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르기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어는 키르기스스탄, 중국,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고, 명사에는 격 어미가 붙는다. 키르기스어는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어휘는 우즈베크어, 몽골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어 - 키르기스어 문자
    키르기스어 문자는 키르기스어 표기를 위해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로마자, 키릴 문자를 사용해 온 문자 체계의 총칭으로, 로마자 사용 후 소련의 언어 정책에 따라 현재는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키르기스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키르기스어
고유어, قىرعىز تىلى
로마자 표기Kyrgyz tili / Kyrgyzcha
사용 민족키르기스인
사용 국가키르기스스탄,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중국
사용 지역중앙아시아
사용자 수515만 4500명
기준 년도2009년
언어 계통알타이어족
어족튀르크어족
어파공통 튀르크어파
어군킵차크어군
하위 어군키르기스-킵차크어군
문자키르기스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키르기스 점자) 역사적으로 고대 튀르크 문자
공용 국가
크즐수 키르기스 자치주
소수 언어 국가
언어 기관키르기스 공화국 대통령실 산하 국어 및 언어 정책 위원회
ISO 639-1ky
ISO 639-2kir
ISO 639-3kir
Glottologkirg1245
Glottolog 명칭키르기스어
Linguasphere44-AAB-cd
방언파미르 키르기스 방언
조직
관련 조직
추가 정보

2. 인구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300만 명으로 키르기스스탄, 중국,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터키(소아시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이슬라마바드), 러시아 등에서 사용된다.[21]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21]

키르기스스탄 외에도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튀르키예 등에 거주하는 키르기스인들 사이에서 사용되며, 화자는 490만 명이다.[21]

3. 문법

키르기스어는 키르기스어-킵차크어의 하위 그룹 언어로 볼 수 있고, 다른 학설에 따르면 튀르크어족의 동훈어 분기로 본다.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어의 문법과 유사하다. 최근에는 카자흐어, 위구르어, 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

키르기스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성(gender)은 문맥을 통해 암시될 뿐 문법적 성이 없다. 키르기스어에는 영어에 있는 여러 분석적 문법적 특징들이 없는데, 여기에는 조동사(예: to have), 정관사(예: the), 부정관사(예: a/an), 조동사(예: should; will), 종속절, 종속 접속(예: that; before; while) 등이 포함된다. 키르기스어는 이러한 것들을 다양한 종합적 문법적 대체물로 대신한다.[17]

키르기스어 명사는 모음 조화와 뒤따르는 자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여러 어미를 취한다(음운론 단원 참조).

기저형가능한 형태"""공기""양동이""""머리""소금"""
주격кеме|케메kyаба|아바kyчелек|첼레크kyкол|콜kyбаш|바쉬kyтуз|투즈kyкөз|쾨즈ky
소유격-NIn-нын|는ky, -нин|닌ky, -дын|든ky, -дин|딘ky, -тын|튼ky, -тин|틴ky, -нун|눈ky, -нүн|뉜ky, -дун|둔ky, -дүн|듄ky, -тун|툰ky, -түн|튄kyкеменин|케메kyабанын|아바kyчелектин|첼레크kyколдун|콜kyбаштын|바쉬kyтуздун|투즈kyкөздүн|쾨즈ky
여격-GA-га|가ky, -ка|카ky, -ге|게ky, -ке|케ky, -го|고ky, -ко|코ky, -гө|괴ky, -кө|쾨kyкемеге|케메kyабага|아바kyчелекке|첼레크kyколго|콜kyбашка|바쉬kyтузга|투즈kyкөзгө|쾨즈ky
목적격-NI-ны|느ky, -ни|니ky, -ды|드ky, -ди|디ky, -ты|트ky, -ти|티ky, -ну|누ky, -нү|뉘ky, -ду|두ky, -дү|뒤ky, -ту|투ky, -тү|튀kyкемени|케메kyабаны|아바kyчелекти|첼레크kyколду|콜kyбашты|바쉬kyтузду|투즈kyкөздү|쾨즈ky
처소격-DA-да|다ky, -де|데ky, -та|타ky, -те|테ky, -до|도ky, -дө|되ky, -то|토ky, -тө|퇴kyкемеде|케메kyабада|아바kyчелекте|첼레크kyколдо|콜kyбашта|바쉬kyтузда|투즈kyкөздө|쾨즈ky
탈격-DAn-дан|단ky, -ден|덴ky, -тан|탄ky, -тен|텐ky, -дон|돈ky, -дөн|된ky, -тон|톤ky, -төн|퇸kyкемеден|케메kyабадан|아바kyчелектен|첼레크kyколдон|콜kyбаштан|바쉬kyтуздан|투즈kyкөздөн|쾨즈ky



