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레의 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레의 기법은 발레 동작을 구성하는 기술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발레의 기본은 다리의 다섯 가지 포지션과 발 부분의 포지션, 팔의 움직임인 포르 드 브라로 구성된다. 발레의 기본 동작은 탕, 파, 포즈로 나뉘며, 파는 파 글리세, 파 소테, 파 바튜, 파 투르낭으로 분류된다. 발레 훈련은 정확한 테크닉을 강조하며 발레 바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2. 발레의 포지션

포지션은 인체의 각 부분에도 규정되어 있어 팔의 움직임을 포르 드 브라라고 한다.[1]

2. 1. 다리의 다섯 포지션

발레에서 포지션은 가장 기본적인 다리 위치이다. 이것은 무용의 정지(靜止) 상태를 의미하며, 다섯 가지로 한정된다. 모든 운동은 이 다섯 가지 포지션 중 하나에서 시작하고 끝난다.

  • 제1포지션: 두 발의 뒤꿈치를 붙이고 발을 180도(전공자 기준)로 벌려 일직선을 만든다.
  • 제2포지션: 180도로 벌린 두 발을 발 길이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일직선으로 벌린다.
  • 제3포지션: 한쪽 발의 발바닥 중간 부분에 다른 쪽 발의 뒤꿈치를 전후로 평행하게 밀착시킨다.
  • 제4포지션: 제3포지션의 앞쪽 발을 그대로 1보 간격을 두고 앞으로 내민다.
  • 제5포지션: 양쪽 발끝만 남기고 두 발을 앞뒤로 평행하게 밀착시킨다.

2. 2. 발 부분의 포지션

발 부분의 포지션은 다음과 같다.[1]

  • 피에 아 테르(Pied à terre): 발바닥이 완전히 바닥에 닿은 것이다.
  • 피에 아 드미(Pied à demi): 뒤꿈치가 반쯤의 높이로 올라간 것이다.
  • 피에 아 트루아 카르(Pied à trois quarts): 뒤꿈치가 4분의 3 높이로 올라간 것이다.
  • 피에 쉬르 라 푸앵트(Pied sur la pointe): 발가락 끝 부분으로 수직으로 서는 것을 말한다. 여성 무용수가 토 슈즈의 끝으로 선 형태이며, 줄여서 푸앵트라고만 부르기도 한다.

3. 발레의 기본 동작

발레에서 파(Pas)는 움직임을 뜻하며,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발레에서는 걷기, 뛰기, 돌기, 미끄러지기 등 인체의 기본적인 동작 원칙을 따르지만, 기거나 뒹구는 동작은 원칙적으로 하지 않는다. 걷거나 달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위치 이동으로, 특별한 기법으로 꼽지는 않는다.[1]

파는 크게 파 글리세(미끄러지는 파), 파 소테(뛰는 파), 파 바튜(부딪치는 파), 파 투르낭(회전하는 파)의 4종류로 나눌 수 있다.[1]

각 파는 세부 동작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프레파라시옹'이라는 준비 동작을 수반하기도 한다.

3. 1. 탕 (Temps)

탕(temps)은 단일의 움직임을 말하며, 그 탕이 몇 개가 연결된 운동을 파(pas)라고 한다. 파와 파, 혹은 파와 포즈 등을 다시 연속시켜 흔드는 것을 아시에느망이라고 한다.

3. 2. 파 (Pas)

발레에서 파(Pas)는 움직임을 뜻하며,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발레에서는 걷기, 뛰기, 돌기, 미끄러지기 등 인체의 기본적인 동작 원칙을 따르지만, 기거나 뒹구는 동작은 하지 않는다. 걷거나 달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위치 이동으로, 특별한 기법으로 보지 않는다.[1]

파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1]

  • 파 글리세: 미끄러지는 파
  • 파 소테: 뛰는 파
  • 파 바튜: 부딪치는 파
  • 파 투르낭: 회전하는 파


각 파는 세부 동작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프레파라시옹'이라는 준비 동작을 수반하기도 한다.

