 /au/를 사용하는 것이다. 동일한 규칙이 복합 모음 /ai/에도 적용된다.

7. 1. 3. 자음

를 제외한 모든 자음 음소는 음절 첫머리 또는 종결이 될 수 있다. 성문 파열음 은 음절 종결로 허용되지 않으며, 음절 첫머리에만 나타날 수 있다. 파열음은 무기음으로 발음된다. 일로카노어는 - 변이음이 제외된 필리핀어 중 하나이며, 전동음 을 가지고 있으며, ''rr''로 표기한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7. 2. 운율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 주 강세 ==

일로카노어에서 강세의 위치는 어휘적이다. 이는 ('나무')와 ('당신' (복수 또는 존칭)) 또는 ('수업, 유형, 종류')와 ('보다')와 같은 최소 대립쌍으로 이어진다. 쓰여진 일로카노어에서 독자는 문맥에 의존해야 한다.[10] 주요 강세는 두 번째 음절 또는 마지막 음절에만 올 수 있다.

일로카노어에서 강세는 예측할 수 없지만, 두 번째 음절, 마지막 음절의 구조와 단어의 기원에 따라 강세가 어디에 올지 결정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패턴이 있다.[10]

  • '''외래어''' – 일로카노어로 채택된 외래어(대부분 스페인어)의 강세는 원래 단어와 동일한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의사스페인어 기원
(to) 운전하다스페인어 기원 (나는 운전한다)
(to) 기록하다영어 기원 (동사)
agtárget목표로 하다영어 기원 (동사)


  • '''CVC.'CV(C)#''' ''하지만'' ''''CVŋ.kV(C)#''' – 닫힌 두 번째 음절을 가진 단어에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떨어지지만, 의 경우 예외적으로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있다/있다닫힌 두 번째 음절
대변닫힌 두 번째 음절
(일종의 진미)-ŋ.k 시퀀스


  • ''''C(j/w)V#''' – 마지막 음절이 활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단어에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유령자음–활음–모음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관련시키다자음–활음–모음
창조자음–활음–모음


  • '''C.'CV:.ʔVC#''' –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에 VʔV와 V가 동일한 모음을 가진 단어에서 강세는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발효된 생선 또는 새우 페이스트모음–성문 파열음–모음
바보모음–성문 파열음–모음
가시, 척추, 생선 뼈모음–성문 파열음–모음



== 2차 강세 ==

2차 강세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발생한다.


  • 다음 음절의 종결음이 다음 음절의 시작음인 경우, 즉 자음 중복 앞의 음절.

일로카노어비고
pannakakítailo|보는 능력|자음 중복 앞 음절
keddéngilo|판단, 결정|자음 중복 앞 음절
ubbíngilo|아이들|자음 중복 앞 음절


  • 형태론이나 어휘에서 기인하는 자음-모음 시퀀스 반복.

일로카노어비고
agsasaóilo|말한다, 말하고 있다|CV 반복
ar-ariáilo|유령, 정령|CV 반복
agdadáitilo|꿰맨다, 꿰매고 있다|CV 반복



== 모음 길이 ==

모음의 길이는 강세를 받는 음절(제1 또는 제2)과 일치하며,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열린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카ː요/'ka:.joilo '나무'와 카.'요/ka.'joilo (2인칭 복수 능격 대명사)를 비교해 볼 수 있다.[30]

== 강세 이동 ==

주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 또는 ultima에만 올 수 있으므로, 접미사가 붙으면 강세가 한 음절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열린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은 길어진다.

어근접미사결과의미
/'puː.dut/ (열)/-ɯn/ (목표 초점)/pu.'duː.tɯn/(무언가를) 데우다/덥히다
/da.'lus/ (깨끗함)/-an/ (방향 초점)/da.lu.'san/(무언가를) 청소하다


7. 2. 1. 주 강세

일로카노어에서 강세의 위치는 어휘적이다. 이는 ('나무')와 ('당신' (복수 또는 존칭)) 또는 ('수업, 유형, 종류')와 ('보다')와 같은 최소 대립쌍으로 이어진다. 쓰여진 일로카노어에서 독자는 문맥에 의존해야 한다.[10] 주요 강세는 두 번째 음절 또는 마지막 음절에만 올 수 있다.

