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라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트라다는 9세기 로트링겐의 왕 로타르 2세의 정부이자, 이후 그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 그녀는 로타르 2세가 첫 번째 부인 테우트베르가와의 결혼 생활을 끝내고 발트라다와 결혼하려는 시도로 인해 교황청과 갈등을 겪었다. 로타르 2세는 발트라다와의 결혼을 위해 여러 차례 교황청의 승인을 구했지만, 교황 니콜라 1세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발트라다는 파문당했다. 로타르 2세는 발트라다와의 사이에서 위그, 기셀라, 베르타, 이르멘가르트를 낳았다.
발트라다의 가계는 불분명하다. 19세기 프랑스 작가 에르누프 남작은 발트라다가 귀족 출신 갈로-로마 혈통이며, 트리어 교구의 주교인 티트고드의 자매이자 쾰른 대주교(Gunther)의 조카라고 주장했다.[1][2]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어떠한 증거로도 뒷받침되지 않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발트라다가 비교적 평범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지만 여전히 귀족 사회 출신이라고 제시하고 있다.[3] ''성 데이콜리의 생애''는 발트라다가 노르드가우 백작 에버하르트 2세 (스트라스부르 포함) 및 에티코니드 가문과 관련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이는 10세기 후반의 자료이므로 이 문제에 대해 완전히 신뢰할 수 없을 수도 있다.[4]
2. 생애
855년, 카롤링거 왕 로타르 2세는 카롤링거 귀족이자 보소 가문의 보소의 딸인 테우트베르가와 결혼했는데, 이는 로타르의 아버지 로타르 1세가 정치적인 이유로 주선한 것이었다.[5] 발트라다는 이미 이 시점에 로타르 2세의 정부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1]
테우트베르가는 아이를 낳을 수 없다고 전해지며, 로타르의 통치는 주로 그들의 결혼 무효화 노력과, 이를 위한 지지를 얻기 위한 삼촌 대머리 카를 및 루트비히 2세와의 관계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로타르는 발트라다에 대한 애정으로 무효화를 원했고, 테우트베르가를 내쫓았다. 그러나 위베르는 누이의 편을 들어 무기를 들었고, 테우트베르가가 물형벌을 성공적으로 치른 후, 로타르는 858년에 그녀를 복위시켜야 했다.
로타르는 목적을 계속 추구하며 영토를 할양하여 그의 형제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2세의 지지를 얻었고, 862년에 무효화와 발트라다와의 결혼에 대한 지역 성직자들의 동의를 얻었다. 그러나 교황 니콜라 1세는 이를 의심하여 863년 메츠 공의회에 사절을 보내 조사하게 했다. 공의회는 로타르의 이혼에 찬성했고, 교황 사절들이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으며, 이는 니콜라 1세가 로타르에게 테우트베르가를 다시 받아들이거나 파문을 당하라고 명령하는 결과를 낳았다.
대머리 카를과 루트비히 2세의 지원을 받아, 테우트베르가는 무효 소송에 대해 교황 니콜라 1세에게 항소했다. 니콜라 1세는 무효화를 인정하지 않고 866년에 발트라다를 파문했으며, 로타르는 발트라다를 버리고 테우트베르가를 선택해야 했다. 로타르는 잠시 동안 마지못해 이를 받아들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867년 말에 교황 니콜라 1세가 사망했다. 그리하여 로타르는 새로 임명된 교황 아드리아노 2세에게 테우트베르가를 다시 내쫓고 발트라다와 결혼할 수 있도록 허락을 구하기 시작하여, 869년 로마로 가서 이 문제에 대해 그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로타르는 사망했다.
2. 1. 출신 배경
발트라다는 지역 소귀족 가문의 딸로, 동프랑크 쾰른(콜로네) 대주교 군타르 폰 쾰른의 여동생이며, 아버지는 알사스 백작 프룰라도였다.[8]#넘겨주기[9] 19세기 프랑스 작가 에르눌 남작은 그녀의 집안이 갈리아-로마 귀족 혈통이라고 주장했다.[10] 발트라다의 친정 오라비는 가톨릭 교회 쾰른 교구의 대주교를 역임한 쾰른의 군타르였다.
