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어군은 필리핀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군으로,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다. 크게 바탄어군, 북루손어군, 중앙루손어군, 북민도로어군,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등으로 분류되며, 타갈로그어, 비콜어군, 비사야어군 등이 포함된 중앙필리핀어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필리핀어군의 분류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으며, 단일 계통군으로 볼 것인지, 여러 하위 분파로 나눌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어군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확대 중앙필리핀어군은 기원전 500년경 영토 팽창으로 언어적 동질화가 이루어진 필리핀 중부 지역의 여러 어군(중앙필리핀어군, 남부민도로어군, 팔라완어군, 수바넨어군, 다나오어군, 마노보어군, 고론탈로-몽곤도어군 등)을 묶어 부르는 명칭으로, 비콜 지방, 마닐라, 마린두케주, 민도로섬, 롬블론 제도, 비사야 제도 등에서 사용된다. - 필리핀어군 - 바탄어군
바탄어군은 야미어, 이트바야트어, 이바탄어로 이루어진 언어군으로, 필리핀 북부의 바탄 제도 등에서 사용되며, 필리핀어군에 속하거나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독립된 분기군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필리핀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필리핀어군 |
다른 이름 | 필리핀어족 |
사용 지역 | 필리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북부, 북칼리만탄주 북부) 말레이시아 (사바주 일부) 타이완 (란위섬) |
화자 수 | 1억 1500만 명 이상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원시 언어 | 원시 필리핀어 (논쟁 중) |
ISO 639-2 | phi |
ISO 639-5 | phi |
하위 어군 | |
주요 어군 | 바탄어군 북루손어군 중앙루손어군 북민도로어군 우미라이 두마게트어 마니데어–이낙타알라바트어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아티어 칼라미안어군 남민다나오어군 클라타어 미나하사어군 상기르어군 |
지도 정보 | |
![]() |
2. 분류
필리핀어군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기원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기원한다. 이 어군 내 언어 구성에 대한 여러 제안이 있었지만, 오늘날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분류는 Blust (1991; 2005)와 Reid (2017)의 합의된 분류이다. 하지만, 두 학자는 필리핀어군이 단일 유전적 단위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한다.
2. 1. 주요 분류
필리핀어군은 대략 북쪽에서 남쪽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분류 | 포함 언어 |
---|---|
바탄어군 | 바타네스주와 타이완 사이 4개 언어 |
북루손어군 | 일로카노어를 포함한 40개 언어 |
중앙루손어군 | 카팜팡안어를 포함한 5개 언어 |
북민도로어군 | 3개 언어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 |
칼라미안어군 | 2개 언어 |
남민다나오어군 | 4개 언어 |
상이르어군 | 4개 언어 |
미나하사어군 | 5개 언어 |
미분류 | 아티어, 우미라이 무마게트어, 마니데어, 이나그타 알라바트어 |
필리핀어군의 유전적 통일성에 대해서는 로렌스 레이드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이 이의를 제기해왔다.[11] 필리핀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에서 재구성에 어려움이 있고,[12][13] 말레이-폴리네시아 고고학과 베이즈 추론 분석 결과 필리핀 제도 전반에 걸쳐 언어의 역사적 확산과 분기가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14][15][16][18] 이에 따라, 필리핀어군 아래의 주요 분파들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의 주요 분파로 승격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9]
2. 2. 필리핀어군 분류 논쟁
필리핀어군의 분류에 대한 논쟁은 학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1906년 프랭크 블레이크는 필리핀 제도의 모든 언어를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 "말레이 분파"의 하위 분류로 포함시켰다.[6] 이후 1974년 매튜 찰스, 1966년과 1975년 테오도로 람존, 1976년 람존과 테레시타 마틴이 "원시 필리핀어"를 지지하는 주장을 펼쳤다.[7][8][9][10] 블러스트(1991)는 조크(1986)의 연구를 바탕으로 야미어, 상기르어군, 미나하산어군, 고론탈로어군을 필리핀어군에 포함시켰다.[6]그러나 로렌스 레이드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필리핀어군의 유전적 통일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1]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내에서 필리핀어군 재구성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되었다(Pawley, 1999; Ross, 2005).[12][13] 레이드는 말레이-폴리네시아 고고학(Spriggs, 2003; 2007; 2011),[14][15][16] 베이즈 추론 분석(Gray et al., 2009)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증거를 통해 필리핀 제도 내 언어의 다양성과 분기를 제시하며, 필리핀어군 대신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주요 분파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8][19]