3. 2. 1. 파 글리세 (Pas glissé)

파 글리세는 반드시 플로어 위를 미끄러지는 것만을 뜻하지는 않으며, 보행과 흡사하게 위치를 바꾸는 파(pas)를 말한다. 글리사드, 샤세, 쿠페, 파 드 브레 등이 이러한 종류의 파이다.[1]

  • 글리사드는 파와 파의 연결에 사용되거나 위치를 바꾸는 데에도 많이 쓰인다. 왼발을 무릎에서 뻗쳐 벌리고 발끝을 약간 위로 올려 오른발 쪽으로 뛰면서 왼발을 플로어에 댄다. 동시에 오른발도 똑같이 해서 좌우의 발을 제2포지션의 위치에 플리에(무릎을 구부린다)한다.[1]
  • 샤세는 뒤따르는 파라는 뜻이다. 양발이 동시에 바닥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이 한쪽 발을 다른 발이 뒤따르도록 한다.[1]
  • 쿠페는 자르는 듯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은 것이다. 이것도 양발이 동시에 바닥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이 샤세와 흡사하게 한쪽 발로 다른 쪽 발을 자르는 듯이 하는 파를 말한다.[1]
  • 파 드 부레는 발끝으로 서서 조금씩 이동하는 파를 말한다. 유명한 빈사의 백조에서는 거의 이 파 드 부레로 시종(始終)된다.[1]

3. 2. 2. 파 소테 (Pas sauté)

파 소테(pas sauté)는 뛰는 파, 즉 도약(跳躍)의 기법이다. 두 발이 바닥에서 떨어져 공중으로 뛰어 올라도 공중에서 두 발을 부딪치거나 교차시킬 때는 파 바튜라고 한다. 또한 공중으로는 뛰어오르지 않아도 포앙트로써 탄력을 주며 마치 도약할 듯이 보이는 파가 파 소테이다. 이 탄력적인 파를 포함하여 공중적인 파를 총칭해서 엘레바시온이라고도 한다. 파 소테의 주요한 것으로는 아쌈블레, 줴떼, 탕 르베, 샹즈망 드 피에, 에샤페, 수브르소, 시손, 발로네, 파 드 샤 등이 있다.

  • 아쌈블레는 파 소테의 기본으로, 서로 합친 두 다리의 앞다리와 뒷다리를 다시 엇바꿔 구성시킨다. 줴떼는 한쪽 다리를 먼저 던지고 그 방향으로 도약하면서 그 다리 쪽으로 내려선다.
  • 탕 르베에는 초보적이며 기본적인 것이다. 한쪽 다리나 또는 두 다리로 도약하는 파이다.
  • 샹즈망 드 피에는 도약하면서 두 발을 교차시키는 파이다. 피에란 발을 말하는 것이다. 에샤페는 도약하면서 공중에서 플리에하는 것이다. 공중에서 두 발을 합치는 것이나 발을 벌린 채 내려서는 것, 한쪽 발 또는 두 발로 내려서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 수브르소는 두 발로부터 두 발로의 도약의 파를 말한다. 시손는 양쪽 발에서 한쪽 발로 도약하는 파의 총칭인 것이다.
  • 발로네는 공기가 든 고무공처럼 탄력적인 도약을 말하며 모든 방향으로 뛸 수 있다. 파 드 샤는 고양이의 파라는 뜻으로, 고양이처럼 뛰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공중에 도약하면서 두 다리를 안으로 구부린다. 여성의 파이다.

3. 2. 3. 파 바튀 (Pas battu)

파 바튀(pas battu)는 공중에 도약하면서 한쪽 발을 다른 발에 1회 또는 여러 번 부딪치거나 교차시키는 동작이다. 대표적인 파 바튀에는 가브리올, 앙트르샤, 브리제 등이 있다.

  • 가브리올은 공중에 도약하면서 두 발을 격렬하게 부딪치는 동작으로, 1회 또는 여러 번 부딪칠 수 있다. 도약 방향은 전후좌우 모두 가능하다.
  • 앙트르샤는 공중에서 두 발을 1회 또는 여러 번 교차시키는 화려한 기법이다. 보통 수직으로 도약하여 도약 지점에 다시 내려오지만, 방향을 바꾸어 도약하는 변형도 있다.
  • 브리제는 '굴절하다'라는 뜻으로, 공중으로 도약하며 두 발을 부딪칠 때 두 발이 굴절하는 선을 그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3. 2. 4. 파 투르낭 (Pas tournant)

