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바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바탄어는 필리핀 바탄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크게 이바사옌과 이사무룽겐 두 방언으로 나뉜다. 잇바야트섬의 잇바야텐어는 이바탄어와 유사하나 어휘의 2% 정도 차이를 보인다. 이바탄어는 4개의 모음, 21개의 자음, 5개의 이중모음으로 구성되며,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문법적으로는 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의문 대명사, 부정, 수사, 전접적 무변화사, 접속사 등이 존재하며 VSO 어순을 따른다. 이바탄족은 농업, 어업, 채집을 통해 생활하며, 고유한 문화 용어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주요 연구 자료로는 도미니코회 수사들이 저술한 사전과 어휘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탄어군 - 야미어
    야미어 또는 타오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타이완 원주민인 타오족이 사용하며 필리핀어군의 이바탄어와 가까운 관계를 가지지만 일본어와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고, 현재 언어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이바탄어
언어 정보
이름이바탄어
다른 이름이바탄
자기 이름치린 누 이바탄
사용 국가필리핀
사용 지역바타네스 제도
민족이바탄족
사용자 수32,790명 (1996–2007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하위 분류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필리핀어군
바탄어군
방언이바사이
이사무룽
바부얀
공용어 지정지역 언어
관리 기관필리핀 언어 위원회
문자라틴 문자
ISO 639-3ivv (이바탄어)
ivb (이바탄어, 바부얀)
Glottologivat1242 (이바탄어)
ibat1238 (이바탄어)
언어 지도
바탄어군 언어 지도
바탄어군 내 이바탄어의 위치
참고 자료

2. 방언

이바탄어는 크게 두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주도인 북쪽 바스코에서 사용되는 이바사옌(Ivasayen, Ivasay, Vasay, Inivasay) 방언과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사무룽겐(Isaamorong) 방언이다. 두 방언은 음운론적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바사옌 방언에는 어중에 /q/ [ʔ]가 있지만 이사무룽 방언에는 없으며, 이사무룽 방언에는 ti에 해당하는 chi가 많다. 예를 들어 '보다'는 이바사옌 방언으로 tibanivv이지만, 남부 마을에서는 chibanivv이다. '나중에'는 이바사옌 방언으로 antiyawivv이지만, 남부 마을에서는 anchiyawivv이다. 이사무룽 방언 내에서도 마하타오, 이바나, 우유간, 사브탕 등 지역별로 상당한 어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트바야트에서 사용되는 잇바야텐어는 이바탄어와 매우 유사하여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전체 어휘의 2% 정도는 이바탄 방언에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키스하다'는 이바탄어 방언에서는 adkanivv이지만, 잇바야트어로는 umahanivv이다. '없음'은 이바탄어 방언에서 aravaivv이지만, 잇바야트어로는 aralihivv이다.

3. 음운

이바탄어는 4개의 모음, 21개의 자음 그리고 5개의 이중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6]


  • '''모음''': a, e, i, u
  • '''이중모음''': aw, iw, ay, ey, oy
  • '''자음''': b, ch, d, f, g, h, hh, j, k, l, m, n, ng, ny, p, r, s, t, v, w, y


이바탄어 모음[6]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ɯu
중모음o
저모음acolspan="2" |



/u/는 ʊ로 낮춰 발음되기도 한다. [e] 모음은 스페인어, 일로카노어타갈로그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만 나타난다.[6]

이바탄어 자음[6]
col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
마찰음
무성음ptkʔ
유성음bdɡ
마찰음vsɣh
유음ljw
탄음ɾ



/h/는 연구개 마찰음 x로 들리기도 한다. 이바탄어는 [ɾ]-[d] 동화 현상을 보이지 않는 몇 안 되는 필리핀 언어 중 하나이다.[6]

3. 1. 모음

이바탄어에는 i, a, u, ɨ 4개의 모음이 있으며, 모음에는 장단 대립이 있다.[6] /u/는 로 낮춰 발음되기도 한다.[6] [e] 모음은 스페인어, 일로카노어타갈로그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만 나타난다.[6]

이바탄어 모음[6]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colspan="2" |


3. 2. 자음

이바탄어의 자음은 p, t, ch(/tʃ/), k, q([ʔ]), b, d, j(/dʒ/), g, m, n, ny(/ɲ/), ng(/ŋ/), v, s, h, l, r, w, y (21개)이다.[6] 단, q는 이사무룽 방언에는 없다.[6] /h/는 연구개 마찰음 로 들리기도 한다.[6] 이바탄어는 []-[d] 동화 현상을 보이지 않는 몇 안 되는 필리핀 언어 중 하나이다.[6]

