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러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러시아는 "백"이라는 의미를 가진 다양한 변형 명칭으로 불렸으며, 역사적으로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 여러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1135년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1459년 프라 마우로 지도에서도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알렉산데르 구아니니에 의해 모스크바 대공이 통치하는 지역으로 묘사되었으며, 19세기 후반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지리사 - 대러시아
- 러시아의 지리사 - 러시아의 영토 확장
러시아의 영토 확장은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부터 시작되어 차르국과 러시아 제국을 거쳐 수세기에 걸쳐 동쪽과 남쪽으로 광대한 영토 팽창을 이루었으며,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를 거쳐 현재의 러시아 연방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토 변화와 영향력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 벨라루스의 역사적 지역 - 빌뉴스 지역
빌뉴스 지역은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간 분쟁 지역으로, 현재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국경에 걸쳐 있으며, 역사적으로 민족 구성 변화와 영토 분쟁을 겪었다. - 벨라루스의 역사적 지역 - 폴레시아
폴레시아는 동유럽 평원 서부에 위치한 늪과 숲으로 이루어진 지대로, 폴란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과 함께 체르노빌 사고의 영향 및 생태계 보존 가치를 지닌 지역이다. - 러시아 민족통일주의 - 통합 러시아
통합 러시아는 푸틴의 부상과 옐친의 인기 하락 속에 크렘린의 지원으로 결성되어 여러 정당과의 합당을 거쳐 출범한 러시아의 거대 여당으로, 푸틴 집권 후 압도적인 지지율로 정치를 장악했으나 선거 부정, 부패, 연금 개혁 등으로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고 우크라이나 침공 후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내부 균열과 국제 제재에 직면해 있으며, 중도주의, 보수주의, 러시아 보수주의를 표방하면서 푸틴 정권의 정책을 지지하는 포괄적 성격을 띤다. - 러시아 민족통일주의 - 러시아 파시스트당
1931년 만주에서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가 설립한 러시아 파시스트당은 이탈리아 파시즘을 모방하고 반유대주의와 극단적 러시아 민족주의를 이념으로 삼아 반소련 활동을 펼쳤으나, 소련군의 만주 침공 후 해체되어 현대 러시아 극우 민족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백러시아 | |
---|---|
명칭 | |
공식 명칭 | 백러시아 |
다른 명칭 | білая Русь (벨라루스어) Ruś Biała (폴란드어) Белая Русь (벨라야 루시, 러시아어) Біла Русь (빌라 루시, 우크라이나어) Ruthenia Alba (루테니아 알바, 라틴어) Russia Alba (루시아 알바, 라틴어) Бѣла Роусь (고대 교회 슬라브어) Weißrussland (바이스루스란트, 독일어) Russie Blanche (루시 블랑슈, 프랑스어) White Russia (화이트 러시아, 영어) 백로씨야 (문화어) |
지리 | |
위치 | 현재의 벨라루스 지역 역사적 지역 |
역사 | |
기원 | 백루테니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원래는 폴로츠크, 비테프스크, 모길료프 주변 지역을 가리켰다. |
13세기 | 백루테니아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함. 폴로츠크, 비테프스크, 모길료프 주변 지역을 지칭. |
17세기 |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현재의 벨라루스 전역으로 확장됨. 러시아에서 벨라루스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됨. |
관련 사건 | 몽골의 유럽 침공 키예프 루스 분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현대적 사용 | |
벨라루스 | 벨라루스를 지칭하는 구식 표현으로 사용됨. 현재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음. |
정치적 함의 | 일부에서는 러시아와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용어로 인식되어 논란의 여지가 있음. |
2. 명칭의 기원과 변천
바실리 타티셰프는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1135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한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발견되었다고 믿었다.[1]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는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라고, 국가를 "Ak-Urus"(백 로스)라고 부른 페르시아인과 다른 동부 민족들을 언급하면서, 이 이름을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를 시작으로 모든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들에게 확장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를 "백 로스"라고 부르고, 공작들을 "백 러시아인" 또는 "백 러시아 대공"이라고 불렀다.[2]
14세기 후반에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가 지은 칭찬 노래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한 방식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3]
