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196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형준은 1966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서울예술대학교에서 창작문예 학위를, 명지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 코리아타임즈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하여, 꿈과 시 문학상, 동서문학상, 현대시학상, 소월시문학상, 유심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한국 서정시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시집으로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 『불탄 집』 등이 있다. 2014년부터 동국대학교 창작문예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대시학작품상 수상자 - 이병률
이병률은 충북 제천 출신의 시인이자 산문 작가, 방송 작가로, 1995년 등단하여 현대시학 작품상을 수상하고 라디오 프로그램 작가로 활동했으며, 대표작 《끌림》과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는 10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현재 달 출판사 대표이사 및 시힘 회원으로 활동하며 삶의 다양한 면면과 자아 성찰, 인간관계를 서정적으로 탐구한다. - 현대시학작품상 수상자 - 이장욱
이장욱은 삶의 어두운 면과 희망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사회 참여적인 문학관을 가진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 문학평론가로, 구체적인 시어와 몽환적인 문장으로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하고 대학교수와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 소월시문학상 수상자 - 김정란
김정란은 1953년생으로,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평론가, 시인, 번역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했고, 문학의 상업주의와 언론과의 유착 관계를 비판하며 사회적 발언과 저술 활동을 해왔다. - 소월시문학상 수상자 - 정호승
정호승은 1950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태어나 시 〈첨성대〉로 시인, 단편소설 〈위령제〉로 소설가로 등단했으며, 민중적 서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활동을 해온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동화 작가이다. - 명지대학교 대학원 동문 - 강창성
강창성은 육군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고 하나회 연루로 삼청교육대에 투옥되기도 했으며, 2006년 사망한 인물이다. - 명지대학교 대학원 동문 - 종현
김종현은 2008년 샤이니의 메인 보컬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S.M. THE BALLAD 멤버, '푸른 밤 종현입니다' 진행자 등 다방면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였다.
박형준 (196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한국어 이름 | |
한글 | 박형준 |
로마자 표기 | Bak Hyeongjun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66년 |
출생지 | 전라북도 정읍시 |
직업 | 시인, 작가, 대학 교수 |
언어 | 한국어 |
학력 | 명지대 대학원 |
장르 | 시문학, 수필, 평론 |
2. 생애
박형준은 1991년 "가구의 힘"(가구의 힘한국어)으로 코리아타임즈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5] 이후 꿈과 시 문학상(1996), 동서문학상(2002), 현대시학상(2005), 소월시문학상(2009), 유심시문학상(2012)을 받았다. 2014년부터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했다.[5]
2. 1. 유년 시절과 성장 과정
박형준은 1966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1] 서울예술대학교에서 창작문예 학위를 받았고, 명지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고향인 정읍에서 인천으로 이주했다.[2] 인천에서 생활하면서 시를 쓰기 시작한 계기를 "끊임없이 표류하는데도 마치 정체된 것 같은 느낌을 자주 받았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런 점이 제가 시를 쓰도록 이끌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고백했다.[3]서울예술대학교에서 오규원, 최하림에게 배웠다.[4]
2. 2. 문학 수업과 등단
박형준은 서울예술대학교에서 오규원, 최하림에게 시를 배웠다.[4] 1991년 시 "가구의 힘"(가구의 힘한국어)으로 코리아타임즈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했다.[5] 이후 꿈과 시 문학상(1996), 동서문학상(2002), 현대시학상(2005), 소월시문학상(2009), 유심시문학상(2012)을 수상했다.[5]2. 3. 교수 활동
박형준은 서울예술대학교에서 오규원, 최하림에게 시 창작을 배웠다.[4] 2014년부터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했다.[5]3. 작품 세계
박형준의 작품은 "가장 현대적인 방식으로 한국 서정시의 전통을 재해석한 것"으로 평가받았다.[6] 그의 시는 시간,[8] 과거, 현재, 미래,[9] 그리고 기억과 기억의 상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0]
3. 1. 시집
-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 (문학과지성사, 1994)
- 《빵냄새를 풍기는 거울》 (창작과비평사, 1997)
- 《물속까지 잎사귀가 피어 있다》 (창작과비평사, 2002)
- 《춤》 (창비, 2005)
-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 (문학과지성사, 2011)
- 《불탄 집》 (천년의시작, 2013)
박형준의 작품은 "가장 현대적인 방식으로 한국 서정시의 전통을 재해석한 것"으로 평가받았다.[6] 그의 첫 시집인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1994)는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7] 그의 시는 시간,[8] 과거, 현재, 미래,[9] 그리고 기억과 기억의 상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 시집인 《불탄 집》(2013)은 이러한 주제를 더욱 확장했다.[10]
3. 2. 산문집
3. 3. 평론집
천년의 시작에서 2013년 평론집 《침묵의 음》을 펴냈다.3. 4. 편저
4.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박형준
http://cordite.org.a[...]
[2]
간행물
Poetry At Sunset
2005-06-00 # Summer 2005 -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어 월까지만 기입
[3]
간행물
A Stemless Flower That Blossoms Between the Advanced and the Primitive
2011-03-00 # Spring 2011 -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어 월까지만 기입
[4]
웹사이트
How Does Sadness Become Strength?
http://ch.yes24.com/[...]
[5]
웹사이트
Kim Huyeong’s Interviews With Poets – The View From the Window
http://seeinkwangjan[...]
[6]
간행물
The Power of Memory: On Pak Hyeongjun
2004-03-00 # Spring 2004 -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어 월까지만 기입
[7]
웹사이트
[이달의 시인] 박형준 시인, '슬픔은 어떻게 힘이 될까'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
http://ch.yes24.com/[...]
[8]
간행물
The Perspective of Time and Its Residue
2002-06-00 # Summer 2002 -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어 월까지만 기입
[9]
간행물
The Aesthetics of Young Poets That Fight Against the Separation of Host and Guest
2000-06-00 # Summer 2000 -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어 월까지만 기입
[10]
간행물
The Variation of Disappearance and Urgency, or the Wedding of Death
2005-12-00 # Winter 2005 -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어 월까지만 기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