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릭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릭치는 키르기스스탄의 도시로, 2021년 기준 51,305명의 인구를 가진 키르기스스탄에서 일곱 번째로 큰 도시이다. 1884년 우체국과 농장으로 시작되었으며, 1909년부터 1993년까지는 리바치예로 불렸다. 소련 붕괴 이후 잇시크쿨로 불리다가 독립 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발릭치는 여객 철도역이 있으며, 비슈케크, 타슈켄트, 카자흐스탄으로 가는 철도 노선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도시 - 밧켄
    키르기스스탄 밭켄 주의 주도인 밭켄은 "바람의 도시"라는 뜻을 가진 도시로, 밭켄 주의 행정 중심지이자 밭켄 공항과 대학교가 있으며, 2022년 국경 분쟁으로 피해를 입었고 냉대 스텝 기후를 가진다.
  • 키르기스스탄의 도시 - 탈라스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의 탈라스는 탈라스 강 계곡에 위치한 역사적 마을로, 탈라스 전투가 벌어진 곳이자 영웅 마나스의 탄생지로 알려져 있으며, 소련 붕괴 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마나스 굼베즈와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발릭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키르기스스탄 발릭치의 아파트 건물
키르기스스탄 발릭치의 아파트 건물
발릭치 기차역
발릭치 기차역
발릭치 상공에서 본 모습
발릭치 상공에서 본 모습
공식 명칭바륵츠
현지 명칭Балыкчы (키르기스어)
위치키르기스스탄 이식쿨 주
설립1884년
현재 지위 획득일1954년
면적38km2
고도1630m
시간대키르기스스탄 시간 (UTC+6)
우편 번호721900
지역 번호+996 3944
인구 통계
2021년 총 인구51305명

2. 역사

발리크치의 역사는 1884년, 나린 요새의 은퇴 군인 M. I. 바친이 키질 토코이 지역에 우체국과 농장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이 정착지는 케트말디(근처 강의 이름), 노보드미트리예프카(현지 종마장 소유주 E.S. 드미트리예프의 이름을 따서), 바치노(M. I. 바친의 이름을 따서)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1909년부터 1993년까지는 Рыбачье|리바치예rus라는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는 러시아어로 "어부의 장소"를 의미한다. 1990년대 초 소련이 붕괴된 후에는 잠시 동안 인근의 큰 호수인 잇시크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한 직후, 도시 이름은 현재의 '''발리크치'''(Балыкчы|발릭치kir)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키르기스어와 자매어인 튀르키예어로 "어부"를 뜻하는 말이다.

3. 인구

(내용 없음)

3. 1. 인구 변화

발릭치의 역사적 인구 변화[1][2][4][8][9]
연도인구
19352,000
19395,400
197028,555
197933,716
198943,265
199942,346
200942,875
202151,305



2021년 기준으로 발릭치의 인구는 50,814명이며, 인근 오르토-토코이를 포함하면 51,305명으로, 키르기스스탄에서 일곱 번째로 큰 도시이다.[2]

4. 기후

발릭치의 기후 정보는 아래와 같다. 이 자료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값을 나타낸다.[5]

발릭치의 월별 평균 기온 (1991–20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C)-3.4°C-2.1°C2.5°C8.6°C13.1°C17°C19.5°C19°C14.9°C8.6°C2.6°C-2°C


5. 교통

과거에는 작은 공항이 있었으나 현재는 운영되지 않는다. 여객 철도역은 비슈케크에서 오는 철도 노선의 종착역이다. 카자흐스탄으로 가는 기존 철도 노선 외에도, 2018년 3월 우즈베키스탄 철도타슈켄트와 발릭치를 연결하는 새로운 직행 노선을 개통했다.[6][7]

참조

[1] 간행물 Kyrgyzstan census 2009 Issyk-Kul
[2] 간행물 Kyrgyzstan population 2021
[3] 웹사이트 Geographical information on Balykchy, Kyrgyzstan https://www.fallingr[...] 2008-11-27
[4] 서적 Chief Editorial Board of Kyrgyz Soviet Encyclopedia
[5] 웹사이트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1-01
[6] 웹사이트 Sale of tickets for passenger train Tashkent-Rybachye-Tashkent started https://en.trend.az/[...]
[7] 뉴스 Uzbekistan Opens New Railway Routes to Kyrgyzstan, Russia https://eurasianet.o[...] EurasiaNet 2018-03-22
[8] 웹인용 2009 population census of the Kyrgyz Republic: Issyk-Kul Region http://212.42.101.10[...] 2011-08-10
[9] 서적 Chief Editorial Board of Kyrgyz Soviet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