세계 프라 마우로 지도 (1459)에서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는 백 러시아(Rossia Biancha)라고 불린다. 이 지도는 백 로스, 흑 로스, 적 로스 사이의 구분에 대해 설명한다.[4]
이 이름은 고대 지도에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 등 다양한 변형으로 나타났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에 따르면, "백 (Baltalt) 러시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에 주어졌으며, 크리비치족, 폴로찬족, 드레고비치족, 드레블리안족, 둘레베스족의 고대 영토를 포함한다. 그로드노, 노보그로데크, 벨로스토크의 리투아니아 영토는 때때로 흑 러시아라고 불렸다.[5] 민족-종교적 이론에 따르면 이 이름은 초기 기독교화된 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의 구 루테니아 지역 부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주로 이교도 발트족이 거주했던 흑 러시아와는 대조적이다.[6]
16세기 연대기 작가 알렉산데르 구아니니는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에서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썼다. 첫 번째 부분은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백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두 번째는 폴란드 왕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흑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그리고 나머지는 ''적 루테니아''였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은 특히 그의 신하들에 의해 ''백 차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역사학자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가 언급했듯이, 스스로 "벨라루스인"이라고 부른 최초의 인물은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였다.[7]
도모스트로이에서 "백" 토지와 "과세" 토지의 이분법을 언급하고 "백" 루스인이 키예프 루스에서 골든 호드에 정복되지 않은 부분을 지칭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19세기 후반의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여러 지역, 또는 모길레프현, 민스크현 및 비테브스크현의 동부, 스몰렌스크현의 서쪽 절반, 체르니히우현의 북부, 즉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2. 1. 초기 기록
바실리 타티셰프는 1135년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하며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했다고 주장했다.[1]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는 페르시아인들이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로, 국가를 "Ak-Urus"(백 로스)로 불렀으며,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시대의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령을 '백 로스'로 지칭했다고 기록했다.[2]14세기 후반,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했다고 노래했다. 그러나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3]
세계 프라 마우로 지도(1459)에서는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를 백 러시아(Rossia Biancha)라고 불렀다.[4] 백 로스, 흑 로스, 적 로스 사이의 구별은 러시아의 백해 근처 부분이 백으로, 흑강 근처 부분이 흑으로, 적강 근처 부분이 적으로 불린다는 것 외에는 다른 이유가 없다고 설명되어 있다.[4]
이 이름은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 등 다양한 형태로 고대 지도에 나타났으며, 현재 벨라루스와는 상당히 떨어진 영토에도 지정되었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에 따르면, '백 (Baltalt) 러시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에 주어졌으며, 크리비치족, 폴로찬족, 드레고비치족, 드레블리안족, 둘레베스족의 고대 영토를 포함했다.[5] 민족-종교적 이론에 따르면, 이 이름은 초기 기독교화된 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의 구 루테니아 지역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교도 발트족이 거주했던 흑 러시아와는 대조적이다.[6]
역사학자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는 스스로 "벨라루스인"이라고 부른 최초의 인물이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 (Solomo Pantherus Leucorussus, ca 1569-1626)였다고 언급했다.[7]
프랑스 지도 제작자 앙리 샤텔랭의 1712년 지도에서 "Russie noire"(흑 루테니아)는 적 루테니아로 알려진 동부 갈리시아 (오늘날 서부 우크라이나) 지역에 위치해 있다.
바스머 사전은 도모스트로이에서 "백" 토지와 "과세" 토지의 이분법을 언급하고 "백" 루스인이 키예프 루스에서 골든 호드에 정복되지 않은 부분을 지칭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바스머는 백 루테니아인의 옷 색깔이나 머리카락 색깔이 그 이름에 기여했을 수 있다는 추측도 제시하지만, 올레그 트루바초프는 두 가지 이론 모두 "완전한 환상"이라고 비판한다.