일반적으로 키르기스어에서 , 인 연구개 자음과 와 인 목젖 자음 중 어느 발음을 와 에 적용할지는 뒤따르는 모음의 후설성에 따라 결정된다. 즉, 후설모음은 목젖 발음을, 전설모음은 연구개 발음을 의미한다. 어미의 모음은 단어의 앞선 모음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키르기스어 여격 접미사의 경우 모음은 일반적으로 결정되지만, 연구개 자음과 목젖 자음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는 접촉하는 자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을 의미하는 банк|방크ky /bank/에 여격 접미사 GA가 붙으면 뒤따르는 모음에 의해 예상되는 가 아니라 가 된다.

키르기스어에는 여덟 개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

인칭 대명사
colspan="2" |단수복수
1인칭Мен|멘ky (Men)Биз|비즈ky (Biz)
2인칭비격식Сен|센ky (Sen)Силер|실레르ky (Siler)
정중형Сиз|시즈ky (Siz)Сиздер|시즈데르ky (Sizder)
3인칭Ал|알ky (Al)Алар|알라르ky (Alar)



대명사의 활용은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단수 대명사(과거 복수였던 сиз|시즈ky를 제외하고)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이는 반면, 복수 대명사는 그렇지 않다. 불규칙 형태는 굵게 표시되어 있다.

대명사 활용
rowspan="3" |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비격식정중형비격식정중형
주격мен|멘kyсен|센kyсиз|시즈kyал|알kyбиз|비즈kyсилер|실레르kyсиздер|시즈데르kyалар|알라르ky
목적격мени|메니kyсени|세니kyсизди|시즈디kyаны|아느kyбизди|비즈디kyсилерди|실레르디kyсиздерди|시즈데르디kyаларды|알라르드ky
소유격менин|메닌kyсенин|세닌kyсиздин|시즈딘kyанын|아는kyбиздин|비즈딘kyсилердин|실레르딘kyсиздердин|시즈데르딘kyалардын|알라르든ky
여격мага|마가kyсага|사가kyсизге|시즈게kyага|아가kyбизге|비즈게kyсилерге|실레르게kyсиздерге|시즈데르게kyаларга|알라르가ky
위치격менде|멘데kyсенде|센데kyсизде|시즈데kyанда|안다kyбизде|비즈데kyсилерде|실레르데kyсиздерде|시즈데르데kyаларда|알라르다ky
탈격менден|멘덴kyсенден|센덴kyсизден|시즈덴kyандан|안단kyбизден|비즈덴kyсилерден|실레르덴kyсиздерден|시즈데르덴kyалардан|알라르단ky



대명사 외에도 인칭을 나타내는 여러 어휘소가 있다.

