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필리핀 제어 바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이바탄어와 매우 유사하여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대만 원주민의 고유어 중 포모사 어군에 속하지 않는 유일한 언어이다. 음운 체계는 4개의 모음과 20개의 자음을 가지며, 1인칭 복수형 대명사는 포괄형과 배제형으로 구분된다. 다양한 동사 활용 형태와 접사가 발달해 있으며, 필리핀 제어와 어휘적 유사성을 보인다. 대만 일치 시기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많으며, 기독교 관련 용어, 일부 중국어 차용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탄어군 - 이바탄어
    필리핀 바탄 제도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바탄어군에 속하는 이바탄어는 바탄 섬 북부의 이바사옌 방언과 남부의 이사무롱겐 방언으로 나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어휘,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야미어
개요
이름야미어
고유어ciciring no Tao
다른 이름타오어
다오어
야메이어
아메이어
사용 국가타이완
사용 지역타이완타이둥 현란위 향
사용자 수약 4,000명 (2012년)
언어 코드
ISO 639-3tao
Glottologyami1254
Linguasphere31-CAA-a
언어 상태
UNESCO취약
언어 계통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필리핀어군
하위 어군바탄어군
세부 분류야미-이트바야트
지리적 정보
좌표22°03′N 121°32′E
문자 체계
문자로마자
법적 지위
국가(타이완 원주민 지역의 국가어)
기관원주민족위원회

2. 분류

야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지만, 다른 타이완 선주민 언어와 달리 타이완 제어가 아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가장 큰 어파이며, 야미어는 이 어파 중 가장 북쪽에 있는 언어이다.

야미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중에서도 필리핀어군, 더 나아가 바탄어군에 속한다. 바탄어군은 필리핀 최북단 바탄 제도 주민들의 언어이며, 이바탄족이 사용하는 이바탄어와 야미어는 매우 가까워 통역 없이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야미어와 다른 바탄어족 언어

3. 음운

야미어는 20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2]

3. 1. 모음

야미어의 모음은 4종류이다.

: i / e / a / u

북쪽 해안에서 사용되는 이랄랄레이 야미어(Iraralay Yami)는 겹자음을 구별한다.[3]

3. 2. 자음

야미어에는 20개의 자음이 있다.[2]

야미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설후음연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마찰음
무성음
유성음
마찰음
유사음
전동음


  • 는 모음 사이(사이모음)에서 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 소리는 앞에서 소리로 들리기도 한다.

4. 문법

야미어는 인칭대명사, 동사 활용, 다양한 의미를 더하는 접사 등이 발달한 언어이다.

4. 1. 인칭대명사

야미어의 1인칭 복수형 대명사는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즉,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괄형(inclusive)과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는 배제형(exclusive)으로 구분된다.[4]

야미어 인칭대명사
주격소유격처소격
독립종속독립종속
1인칭 단수yakentaokotaoniakentaokotaojiakentao
2인칭 단수imotaokataonimotaomotaojimotao
3인칭 단수iyataoyataoniataonataojiatao
1인칭 복수 포괄형yatentaotatao, tamotao, takamotaoniatentaotataojiatentao
1인칭 복수 배제형yamentaonamentaoniamentaonamentaojiamentao
2인칭 복수iniotaokamotao, kaniotaoniniotaoniotaojiniotao
3인칭 복수sirataosiataonirataodataojiratao


4. 2. 동사

야미어에서 발견되는 동사 활용 형태는 다음과 같다.[5]

종류형태접속법
자동사 동작-om-/om-taoN-tao
자동사 동작mi-tao
자동사 동작ma-tao
자동사 동작maN-tao
자동사 동작maka-tao
자동사 동작maci-/masi-/macika-/macipa-tao
상태ma-taoa-tao
상태ka- ... -antaoka- ... -itao
동작pi-tao
동작pa-tao
동작paN-taomaN-tao
동작paka-taomaka-tao
동작paci-taomaci-tao
타동사-entao-atao
타동사-antao-itao
타동사i-tao-antao
타동사로 기능하는 상태ma-taoa- ... -atao
타동사로 기능하는 상태ka- ... -antaoa- ... -atao


4. 3. 접사

야미어에는 다양한 의미를 더하는 접사들이 발달해 있다.[6]