일로카노어에서 강세는 예측할 수 없지만, 두 번째 음절, 마지막 음절의 구조와 단어의 기원에 따라 강세가 어디에 올지 결정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패턴이 있다.[10]

  • '''외래어''' – 일로카노어로 채택된 외래어(대부분 스페인어)의 강세는 원래 단어와 동일한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의사스페인어 기원
(to) 운전하다스페인어 기원 (나는 운전한다)
(to) 기록하다영어 기원 (동사)
agtárget목표로 하다영어 기원 (동사)


  • '''CVC.'CV(C)#''' ''하지만'' ''''CVŋ.kV(C)#''' – 닫힌 두 번째 음절을 가진 단어에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떨어지지만, 의 경우 예외적으로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있다/있다닫힌 두 번째 음절
대변닫힌 두 번째 음절
(일종의 진미)-ŋ.k 시퀀스


  • ''''C(j/w)V#''' – 마지막 음절이 활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단어에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유령자음–활음–모음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관련시키다자음–활음–모음
창조자음–활음–모음


  • '''C.'CV:.ʔVC#''' – 두 번째 음절과 마지막 음절에 VʔV와 V가 동일한 모음을 가진 단어에서 강세는 두 번째 음절에 떨어진다.


일로카노어의미비고
발효된 생선 또는 새우 페이스트모음–성문 파열음–모음
바보모음–성문 파열음–모음
가시, 척추, 생선 뼈모음–성문 파열음–모음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7. 2. 2. 2차 강세

2차 강세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발생한다.

  • 다음 음절의 종결음이 다음 음절의 시작음인 경우, 즉 자음 중복 앞의 음절.

일로카노어비고
pannakakítailo|보는 능력|자음 중복 앞 음절
keddéngilo|판단, 결정|자음 중복 앞 음절
ubbíngilo|아이들|자음 중복 앞 음절


  • 형태론이나 어휘에서 기인하는 자음-모음 시퀀스 반복.

일로카노어비고
agsasaóilo|말한다, 말하고 있다|CV 반복
ar-ariáilo|유령, 정령|CV 반복
agdadáitilo|꿰맨다, 꿰매고 있다|CV 반복



모음은 a, e, i, o, u이다.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7. 2. 3. 모음 길이

모음의 길이는 강세를 받는 음절(제1 또는 제2)과 일치하며, 마지막 음절을 제외한 열린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카ː요/'ka:.joilo '나무'와 카.'요/ka.'joilo (2인칭 복수 능격 대명사)를 비교해 볼 수 있다.[30]

7. 2. 4. 강세 이동



자음은 b, k, d, g, h, j, k, l, m, n, ng, p, r, s, t, w, y이다.


ng는 일본어 중에 나타나는 비음(ガ)의 소리를 나타낸다.


일로카노어에서는 성문 파열음은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30].

8. 문법

일로카노어는 술어-초두 구조(VSO)의 특징을 보인다.[25] 동사와 형용사는 문장의 첫 번째 위치에 나타나고, 그 뒤에 나머지 문장이 이어진다. 일로카노어는 매우 복잡한 접사(접두사, 접미사, 내부 삽입사 및 후치사)와 반복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25] 기본적인 어근과 그에 상응하는 접사를 배우는 것이 조리 있는 문장을 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주격이나 목적어 등의 항목은 마커라고 불리는 단어를 앞에 동반하며, 동사 뒤에 놓인다. 마커에는, 화제를 나타내는 ti(일본어의 'は'에 해당), 주어(격)나 목적어를 나타내는 nga( '가', '을' 등에 해당)가 있다. 문장에는 화제를 나타내는 ti가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며, 일로카노어는 화제 탁월성 언어에 포함된다. 접사는 어근에 붙어 동사가 되는 pa(papanam), agan(agan-annad)이나, 존칭 표현으로 사용하는 maki- 등이 있다. 어중에서 같은 자음이 2개 연속되는 경우가 있지만, 일본어의 '학교', '한 잔'의 요령으로 발음하면 된다. 예를 들어, ubbing(어린이들), innak(나는 갑니다) 등이 있다.