이바탄어 자음[6]
col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마찰음
무성음
유성음
마찰음
유음
탄음


3. 3. 이중모음

이바탄어는 aw, iw, ay, ey, oy와 같이 5개의 이중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6]

4. 문자

이바탄어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바탄어는 주로 구어로 사용되고 문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이 언어를 쓰는 일관된 방법이 없으며 서로 다른 저술가들이 서로 다른 관례를 사용할 수 있다. 교육부가 공립학교에서 사용하도록 고안한 정서법은 ''ch'', ''ñ'', ''ng''를 포함하여 26개의 라틴 알파벳 전체를 사용한다.[8]

쉰소리(schwa) 또는 어(uh)는 일반적으로 'e'로 표기된다. (예: di-yos-ma-ma-huhs/Dios Mamajesivv, pa-luhk/palekivv)

5. 문법

5. 1. 인칭 대명사

이바탄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7]

rowspan="2" colspan="3" |주격소유격처소격
자유형속박형자유형속박형
1인칭단수야켄/yakenivv아코/'akoivv니아켄/niakenivv코/koivv디아켄/diakenivv
복수배타적야멘/yamenivv카미/kamiivv니아멘/niamenivv나멘/namenivv디아멘/diamenivv
포함적야텐/yatenivv타/taivv니아텐/niatenivv타/taivv디아텐/diatenivv
2인칭단수이모/'imoivv카/'kaivv니모/nimoivv모/moivv디모/dimoivv
복수이니오/'inioivv카모/kamoivv니니오/ninioivv니오/nioivv디니오/dinioivv
3인칭단수시아/siaivv시아/siaivv니아/niaivv나/naivv디아/diaivv
복수시라/사/sira/saivv시라/사/sira/saivv니라/niraivv다/daivv디라/diraivv



인칭대명사강조격화제격소유격사격소유격(다른 표현)
1인칭 단수yakɨnqakukujakɨnjakɨn
2인칭 단수qiːmukamudimudimu
3인칭 단수siyasiyanadiyadiraqna
1인칭 복수(포괄)yatɨntatajatɨnjatɨn
1인칭 복수(배제)yamɨnkaminamɨnjamɨnjamɨn
2인칭 복수qiɲukamuɲudiɲudiɲu
3인칭 복수sirasira/sadadiradiraqda


5. 2. 지시 대명사

ya는 '이것', quri는 '그것', nawnguriyaw는 '저것'을 뜻한다. jaya는 '여기', dawri는 '거기', dawnguriyaw는 '저기'를 의미한다.

5. 3. 의문 대명사

이바탄어의 의문 대명사에는 누구(siːnu), 무엇/(qangu), 어디(dinu), 몇(papira), 언제(qanmaːngu)가 있다.

5. 4. 부정

이바탄어에서 부정은 "ava"를 써서 나타낸다.

5. 5. 수사

이바탄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23456789101001000
이바탄어qasaqdadwaqtatduqqapatdaddimaqqanɨmpapituqwawahuqsasyamsapuhuqqumyatussaliːvuq



5. 6. 전접적 무변화사

다나(dana)는 '이미', 파(pa)는 '아직', 무(mo)는 '단지', 쿠누(kunu)는 '전문'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5. 7. 접속사

qas / kan은 '그리고'를, qan은 '만약'을, ta kwan은 '왜냐하면'을 뜻한다.

5. 8. 명사격 표지

이바탄어의 명사격 표지는 다음과 같다.

  • qu: 화제격
  • nu: 행위자격
  • su: 목적격
  • du: 소유격

5. 9. 인명격 표지

이바탄어에서 인명격 표지는 다음과 같다. 화제격은 si, 속격은 ni, 사격은 di, 소유격은 da를 사용한다.

6. 어휘

이바탄어는 대부분의 단어가 'v' 자음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바스코(Basco) 수도와 바탄(Batan) 북부의 이바사옌(Ivasayen) 지역에서는 't' 음이 두드러지지만, 남부 이사무롱겐(Isamoronggen) 지역(마하타오(Mahatao), 이바나(Ivana), 우유간(Uyugan), 사브탕(Sabtang))에서는 'ch'로 변한다. 예를 들어 '보다'는 바스코에서는 티반/tibanivv이지만 남부에서는 치반/chibanivv이고, '나중에'는 바스코에서는 안티야우/antiyawivv이지만 남부에서는 안치야우/anchiyawivv이다.