접사의미
icia-tao같은 특징이나 운명을 공유하는 사람들
ikeyka-tao훨씬 더
ika-tao~하기 때문에 ~한 느낌이 든다, 서수
ipi-tao복수
ji a-tao부정 또는 강조
ka-tao동반, …만큼, 추상 명사, 그리고 나서, 방금, 단지, 타동사를 형성하는 데 다시 나타나는 상태 동사 접두사
ka-tao (중복된 어근)매우, 특정 특징을 따서 명명된 동물들
ka- ... -antao보통 명사
ma- ... -entao~하는 것을 좋아하다
mapaka-tao~인 체하다
mapi-tao~를 직업으로 하다
mi-/mala-tao2~3명 그룹의 혈족 관계
mika-/mapika-/ipika-tao모두, 점차적으로, 하나씩
mala-tao~처럼 맛이 나거나 보이다
mipa-tao점점 더 …해지다
mipipa-tao훨씬 더…
mapi-/mapa-/pa- ... -en/ipa-tao사동 동사 접사
ni-tao완료
ni- ... natao최상급
noka-tao과거
noma-tao미래(먼 미래)
sicia-tao현재
sima-tao미래(가까운 미래)
tey-tao방향, 매우, 너무
tey-tao (중복된 어근)각 단위에 할당된 양


5. 어휘

야미어는 필리핀어군에 속하며, 바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바탄 제도의 선주민 언어인 이바탄어와 매우 가까워서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7][8][9]

야미어는 필리핀 제어와 많은 어휘를 공유한다. 다음은 야미어와 필리핀 제어의 어휘를 비교한 표이다.

영어야미어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비사야어 등
사람taotaotaotl (타갈로그어), tawoceb (세부 비사야어, 비콜어)
어머니inataoinatl (타갈로그어)[7]
아버지amataoamatl (타갈로그어), amailo (일로카노어)[8]
머리ootaoulotl (타갈로그어), uluceb (세부 비사야어), oloilo (일로카노어)[9]
nohontaooho (판단 비콜어, 중앙 비콜어)
친구kagagantaokaibigan (타갈로그어)
누구sinotaosinohil, sin-o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hin-owar (와라이 비사야어)
그들sirataosilatl (타갈로그어), sira/hirawar (와라이 비사야어)
그들의nirataonila (타갈로그어)
자손anaktaoanakceb (세부 비사야어), anak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anakilo (일로카노어), anaktl (타갈로그어)
나(대명사)kotaokoilo, -koilo (일로카노어)
kataokailo, -kailo (일로카노어)
arawtaoarawilo, aldawilo (일로카노어), adlawceb (세부 비사야어)
먹다kanentaokainilo, kanenilo (일로카노어), kaon (모든 비사야어)
마시다inomentaoinuminilo, inomenilo (일로카노어)
ciriciringtaochirichirin (이트바야텐 이바탄어), siling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말하다), siringwar (와라이 비사야어, 말하다)
그리고akataosaka (중앙 비콜어, 칼라방가 방언) (역사적으로 "saka asin")
아야AnanaytaoArayceb, Agayceb (세부 비사야어), Annayilo (일로카노어)
vahaytaobahayilo, balayceb (일로카노어, 세부 비사야어)
새끼 돼지viiktaobiiktl (타갈로그어)
염소kadlingtaokambingceb, kandingceb (세부 비사야어), kaldingilo (일로카노어)
vatotaobatotl (타갈로그어, 모든 비사야어 등)
마을ilitaoiliilo (일로카노어)
하나ásataoisatl (타갈로그어,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maysailo (일로카노어), usaceb (세부 비사야어)
dóatao (raroatao)dalawatl (타갈로그어), duhaceb (세부 비사야어), duailo (일로카노어)
tílotaotatloceb, tulo/tutoceb (세부 비사야어), talloilo (일로카노어)
ápattaoapattl (타갈로그어,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upatceb (세부 비사야어), uppatilo (일로카노어)
다섯límataolimaceb (세부 비사야어), lima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limailo (일로카노어), limatl (타갈로그어)[10]
여섯ánemtaoanimtl (타갈로그어), innemilo (일로카노어), unomceb (세부 비사야어), anum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일곱pítotaopito (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비사야어)
여덟wáotaowalo (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비사야어)
아홉síamtaosiyamilo, siamilo (일로카노어)
póotaosamputl (타갈로그어), sangapuloilo (일로카노어), napulo (모든 비사야어)



야미어의 수사는 타이완 제어와 필리핀 제어의 중간적 특징을 보인다.