인칭을 나타내는 어휘소
colspan="2" |대명사서술어현재 시제소유격 어미과거/조건절명령형
1인칭 단수мен|멘ky-mIn|믄ky-mIn|믄ky-(I)m|(으)ㅁky-(I)m|(으)ㅁky-AyIN|아은ky
2인칭 단수비격식сен|센ky-sIŋ|스응ky-sIŋ|스응ky-(I)ŋ|(으)응ky-(I)ŋ|(으)응ky—, -GIn|근ky
정중형сиз|시즈ky-sIz|스즈ky-sIz|스즈ky-(I)ŋIz|(으)응으즈ky-(I)ŋIz|(으)응으즈ky-GIlA|글라ky
3인칭 단수ал|알ky-t|ㅌky-(s)I(n)|(스)(으)ㄴky-sIn|슨ky
1인칭 복수биз|비즈ky-BIz|브즈ky-BIz|브즈ky-(I)bIz|(으)브즈ky-(I)K|(으)ㅋky-AyIK|아으ㅋky
2인칭 복수비격식силер|실레르ky-sIŋAr|스응아르ky-sIŋAr|스응아르ky-(I)ŋAr|(으)응아르ky-(I)ŋAr|(으)응아르ky
정중형сиздер|시즈데르ky-sIzdAr|스즈다르ky-sIzdAr|스즈다르ky-(I)ŋIzdAr|(으)응으즈다르ky-(I)nIzdAr|(으)느즈다르ky
3인칭 복수алар|알라르ky-(I)şAt|(으)샷ky-(s)I(n)|(스)(으)ㄴky-sIn|슨ky, -IşsIn|으쉬슨ky



동사는 어근 동사를 분석하여 활용된다. 1) 어미가 모음인지 자음인지 판단하고 2) 모음 조화/변화 규칙을 따르면서 적절한 접미사를 추가한다.

간단한 현재 시제 활용 (평화봉사단)
colspan="2" |인칭 대명사모음자음
1인칭 단수Мен|멘ky-м|ㅁky-м|ㅁky
2인칭 복수비격식Сен|센ky-йс<ң|으스응ky-йс<ң|으스응ky
정식Сиз|시즈ky-йс<з|으스즈ky-йс<з|으스즈ky
3인칭 단수Ал|알ky-йт|으ㅌky-йт|으ㅌky
1인칭 복수Биз|비즈ky-йб>з|으ㅂ즈ky-<б>з|ㅂ즈ky
2인칭 복수비격식Силер|실레르ky
정식Сиздер|시즈데르ky
3인칭 복수Алар|알라르ky



보어절을 형성하기 위해 키르기스어는 동사구를 명사화한다. 예를 들어, "나는 내가 본 것을 모른다"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위 문장은 키르기스어 모음 조화의 좋은 예시이기도 하다. 모든 모음이 전설 모음임에 유의해야 한다.

관계절 동사구의 시상에 따라 여러 명사화 전략이 사용된다. 일반 과거 시제에는 -GAn(dIK)|간(드ㅋ)ky, 미래/잠재적 미실현 사건에는 -AAr|아르ky, 비완료 사건에는 -A turgan(dɯq)|아 투르간(드ㅋ)ky가 가장 일반적이다. 보조동사는 불규칙적인 관계절 형태인 экен(дик)|에켄(드ㅋ)ky을 가지는데, 이는 동사 бол-|볼-ky "이다" (болгон(дук)|볼곤(두ㅋ)ky, болор|볼로르ky)의 형태와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관계절 동사 형태는 명사 소유격 어미와 함께 격 어미를 취할 수 있으며, 종종 그렇게 한다.

