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과는 대부분 한해살이 덩굴식물이지만, 일부는 목질 덩굴나무, 관목 또는 교목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거나 겹잎 형태이며, 꽃은 단성화이고, 열매는 장과의 일종인 페포이다. 오이, 수박, 호박 등 채소나 과일로 재배되며, 쿠클루비타신이라는 쓴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분자계통유전학 연구를 통해 15개의 족으로 분류되며, 곰포기네족, 트리케라티아족, 자노니아족, 뚜껑덩굴족, 인도페빌레아족, 왕과족, 나한과족, 여주족, 욜리피아족, 브리오니아족, 산외족, 가시박족, 코니안드라족, 동아족, 호박족으로 나뉜다. 고구마흰가루이는 박과 바이러스의 매개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과 - 외 (열매)
    외(열매)는 참외, 수박, 멜론 등 박과 식물의 열매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멜론은 서남아시아 기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참외가 재배되었으며, 수분, 칼륨, 비타민 C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한다.
  • 1789년 기재된 분류군 - 유칼립투스속
    유칼립투스속은 도금양과의 속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700종이 넘는 종을 포함하며, 독특한 꽃과 열매를 가지고 빠르게 성장하여 목재로 가치가 높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과
    진달래과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초본, 관목, 교목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 큰 과로, APG 분류 체계에서는 녹나무과, 에파크리스과 등을 포함하여 재분류되었고, 산성 토양에서 자라며 에리코이드균근을 형성하고,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거나 원예에서 널리 활용되지만 일부는 독성을 지니고 있다.
박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과 정보
학명Cucurbitaceae
명명자Juss.
로마자 표기kjukʰɘːrbɪˈteɪsiːˌiː
타입 속호박속
타입 속 명명자L.
화석 범위초기 팔레오세부터 현세,
영명Gourd family
분류 체계
식물계
속씨식물
진정쌍떡잎식물군
아강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하강장미군
소강마메군
박목
우리과
하위 분류
아마차즈루연
자노니아연
고키즈루연
오오스즈메우릴연
라칸카연
츠루레이시연
미야마니가우릴연
알레치우릴연
토우간연
카보차연
설명
Hodgsonia 수컷 식물
페포호박(Cucurbita pepo)
참고자료Cucurbits
Cucurbitaceae
Cucurbitaceae

2. 특징

박과 식물은 대부분 한해살이풀 덩굴식물이지만, 일부는 목질의 덩굴나무, 가시가 있는 관목 또는 교목(''Dendrosicyos'')이다. 많은 종들이 크고 노란색 또는 흰색의 꽃을 피운다. 줄기에는 털이 나 있으며 오각형이다. 덩굴손은 마디에서 잎 엽병에 대해 90° 각도로 나 있다. 잎은 탁엽이 없고, 어긋나며, 단순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거나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꽃은 단성화이며, 수꽃과 암꽃이 다른 식물에 있는 경우(암수딴그루) 또는 같은 식물에 있는 경우(암수한그루)가 있다. 암꽃에는 하위자방이 있다. 열매는 종종 장과의 일종인 페포이다.

밤에 촬영한 박과 식물의 꽃


대부분이 덩굴성 초본으로 구성된다. 박과 식물의 대부분은 열대에 분포하며,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작물들을 포함한다. 오이, 수박, 호박, 애호박, 표주박, 수세미오이, 동아, 여주, 박, 여주(쓴멜론, 고야), 멜론 등 많은 종이 예로부터 채소 또는 과일로 재배되어 왔다. 또한, 로한과, 까마귀오이 등 과실이나 괴근을 생약으로 이용되는 종도 있다.

쿠클루비타신은 박과 식물에 특유한 스테로이드의 일종이며, 트리테르펜에 속한다. 오이, 멜론, 수박 등의 꼭지 부근에 함유된 쓴맛 성분이다. 특히 여주(쓴멜론, 고야)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모르데시친과 함께 강렬한 쓴맛의 원인이 된다.