숫자아미스어야미어이바탄어타갈로그어인도네시아어고대 차모로어
(기본적인 수사)
통가어하와이어
1cecayásaasaisasatuhachataha
2tosadóa (raroa)daduadalawaduahuguaua
3tolotílotatdutatlotigatulutolu
4sepatápatapatapatempatfatfatfa
5limalímadadimalimalimalimanima
6enemánemanemanimenamgunumono
7pitopítopapitopitotujuhfitifitu
8falowáowawajowalodelapangualuvalu
9siwasíamsasyamsiyamsembilansiguahiva
10polopóosapujosampusepuluhmanothongofulu



대만 일치 시기의 영향으로 야미어에는 일본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고, 기독교 관련 용어도 일본어를 경유해서 야미어에 포함되어 있다. 일부 중국어 차용어도 존재한다.

야미어의 외래어
야미어한국어비고
dingki전기일본어의 電気|덴키일본어가 유래
gako학교일본어의 学校|갓코일본어가 유래
gengkang군함일본어의 軍艦|군칸일본어가 유래
kabang가방일본어의 鞄|가반일본어가 유래
kagi열쇠일본어의 鍵|가기일본어가 유래
kipo일본어의 切符|깃푸일본어가 유래
kisat경찰일본어의 警察|게이사쓰일본어가 유래
Kizisto그리스도일본어의 キリスト|기리스토일본어가 유래
kosozi일본어의 薬|구스리일본어가 유래
koysang의사일본어의 お医者さん|오이사상일본어가 유래
misiking시험mi는 가다라는 의미, siking은 일본어의 試験|시켄일본어가 유래
otobay오토바이일본어의 オートバイ|오토바이일본어가 유래
potaw cio포도주중국어의 葡萄酒|pútáojǐu중국어가 유래
saki일본어의 酒|사케일본어가 유래
seysio성경일본어의 聖書|세이쇼일본어가 유래
seyzi성령일본어의 聖霊|세이레이일본어가 유래
sikoki비행기일본어의 飛行機|히코키일본어가 유래
sinsi선생님일본어의 先生|센세일본어가 유래
tozako트럭일본어의 トラック|도랏쿠일본어가 유래


5. 1. 필리핀어군과의 유사성

야미어는 필리핀어군에 속하며, 바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바탄 제도의 선주민 언어인 이바탄어와 매우 가까워서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7][8][9]

야미어는 필리핀 제어와 많은 어휘를 공유한다. 다음은 야미어와 필리핀 제어의 어휘를 비교한 표이다.

영어야미어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비사야어 등
사람taotaotaotl (타갈로그어), tawoceb (세부 비사야어, 비콜어)
어머니inataoinatl (타갈로그어)[7]
아버지amataoamatl (타갈로그어), amailo (일로카노어)[8]
머리ootaoulotl (타갈로그어), uluceb (세부 비사야어), oloilo (일로카노어)[9]
nohontaooho (판단 비콜어, 중앙 비콜어)
친구kagagantaokaibigan (타갈로그어)
누구sinotaosinohil, sin-o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hin-owar (와라이 비사야어)
그들sirataosilatl (타갈로그어), sira/hirawar (와라이 비사야어)
그들의nirataonila (타갈로그어)
자손anaktaoanakceb (세부 비사야어), anak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anakilo (일로카노어), anaktl (타갈로그어)
나(대명사)kotaokoilo, -koilo (일로카노어)
kataokailo, -kailo (일로카노어)
arawtaoarawilo, aldawilo (일로카노어), adlawceb (세부 비사야어)
먹다kanentaokainilo, kanenilo (일로카노어), kaon (모든 비사야어)
마시다inomentaoinuminilo, inomenilo (일로카노어)
ciriciringtaochirichirin (이트바야텐 이바탄어), siling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말하다), siringwar (와라이 비사야어, 말하다)
그리고akataosaka (중앙 비콜어, 칼라방가 방언) (역사적으로 "saka asin")
아야AnanaytaoArayceb, Agayceb (세부 비사야어), Annayilo (일로카노어)
vahaytaobahayilo, balayceb (일로카노어, 세부 비사야어)
새끼 돼지viiktaobiiktl (타갈로그어)
염소kadlingtaokambingceb, kandingceb (세부 비사야어), kaldingilo (일로카노어)
vatotaobatotl (타갈로그어, 모든 비사야어 등)
마을ilitaoiliilo (일로카노어)
하나ásataoisatl (타갈로그어,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maysailo (일로카노어), usaceb (세부 비사야어)
dóatao (raroatao)dalawatl (타갈로그어), duhaceb (세부 비사야어), duailo (일로카노어)
tílotaotatloceb, tulo/tutoceb (세부 비사야어), talloilo (일로카노어)
ápattaoapattl (타갈로그어,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upatceb (세부 비사야어), uppatilo (일로카노어)
다섯límataolimaceb (세부 비사야어), lima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limailo (일로카노어), limatl (타갈로그어)[10]
여섯ánemtaoanimtl (타갈로그어), innemilo (일로카노어), unomceb (세부 비사야어), anumhil (힐리가이논 비사야어)
일곱pítotaopito (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비사야어)
여덟wáotaowalo (타갈로그어/일로카노어/비사야어)
아홉síamtaosiyamilo, siamilo (일로카노어)
póotaosamputl (타갈로그어), sangapuloilo (일로카노어), napulo (모든 비사야어)


