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치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치표는 입시 기관, 교사, 점수공개카페,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 등에서 제작되며, 대학 및 학과의 합격 가능 점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입시 기관은 자체적으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교사는 졸업생들의 수능 및 입시 결과를 토대로, 점수공개카페는 수험생들의 점수를 기반으로,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는 이용자들의 점수를 활용하여 배치표를 제작한다. 그러나 사설 입시 기관 배치표는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으며, 이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전년도 정시 배치표를 직접 제작하는 등 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육 -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어린이들에게 다채로운 꿈과 희망을 주고자 아동 문화 운동을 펼친 단체로, 잡지 발간, 어린이날 제정,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아동문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광복 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며 아동 교육에 공헌한 사람들을 시상하는 색동회상을 제정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배치표 | |
|---|---|
| 배치표 | |
| 정의 | 고등학교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가 대학의 학과에 지원하기 위해 참고하는 자료 |
| 제작 주체 | 고등학교 진로 상담 교사 사설 학원 |
| 참고 자료 |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내신 성적 모의고사 성적 |
| 문제점 |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표준 점수가 달라짐 사교육 의존 심화 |
| 관련 용어 | 진학 지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표준 점수 |
2. 배치표의 제작
대학 입시에서 수험생들이 자신의 성적을 바탕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교 및 학과를 가늠하는 데 도움을 주는 참고 자료인 배치표는 여러 주체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주요 제작 주체로는 입시 기관, 교사, 점수공개카페,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 등이 있다.
- 입시 기관은 자체적으로 수집한 정보와 모의고사 성적 등을 토대로 예상 합격선을 제시한다.[4]
- 교사들은 주로 이전 졸업생들의 실제 수능 점수와 입시 결과를 바탕으로 배치표를 만들지만,[6] 대학 서열화를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로 비공개 배포되는 경우도 있다.[7]
- 점수공개카페는 주로 해당 대학교 재학생들이 운영하며, 수험생들이 자발적으로 점수를 공유하면 이를 바탕으로 합격 가능성을 예측하여 제공한다.[3]
-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 역시 회원인 수험생들의 점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대학들의 예상 합격선을 산출하여 공개하기도 한다. 오르비의 '[https://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1289599 The Future]'가 대표적인 예이다.
대부분의 배치표는 예측치이며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5] 각 제작 주체별 상세한 제작 방식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입시 기관
사설 입시 기관에서 제작하는 배치표는 각 학원이 자체적으로 수집한 대학교 및 학과 정보, 이전 연도 수험생들의 입시 결과, 또는 해당 연도 수험생들의 모의고사 성적 등을 바탕으로 커트라인을 예측하여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정시모집 배치표는 계열별(인문, 자연) 및 정시 군별(가, 나, 다)로 나누어 총 6장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각 배치표 안에서 대학교들은 수능 반영 영역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최근에는 대학별로 점수 사정 방식이 매우 다양해짐에 따라, 각 대학에 맞춰진 개별 배치표가 제작되어 나오기도 한다.[4] 대부분의 입시 기관 배치표에는 이러한 예측 점수나 정보들이 참고 자료로만 활용되어야 한다는 주의사항이 명시되어 있다.[5]2. 2. 교사
교사들이 만드는 배치표는 전년도 졸업생들의 수능 점수와 입시 결과를 모아 작년의 합격선을 계산하고, 그 해의 수능 난이도를 고려하여 만들어진다.[6] 하지만 이 배치표가 대학 서열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학교의 진학 지도 교사들에게만 비공개로 배포된다.[7]2. 3. 점수공개카페
점수공개카페는 대부분 해당 대학교의 재학생들이 개설한다. 보통 수험생들이 자신의 점수를 카페에 공개해야만 배치표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점수공개카페'라고 불린다. 수험생들은 실제로 그 대학을 지망하는 다른 수험생들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합격선 추정치를 확인하기 위해 점수를 제공한다. 카페 운영진은 수험생들이 제공한 점수를 토대로 입시 커트라인을 추정하여 점수를 제공한 수험생들에게 제공한다.[3]2. 4.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배치표의 대표적인 예로는 오르비의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1289599 The Future]'가 있다. 'The Future'는 오르비 이용자인 해당 연도 수험생들의 수능 및 내신 점수를 제공받아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의 모든 학과에 대한 합격 가능 점수(커트라인) 추정치를 산출하여 제공한다.3. 비판