9. 어휘

9. 1. 차용어

외래어 유입은 주로 스페인어, 그 다음으로 영어에서 이루어졌으며, 아주 소량의 민난어 (호키엔), 아랍어, 산스크리트어에서 유입되었다.[26][27][28]

차용어 예시
단어어원원래 의미일로카노어 의미
아락아랍어 (말레이어를 거쳐)술과 비슷한 음료일반적인 알코올 음료 (더 구체적으로는 와인)
우콤아랍어 (말레이어를 거쳐)판사판사
karma/कर्मन्sa산스크리트어업 (불교 참조)영혼
라가디산스크리트어 (말레이어를 거쳐)
사르밍말레이어거울거울
라코말레이어판매 가능한, 팔 수 있는상품
상글레이/生理nan호키엔상품을 배달하다배달하다/중국 상인
아그불도스/agbuldos영어영어불도저로 밀다불도저로 밀다
쿠아르타/cuartaes스페인어4분의 1, 일종의 구리 동전
쿠모스타/¿Cómo estás?es스페인어인사: '어떻게 지내세요?'어떻게 지내세요?
포데르스페인어힘, 배려
탈리에르스페인어taller (작업장)정비소


9. 2. 기본 표현



안녕하세요. Naimbag nga aldaw, yo/나임바그 응아 알다우 요ilo.


안녕히 주무세요. Naimbag nga rabii, yo/나임바그 응아 라비이 요ilo.


잘 지내세요? Kumusuta ka?/쿠무스타 카?ilo


저는 잘 지냅니다, 감사합니다. Nasayaat met. Dios ti agngina/나사야트 멧. 디오스 티 아그니나ilo.


제 이름은 야마다입니다. Yamada ti nagan ko/야마다 티 나간 코ilo.


이름이 무엇입니까? Ania ti nagan mo?/아니아 티 나간 모?ilo


만나서 반갑습니다. Maragsakanak unay gapu ti pagaammo tayo/마라그사낙 우나이 가푸 티 파가암모 타요ilo.

9. 3. 숫자, 요일, 월

일로카노어는 고유 숫자 체계와 스페인어에서 파생된 숫자 체계 두 가지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일로카노어 숫자는 수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고, 스페인어 숫자는 시간, 날짜, 참조 등에 사용한다. 요일과 달 이름은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다. 시간 단위의 이름은 토착어이거나 스페인어에서 파생되었다.

숫자
0ibbongilo / awanilo (문자 그대로 없음)seroilo
0.25 (1/4)pagkapatilokuartoilo
0.50 (1/2)kaguduailomitadilo
1maysailounoilo
2duailodosilo
3talloilotresilo
4uppatilokuatroilo
5limailosingkoilo
6innemilosaisilo
7pitoilosieteilo
8waloilootsoilo
9siamilonuebeilo
10sangapuloilo (문자 그대로 10개의 그룹)diesilo
11sangapulo ket maysailoonseilo
12sangapulo ket duailodoseilo
20duapuloilobeinteilo
30tallopuloilotreintailo
50limapuloilosingkuentailo
100sangagasutilo (문자 그대로 100개의 그룹)sienilo
1,000sangariboilo (문자 그대로 1,000개의 그룹), riboilomililo
10,000sangalaksailo (문자 그대로 10,000개의 그룹), sangapulo a riboilodies mililo
1,000,000sangariwriwilo (문자 그대로 100만 개의 그룹)milionilo
1,000,000,000sangabilionilo (미국 영어, 10억)bilionilo (미국 영향), mil milionesilo



요일
월요일Lunesilo
화요일Martesilo
수요일Mierkolesilo
목요일Huebesilo
금요일Biernesilo
토요일Sabadoilo
일요일Domingoilo



1월Eneroilo7월Hulioilo
2월Pebreroilo8월Agostoilo
3월Marsoilo9월Septiembreilo
4월Abrililo10월Oktubreilo
5월Mayoilo11월Nobiembreilo
6월Hunioilo12월Disiembreilo



시간 단위
kanitoilo / segundoilo
darasilo / minutoilo
시간orasilo
aldawilo
lawasilo / dominggoilo (문자 그대로 일요일), semanailo (드뭄)
bulanilo
tawenilo / anioilo



시간을 언급할 때, 일로카노족은 스페인어와 일로카노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 오전 1:00 Ala una iti bigatilo (오전 1시)

: 오후 2:30 Alas dos y media iti malemilo, 스페인어: A las dos y media de la tardees (오후 2시 반)

: 오후 6:00 Alas sais iti sardangilo (저녁 6시)

: 오후 7:00 Alas siete iti rabiiilo (저녁 7시)

: 정오 12:00 Alas dose iti pangaldawilo (정오 12시)

10. 더 많은 일로카노어 단어

''참고: 인접한 모음은 별도로 발음되며 함께 뭉개지지 않습니다''. 예: ''ba-ak'' 또는 ''la-ing''