맬컴 로스(2005)는 바탄어군 (야미어, 이바타어, 이바탄어)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주요 분파로 간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3] 알렉산더 스미스(2017)는 필리핀어군에 대한 증거가 미약하며, "하나 이상의 주요 하위 그룹 또는 혁신 정의된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20] Chen et al. (2022)는 필리핀 언어가 통일된 계통 발생학적 하위 그룹이 아닌 수렴 영역이라는 주장을 제시한다.[21]
Zorc(1979)는 필리핀어군을 북부("코르디예란")와 남부("술릭")의 두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 초기 분류를 제시했다.[22] 그러나 이 분류는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분류나 명명 규칙을 반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남부 확장"은 현재 중부 루손으로, "코르디예란" 내 북부 망얀은 후기 재구성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야미어, 이바탄어, 이바야트어를 포함하는 바시어군은 Zorc(1977)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23]
미나하사어군의 경우, 북술라웨시주에 한정된 언어군으로, 학자마다 필리핀어군 포함 여부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아드리아니나 S.J. 에세르와 같은 학자들은 필리핀어군에 포함시켰지만, 처럼 톤텐보안어를 필리핀어군과의 관련성이 희박하며 직접적으로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아래에 위치시킨 학자도 있으며, 이 언어군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제임스 스네돈은 필리핀어군과의 관계는 물론,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와의 관련성에 대해서조차 결론을 내리는 것을 피하고 있다.[26]
3. 어휘 비교
- isa
*duSa *təlu *Səpat *lima *Cau *Rumaq *asu *niuR *qaləjaw *baqəRu *i-kita *n-anu *Sapuy 바탄어군(바시어군) 야미어(타오) ása dóa (raroa) tílo (tatlo) apat (ápat) lima tao vahay chito niyoy araw vayo yaten ango apoy 이바탄어 asa dadowa tatdo apat lima tao vahay chito niyoy araw va-yo yaten ango apoy 북부 루손 일로카노어 maysa dua tallo uppat lima tao balay aso niog aldaw baro sitayo ania apoy 이바나그어 tadday dua tallu appa' lima tolay balay kitu niuk aggaw bagu sittam anni afi 가당어 antet addwa tallo appat lima tolay balay atu ayog aw bawu ikkanetam sanenay afuy 팡가시난어 sakey dua
duaratalo
taloraapat
apatiralima too abong aso niyog ageo balo sikatayo anto pool 중부 루손 팜팡가어 métung adwá atlú ápat limá táu balé ásu ngúngut aldó báyu ítámu nánu apî 중부 필리핀 타갈로그어 isa dalawa tatlo apat lima tao bahay aso niyog araw bago tayo ano apoy 중앙 비콜어 sarô duwa tulo apát lima tawo harong ayam
idòniyog aldaw bâgo kitá ano kalayo 린코나다 비콜어 əsad darwā tolō əpat lima tawō baləy ayam noyog aldəw bāgo kitā onō kalayō 와라이어 usa
sayoduha tulo upat lima tawo balay ayam
idolubi adlaw bag-o kita ano kalayo 힐리가이논어 isa duha tatlo apat lima tawo balay ido lubi adlaw bag-o kita ano kalayo 반타야논어(아시) usa ruha tuyo upat lima tawo bayay iro nidog adlaw bag-o kita ni-o kayado 롬블로마논어 isa duha tuyo upat lima tawo bayay ayam niyog adlaw bag-o kita ano kalayo 온한어 isya darwa tatlo ap-at lima tawo balay ayam niyog adlaw bag-o kita ano kalayo 카라야어 sara darwa tatlo apat lima taho balay ayam niyog adlaw bag-o kita
tatənano kalayo 아클라논어 isaea
sambilogdaywa tatlo ap-at lima tawo baeay ayam niyog adlaw bag-o kita ano kaeayo 세부아노어 usa duha tulo upat lima tawo balay iro lubi adlaw bag-o kita unsa kalayo 타우수그어 isa
hambuukduwa tu upat lima tau bay iru' niyug adlaw ba-gu kitaniyu unu kayu 다나오 마긴다나오어 isa dua telu pat lima tau walay asu niyug gay bagu tanu ngin apuy 마라나오어 isa dowa t'lo phat lima taw walay aso neyog gawi'e bago tano tonaa apoy 이란눈어 isa dua telu pa'at lima taw walay asu niyug gawi'i bagu tanu antuna apuy 남부 민다나오(빌릭) 톨리어 sotu lewu tlu fat lima tau gunu ohu lefo kdaw lomi tekuy tedu ofih 미나하산 톰불루어(미나하사) esa zua
ruatelu epat lima tou walé asu po'po' endo weru kai
kitaapa api 상기르 상기르어 sembau
esa'darua tatelu epa' lima tau balé kapuna' bango' elo wuhu kité tawé putung 고론탈로-몽골도 고론탈로어 tuwewu duluwo totolu opato limo tawu bele 'apula bongo dulahu bohu 'ito wolo tulu 몽골도어 inta' dua tolu opat lima intau baloi ungku' bango' singgai mobagu kita onu, onda tu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