알렉산데르 구아니니의 책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은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으며,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던 첫 번째 부분은 ''백 루테니아''라고 불렸다고 썼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은 ''백 차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여러 보이보드십 또는 여러 현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2. 2. 중세 시대
바실리 타티셰프는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1135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한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발견되었다고 믿었다.[1]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는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라고, 국가를 "Ak-Urus"(백 로스)라고 부른 페르시아인과 다른 동부 민족들을 언급하면서, 이 이름을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를 시작으로 모든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들에게 확장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를 "백 로스"라고 부르고, 공작들을 "백 러시아인" 또는 "백 러시아 대공"이라고 불렀다.[2]14세기 후반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가 지은 칭찬 노래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한 방식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3]
세계 프라 마우로 지도 (1459)에서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는 백 러시아(Rossia Biancha)라고 불린다. 이 지도는 백 로스, 흑 로스, 적 로스 사이의 구분에 대해 설명한다.[4]
이 이름은 고대 지도에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 등 다양한 변형으로 나타났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에 따르면, "백 (Baltalt) 러시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에 주어졌으며, 크리비치족, 폴로찬족, 드레고비치족, 드레블리안족, 둘레베스족의 고대 영토를 포함한다. 그로드노, 노보그로데크, 벨로스토크의 리투아니아 영토는 때때로 흑 러시아라고 불렸다.[5]
민족-종교적 이론에 따르면 이 이름은 초기 기독교화된 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의 구 루테니아 지역 부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주로 이교도 발트족이 거주했던 흑 러시아와는 대조적이다.[6]
16세기 연대기 작가 알렉산데르 구아니니는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에서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썼다. 첫 번째 부분은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백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두 번째는 폴란드 왕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흑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그리고 나머지는 ''적 루테니아''였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은 특히 그의 신하들에 의해 ''백 차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2. 3. 다양한 명칭
바실리 타티셰프는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1135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한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1] 그는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의 저작물을 언급하며,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라고, 국가를 "Ak-Urus"(백 로스)라고 부른 페르시아인과 다른 동부 민족들을 언급하면서, 이 이름을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를 시작으로 모든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들에게 확장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를 "백 로스"라고 부르고, 공작들을 "백 러시아인" 또는 "백 러시아 대공"이라고 불렀다고 주장했다.[2]14세기 후반에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가 지은 칭찬 노래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Eysenburk"는 시에서)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한 방식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3]
세계 프라 마우로 지도(1459)에서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는 백 러시아(Rossia Biancha)라고 불린다. 이 지도는 백 로스, 흑 로스, 적 로스 사이의 구별이 러시아의 백해 근처 부분이 백으로 불리고, 흑강 근처 부분이 흑으로 불리고, 적강 근처 부분이 적으로 불린다는 것 외에는 다른 이유가 없다고 설명한다.[4]
고대 지도에는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 등 다양한 명칭이 나타났다. 이 명칭들은 현재 벨라루스와는 상당히 떨어진 다양한 영토에도 사용되었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에 따르면, "백 (Baltalt) 러시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에 주어졌으며, 이들은 크리비치족, 폴로찬족, 드레고비치족, 드레블리안족, 둘레베스족의 고대 영토로, 현재 비테브스크현, 모길레프현, 민스크현을 형성하고 있다. 그로드노, 노보그로데크, 벨로스토크의 리투아니아 영토는 때때로 흑 러시아라고 불렸다.[5] 민족-종교적 이론에 따르면 이 이름은 초기 기독교화된 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의 구 루테니아 지역 부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주로 이교도 발트족이 거주했던 흑 러시아와는 대조적이다.[6]
프랑스 지도 제작자 앙리 샤텔랭의 1712년 지도에서 "Russie noire"(흑 루테니아)는 전통적으로 "Russie rouge"(적 루테니아)로 알려진 동부 갈리시아(오늘날 서부 우크라이나) 지역에 위치해 있다.