  • 아바이/abayilo = 옆; 결혼식
  • 아발라얀/abalayanilo = 시부모
  • 아달/adalilo = 연구
  • 아다유/adayuilo = 멀리
  • 앗다/addailo = 사람, 장소 또는 물건의 존재를 확인
  • 아딩/adingilo = 남동생/여동생; 화자보다 어린 사람에게도 적용 가능
  • 아디펜/adipenilo = 노예
  • 알라/alailo = 가져가다
  • 암모/ammoilo = 알다
  • 아누스/anusilo = 끈기, 인내심 (사용법에 따라 다름)
  • 아니아/이니이아/ania/iniailo = 무엇
  • 아판/apanilo = 가다
  • 아파/apailo = 싸움, 논쟁; 아이스크림 콘
  • 아파이/apayilo = 왜
  • 아퐁/apongilo = 조부모
  • 아퐁 바켓/릴랑/롤라/apong baket/lilang/lolailo = 할머니
  • 아퐁 라카이/릴롱/롤로/apong lakay/lilong/loloilo = 할아버지
  • 아라미드/aramidilo = 짓다, 일하다 (남부 방언)
  • 아루앙안/루앙안/aruangan/ruanganilo = 문
  • 아시덱/asidegilo = 근처
  • 아팃둑/atiddugilo = 길다
  • 아완/awanilo = 없음 / 아무것도 아님
  • 아완 테 레메디오?/awan te remedio?ilo = 치료법이 없습니까?
  • 아이 나쿠!/ay naku!ilo = 아이고!
  • 아이 수스!/아이 아포!/ay sus!/Ay Apo!ilo = 아, 예수님/아, 세상에!
  • 바악/baakilo = 고대; 늙은
  • 바도/badoilo = 옷; 의상; 셔츠
  • 바기/bagiilo = 자기 몸; 소유
  • 발리톡/balitokilo = 금
  • 발롱/balongilo = 바로/baroilo와 동일
  • 방글레스/banglesilo = 상한 음식
  • (이/박)바가/(i/bag)bagailo = (말)하다/말하다
  • 박팃/마우용/bagtit/mauyongilo = 일로카노어로 미친/나쁜 단어, 술 취한 사람, 보잘것없는
  • 바켓/baketilo = 늙은 여자
  • 발라상/balasangilo = 젊은 여성/아가씨
  • 발라통/balatongilo = 녹두
  • 발라이/balayilo = 집
  • 발롱/balongilo = 유아/어린이
  • 방싯/bangsitilo = 악취/불쾌함/상함
  • 바로/baroilo = 젊은 남자/젊은이
  • 바사/basailo = 공부하다; 읽다
  • 바상/basangilo = 발라상/balasangilo와 동일
  • 바씻/bassitilo = 적은, 작은, 아주 작은
  • 바솔/basolilo = 과실, 잘못, 죄
  • 바웃/bautilo = 엉덩이를 때리다
  • 바약/bayagilo = 느리다
  • 바이바이/baybayilo = 바다; 만
  • 빈팅/bintingilo = 25센트/25센트
  • 부넹/bunengilo = 칼날 도구/칼
  • 다다엘/dadaelilo = 파괴하다/망치다
  • 다케스/dakesilo = 나쁜
  • 닥켈/dakkelilo = 큰; 거대한
  • (마)담다마/(ma)damdamailo = 나중에
  • 다논/danonilo = 도착하다
  • 다눅/danugilo = 펀치
  • 디딩/탈렙/파데르/diding/taleb/paderilo = 벽
  • 두마논/dumanonilo = 오다
  • 가스토스/gastosilo = 쓰다
  • 가누스/ganusilo = 덜 익은
  • 가숫/gasutilo = 백
  • 가우앗/gaw-atilo = 닿다
  • (악) 가위드/(ag) gawidilo = 집에 가다
  • 깃단/giddanilo = 동시
  • 구르 루오드/gur-ruodilo = 천둥
  • 하안/사안/아안/haan/saan/aanilo = 아니요
  • 익겜/iggemilo = 잡고 있음
  • 익칸/ikkanilo = 주다
  • 이니피스/inipisilo = 카드
  • 인툰 비갓/인투노 비갓/intun bigat/intuno bigatilo = 내일
  • 카아나칸/kaanakanilo = 조카/조카
  • 카발리오/kabalioilo = 말
  • 카바르바로/kabarbaroilo = 새로운
  • 카바티티/kabatitiilo = 수세미
  • 캅삿/카바기스/kabsat/kabagisilo = 형제자매
  • 칼룹/kallubilo = 덮개
  • 카나욘/kanayonilo = 항상
  • 카루바/karrubailo = 이웃
  • 카타와/katawailo = 웃음
  • 캇카타와/katkatawailo = 웃고 있다
  • 카얏/kayatilo = 원하다
  • 카요/kayoilo = 나무
  • 카유망기 쿠닉/kayumanggi-kunigilo = 황갈색
  • 키아우/아마릴리오/kiaw/amarilioilo = 노란색 (카스티야 스페인어 발음)