4. 문자

키르기스어 문자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키르기스스탄에서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18] 그 외 지역에서는 키릴 문자나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키르기스어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키릴 문자이름아랍 문자[26]BGN/PCGN 번역PAU 번역1928-1938년 라틴 문자IPA 번역
А аа (a)اA aA aA a
Б ббе (be)بB bB bB ʙ
В вве (v)ۋV vV v, W wV v
Г гге (ge)گ/ع*G gG g, Ğ ğG g, Ƣ ƣ
Д дде (de)دD dD dD d
Е еe (e)ەE eE eE e
Ё ёё (ë)يوYo yoYo yoJo jo
Ж жже (je)جJ jJ jÇ ç (Ƶ ƶ from 1938)
З ззе (ze)زZ zZ zZ z
И ии (i)ىI iİ iI i
Й йий (iy)يY yY yJ j
К ккa (ka)ك/ق*K kK k, Q qK k, Q q
Л лэл (él)لL lL lL l
М мэм (ém)مM mM mM m
Н нэн (én)نN nN nN n
Ң ңың (ıñ)ڭNg ngŊ ŋꞐ ꞑ
О оо (o)وO oO oO o
Ө өө (ö)ۅÖ öÖ öƟ ɵ
П ппe (pe)پP pP pP p
Р рэр (ér)رR rR rR r
С сэс (és)سS sS sS s
Т тте (te)تT tT tT t
У уу (u)ۇU uU uU u
Ү үү (ü)ۉÜ üÜ üY y
Ф фэф (éf)فF fF fF f
Х хха (xa)حH hX xH h (X x from 1938)
Ц цце (ce)تسC cC cTs ts
Ч чче (çe)چCh chÇ çC c
Ш шша (şa)شSh shŞ şŞ ş
Щ щща (ša)-Shch shchŞç şçŞc şc
Ъ ъажыратуу белгиси (ajıratuu belgisi)---*[27]
Ы ыы (ı)ىY yI ıЬ ь
Ь ьичкертүү белгиси (içkertüü belgisi)---*[27]
Э ээ (é)ەE eE eE e
Ю юю (û)يۋYu yuYu yuJu ju
Я яя (â)ياYa yaYa yaJa ja


4. 1.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에서 키르기스어는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에 Ң, Ү, Ө 3글자를 추가하여 사용한다. 러시아어와 공통되는 문자라도 키르기스어와 음가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는 러시아어와 같이 표기되고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역사적으로 구튀르크 문자가 키르기스어를 표기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17] 1928년까지 아랍 문자가, 1940년까지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다. 1940년부터 현재까지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1990년 이후 터키 알파벳에 더 가까운 다른 라틴 알파벳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 간의 논쟁은 정치적인 측면을 띄고 있다.

2023년 4월, 키르기스스탄 국가어 및 언어 정책 위원회 위원장인 카니벡 오스모날리예프가 다른 투르크 국가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알파벳을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하자는 제안을 한 후 러시아는 키르기스스탄으로의 유제품 수출을 중단했다. 오스모날리예프는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의 질책을 받았고, 자파로프 대통령은 나중에 키르기스스탄이 키릴 문자를 대체할 계획이 없다고 명확히 했다.[18]

소련 성립 후 초기 키르기스에서도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1925년 키르기스 자치주 학술·교육대회에서 개량된 아랍 문자가 채택되었다. 1927년 키르기스 자치 공화국에서 라틴 문자화 결의가 채택되었고, 1930년-1931년까지 라틴 문자로의 완전 이행이 결정되었다.[22] 전연방적인 키릴 문자화의 흐름 속에서, 1940년에는 러시아어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에 3글자(ң, ү, ө)를 추가한 새로운 정서법으로 바뀌었다.[23] 키릴 문자 정서법은 키르기스 독립 후에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키르기스어는 키르기스스탄에서는 키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4. 2. 중국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에서는 키르기스어를 표기할 때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18] 중국에서는 키릴 문자나 라틴 문자(중국의 위구르어카자흐어에서 사용하는 병음 방식의 “신자”와 유사)를 거쳐, 1980년대 이후로는 현대 위구르어와 마찬가지로 개량 아랍 문자의 문자 집합을 사용한다(단, 모음의 일부 음가와 철자가 위구르어와 다르다).[19]

키르기스 알파벳 비교[19]
키릴 문자아랍 문자
А аا
Б бب
В вۋ
Г гگ/ع*
Д дد
Е еە
Ё ёي+و (يو)
Ж жج
З зز
И иئ
Й йي
К кك/ق*
Л лل
М мم
Н нن
Ң ңڭ
О оو
Ө өۅ
П пپ
Р рر
С сس
Т тت
У уۇ
Ү үۉ
Ф фف
Х хح
Ц ц(ت+س (تس
Ч чچ
Ш шش
Щ щ-
Ъ ъ-
Ы ыى
Ь ь-
Э эە
Ю юي+ۇ (يۇ)