이트바야텐어(Itbayaten)는 때때로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는데, 전체 어휘의 2%는 이바탄 방언에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키스하다'는 바스코와 남부에서는 아드칸/adkanivv이지만 이트바야트에서는 우마한/umahanivv이다.

이바탄어는 합성어를 통해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미르와 타 안치야우/Mirwa ta anchiyawivv(나중에 다시 만나요)는 탄체우/Tanchewivv로, 지누 응아야안 무/Jinu ngayan muivv(어디 가세요?)는 응안무/Nganmuivv로 줄여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이바탄어 표현으로는 감사 인사인 디옷 마마헤스/Dios mamajesivv 또는 디옷 마마헤스 누 마피아/Dios Mamajes nu mapiaivv(하느님이 당신에게 선을 베풀어 주시기를), 떠나는 사람이 사용하는 디옷 마비딘/Dios mavidinivv(하느님이 당신과 함께하시기를), 남아 있는 사람이 사용하는 디옷 마치반/Dios machivanivv(하느님이 당신과 함께 가시기를) 등이 있다.
다른 필리핀어와의 유사성

 단어사람코코넛
이바탄어타우/Tawuivv바하이/Vahayivv치투/Chituivv니유/Niyuyivv아라우/Arawivv바유/Va-yuivv
타갈로그어타오/Taotl바하이/Bahaytl아소/Asotl니요그/Niyogtl아라우/Arawtl바고/Bagotl
비콜어타워/Tawobik하롱/Harongbik아얌/Ayambik니요그/Niyogbik알다우/Aldawbik바고/Ba-gobik
세부아노어타워/Tawoceb발라이/Balayceb이로/Iroceb루비/Lubiceb아들라우/Adlawceb바고/Bag-oceb
타우스그어타우/Tautsg바이/Baytsg이루/Iru'tsg니유그/Niyugtsg아들라우/Adlawtsg바구/Ba-gutsg
키나라이아어타호/Tahokrj발라이/Balaykrj아얌/Ayamkrj니요그/Niyogkrj아들라우/Adlawkrj바고/Bag-okrj
팜팡가어타우/Taupam발레/Balepam아수/Asupam응우응웃/Ngungutpam알도/Aldopam바유/Bayupam
팡가시난어토오/Toopag아봉/Abongpag아소/Asopag니요그/Niyogpag아게우/Agewpag발로/Balopag
일로카노어타오/Taoilo발라이/Balayilo아소/Asoilo니오그/Niogilo알다우/Aldawilo바로/Baroilo
가당어톨라이/Tolaygad발라이/Balaygad아투/Atugad아요그/Ayoggad아우/Awgad바우/Bawugad
트볼리어타우/Tautbl구누/Gunutbl오후/Ohutbl레포/Lefotbl크다우/Kdawtbl로미/Lomitbl


타오어와의 유사성

 요일친구먹다마시다
이바탄어아라우/Arawivv바하이/Vahayivv카이반/Cayvanivv쿠만/Kumanivv미놈/Minomivv
타오어 雅美/達悟아라우/Arawtao바하이/Vahaytao카가간/Kagagantao쿠만/Kumantao미눔/Minumtao


이바탄족의 문화 용어이바탄족은 농업에서 고구마(uve, uvi, sudi), 타로(sudi), 양파(bulyas), 옥수수(mais), (paray) 등을 재배하고, (baka)와 염소(kaddin) 등을 기른다. 작은 고구마(dukay)와 채소(rakarakanen)도 재배한다. 멸종된 야생 사슴(hagsa)과 멧돼지(vulaw a bagu)도 전통적인 식재료였다.

코코넛 크랩(tatus) 채집과 어업도 중요한 생계 수단이며, 날치(dibang), 바닷가재(payi), 도라도(arayu) 등을 잡는다. 도라도 어부는 mataw라고 부른다.

빵나무(tipuho), 판단(uhango), 고사리(tamidok), Pometia Pinnata(chayi)와 같은 식물도 채취한다.