파 투르낭(pas tournant)은 회전하는 파(pas)를 말한다. 그 위치에서 회전하거나, 이동하면서 회전하거나, 도약하면서 공중에서 회전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도는 횟수, 방향(우회, 좌회)도 여러 가지이며, 이러한 동작을 총칭하여 파 투르낭이라고 한다. 주요 파 투르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피루에트 (Pirouette): 회전 기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유명한 파이다. 한쪽 발로 신체를 지탱하고 그 발을 축으로 하여 팽이처럼 회전한다. 공중에 도약하면서 회전하는 경우도 있다.
  • 파 드 부레 앙 투르낭 (Pas de bourrée en tournant): 파 드 부레 (발끝으로 서서 조금씩 이동하는 동작)를 하면서 회전하는 파이다. 파 드 부레를 하기 때문에 여성만 가능하다.
  • 줴떼 앙 투르낭 (Jeté en tournant): 줴떼를 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줴떼의 한 종류로 보기도 한다. 회전 기법 중에서도 규모가 크고 화려하다.
  • 투르 셴네 (Tour chaînés):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화려한 파이다. 대개 무대를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듯이 한쪽 발을 축으로 삼아 가속도적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투르 드불레(Tour déboulés)라고도 한다.
  • 투르 장 레르 (Tour en l'air): 공중으로 도약하면서 회전하는 파이다. 2회 또는 3회 회전하는 경우에는 복수형으로 투르 장 레르(Tours en l'air)라고 하고, 1회전만 하는 경우에는 단수형으로 투르 앙 레르(Tour en l'air)라고 한다.
  • 랑베르세 (Renversé): 몸을 뒤쪽으로 쓰러뜨린 자세로 회전하는 파이다. 복잡한 움직임으로 유명하다.
  • 푸에테 앙 투르낭 (Fouetté en tournant): 흔히 푸에테라고 줄여 부른다. 한쪽 발을 축으로 하고 서서 다른 한쪽 발을 올려 크게 흔들면서 회전하는 파이다. 이를 연속해서 화려하게 추는 것을 그랑 푸에테 앙 투르낭(Grand fouetté en tournant)이라고 하며, 줄여서 그랑 푸에테라고 한다. 백조의 호수 제3막에서 흑조(오딜)가 추는 32회 그랑 푸에테 앙 투르낭이 유명하다.


이상의 각 파는 각 부분의 포지션과 복잡한 구성으로 무수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각 파에는 준비 동작으로 프레파라시옹(Préparation)이라고 부르는 작은 움직임을 하는 경우가 많다.

3. 3. 포즈 (Pose)

포즈(pose)는 정해진 형태로 정지(靜止)한 자세를 말한다. 그 대표적인 것은 애티튜드아라베스크이다.

  • 애티튜드는 신체가 한쪽 다리로 지탱되고 다른 한쪽 다리는 무릎을 구부려 90도의 각도로 뒤쪽에 올린 모양이다.
  • 아라베스크는 그 애티튜드를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한쪽 다리로 서고 그 다리에 다른 한쪽 다리를 뒤쪽으로 90도 정도 드는 포즈이다. 애티튜드에서 무릎을 편 포지션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4. 발레 훈련

발레 훈련은 정확한 테크닉이 발레 공연의 미학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발레 테크닉을 매우 강조한다. 발레 테크닉은 원하는 미학을 개발하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발레 학생들에게 훈련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발의 "sickling"을 피하도록 배우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미학이며, ''en pointe''를 수행할 때 발목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발레 바는 발레 테크닉을 배우기 위한 도구이다. 바 작업은 일반적으로 점프에 특화된 요소를 제외한 모든 발레 테크닉 요소를 포함하며, 푸에테와 피루엣을 위한 턴 테크닉을 바에서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4. 1. 발레 바 (Barre)

발레 훈련은 정확한 테크닉이 발레 공연의 미학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발레 테크닉을 매우 강조한다. 발레 테크닉은 원하는 미학을 개발하고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발레 학생들에게 훈련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발의 "sickling"을 피하도록 배우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미학이며, ''en pointe''를 수행할 때 발목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1]

발레 바는 발레 테크닉을 배우기 위한 도구이다. 바 작업은 일반적으로 점프에 특화된 요소를 제외한 모든 발레 테크닉 요소를 포함한다. 푸에테와 피루엣을 위한 턴 테크닉을 바에서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4. 2. 응용

프티 알레그로(Petit allegro)는 작고 빠른 점프와 섬세한 발놀림으로 구성된다. 그랑 알레그로(Grand allegro)는 큰 점프와 도약과 같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동작으로 구성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