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탄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탄어군은 필리핀 북부 바탄 제도와 대만 란위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군이다. 야미어, 이트바야트어, 이바탄어의 세 언어로 구성되며, 학자에 따라 네 개의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바탄어군은 필리핀어군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독립된 최상위 분기군으로 보기도 한다. 바탄어군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일찍 분화되었으며, 북부 루손어군과의 관계는 불확실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탄어군 - 야미어
야미어 또는 타오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타이완 원주민인 타오족이 사용하며 필리핀어군의 이바탄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지지만 일본어와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고, 현재 언어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 바탄어군 - 이바탄어
필리핀 바탄 제도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바탄어군에 속하는 이바탄어는 바탄 섬 북부의 이바사옌 방언과 남부의 이사무롱겐 방언으로 나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어휘,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필리핀어군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확대 중앙필리핀어군은 기원전 500년경 영토 팽창으로 언어적 동질화가 이루어진 필리핀 중부 지역의 여러 어군(중앙필리핀어군, 남부민도로어군, 팔라완어군, 수바넨어군, 다나오어군, 마노보어군, 고론탈로-몽곤도어군 등)을 묶어 부르는 명칭으로, 비콜 지방, 마닐라, 마린두케주, 민도로섬, 롬블론 제도, 비사야 제도 등에서 사용된다.
바탄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바탄어군 |
다른 이름 | 바시어군, 이바탄어군 |
지역 | 바타네스주 및 란위섬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1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파2 | 필리핀어군 (?) |
Glottolog | bata1315 |
Glottolog (참조) | 바탄어군 |
2. 분류
바탄어군은 필리핀어군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바탄어군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독립된 최상위 분기군으로 보기도 한다.[7] 로저 블렌치는 바탄어군이 오랫동안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분화되었으며 표준 오스트로네시아어에 속하지 않는 많은 어근을 포함한다고 결론 내렸다. 바탄어군과 북부 루손어군 간의 관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3]
2. 1. 언어 목록
바탄어군에는 세 개의 언어가 있다.[7]말콤 로스와 로저 블렌치는 바탄어군에 다음과 같이 4개의 언어가 있다고 제시한다.[2][3]
- 야미어(타오어) - 오키드 섬
- ** 이무루드 방언
- ** 이라랄라이 방언
- ** 이라누밀렉 방언
- 이트바야트어 - 이트바야트섬
- 이바탄어
- ** 이바세이 방언 (= 바스코 이바탄) - 바탄섬
- ** 이사무룽 방언 (= 남부 이바탄) - 바탄섬 남부, 사브탕섬
- 이바탄어(바부얀어) - 바부얀섬
2. 2. 하위 분류 체계
바탄어군에는 세 개의 언어가 있다.[7]모리구치(Moriguchi) (1983)는 바탄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바사이조어
- * 이트바야트어
- * 이바사이 방언
- * (분기군)
- ** 바부얀, 이사무룽 방언
- ** 야미어: 이랄랄라이, 이무루드 방언
Paul Jen-kuei Li (2000)[8]에 따르면 야미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는 이트바야트어이다. 바탄어군 가운데 가장 보수적인 언어는 이랄랄라이 방언이다(Li 2000).
말콤 로스 (2005)와 로저 블렌치 (2015)는 다음과 같이 4개의 언어를 제시한다.[2][3]
- 바탄어군
- * 야미어(타오어) - 오키드 섬
- ** 이무루드 방언
- ** 이라랄라이 방언
- ** 이라누밀렉 방언
- * 잇바야트어 - 이트바야트섬
- * 이바탄어
- ** 이바세이 방언 (= 바스코 이바탄) - 바탄섬
- ** 이사무룽 방언 (= 남부 이바탄) - 바탄섬 (남부), 삽탕섬
- * 이바탄어(바부얀어) - 바부얀섬
모리구치 쓰네카즈 (1983)는 바탄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4]
- 원시 바세이어
- * 잇바야텐어
- * 바세이어
- ** 바부얀어, 이사모롱어
- ** 야미어: 이라랄라이어, 이모로드어
리 젠쿠이 (2000)에 따르면,[5] 야미어가 잇바야트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바탄어군 중 이라랄라이어가 가장 보수적이다.[5]
2. 3. 필리핀어군 포함 여부
바탄어군은 종종 필리핀어군에 포함되지만, 이에 대해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학자들은 바탄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독립된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생각한다.[7] 로저 블렌치는 바탄어군이 오랫동안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분화되었으며 표준 오스트로네시아어에 속하지 않는 많은 어근을 포함한다고 결론 내렸다. 바탄어군과 북부 루손어군 간의 관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3]참조
[1]
학위논문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of Batanic Languages
https://zorc.net/RDZ[...]
Providence University
2002
[2]
논문
The Batanic Languages in Relation to the Early History of the Malayo-Polynesian Subgroup of Austronesian
https://mocfile.moc.[...]
2005
[3]
학회자료
A New Look at Bashiic, a Divergent Subgroup of Malayopolynesian
https://www.academia[...]
2015
[4]
서적
Batan Island and Northern Luzon: Archaeological, Ethnographical and Linguistic Survey
Kumamoto University
1983
[5]
서적
The Fif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2000
[6]
학위논문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of Batanic languages (巴丹語言的分群與擬測)
Providence University
2002
[7]
저널
The Batanic Languages in Relation to the Early History of the Malayo-Polynesian Subgroup of Austronesian
https://web.archive.[...]
2012-10-15
[8]
간행물
"Subgrouping of the Batanic languages"
http://sealang.net/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