역사학자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가 언급했듯이, 스스로 "벨라루스인"이라고 부른 최초의 인물은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Solomo Pantherus Leucorussus, ca 1569-1626)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그는 "숲과 동물이 풍부한 루테니아에서 춥고 춥고 혹독한 모스크바 국경 근처"에서 태어났으며 알트도르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7]
바스머 사전은 도모스트로이에서 "백" 토지와 "과세" 토지의 이분법을 언급하고 "백" 루스인이 키예프 루스에서 골든 호드에 정복되지 않은 부분을 지칭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바스머의 또 다른 추측은 백 루테니아인의 옷 색깔 (아마도 머리카락 색깔과 함께)이 그 이름에 기여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16세기 연대기 작가 알렉산데르 구아니니의 책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은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썼다. 첫 번째 부분은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백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두 번째는 폴란드 왕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흑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그리고 나머지는 ''적 루테니아''였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은 특히 그의 신하들에 의해 ''백 차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19세기 후반의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민스크 보이보드십, 므스티슬라우 보이보드십, 폴로츠크 보이보드십,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 비테브스크 보이보드십 (폴란드 분할 전), 또는 모길레프현, 민스크현 및 비테브스크현의 동부, 스몰렌스크현의 서쪽 절반, 체르니히우현의 북부, 즉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오늘날 그렇게 정의된 지역의 가장 큰 도시는 민스크, 고멜, 비테브스크, 모길레프, 스몰렌스크 및 바브루이스크이다.
2. 4.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
바실리 타티셰프는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1135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한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발견되었다고 믿었다.[1]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는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라고, 국가를 "Ak-Urus"(백 로스)라고 부른 페르시아인과 다른 동부 민족들을 언급하면서, 역사가인 그는 이 이름을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를 시작으로 모든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들에게 확장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를 "백 로스"라고 부르고, 공작들을 "백 러시아인" 또는 "백 러시아 대공"이라고 불렀다.[2]14세기 후반에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가 지은 칭찬 노래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한 방식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3]
세계 프라 마우로 지도 (1459)에서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는 백 러시아(Rossia Biancha)라고 불린다.[4]
이 이름의 많은 다른 변형이 고대 지도에 나타났다. 예를 들어,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 이 이름은 현재 벨라루스와는 상당히 떨어진 다양한 영토에도 지정되었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에 따르면, "백 러시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에 주어졌으며, 이들은 크리비치족, 폴로찬족, 드레고비치족, 드레블리안족, 둘레베스족의 고대 영토였다.[5] 민족-종교적 이론에 따르면 이 이름은 초기 기독교화된 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의 구 루테니아 지역 부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주로 이교도 발트족이 거주했던 흑 러시아와는 대조적이다.[6]
역사학자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가 언급했듯이, 스스로 "벨라루스인"이라고 부른 최초의 인물은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였다.[7]
바스머 사전은 도모스트로이에서 "백" 토지와 "과세" 토지의 이분법을 언급하고 "백" 루스인이 키예프 루스에서 골든 호드에 정복되지 않은 부분을 지칭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바스머의 또 다른 추측은 백 루테니아인의 옷 색깔 (아마도 머리카락 색깔과 함께)이 그 이름에 기여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16세기 연대기 작가 알렉산데르 구아니니의 책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은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썼다. 첫 번째 부분은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백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은 특히 그의 신하들에 의해 ''백 차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19세기 후반의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여러 지역, 또는 모길레프현, 민스크현 및 비테브스크현의 동부, 스몰렌스크현의 서쪽 절반, 체르니히우현의 북부, 즉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오늘날 그렇게 정의된 지역의 가장 큰 도시는 민스크, 고멜, 비테브스크, 모길레프, 스몰렌스크 및 바브루이스크이다.