4. 3. 기타 지역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는 그룹은 300만 명으로 키르기스스탄, 중국,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터키(소아시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이슬라마바드), 러시아 등지에서 사용된다. 키르기스스탄에서는 키릴 문자가, 중국에서는 아랍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되며, 그 외 지역에서는 키릴 문자 또는 라틴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

4. 4. 문자 대조표

키르기스 알파벳 비교[19]
키릴 문자점자아랍 문자라틴 문자
(1928–1938)
IPA 표기
А аاA a
Б бبB ʙ
В вۋV v
Г г*گ
ع
G g, Ƣ ƣ
Д дدD d
Е еەE e
Ё ёيوJo jo
Ж жجCc (Ƶ ƶ 1938년부터)
З зزZ z
И иئI i
Й йيJ j
К к*ك
ق
K k, Q q
Л лلL l
М мمM m
Н нنN n
Ң ңڭꞐ ꞑ
О оوO o
Ө өۅƟ ɵ
П пپP p
Р рرR r
С сسS s
Т тتT t
У уۇU u
Ү үۉY y
Ф фفF f
Х хحH h
Ц цتسTs ts
Ч чچÇ ç
Ш шشŞ ş
Щ щ-ŞÇ şç
Ъ ъ---
Ы ыىЬ ь
Ь ь---
Э эەE e
Ю юيۇJu ju
Я яياJa ja


  • К와 Г의 발음은 인접한 모음의 음가에 따라 변화한다.[25] (러시아어 등에서 유래한 차용어는 제외)
  • * К – 앞뒤 어느 한쪽에 'а', 'о', 'у', 'ы' 모음과 연결되는 경우, ق|카ar로 발음된다(이 음에는 「Қ қ」문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에는 ك|케ar로 발음된다.
  • * Г – 앞뒤 어느 한쪽에 'а', 'о', 'у', 'ы' 모음과 연결되는 경우, ع|게ar로 발음된다(이 음에는 「Ғ ғ」문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에는 گ|게ar로 발음된다.


이러한 발음의 차이는 키르기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에게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지만,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는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5. 역사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는 공통 튀르크어이다. 동부 킵차크어로 분류되며, 더 큰 킵차크어파 내에서 남부 알타이어와 함께 아족을 형성한다. 키르기스어는 내부적으로 북부 키르기스어와 남부 키르기스어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3]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어의 문법과 유사하며, 최근에는 카자흐어, 위구르어, 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남시베리아어파에 속하는 구 키르기스어(예니세이 키르기스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예니세이 키르기스어의 계승자는 오늘날 러시아 연방의 하카스인과 중국 동북부의 후유 키르기스인이다.[4][5][6]

925년, 요나라가 예니세이 키르기스를 격파하고 몽골 초원에서 몰아내자, 일부 고대 키르기스 엘리트들은 알타이와 신장으로 이주하여 현지 킵차크들과 융합되었고, 이로 인해 언어 변화가 일어났다.

1207년 몽골 정복 이후 원나라에 대한 일련의 반란 이후,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은 이미 다양한 투르크-몽골 부족들이 거주하고 있던 톈산 산맥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차가타이 울루스의 백성으로서 키르기스족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페르시아어아랍어 어휘가 키르기스어에 유입되었지만, 카자흐어, 우즈베크어, 위구르어에 비해 훨씬 적은 정도였다.