3. 분류

분자계통유전학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제시한다.[8][10][11][12][13][14]

전통적으로 박과(Cucurbitaceae)는 박아과(Cucurbitoideae)와 자노니아아과(Zanonioideae) 또는 난디로보아과(Nhandiroboideae)의 두 아과로 나뉘었다. 그러나 난디로보아과는 부적절한 명칭이며, 자노니아아과는 페빌로이데아과(Fevilleoideae)의 동의어라는 지적이 있다.[17] 과거 130속 중 박아과에 111속, 자노니아아과에 19속이 포함되어 있었다.[18] 하지만 이 분류는 계통적으로 정확하지 않으며, 이를 대체할 아과 분류는 수립되지 않았다.[18][17]

전통적으로 8~9연으로 나뉘어 왔지만, 계통적인 15연으로 재편되었다.[17]

학명기재자한국어 명칭속수종수과거 아과
1 & }}아마차즈루족6속56종자노니아아과
25속24종
3 & 자노니아족4속11–13종
4 & 고키즈루족1속3종
5 & 1속1종박아과
6 & 오오스즈메우리족2속35종
7 & 라칸카족1속3–4종
8 & 츠루레이시족1속60종
93속10종
103속15종
11미야마니가우리족2속9–10종
12알레치우리족12속264–266종
1319속147–156종
14토우간족24속204–214종
15박족11속100–111종



이 표는 원시적인 족부터 진화적인 족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지만, 일부 분기 순서는 불확실하다.

과(科), 각 과의 속(屬), 각 속의 종(種) 수는 Schaefer & Renner (2011)[17]에 따른다. 총 95속 942~978종이 알려져 있다[17].

3. 1. 곰포기네족 (Gomphogyneae)

곰포기네족(Gomphogyneae)은 Benth. & Hook.f.가 명명한 박과의 족이다.[25] 곰포기네족에는 돌외속(''Gynostemma'' Blume), ''Alsomitra'' (Blume) Spach, ''Bayabusua'' W.J.de Wilde, ''Gomphogyne'' Griff., ''Hemsleya'' Cogn. ex F.B.Forbes & Hemsl., ''Neoalsomitra'' Hutch. 등이 속한다.[25]

최근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곰포기네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보인다.[8][10][11][12][13][14]

:''Alsomitra''

:*''Bayabusua''

::*''Hemsleya''

::*''Gomphogyne''

:::*''Gynostemma''

:::*''Neoalsomitra''

3. 2. 트리케라티아족 (Triceratieae)

트리케라티아족(Triceratieae)은 A.Rich.가 명명한 박과의 한 족이다.[37]

가장 최근의 박과 분류에는 15개의 족이 포함되어 있으며,[8][9] 트리케라티아족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

  • 키클란테롭시스속/Cyclantheropsisla Harms (3종)
  • 페빌레아속/Fevilleala L. (8종)
  • 프테로페폰속/Pteropeponla (Cogn.) Cogn. (5종)
  • 시키디움속/Sicydiumla Schltdl. (9종)


최근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트리케라티아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가진다.[8][10][11][12][13][14]

페빌레아속/Fevilleala이 먼저 분기하고, 그 다음 프테로페폰속/Pteropeponla이 분기하며, 키클란테롭시스속/Cyclantheropsisla와 시키디움속/Sicydiumla은 자매군 관계를 이룬다.

3. 3. 자노니아족 (Zanonieae)

자노니아족(Zanonieae)은 벤섬과 후커가 명명한 박과의 한 족이다.[35] 자노니아족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속한다:[35]

  • 게라르단투스속/Gerrardanthusla (''Gerrardanthus'') 3~5종
  • 시올마트라속/Siolmatrala (''Siolmatra'') 1종
  • 제로시키오스속/Xerosicyosla (''Xerosicyos'') 5종
  • 자노니아속/Zanoniala (''Zanonia'') 1종


3. 4. 뚜껑덩굴족 (Actinostemmateae)

뚜껑덩굴족(Actinostemmateae)은 박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28] 뚜껑덩굴속(''Actinostemma'')과 ''Bolbostemma''의 두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28]

  • 뚜껑덩굴속(''Actinostemma'')
  • ''Bolbostemma''

3. 5. 인도페빌레아족 (Indofevilleeae)

인도페빌레아족(Indofevilleeae)은 박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34] 인도페빌레아족에는 인도페빌레아속(Indofevillea) 1종이 있다.[34]

3. 6. 왕과족 (Thladiantheae)

왕과족(Thladiantheae)은 박과에 속하는 식물 족의 하나이다.[32] 왕과족은 왕과속(Thladiantha Bunge)을 포함하여, ''Baijiania'', ''Sinobaijiania''의 속을 포함한다.[32]

큰열매덩굴속(オオスズメウリ属)은 약 30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aijiania''는 5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Sinobaijiania''도 포함하고 있다.