이바탄족은 공동체 작업을 중시하며, 우정(kayvayvanan)은 뿔나팔 소리(vodiadong)와 함께 시작되는 공동체의 협동 작업을 의미한다. 서로 돕기(payohoan)는 십대들의 교대 근무 작업 모임을 뜻한다.

전통 가옥에는 창고(rahaung, camarin)가 있고, 낮은 식탁(dulang)과 낮은 벤치(bangku), 나무 통(lakasan)을 사용한다.

바탄 제도 해안 언덕에서 자라는 Phoenix loureiroi(vuyavuy) 야자나무 잎으로 머리와 등을 덮는(suut, vakul) 것을 만들거나, nini라고 불리는 지역 식물의 줄기로 짠 원뿔 모양의 모자(talugung)를 만든다. 대나무 또는 라탄 바구니(pasikin), 보로 칼(lukoy)과 칼집(suhut), 바구니(alat) 등도 사용한다.

사탕수수 와인(palek)을 즐겨 마신다.

전통 장신구로는 꽃무늬 금 조각이 끼워진 구슬 목걸이(batulinaw), 순금 목걸이(tamburin), 다양한 전통 귀걸이(seseng, pamaaw, chingkakawayan, liyano, de pelo, dima s'bato, pitu s'bato, de perlas, bumbolya, karakol, pinatapatan) 등이 있다. 항아리(angang)도 사용한다.

이바탄족의 배(bapor, tataya)로는 이바탄 배(falowa)와 이바탄 도리(tataya)가 있고, 항구는 vanuwa라고 부른다.

방향 용어로 서쪽(avayat)과 동쪽(valugan)을 사용한다.

그 외에도 전설(kabbata), 서정적인 민요(laji), 작업 노래(kalusan), 유머러스한 일화와 이야기(sisyavak), 수수께끼(kabbuni), 속담(pananahan), 노래의 선창자(vachi) 등의 문화 용어가 있다.

6. 1. 다른 필리핀어와의 유사성

 단어사람코코넛
이바탄어타우/Tawuivv바하이/Vahayivv치투/Chituivv니유/Niyuyivv아라우/Arawivv바유/Va-yuivv
타갈로그어타오/Taotl바하이/Bahaytl아소/Asotl니요그/Niyogtl아라우/Arawtl바고/Bagotl
비콜어타워/Tawobik하롱/Harongbik아얌/Ayambik니요그/Niyogbik알다우/Aldawbik바고/Ba-gobik
세부아노어타워/Tawoceb발라이/Balayceb이로/Iroceb루비/Lubiceb아들라우/Adlawceb바고/Bag-oceb
타우스그어타우/Tautsg바이/Baytsg이루/Iru'tsg니유그/Niyugtsg아들라우/Adlawtsg바구/Ba-gutsg
키나라이아어타호/Tahokrj발라이/Balaykrj아얌/Ayamkrj니요그/Niyogkrj아들라우/Adlawkrj바고/Bag-okrj
팜팡가어타우/Taupam발레/Balepam아수/Asupam응우응웃/Ngungutpam알도/Aldopam바유/Bayupam
팡가시난어토오/Toopag아봉/Abongpag아소/Asopag니요그/Niyogpag아게우/Agewpag발로/Balopag
일로카노어타오/Taoilo발라이/Balayilo아소/Asoilo니오그/Niogilo알다우/Aldawilo바로/Baroilo
가당어톨라이/Tolaygad발라이/Balaygad아투/Atugad아요그/Ayoggad아우/Awgad바우/Bawugad
트볼리어타우/Tautbl구누/Gunutbl오후/Ohutbl레포/Lefotbl크다우/Kdawtbl로미/Lomitbl


6. 2. 타오어와의 유사성

 요일친구먹다마시다
이바탄어아라우/Arawivv바하이/Vahayivv카이반/Cayvanivv쿠만/Kumanivv미놈/Minomivv
타오어 雅美/達悟아라우/Arawtao바하이/Vahaytao카가간/Kagagantao쿠만/Kumantao미눔/Minumtao


6. 3. 이바탄족의 문화 용어

이바탄족은 다양한 고유 문화 용어를 가지고 있다. 농업에서는 고구마(uve, uvi, sudi), 타로(sudi), 양파(bulyas), 옥수수(mais), (paray) 등을 재배하며, 가축으로는 (baka)와 염소(kaddin) 등을 기른다. 작은 고구마(dukay)와 채소(rakarakanen)도 재배한다. 멸종된 야생 사슴(hagsa)과 멧돼지(vulaw a bagu)도 이바탄족의 전통적인 식재료였다.

