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어먼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어먼초과는 작고 엽록소가 없어 균류에 의존하는 균종속영양 식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는 온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꽃은 작고, 종자는 매우 많으며, 1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이 없는 경우도 있다. 버어먼초과는 20속 13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는 4속 11종이 자생한다. 이 과는 1830년 존 린들리에 의해 Burmanniae로 명명되었으며, APG 분류 체계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졌다. 한국에서는 4속 11종이 자생하며, 대부분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분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버어먼초과의 균류 영양 생활 방식은 6번 이상 독립적으로 진화했으며, 후기 백악기에 나타나 백악기-고생대 경계 이후에도 다양화가 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7년 기재된 식물 - 도금양아과
    도금양아과는 도금양과에 속하는 아과로, 도금양아과와 프실록실론아과의 두 아과로 분류되며, 1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7년 기재된 식물 - 연꽃과
    연꽃과는 연꽃속과 멸종된 여러 속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현존하는 연꽃속은 아시아 원산의 연꽃과 북미 원산의 미국연꽃 두 종으로 나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버어먼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버어먼초과의 분포
버어먼초과의 분포
분류 정보
학명Burmanniaceae
명명자Blume
하위 분류본문 참조
이명Burmanniae
과 정보
히나노샤크조우과
영명Burmanniaceae
타입 속Burmannia
타입 속 명명자L.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마목
기타
화석 범위후기 백악기 - 현재

2. 특징

버어먼초과는 작고, 대부분 엽록소가 없어 균류에 의존하여 영양분을 얻는 균종속영양식물이다.[1] 꽃은 작고, 꽃잎은 하부가 유착되어 있으며 끝은 3개 또는 6개로 갈라진다. 수술꽃잎에 유착되어 있다. 종자는 작고, 수가 매우 많다. 엽록소를 가진 종은 로제트 모양의 작은 잎을 낸다.[3]

3. 분포 및 서식지

이 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다수의 종들이 위협받고 있다.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는 온대 지역까지 널리 퍼져 있다. 숲이나 습지에 자생한다. 약 20속 130종 정도가 있다.

일본에는 4속 11종이 알려져 있다. 히나노샤쿠조우속에서는, 본토에서는 시로샤쿠조우가 긴키 이남, 키리시마쇼쿠조우가 규슈 이남에서 발견되며, 나머지는 그 이남에서 열대에 분포한다. 다른 3속의 종들은, 각각 현재로서는 일본 고유종이다. 시코쿠에 있는 도쿠시마현 나카초의 타누키노쇼쿠다이의 생육지는 국가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모두 숲의 낙엽 사이에서 겨우 모습을 드러내는 소형 식물로, 광합성을 전혀 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흰색을 띤다. 일본산 중에서는 미도리샤쿠조우만이 예외적인 존재로, 습한 초지에 나타나 높이 20cm에 달하는 초본이며, 녹색의 근생엽과 잎을 가지고 있다. 이리오모테섬에서 산출되며, 인도차이나반도, 말레이시아 등까지 분포하지만, 이리오모테섬에서는 멸종되었다고 여겨진다.

4. 분류

존 린들리는 1830년에 버어먼초속(''Burmannia'') 하나만을 포함하는 과를 Burmanniae로 명명했다.[1] 1998년 APG I 시스템은 버어먼초과를 단자엽식물 분류군 내 디오스코레아목의 5개 과 중 하나로 분류했다.[2] 2003년 APG II 시스템은 세 개의 유전자(''rbcL'', ''atp''B 및 18S 리보솜 RNA) 분석과 형태학적 기준을 사용하여 디오스코레아목 내 과들을 재배열하면서, 티스미아과에 속하는 식물을 포함시켜 분류 범위를 넓혔다.[3] APG III 시스템(2009)은 이러한 배열을 변경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에 이의를 제기하며, 이전의 분류가 속 간의 진화적 관계를 더 잘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PG IV(2016)에서는 가장 최근의 증거가 APG 구성과 캐딕과 동료들의 연구를 지지하기 때문에 목의 재구성을 제안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판단했다.

버어먼초과는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는 온대 지역까지 널리 퍼져 있다. 숲이나 습지에 자생하며 약 20속 130종 정도가 있다.

일본에는 4속 11종이 알려져 있다. 히나노샤쿠조우속은 긴키 이남, 키리시마샤쿠조우는 규슈 이남에서 발견되며, 나머지는 그 이남에서 열대에 분포한다. 다른 3속은 현재 일본 고유종이다. 도쿠시마현 나카초의 타누키노쇼쿠다이 생육지는 국가지정 천연기념물이다. 모두 숲의 낙엽 사이에서 겨우 모습을 드러내는 소형 식물로, 광합성을 전혀 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흰색을 띤다. 미도리샤쿠조우만이 예외적으로 습한 초지에 나타나 높이 20cm에 달하는 초본이며, 녹색의 근생엽과 잎을 가지고 있다. 이리오모테섬에서 산출되며, 인도차이나반도, 말레이시아 등까지 분포하지만, 이리오모테섬에서는 멸종되었다고 여겨진다.