3. 7. 나한과족 (Siraitieae)

나한과족(Siraitieae)은 H.Schaef.와 S.S.Renner가 명명한 박과의 한 족이다.[26] 나한과족에는 나한과속(''Siraitia'' Merr.)이 속해 있다.[26]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나한과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보인다.

나한과족은 나한과속(Siraitia) 단일 속으로 구성되며, 3~4개의 종을 포함한다.

  • 라칸카(Siraitia grosvenorii)


3. 8. 여주족 (Momordiceae)

여주족(Momordiceae)은 박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31] 여주족에는 여주속(''Momordica'') 식물들이 속하며, 약 60여 종이 알려져 있다.[8][9] 대표적인 식물로는 여주(쓰루레이시)(ツルレイシ일본어, ''Momordica charantia'')가 있다.[31]

3. 9. 욜리피아족 (Joliffieae)

욜리피아족(Joliffieae)은 박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 중 하나이다.[33]

최근의 박과 분류에는 15개의 족이 있는데, 욜리피아족도 그 중 하나이다.[8][9] 욜리피아족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

  • 암펠로시키오스속(''Ampelosicyos'')
  • 코그니오키시아속(''Cogniauxia'')
  • 텔파이리아속(''Telfairia'')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욜리피아족은 모모르디카족(Momordiceae)과 자매군이며, 이 둘은 다시 나한과족(Siraitieae)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이들은 브리오니아족(Bryonieae), 산외족(Schizopeponeae), 가시박족(Sicyoeae), 동아족(Benincaseae), 호박족(Cucurbiteae), 코니안드라족(Coniandreae)을 포함하는 큰 분기군 내에 위치한다.[8][10][11][12][13][14]

3. 10. 브리오니아족 (Bryonieae)

브리오니아족(Bryonieae)은 박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29]

  • Austrobryoniala - 4종.
  • Bryoniala 브리오니아속(Bryonia) - 10종. 녹색을 띤 흰색 꽃이 송이 모양으로 핀다. 잎이 5갈래로 갈라진 둥근 큰 형태를 한 덩굴성 식물이다.[19]
  • Ecballiumla 박격포오이속(Ecballium) - 1종.


최근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브리오니아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가진다.[8][10][11][12][13][14]

{{clade

|1={{clade

|1={{clade

|1=''Ecballium''

|2=''Bryonia''

}}

|2=''Austrobryonia''

}}

}}

3. 11. 산외족 (Schizopeponeae)

산외족(Schizopeponeae)은 C.Jeffrey가 분류한 박과의 한 족이다.[30] 산외족에는 산외속과 헤르페토스페르뭄속이 속한다.[30]

  • 산외속(''Schizopepon'' Maxim.)
  • ''Herpetospermum'' Wall. ex Benth. & Hook.f.


최근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산외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보인다.[8][10][11][12][13][14]

{{Clade

|1=''Schizopepon''

|2=''Herpetospermum''

}}

미야마니가우리속 (''Schizopepon'')은 6~8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르페토스페르뭄속(''Herpetospermum'')은 3종으로 에드가리아(''Edgaria'')와 비스와레아(''Biswarea'')를 포함한다.

3. 12. 가시박족 (Sicyoeae)

가시박족(Sicyoeae)은 슈라더가 명명한 박과의 한 족이다.[24] 가시박족에는 가시박속, 수세미오이속, 하늘타리속 등이 속한다.