발트라다의 가계는 불분명하다. 에르누프 남작은 발트라다가 귀족 출신 갈로-로마 혈통이며, 트리어 교구 주교 티트고드의 자매이자 쾰른 대주교 군터의 조카라고 주장했다.[1] 그러나 이는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발트라다가 비교적 평범한 사회적 배경을 가졌지만 여전히 귀족 사회 출신이라고 제시한다.[3]
''성 데이콜리의 생애''는 발트라다가 노르드가우 백작 에버하르트 2세 (스트라스부르 포함) 및 에티코니드 가문과 관련이 있다고 명시하지만, 이는 10세기 후반의 자료이므로 완전히 신뢰할 수 없을 수도 있다.[4]
2. 2. 후궁 시절
로타링기아의 왕 로타르 2세의 내연녀였으나, 855년 로타르 1세가 사망하고 로타르 2세가 로트링겐을 상속받으면서 정식 후궁이 되었다.[1] 토이드베르가 왕후와의 사이에서 자녀가 없었던 로타르 2세는 발트라다가 아들 위그를 낳자, 발트라다를 정식 왕비로 삼기 위해 토이드베르가와 여러 번 이혼을 시도하였으나 바티칸에서는 이 이혼을 허락하지 않았다.[5]
이후로도 발트라다는 로타르 2세의 딸 기셀라, 베르타, 이르멘가르트를 낳았다. 베르타는 로타르 2세의 본처 토이트베르가의 오빠 힉베르트의 아들 아를의 테오발트에게 시집갔고, 이탈리아의 위그의 어머니이자 로타리우스 3세의 할머니가 된다.
로타르 2세는 교황 니콜라오 1세의 허락 없이 이혼을 강행했으나, 교황은 이를 정면으로 문제삼았다. 로타르는 아내 토이트베르가를 자신의 친정 오빠와 근친상간했다고 비난하고 재판을 했는데, 그녀가 끓는 물에 손을 집어넣는 신판(神判)을 이겨내자 858년 다시 아내로 받아들여야 했다.[5] 그러나 그는 이 이혼을 성사시키기 위해 형 루트비히 황제에게 영토의 일부를 양도하고 지역 성직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로타르는 쾰른 대주교 군타하르와 트리어 교구 대주교 토이트가우트를 사주하여 아헨에서 두 차례 종교회의를 열어 이 결혼을 취소시키고 862년 발트라다와 결혼했다. 이듬해 그는 메츠 공의회에서 이 결정에 대한 교황 대리의 추인을 받았다.[5]
교황 니콜라오 1세는 863년 메츠 공의회에 사절을 보내 조사하게 했으나, 공의회는 로타르의 이혼에 찬성했고, 교황 사절들이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에 니콜라 1세는 로타르에게 테우트베르가를 다시 받아들이거나 파문당할 것이라고 명령했다.[5]
대머리 카를과 루트비히 2세의 지원을 받아, 테우트베르가는 무효 소송에 대해 교황 니콜라 1세에게 항소했다. 니콜라 1세는 무효화를 인정하지 않고 866년에 발트라다를 파문했으며, 로타르는 발트라다를 버리고 테우트베르가를 선택해야 했다. 로타르는 잠시 동안 마지못해 이를 받아들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867년 말에 교황 니콜라 1세가 사망했다. 그리하여 로타르는 새로 임명된 교황 아드리아노 2세에게 테우트베르가를 다시 내쫓고 발트라다와 결혼할 수 있도록 허락을 구하기 시작하여, 869년 로마로 가서 이 문제에 대해 그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로타르는 사망했다.[5]
2. 3. 왕비 책봉과 폐위
로타르 2세는 토이드베르가와의 사이에서 자녀가 없자, 아들 위그를 낳은 발트라다를 정식 왕비로 삼기 위해 토이드베르가와 여러 번 이혼을 시도했다.[8] 그러나 바티칸에서는 이 이혼을 허락하지 않았다. 로타르 2세는 토이드베르가를 자신의 친정 오빠와 근친상간했다고 비난하고 재판을 했지만, 토이드베르가가 끓는 물에 손을 넣는 신판(神判)을 이겨내자 858년 다시 아내로 받아들여야 했다.[5]
로타르 2세는 형 루트비히 2세에게 영토 일부를 양도하고, 쾰른 대주교 군타르 폰 쾰른과 트리어 대주교 토이트가우트를 사주하여 아헨 종교회의에서 이혼을 성사시키고 862년 발트라다와 결혼했다. 863년 메츠 종교회의에서 교황 대리의 추인을 받았다.[1]