대학 입시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되는 배치표는 그 제작 주체와 방식에 따라 여러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사설 입시 기관이 만드는 배치표는 대학 서열을 고착화하고 부정확한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는 문제점[8][9][10], 그리고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입시 결과만으로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11]에 직면해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사들이 작성하는 배치표 역시 서열화 조장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12]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학원가의 배치표 실태 조사에 착수했으며[13], 2010년부터는 직접 전년도 정시 배치표를 제작하기로 하였다.[14]
3. 1. 입시 기관 배치표의 문제점
사설 입시 기관이 만드는 배치표는 대학 서열을 고착화하고 좌지우지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8][9] 많은 대학교에서 입시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배치표는 정확하지 않은 자료를 토대로 작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부 대학이나 학과에 대한 추정치가 실제 입시 결과와 다른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10] 실제로 2010학년도 입시에서 일부 사립대학의 공식 발표 자료와 사설 학원 배치표에서의 위치가 다른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11]또한, 배치표는 대학의 특성화나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입시 결과만으로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사들이 작성한 배치표의 경우 비공개로 배포되지만, 이 역시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을 함께 받는다.[12]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학원가의 배치표에 대한 실태 조사에 착수했으며[13], 2010년부터는 전년도의 정시 배치표를 직접 제작하기로 하였다.[14]
3. 2. 기타 배치표의 문제점
입시 기관 배치표는 사설 업체가 대학 서열에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이 있다.[8][9] 또한, 대학들이 입시 결과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부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므로, 일부 대학이나 학과의 추정치가 실제 결과와 다른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10] 실제로 2010년도 입시에서는 일부 사립대학의 공식 발표 자료와 사설 학원 배치표의 대학 위치가 다른 사례도 있었다.[11] 대학의 특성이나 위상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입시 결과만으로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교사들이 작성하여 비공개로 배포하는 배치표 역시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을 같이 받고 있다.[12]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학원가 배치표에 대한 실태 조사에 나섰으며[13], 2010년부터는 전년도 정시 배치표를 직접 만들어 제공하기로 하였다[14].
4. 개선 노력
사설 입시 기관이 만드는 배치표는 대학 서열을 좌지우지하고[8][9], 대학의 입시 결과 비공개 등으로 인해 부정확하며[10],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1][12] 실제로 2010년 입시에서는 일부 사립대학의 공식 발표 자료와 사설 학원 배치표 내용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11]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학원가의 배치표에 대한 실태 조사에 착수했으며[13], 2010년부터는 이전 연도의 정시 배치표를 직접 제작하여 제공하기로 하였다.[14] 이는 배치표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고 보다 공정한 입시 정보를 제공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참조
[1]
뉴스
학생 "표준점수 어떡해" 교사 "진학지도 어떡해"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09-12-19
[2]
뉴스
학원이 만들던 대학 배치표 교사 손으로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11-16
[3]
뉴스
인터넷 ‘점수공개 카페’ 떴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6-02-12
[4]
웹사이트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배치표가 각각 배포된 예
http://orbi.kr/00024[...]
[5]
문서
[6]
뉴스
교육당국, 대입배치표 만들었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9-12-13
[7]
뉴스
서울시교육청 '정시배치표' 고교에 배포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9-12-14
[8]
뉴스
《사설》 대학 진학지도, 교사가 중심이 돼야 한다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9-11-17
[9]
뉴스
교육청 대학배치표 신드롬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9-12-15
[10]
뉴스
입시기관 배치표 100% 신뢰는 금물…바뀐 입시환경 분석·예측도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12-13
[11]
웹사이트
[12]
뉴스
교육청이 대입배치표 '앞장' 논란
http://www.bigboxi.c[...]
빅박스
[13]
뉴스
대학들 "학원가 수시 배치표, 혼란만 키워"…실태조사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0-10-18
[14]
뉴스
전년도 대학별 커트라인… 대교협, 고교에 제공키로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