소련(Совиетский Союз) 성립 후 초기 키르기스에서도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1925년 키르기스 자치주 학술·교육대회에서 개량된 아랍 문자가 채택되었다. 1927년 키르기스 자치 공화국에서 라틴 문자화 결의가 채택되었고, 1930년-1931년까지 라틴 문자로의 완전 이행이 결정되었다.[22] 전연방적인 키릴 문자화의 흐름 속에서, 1940년에는 러시아어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에 3글자(ң, ү, ө)를 추가한 새로운 정서법으로 바뀌었다.[23] 키릴 문자 정서법은 키르기스 독립 후에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키르기스(Кыргызстан)에서 키르기스어는 러시아어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에 Ң, Ү, Ө 3글자를 추가하여 사용된다. 러시아어와 공통되는 문자라도 키르기스어와 음가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는 러시아어와 같이 표기되고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6. 방언

키르기스어는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북부 방언에는 몽골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더 많고, 남부 방언에는 우즈베크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더 많다. 표준 키르기스어는 북부 키르기스어를 기반으로 한다.[7] 파미르 키르기스어라는 세 번째 소규모 방언도 있다.[8]

7. 음운론

((BGN/PCGN))라틴 문자
(병음)라틴 문자
(튀르키예어 방식)라틴 문자
(1928–1938)IPA 표기А а'아'⠁اA aA aA aA aБ б'베'⠃بB bB bB bB ʙВ в'베'⠺ۋV vW wV vV vГ г*'게'⠛گ
عG gG g
Ƣ ƣG g
Ğ ğG g
Ƣ ƣД д'데'⠙دD dD dD dD dЕ е'예'⠑ەE e, Ye yeÊ ê, Yê yêE e, Ye yeE e, Je jeЁ ё'요'⠡يوYo yoYo yoYo yoJo joЖ ж'제'⠚جJ jJ jC cÇ ç (Ƶ ƶ 1938년 이후)З з'제'⠵زZ zZ zZ zZ zИ и'이'⠊ىI iI iİ iI iЙ й'이이'⠯يY yY yY yJ jК к*'카'⠅ك
قK kK k
Ⱪ ⱪK k
Q qK k
Q qЛ л'엘'⠇لL lL lL lL lМ м'엠'⠍مM mM mM mM mН н'엔'⠝نN nN nN nN nҢ ң'응'⠽ڭNg ngNg ngÑ ñꞐ ꞑО о'오'⠕وO oO oO oO oӨ ө'어'⠌ۅÖ öƟ ɵÖ öƟ ɵП п'페'⠏پP pP pP pP pР р'에르'⠗رR rR rR rR rС с'에스'⠎سS sS sS sS sТ т'테'⠞تT tT tT tT tУ у'우'⠥ۇU uU uU uU uҮ ү'위'⠧ۉÜ üÜ üÜ üY yФ ф'에프'⠋فF fF fF fF fХ х'하'⠓حKh khH h, Ⱨ ⱨX xH h (X x 1938년 이후)Ц ц'체'⠉تسTs tsC cŢ ţTs tsЧ ч'체'⠟چCh chQ qÇ çC cШ ш'샤'⠱شSh shX xŞ şŞ şЩ щ'샤'⠭-Shch shchXq xqŞç şçŞc şcЪ ъ'구분 기호'⠷-”---*Ы ы'으'⠮ىY yE eI ıЬ ьЬ ь'연화 기호'⠾-’---*Э э'에'⠪ەE eÊ êE eE eЮ ю'유'⠳يۋYu yuYu yuYu yuJu juЯ я'야'⠫ياYa yaYa yaYa yaJa ja



이러한 발음의 차이는 키르기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에게는 명확하게 구분되지만,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는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7. 1. 모음

키르기스어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9]

키르기스어 모음 음소
rowspan=2|전설후설
원순모음평순모음원순모음평순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는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나 단어 내에서 뒤에 전설모음이 올 때만 나타나며(후행 동화), 예를 들어 '경사진'은 대신 사용된다.[10] 대부분의 방언에서 와 구별되는 모음으로서의 지위는 의문스럽다.[11]