그러나 토이드베르가는 서프랑크의 대머리 카를 2세의 궁정으로 피신했고, 교황 니콜라오 1세는 이 결정을 번복하고 귄터 대주교와 토이트가우트 대주교를 해임했다. 865년 카를 2세와 루트비히 2세는 파문의 위협을 하며 로타르 2세에게 토이드베르가를 다시 받아들이라고 강요했다.[1]
867년 교황 니콜라오 1세가 사망하고 교황 하드리아노 2세가 즉위하자, 로타르 2세는 토이드베르가에게 직접 새 교황에게 이혼을 요청하도록 압력을 넣었고, 토이드베르가가 이혼을 요구하고 나섰다. 869년 토이드베르가와 이혼한 로타르 2세는 발트라다와 정식으로 결혼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대머리왕 카를 2세와 루트비히 2세는 결혼의 무효를 선언하고 발트라다와 그녀의 아이들을 모두 로트링겐에서 추방하였다.[1]
3. 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프룰라도 오라비 군타르 폰 쾰른 쾰른 대주교 남편 로타르 2세 로타링기아의 왕 아들 위그 855년 - 895년 딸 기젤라 860년 - 907년, 프리슬란트의 백작 혹은 바이킹 부족장인 고드프리드와 결혼 딸 베르타 863년 - 925년, 아를의 테오발트와 결혼, 후에 토스카니 후작 아달베르트 2세와 재혼 사위 아를의 테오발트 880년 - 947년, 이탈리아 왕 외손자 이탈리아의 위그 외손자 보소 4세 아를 백작, 885년 - 936년 외손자 토스카니의 구이도 사위 토스카니 후작 아달베르트 2세 외손자 토스카니의 람베르트 ? - 938년 딸 이르멘가르트 ? - 895년/898년 8월 6일, 성 유스티노-루카 수도원 원장
발트라다와 로타르 2세는 여러 아들과 아마도 세 딸을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사생아로 선언되었다.
4. 평가
발트라다는 로타르 2세의 깊은 사랑을 받았지만, 왕비가 되기까지는 험난한 과정을 겪어야 했다. 로타르 2세는 테우트베르가와 정략 결혼을 하였으나, 발트라다와의 사랑으로 인해 결혼 무효화를 추진했다.[1][5] 교황 니콜라 1세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발트라다를 파문하기까지 했으나,[5] 로타르 2세는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그녀의 삶은 당시 유럽 왕실의 복잡한 결혼 제도와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ire de Waldrade, de Lother II et de leurs descendants
https://archive.org/[...]
1858
[2]
웹사이트
Histoire de Waldrade, de Lother II et de leurs descendants
https://archive.org/[...]
1858
[3]
논문
Ein karolingischer Königseintrag im Gedenkbuch von Remiremont
1968
[4]
간행물
Monumenta Germanica Historica, tomus XV.2, Vita Sancti Deicoli
[5]
간행물
Monumenta Germanica Historica, tomus I: Annales Lobienses, anno 855
[6]
서적
Early Medieval Italy: Central Power and Local Society 400-100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
서적
Ecclesiastical and Civil History Philosophically Considered
[8]
간행물
Cæsarii Heisterbacensis Catalogus Archiepiscopum Coloniensium
[9]
간행물
Annales Novesienses
[10]
웹사이트
Histoire de Waldrade, de Lother II et de leurs descendants
https://archive.org/[...]
18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