일본에 분포하는 버어먼초과의 식물
분포 지역
히나노샤쿠조우속히나노샤쿠조우열대 전역
시로샤쿠조우긴키 이남
키리시마샤쿠조우규슈 이남
루리샤쿠조우일본 고유종
미도리샤쿠조우이리오모테섬(멸종), 인도차이나반도, 말레이시아
짐노시폰속열대 전역
아프로티스미아속아프리카
타누키노쇼쿠다이속타누키노쇼쿠다이일본 고유종
키리시마타누키노쇼쿠다이일본 고유종
고베타누키노쇼쿠다이[4]일본 고유종
Haplothismia
히나노본보리속호시자키샤쿠조우일본 고유종
야쿠노히나호시일본 고유종
Tiputinia
무지나노쇼쿠다이속무지나노쇼쿠다이[6]일본 고유종


4. 1. 하위 분류

다음은 버어먼초과(''sensu stricto'')에 속하는 속들이다.

  • ''Apteria''
  • ''Burmannia''
  • ''Campylosiphon''
  • ''Cymbocarpa''
  • ''Dictyostega''
  • ''Gymnosiphon''
  • ''Hexapterella''
  • ''Marthella''
  • ''Mierisella''


'''''Afrothismia''''' 분류군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 ''Afrothismia''


'''Thismieae''' 족에 속하는 속들은 다음과 같다.

  • ''Haplothismia''
  • ''Oxygyne''
  • ''Thismia''
  • ''Tiputinia''

5. 한국의 버어먼초과

한국에는 4속 11종의 버어먼초과 식물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나노샤쿠조우속, 짐노시폰속, 타누키노쇼쿠다이속, 히나노본보리속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대부분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특히 타누키노쇼쿠다이(''Thismia abei'')는 일본에서 처음 발견된 후 한국에서도 발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4]

일본에는 4속 11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 미도리샤쿠조우(''Burmannia coelestris'')는 이리오모테섬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도리샤쿠조우는 습한 초지에 자라며 높이 20cm에 달하는 초본으로, 녹색 잎을 가지고 있어 다른 버어먼초과 식물들과 구별된다.

주요 종특징분포
히나노샤쿠조우속(Burmannia)히나노샤쿠조우, 시로샤쿠조우, 키리시마쇼쿠조우, 루리샤쿠조우, 미도리샤쿠조우시로샤쿠조우는 긴키 이남, 키리시마쇼쿠조우는 규슈 이남에서 발견. 미도리샤쿠조우는 이리오모테섬에서 멸종 추정.열대 전역, 일부 온대
짐노시폰속(Gymnosiphon)| 열대 전역
타누키노쇼쿠다이속(Thismia)타누키노쇼쿠다이, 키리시마타누키노쇼쿠다이, 고베타누키노쇼쿠다이타누키노쇼쿠다이 생육지는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히나노본보리속(Oxygyne)호시자키샤쿠조우, 야쿠노히나호시|


6. 진화

분자 분석에 따르면, 버어먼초과의 균류 영양 생활 방식은 여러 번 독립적으로 진화했다.[1] 이 과의 세 분류군에서 6번(또는 그 이상)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아프로티스미아''(Afrothismia)와 티스미아족은 독립영양에서 균류 영양으로의 전환의 두 가지 사례를 나타내며, 부르마니아과 ''센수 스트릭토''(sensu stricto)는 나머지 4번의 전환이 일어난 분류군이다. 이 과는 후기 백악기에 나타났지만, 더 많은 다양화와 전형적인 습성으로의 전환은 같은 기간 후반에 발생했으며, K-T 경계 이후 고생대에도 지속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genera of Burmanniaceae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1983
[2] 서적 ヒナノシャクジョウ
[3] 서적 ヒナノシャクジョウ科
[4] 웹사이트 絶滅種の光合成をやめた植物を30年ぶりに再発見 ―妖精のランプ「タヌキノショクダイ」の謎に包まれた進化史に重要な示唆― https://www.kobe-u.a[...] 神戸大学 2023-02-28
[5] 웹사이트 ヒナノシャクジョウ科 コウベタヌキノショクダイ https://www.kankyo.p[...] 兵庫県環境部水大気課審査情報班 2023-02-28
[6] 웹사이트 約1世紀ぶりの快挙! 新属新種の植物「ムジナノショクダイ」を発見 https://www.kobe-u.a[...] 2024-03-01
[7] 간행물 Enumeratio Plantarum Jav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