  • 키빈/kibinilo = 손을 잡다
  • 킥툿/kigtutilo = 깜짝 놀라다
  • 키맛/kimatilo = 번개
  • 쿳돗/켓델/kuddot/keddelilo = 꼬집다
  • 쿠마/kumáilo = 기대하다
  • 이나/이낭/나낭/ina/inang/nanangilo = 어머니
  • 라스톡/lastogilo = 자랑하다/오만하다
  • 락안/lag-anilo = 가볍다/무겁지 않다
  • ''laeng'' = 오직, 단지
  • 라잉/시립/laing/siribilo = 지능
  • 라와/lawailo = 넓다
  • 루간/luganilo = 차량
  • 마디/madiilo = 싫어하다/할 수 없다
  • 마낭/manangilo = 언니 또는 친척; 화자보다 약간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
  • 마노/manoilo = 얼마나 많습니까/얼마나 됩니까
  • 마농/manongilo = 형 또는 친척; 화자보다 약간 나이가 많은 남성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
  • 마레/쿠마레/mare/kumareilo = 여자 친구/어머니
  • 멧/metilo = 또한
  • 오브라/obrailo = 일 (북부 방언)
  • 나임박 응아 아가사파/naimbag nga agsapailo = 좋은 아침
  • 나압가드/naapgadilo = 짠
  • 나가상, 나아닷/nagasang, naadatilo = 매운
  • (나)핀타스/(na)pintasilo = 아름다운/예쁜 (여자)
  • (나)응아토/(na)ngatoilo = 높이/위에/위로
  • 파나우/panawilo = 떠나다
  • 콤파드레/파레/kompadre/pareilo = 친한 남자 친구
  • 파디/padiilo = 사제
  • (나)펙가드/(na)peggadilo = 위험(한)
  • (악)페르디/(ag)perdiilo = (to) 깨다/망치다/손상시키다
  • 피기스/pigisilo= 찢다
  • 픽사/pigsailo = 힘; 강한
  • 피만/pimanilo = 작은 것
  • 핌무사이(엔)/pimmusay(en)ilo = 사망; 사망
  • 풍톳/pungtotilo = 분노
  • 푸온/puonilo = 뿌리
  • 푸스탄/pustaanilo = 내기, 도박
  • 리다우/빈타나/ridaw/bintanailo = 창문
  • 리잉/riingilo = 일어나다
  • 리갓/rigatilo = 어려움
  • 루기/rugiilo = 시작; 시작
  • 루깃/rugitilo = 먼지/깨끗하지 않음
  • 루옷/ruotilo = 잡초
  • 루파/rupailo = 얼굴
  • 루아르/ruarilo = 외부; 밖으로
  • 사갓/sagadilo = 빗자루
  • 살라/salailo = 춤
  • 상골/sang-golilo = 팔씨름
  • 사풀/비록/sapul/birokilo = 찾다; 필요; 검색
  • (나)사킷/(na)sakitilo = (그것은) 아프다
  • 시다/sidailo = 생선, 주요 요리, 반찬, 반찬에 대한 명사
  • 시잇/siitilo = 생선 뼈/가시
  • (나)싱펫/(na)singpetilo = 친절한/순종적인
  • 술리/suliilo = 구석
  • (악)수랏/(ag)suratilo = (to) 쓰다
  • 탑베드/무노/tabbed/munoilo = 멍청한
  • 타뎀/tademilo = 날카로움 (도구에 사용)
  • 타카우/takawilo = 훔치다
  • 타크롯/타르콕/takrot/tarkokilo = 겁쟁이/두려움
  • 탕켄/tangkenilo = 단단한 (질감)
  • 타롱/tarongilo = 가지
  • 틴낙/tinnagilo = 넘어지다
  • (악)토카르/(ag)tokarilo = 음악이나 악기를 연주하다
  • 토르페/torpeilo = 무례한; 바보
  • 투도/tudoilo = 비
  • (악)투가우/(ag)tugawilo = (to) 앉다
  • 투가완/tugawanilo = 앉을 수 있는 것
  • 투가우/tugawilo = 의자; 좌석
  • 투노/tunoilo = 굽다
  • (나)타위드/(na)tawidilo = 상속(받은); 유산
  • 우빙/ubingilo = 아이; 아기; 아이
  • 우마이/umayilo = 오다; 환영
  • 우나이/unayilo = 매우
  • 울리텍/티오/uliteg/tioilo = 삼촌
  • 우라이/urayilo = 비록 ~일지라도; 기다리다
  • 우라이 시악 멧/uray siak metilo = 나도; 나조차도
  • 울로/uloilo = 머리
  • 우파/upailo = 암탉
  • 우스톤/ustonilo = 그만둬
  • 우통/utongilo = 콩
  • 우톳/다가/utot/dagailo = 쥐/쥐
  • 웃톳/uttotilo = 방귀
  • 웬/운/wen/wunilo = 예