미국 평화 봉사단은 키르기스스탄에서 언어 훈련을 실시할 때 자원봉사자들을 "좌우 이동" 방식으로 훈련시킨다. 모음 조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모음 조화 (Peace Corps 방식)
좌측 이동 (<)우측 이동 (>)이동 방향
аы좌우 직선 이동
оу("y"는 좌측 대각선으로 "a"로 이동)
е (э)и좌우 직선 이동
өү좌우 직선 이동


7. 2. 자음

키르기스어 자음 음소[12]
colspan="2" |순음치음/
치경음
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
파열음
마찰음[12]
마찰음[12][12]
[12]
유음
전동음



이러한 발음의 차이는 키르기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에게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지만,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는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는 러시아어, 아랍어, 영어에서 차용된 외래어에만 나타난다.[12]

8. 어휘

키르기스어는 키르기스어-킵차크어의 하위 그룹 언어로 볼 수 있고, 다른 학설에 따르면 터키어의 이스트 훈족어 분기로 본다.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어와 문법이 유사하다. 최근에는 카자흐어, 위구르어, 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

키르기스어는 수 세기 동안 여러 다른 언어와 접촉해 왔으며, 그 결과 이들 언어로부터 광범위하게 차용해 왔다. 이러한 언어에는 우즈베크어, 오이라트어, 몽골어, 러시아어, 아랍어가 포함된다.[13][14][7][15][16]

참조

[1] 서적 Рунические письменности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2] 웹사이트 Kyrgyzstan considers switch to Latin alphabet from Cyrillic https://central.asia[...] 2022-07-29
[3] 웹사이트 Glottolog 4.3 - Kirghiz https://glottolog.or[...] 2021-05-03
[4] 서적 Tchoroev (Chorotegin) 2003 https://books.google[...]
[5] 서적 Pozzi & Janhunen & Weiers 2006 https://books.google[...]
[6] 서적 Tumen Jalafun Jecen Aku: Manchu Studies in Honour of Giovanni Stary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7] 웹사이트 Kyrgyz (Kirgiz, Kyrghyz, Kirghiz) https://www.langcen.[...] University of Cambridge
[8] 학술지 The Kyrgyz of the Afghan Pamir Ride On https://www.jstor.or[...] 2007
[9] 학술자료
[10] 학술자료
[11] 학술자료
[12] 학술자료
[13] 웹사이트 KYRGYZ IN CHINA Facts and Details https://factsanddeta[...] 2024-09-25
[14] 학술지 Western Mongolian (Oirat-Kalmyk) loanwords in Kyrgyz https://libmast.utm.[...] 2024-04-01
[15] 학술지 Kırgız Türkçesi İle Türkiye Türkçesindeki Ortak Arapça Kelimelerin Ses Değişimleri https://turkishstudi[...] 2024-08-29
[16] 웹사이트 Russian Loanwords in Kyrgyz - PhD thesis - Dissertation https://www.disserta[...] 2024-09-25
[17] 서적 Kyrgyz Language Manual Peace Corps, Bishkek (Kyrgyzstan) 1996-06
[18] 뉴스 Russia Suspends Dairy Products From Kyrgyzstan After Calls In Bishkek To Drop Cyrillic Script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2023-06-22
[19] 웹사이트 Kyrgyz language and alphabets https://omniglot.com[...] 2024-09-24
[20] 웹사이트 Kyrgyz edition of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wikisource.or[...]
[21] 웹사이트 https://www.ethnolog[...] Ethnologue, SIL International 2009-2014 (추정)
[22] 서적 ポスト・ソヴィエト時代の「国家語」 : 国家建設期のキルギス共和国における言語と社会 関西大学出版部
[23] 서적 ポスト・ソヴィエト時代の「国家語」 : 国家建設期のキルギス共和国における言語と社会 関西大学出版部
[24] 설명
[25] 웹사이트 Kyrgyz alphabet, language and pronunciation https://www.omniglot[...]
[26] 웹사이트 Kyrgyz alphabet, language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27]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