2. 5. 근대
바실리 타티셰프는 "백러시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1135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한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1]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에 따르면,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라고, 국가를 "Ak-Urus"(백 로스)라고 부른 페르시아인과 다른 동부 민족들을 언급하면서, 역사가인 그는 이 이름을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를 시작으로 모든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들에게 확장했다. 그는 또한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를 "백 로스"라고 부르고, 공작들을 "백 러시아인" 또는 "백 러시아 대공"이라고 불렀다.[2]14세기 후반에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가 지은 칭찬 노래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한 방식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3]
세계 프라 마우로 지도 (1459)에서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는 백 러시아(Rossia Biancha)라고 불린다.[4]
이 이름의 많은 다른 변형이 고대 지도에 나타났다. 예를 들어,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등이 있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에 따르면:
''백 () 러시아''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에 주어졌다.
역사학자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가 언급했듯이, 스스로 "벨라루스인"이라고 부른 최초의 인물은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였다.[7]
1712년 프랑스 지도 제작자 앙리 샤텔랭의 지도에서 "Russie noire"(흑 루테니아)는 전통적으로 "Russie rouge"(적 루테니아)로 알려진 동부 갈리시아 지역에 위치해 있다.
도모스트로이에서 "백" 토지와 "과세" 토지의 이분법을 언급하고 "백" 루스인이 키예프 루스에서 골든 호드에 정복되지 않은 부분을 지칭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알렉산데르 구아니니의 책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은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썼다. 첫 번째 부분은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백 루테니아''라고 불렸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은 특히 그의 신하들에 의해 ''백 차르''라고 불렸다.
19세기 후반의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여러 지역 또는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2. 6. 19세기 후반
19세기 후반의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민스크 보이보드십, 므스티슬라우 보이보드십, 폴로츠크 보이보드십,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 비테브스크 보이보드십 (폴란드 분할 전), 또는 모길레프현, 민스크현 및 비테브스크현의 동부, 스몰렌스크현의 서쪽 절반, 체르니히우현의 북부, 즉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오늘날 그렇게 정의된 지역의 가장 큰 도시는 민스크, 고멜, 비테브스크, 모길레프, 스몰렌스크 및 바브루이스크이다.[8]3. 추가 논의
3. 1. 명칭 논쟁과 현대적 의미
"백러시아"라는 명칭은 다양한 해석과 논쟁의 대상이었다.[1] 바실리 타티셰프는 이 용어가 1135년 로스토프 연대기에서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영토를 언급하며 처음 등장했다고 보았다.[1] 마치에이 스트르지코프스키에 따르면, 페르시아인과 다른 동부 민족들은 러시아 공작들을 "ak-padishah"(백 차르), 국가를 "Ak-Urus"(백 로스)라고 불렀으며, 이는 유리 돌고루키와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를 포함한 모든 블라디미르-로스토프 공작들에게 확장되었다.[2]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는 "백 로스", 공작들은 "백 러시아인" 또는 "백 러시아 대공"이라고 불렸다.[2]14세기 후반, 오스트리아 시인 페터 수헨비르트는 1349년 이즈보르스크 전투에서 독일 기사들이 "Weizzen Reuzzen"(백 러시아인)과 대결했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의 보예보다인 게오르기 빅토로비치의 지휘를 받는 프스코프와 이즈보르스크 사람들이었다.[3]
1459년 프라 마우로 지도에서는 볼가강과 백해 사이의 노브고로드-모스크바 로스의 영토가 백 러시아(Rossia Biancha)로 표시되었다.[4] 지도에는 백 로스, 흑 로스, 적 로스의 구분이 러시아의 백해, 흑강, 적강 근처 지역을 각각 지칭한다는 설명이 덧붙여졌다.[4]
이 명칭은 ''Russia Alba, Russija Alba, Wit Rusland, Weiß Reußen (Weißreußen), White Russia, Hviterussland, Hvíta Rússland, Weiß Russland (Weißrussland), Ruthenia Alba, Ruthénie Blanche'' 및 ''Weiß Ruthenien (Weißruthenien)'' 등 다양한 형태로 고대 지도에 나타났으며, 현재 벨라루스와는 상당히 떨어진 지역에도 사용되었다.