코코넛 크랩(tatus) 채집과 어업도 중요한 생계 수단이다. 어업에는 세 가지 배(faluwa, chinarem, tataya)를 사용하며, 날치(dibang), 바닷가재(payi), 도라도(arayu) 등을 잡는다. 도라도 어부를 mataw라고 부른다.

빵나무(tipuho), 판단(uhango), 고사리(tamidok), Pometia Pinnata(chayi)와 같은 식물도 채취하여 활용한다.

이바탄족은 공동체 작업을 중시하며, 우정(kayvayvanan)은 뿔나팔 소리(vodiadong)와 함께 시작되는 공동체의 협동 작업을 의미한다. 서로 돕기(payohoan)는 십대들의 교대 근무 작업 모임을 뜻한다.

이바탄족의 전통 가옥에는 쟁기, 써레 등 농기구를 보관하는 창고(rahaung, camarin)가 있다. 낮은 식탁(dulang)과 낮은 벤치(bangku)를 사용하며, 천과 귀중품을 보관하는 나무 통(lakasan)은 벤치 역할도 한다.

바탄 제도 해안 언덕에서 자라는 Phoenix loureiroi(vuyavuy) 야자나무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바탄족은 이 야자나무의 잎으로 머리와 등을 덮는(suut, vakul) 것을 만들거나, nini라고 불리는 지역 식물의 줄기로 짠 원뿔 모양의 모자(talugung)를 만든다. 등에 지는 작은 대나무 또는 라탄 바구니(pasikin), 보로 칼(lukoy)과 칼집(suhut), 바구니(alat) 등도 사용한다.

이바탄족은 사탕수수 와인(palek)을 즐겨 마신다.

이바탄족의 전통 장신구로는 꽃무늬 금 조각이 끼워진 속이 빈 구슬 목걸이(batulinaw), 더 작고 화려한 구슬과 로켓이 있는 순금 목걸이(tamburin), 스페인 시대부터 내려온 다양한 전통 귀걸이(seseng, pamaaw, chingkakawayan, liyano, de pelo, dima s'bato, pitu s'bato, de perlas, bumbolya, karakol, pinatapatan) 등이 있다. 항아리(angang)도 사용한다.

이바탄족의 배(bapor, tataya)로는 10~20명의 승객을 태우는 이바탄 배(falowa)와 2~4명의 승객을 태우는 쌍노를 사용하는 이바탄 도리(tataya)가 있다. 항구는 vanuwa라고 부른다.

이바탄족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로 서쪽(avayat)과 동쪽(valugan)을 사용한다.

그 외에도 전설(kabbata), 서정적인 민요(laji), 작업 노래(kalusan), 유머러스한 일화와 이야기(sisyavak), 수수께끼(kabbuni), 속담(pananahan), 노래의 선창자(vachi) 등의 문화 용어가 있다.

7. 문장 예시

안녕하세요 – 카피안 카파 누 디오스/Kapian capa nu diosivv[9]

잘 지내세요? – 아라 카 망우?/Ara ca mangu?ivv[9]

잘 지내요 – 타이투 아코 아 마피아/Taytu aco a mapiaivv[9]

잘 지내지 않아요 – 아라 코아바 마피아/Ara coava mapiaivv[9]

감사합니다 – 디오스 마마헤스/Dios mamajesivv[9]

어디 가세요? – 응아이안 모?/Ngayan mo?ivv[9]

~에 갑니다 – 망아이 아코 두.../Mangay aco du...ivv[9]

___는 어디에 있습니까? – 아라 디노 시 ___?/Ara dino si ___?ivv[9]

똑바로 – 디레초/Direchoivv[9]

얼마입니까? – 마니이 피라?/Manyi Pira?ivv[9]

몇 개입니까? – 피라?/Pira?ivv[9]

좋다 – 마피아/Mapiaivv[9]

좋지 않다 – 마피아/마비드 아바/Mapia/Mavid avaivv[9]

예 – 오온/Oonivv[9]

___을 원합니다 – 마케이 아코 노 ___/Makey ako no ___ivv[9]

원하지 않습니다 – 마케이 아코 아바/Makey aco avaivv[9]