  • 가시박속( ''Sicyos'' L.)
  • 수세미오이속( ''Luffa'' Mill.)
  • 하늘타리속( ''Trichosanthes'' L.)
  • ''Brandegea'' Cogn.
  • ''Cyclanthera'' Schrad.
  • ''Echinocystis'' Torr. & A.Gray
  • ''Echinopepon'' Naudin
  • ''Hanburia'' Seem.
  • ''Hodgsonia'' Hook.f. & Thomson
  • ''Linnaeosicyos'' H.Schaef. & Kocyan
  • ''Marah'' Kellogg
  • ''Microsechium'' Naudin
  • ''Nothoalsomitra'' I.Telford
  • ''Parasicyos'' Dieterle
  • ''Sechiopsis'' Naudin
  • ''Sicyocaulis'' Wiggins
  • ''Sicyosperma'' A.Gray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가시박족은 Bryonieae과 자매군이며,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보인다.

가시박족 내에서는 ''Nothoalsomitra''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Hodgsonia'', ''Echinocystis'', ''Marah'' 등이 차례로 분기되었다. ''Echinopepon'', ''Frantzia'', ''Cyclanthera'', ''Hanburia'', ''Sicyos''는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또한, ''Linnaeosicyos'', ''Luffa'', ''Trichosanthes''가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3. 13. 코니안드라족 (Coniandreae)

코니안드라족(Coniandreae)은 엔들리허가 분류한 박과의 한 족이다.[36]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코니안드라족은 다음과 같은 속들을 포함한다.[8][10][11][12][13][14]

  • 밤베케아속(''Bambekea'')[36]
  • 유레이안드라속(''Eureiandra'')[36]
  • 덴드로시키오스속(''Dendrosicyos'')[36]
  • 세이리기아속(''Seyrigia'')[36]
  • ''Trochomeriopsis''[36]
  • 할로시키오스속(''Halosicyos'')[36]
  • ''Cucurbitella''[36]
  • 코랄로카르푸스속(''Corallocarpus'')[36]
  • 케드로스티스속(''Kedrostis'')[36]
  • 케라토산테스속(''Ceratosanthes'')[36]
  • 도이에레아속(''Doyerea'')[36]
  • ''Gurania''[36]
  • ''Psiguria''[36]
  • ''Helmontia''[36]
  • ''Melotrianthus''
  • 윌브란디아속(''Wilbrandia'')[36]
  • 아포단테라속(''Apodanthera'')[36]
  • ''Tumamoca''
  • 이베르빌레아속(''Ibervillea'')[36]


3. 14. 동아족 (Benincaseae)

동아족(Benincaseae)은 세랭주가 명명한 박과의 한 족이다.[27] 동아족에는 동아속(Benincasa), 박속(Lagenaria), 새박속(Zehneria), 수박속(Citrullus), 오이속(Cucumis) 등이 속한다.[27]

최근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동아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갖는다.[8][10][11][12][13][14]

동아족에는 다음과 같은 속들이 속한다:

  • Acanthosicyosla 아칸토시키오스속(Acanthosicyos) - 1종
  • Benincasala 동아속(Benincasa) - 2종
  • Blastaniala 블라스타니아속(Blastania) - 3종
  • Borneosicyosla 보르네오시키오스속(Borneosicyos) - 1~2종
  • Cephalopentandrala 케팔로펜탄드라속(Cephalopentandra) - 1종
  • Citrullusla 수박속(Citrullus) - 4종
  • Cocciniala 코키니아속(Coccinia) - 30종
  • Cucumisla 오이속(Cucumis) - 65종
  • Dactyliandrala 닥틸리안드라속(Dactyliandra) - 2종
  • Diplocyclosla 오키나와쥐참외속(Diplocyclos) - 4종
  • Indomelothriala 인도멜로트리아속(Indomelothria) - 2종
  • Khmeriosicyosla 크메리오시키오스속(Khmeriosicyos) - 1종
  • Lagenariala 박속(Lagenaria) - 6종
  • Lemurosicyosla 레무로시키오스속(Lemurosicyos) - 1종
  • Melothriala 멜로트리아속(Melothria) - 12종
  • Muellerargiala 무엘레라르기아속(Muellerargia) - 2종
  • Oreosycela 오레오시케속(Oreosyce) - 1종
  • Papuasicyosla 파푸아시키오스속(Papuasicyos) - 8종
  • Peponiumla 페포니움속(Peponium) - 20종
  • Raphidiocystisla 라피디오시스티스속(Raphidiocystis) - 5종
  • Ruthaliciala 루탈리시아속(Ruthalicia) - 2종
  • Scopellariala 스코펠라리아속(Scopellaria) - 2종
  • Solenala 솔레나속(Solena) - 3종
  • Trochomeriala 트로코메리아속(Trochomeria) - 8종
  • Zehneriala 새박속(Zehneria) - 약 60종