또한 주목할 점은 요요는 일로카노어 단어 요요/yóyoilo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29]

안녕. Naimbag nga bigat, yo.


안녕하세요. Naimbag nga aldaw, yo.


안녕히 주무세요. Naimbag nga rabii, yo.


잘 지내세요? Kumusuta ka?


저는 잘 지냅니다, 감사합니다. Nasayaat met. Dios ti agngina.


제 이름은 야마다입니다. Yamada ti nagan ko.


이름이 무엇입니까? Ania ti nagan mo?


만나서 반갑습니다. Maragsakanak unay gapu ti pagaammo tayo.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2] 간행물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3] 뉴스 Iloko La Union's official language http://www.philstar.[...] 2012-09-24
[4] 웹사이트 Language Map of Northern Philippin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5-12-07
[5]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Lewis 2013
[7] 뉴스 Protect all PH writing systems, heritage advocates urge Congress https://newsinfo.inq[...]
[8] 논문 Taiwan and the Prehistory of the Austronesians-speaking Peoples 1998
[9] 논문 Taiwan's gift to the world 2000
[10] harvp Rubino 2000
[11] 웹사이트 Zambales Province, Home Province of Subic Bay and Mt. Pinatubo https://subliblog.co[...]
[12] 웹사이트 History of Iba https://www.ibazamba[...]
[13] 웹사이트 Profile of Bataan https://www.visitmyp[...] Visit My Philippines website
[14] 웹사이트 Discovering Bataan https://phinder.ph/b[...]
[15]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Eighteenth edition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15-12-17
[16]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 of Asia and Madagasc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웹사이트 Knowledge of languages by age and gende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with parts https://www150.statc[...] 2022-12-28
[18] 서적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in the State of Hawaii http://files.hawaii.[...] Department of Business, Economic Development & Tourism 2018-03-19
[19] 웹사이트 Iloko La Union's official language https://www.philstar[...] 2024-10-03
[20] 서적 Tarabay iti Ortograpia ti Pagsasao nga Ilokano https://kwfwikaatkul[...] Komisyon sa Wikang Filipino
[21] 웹사이트 The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http://ncca.gov.ph/s[...]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2015-12-07
[22] 웹사이트 198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www.thecorpus[...]
[23] 뉴스 K+12 to use 12 mother tongues https://www.philstar[...] 2018-09-04
[24] 서적 Iloko London & New York: Routledge
[25] harvp Vanoverbergh 1955
[26] 서적 Ilokano English Dictionary. CICM Missionaries/Progressive Printing Palace, Quezon City, Philippines
[27] 서적 Iloko-English Dictionary:Rev. Andres Carro's Vocabulario Iloco-Español. Catholic School Press, CICM Missionaries, Baguio, Philippines
[28] 서적 English-Iloko Thesaurus. Catholic School Press, CICM Missionaries, Baguio, Philippines
[29] 웹사이트 Definition of YO-YO http://www.merriam-w[...] 2021-07-02
[30] 간행물 Maysa nga Pagraktis ti Panagsao ti Ilokano DAIGAKUSYORIN TOKYO
[31] 간행물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Nationalencyklopedin
[32] 간행물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33]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Lewi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