알프레드 니콜라스 람보는 "백 () 러시아"라는 이름이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정복된 지방, 즉 크리비치족, 폴로찬족, 드레고비치족, 드레블리안족, 둘레베스족의 고대 영토에 주어졌다고 설명했다.[5] 이 지역은 현재 비테브스크현, 모길레프현, 민스크현을 포함하며, 그로드노, 노보그로데크, 벨로스토크의 리투아니아 영토는 때때로 흑 러시아라고 불렸다.[5]
민족-종교적 이론에 따르면, 이 명칭은 초기 기독교화된 슬라브족이 주로 거주했던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의 구 루테니아 지역을 지칭하며, 주로 이교도 발트족이 거주했던 흑 러시아와 대조된다.[6]
역사학자 안드레이 코틀랴르추크는 "벨라루스인"이라고 스스로를 칭한 최초의 인물이 칼뱅주의 작가 살로몬 리신스키 (Solomo Pantherus Leucorussus, ca 1569-1626)였다고 언급했다.[7]
바스머 사전은 도모스트로이에서 "백" 토지와 "과세" 토지의 구분을 언급하며, "백" 루스인이 키예프 루스에서 골든 호드에 정복되지 않은 부분을 지칭했을 수 있다고 추측한다. 또한 백 루테니아인의 옷 색깔(아마도 머리카락 색깔)이 명칭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고 추측했지만, 올레그 트루바초프는 두 이론 모두 "완전한 환상"이라고 평가했다.
16세기 연대기 작가 알렉산데르 구아니니는 ''사르마티아 유럽 설명''에서 루스, 러시아 및 루테니아의 이름이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고 썼다. 모스크바 대공의 통치하에 있던 ''백 루테니아'', 폴란드 왕의 통치하에 있던 ''흑 루테니아'', 그리고 ''적 루테니아''였다. 그는 또한 모스크바가 백 로스의 중심이자 러시아 수도 대교구이며, 모스크바 대공이 신하들에 의해 ''백 차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19세기 후반 ''폴란드 왕국 지리 사전''에 따르면, 백 루테니아(Ruś Biała)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민스크 보이보드십, 므스티슬라우 보이보드십, 폴로츠크 보이보드십, 스몰렌스크 보이보드십, 비테브스크 보이보드십 (폴란드 분할 전), 또는 모길레프현, 민스크현 및 비테브스크현의 동부, 스몰렌스크현의 서쪽 절반, 체르니히우현의 북부, 즉 현대 벨라루스의 중앙, 북부 및 동부 지역, 그리고 스몰렌스크와 스타로두프를 포함한 현대 러시아의 서쪽 외곽을 구성했다.[8]
3. 2.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Russian History, book II
https://runivers.ru/[...]
1773
[2]
간행물
Russian History, book I, part II, chapter 47
https://runivers.ru/[...]
1769
[3]
서적
Peter Suchenwirt's Werke aus dem vierzehnten Jahrhunderte. 1827
https://books.google[...]
1827
[4]
웹사이트
Website of the National Library of St. Mark in Venice
https://web.archive.[...]
2016-03-27
[5]
서적
History of Russia
https://en.wikisourc[...]
2021-08-31
[6]
문서
Аб паходжанні назваў Белая і Чорная Русь
1956
[7]
웹사이트
The Orthodoxy in the Grand Duchy of Lithuania and Protestants of Belarus
https://belreform.or[...]
2024-08-19
[8]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I
[9]
웹인용
White Russia
https://en.oxforddic[...]
Oxforddictionaries.com
2013
[10]
웹인용
White Russian
https://en.oxforddic[...]
Oxforddictionaries.com
2017
[11]
웹인용
untitled
https://starlingdb.o[...]
[12]
서적
History of Russia
https://en.wikisourc[...]
2021-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