5. 2. 수사

야미어의 수사는 타이완 제어와 필리핀 제어의 중간적 특징을 보인다.

숫자아미스어야미어이바탄어타갈로그어인도네시아어고대 차모로어
(기본적인 수사)
통가어하와이어
1cecayásaasaisasatuhachataha
2tosadóa (raroa)daduadalawaduahuguaua
3tolotílotatdutatlotigatulutolu
4sepatápatapatapatempatfatfatfa
5limalímadadimalimalimalimanima
6enemánemanemanimenamgunumono
7pitopítopapitopitotujuhfitifitu
8falowáowawajowalodelapangualuvalu
9siwasíamsasyamsiyamsembilansiguahiva
10polopóosapujosampusepuluhmanothongofulu


5. 3. 외래어

대만 일치 시기의 영향으로 야미어에는 일본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고, 기독교 관련 용어도 일본어를 경유해서 야미어에 포함되어 있다. 일부 중국어 차용어도 존재한다.

야미어의 외래어
야미어한국어비고
dingki전기일본어의 電気|덴키일본어가 유래
gako학교일본어의 学校|갓코일본어가 유래
gengkang군함일본어의 軍艦|군칸일본어가 유래
kabang가방일본어의 鞄|가반일본어가 유래
kagi열쇠일본어의 鍵|가기일본어가 유래
kipo일본어의 切符|깃푸일본어가 유래
kisat경찰일본어의 警察|게이사쓰일본어가 유래
Kizisto그리스도일본어의 キリスト|기리스토일본어가 유래
kosozi일본어의 薬|구스리일본어가 유래
koysang의사일본어의 お医者さん|오이사상일본어가 유래
misiking시험mi는 가다라는 의미, siking은 일본어의 試験|시켄일본어가 유래
otobay오토바이일본어의 オートバイ|오토바이일본어가 유래
potaw cio포도주중국어의 葡萄酒|pútáojǐu중국어가 유래
saki일본어의 酒|사케일본어가 유래
seysio성경일본어의 聖書|세이쇼일본어가 유래
seyzi성령일본어의 聖霊|세이레이일본어가 유래
sikoki비행기일본어의 飛行機|히코키일본어가 유래
sinsi선생님일본어의 先生|센세일본어가 유래
tozako트럭일본어의 トラック|도랏쿠일본어가 유래


6. 기본 회화

야미어한국어중국어(타이완 화어)영어
ákokay / kókay안녕하세요?你好|니하오중국어greeting, How are you?
ning哦,是|오, 스중국어Yes.
beken아니오不是|부스중국어No.
ayoy감사합니다謝謝,幸好|셰셰, 싱하오중국어Thanks, fortunately
mi namen rana an.안녕히 계세요/가세요.再見|짜이찌엔중국어Good bye.


7. 현재 상황

과거 타오족 사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 젊은 세대는 중국어(타이완 국어)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타오어와 일본어만 사용하는 노년 세대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1]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웹사이트 ACD -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 Cognate Sets - I https://www.trussel2[...]
[8] 웹사이트 amax father https://www.trussel2[...] ACD 2022-12-30
[9] 웹사이트 quluh head https://www.trussel2[...] ACD 2022-12-30
[10] 웹사이트 lima five https://www.trussel2[...] ACD 2022-12-30
[11]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