문제가 있습니다 – 미안 프로블레마 코/Mian problema koivv[9]

문제 없습니다 – 아라바 오 프로블레마/Arava o problemaivv[9]

행운을 빌어요 – 마피아 팔락/Mapia palakivv[9]

이름이 무엇입니까? – 앙우 응아란 모?/Angu ngaran mo?ivv[9]

___의 집은 어디에 있습니까? – 히노 바하이 다 ___?/Jino vahay da ___?ivv[9]

저기 – 두 응우야/du nguyaivv, 두 다우/du dawivv, 다우리/dawriivv[9]

여기 – 디아야/diayaivv[9]

배고프다 – 맙텡/maptengivv[9]

목마르다 – 마와우/ma-wawivv[9]

피곤하다 – 마바나/mavanahivv, 치나가간/chinagaganivv (남부), 나바나흐/navanaxivv[9]

행복하다 – 마수욧/masuyotivv, 마사라이/masarayivv[9]

휘파람을 불다 – 마미토/mamitoivv, 미히뇨사이/mihiñoxayivb (잇바야트섬)[9]

부드럽다 – 마흐마/mahmaivv, 막스마/maxmaivv & 마육스마/mayuxmaivb (잇바야트섬)[9]

바다 – 타우/tawivv, 하와/hawaivb (잇바야트섬)[9]

새 – 마누마녹/manumanokivv, 캉캉/kangkangivb (잇바야트섬)[9]

수직의 – 마이밧밧/maybatbativv, 미파티누농/mipatinu-nongivb (잇바야트섬)[9]

진흙 – 헤텍/hetekivv, 세텍/xetekivb (잇바야트섬)[9]

어제 – 카쿠얍/kakuyabivv[9]

오후 – 마쿠얍/makuyabivv[9]

언제 갈까요? – 안틴 망우 타 망아이?/Antin mangu ta mangay?ivv[9]

언제 머리를 자를 겁니까? – 안틴 망우 카 마파구굳?/Antin mangu ka mapagugud?ivv[9]


  • mangamuqmu qu tau su mutdeh nu buday du vahay。[9]

: ( 협박하다- 주어표시-사람-목적어표시-아이-목적어표시-뱀-목적어표시-집 )

: "그 사람은 집에서 뱀으로 아이를 협박하고 있다."

  • qipanarip nu tau su / du wakay qu qipangan。[9]

: ( 깎다- 주어표시-사람-목적어표시-고구마-주어표시-칼 )

: "그 사람은 칼로 고구마를 깎고 있다."

  • qipanlaveng nu tau su / nu tamek du takey qu kayvan na。[9]

: ( 매우다- 주어표시-사람-목적어표시-잡초-목적어표시-밭-주어표시-친구-그 )

: "그는 그의 친구를 위해 밭에서 잡초를 매고 있다."

기본어순은 VSO어순이다.[9]

8. 연구 자료

도미니코회 수사들이 저술한 『스페인어-이바탄어 사전』(산토 토마스 대학교, 1914)과 『이바탄어-스페인어 어휘집』(산토 토마스 대학교, 마닐라, 1933)이 주요 연구 자료이다.

참조

[1] 논문 The Batanic Languages in Relation to the Early History of the Malayo-Polynesian Subgroup of Austronesian https://mocfile.moc.[...] 2012-10-15
[2] 웹사이트 Islandness in the Province: The Language of a Migrated Ivatan https://www.research[...] 2024-03-11
[3] 웹사이트 Ivatan People of the Philippines: History, Customs, Culture and Traditions [Batanes Islands] https://www.yodisphe[...] 2024-01-07
[4] 논문 Cohesion in Ivatan https://www.asj.upd.[...] 2024-03-11
[5] 웹사이트 Ivatan Language of the Batanes Islands https://iloko.tripod[...] 2024-01-07
[6] 서적 The significant sounds of Ivatan University of Sydney
[7] 서적 An Ivatan Syntax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6
[8] 서적 Ortograpiya Ivatan https://edoc.pub/fin[...] SCHOOLS DIVISION OF BATANES 2020-06-07
[9] 문서 Lewis et al. (2015)
[10] 웹사이트 Ivatan at Ethnologue (18th ed., 2015) and Ibatan (Babuyan) at Ethnologue (18th ed., 2015) http://www.ethnologu[...]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