멜론의 일종Cucumis melola var.la


3. 15. 호박족 (Cucurbiteae)

박과(Cucurbitaceae)의 최신 분류에는 15개의 족이 포함된다.[8][9] 그 중 호박족(Cucurbiteae)은 다음과 같은 속(genus)들을 포함한다.[38]

  • 호박속( ''Cucurbita'' L.)
  • ''Abobra'' Naudin
  • ''Calycophysum'' H.Karst. & Triana
  • ''Cayaponia'' Silva Manso
  • ''Cionosicys'' Griseb.
  • ''Hymenosicyos'' Chiov.
  • ''Penelopeia'' Urb.
  • ''Peponopsis'' Naudin
  • ''Polyclathra'' Bertol.
  • ''Schizocarpum'' Schrad.
  • ''Selysia'' Cogn.
  • ''Sicana'' Naudin
  • ''Tecunumania'' Standl. & Steyerm.


분자계통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호박족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가진다.

  • Polyclathra, Peponopsis, 호박속(''Cucurbita'')
  • Penelopeia, Calycophysum, Sicana
  • Tecunumania, Schizocarpum, Cionosicys, Abobra, Cayaponia


애호박 등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la


4. 병해충

고구마흰가루이(Sweet potato whitefly)는 미국 남부 전역에서 황변 증상을 유발하는 여러 가지 박과 바이러스(cucurbit virus)의 매개체이다.[15]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Linnean Society of London
[2] 사전 Cucurbitaceae
[3]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4] 웹사이트 Cucurbitaceae Juss. https://powo.science[...] 2024-06-10
[5] 웹사이트 Cucurbits http://www.hort.purd[...] Purdue University 2013-08-26
[6] 백과사전 Cucurbitaceae https://web.archive.[...] Merriam-Webster 2016-07-25
[7] 간행물 Revisions to Roland Brown's North American Paleocene Flora Acta Musei Nationalis Pragae, Series B – Historia Naturalis
[8]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Cucurbitales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ourd family (Cucurbitaceae)
[9] 논문 Phylogenetics of Cucumis (Cucurbitaceae): Cucumber (C. sativus) belongs in an Asian/Australian clade far from melon (C. melo)
[10] 논문 Phylogeny of the Cucurbitales based on DNA sequences of nine loci from three genomes: Implications for morphological and sexual system evolution http://www.umsl.edu/[...]
[11] 논문 Gourds afloat: A dated phylogeny reveals an Asian origin of the gourd family (Cucurbitaceae) and numerous oversea dispersal events
[12] 논문 Evolution and loss of long-fringed petals: A case study using a dated phylogeny of the snake gourds, Trichosanthes (Cucurbitaceae)
[13] Ph.D. Estudio sistemático y biogeográfico del género Apodanthera Arn. (Cucurbitaceae) http://sedici.unlp.e[...]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14] 서적 Genetics and Genomics of Cucurbitacea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5] 웹사이트 Whitefly-Transmitted Yellowing Viruses of Cucurbit Crops https://www.planthea[...]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2020
[16] 웹사이트 Guide to the genera of lianas and climbing plants in the neotropics https://naturalhisto[...] 2024-01-26
[17]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Cucurbitales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ourd family (Cucurbitaceae) http://www.umsl.edu/[...]
[18] 논문 A multi-locus chloroplast phylogeny for the Cucurbitaceae and its implications for character evolution and classification http://www.ncbi.nlm.[...]
[19]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20] 기타 Melothria와 Zehneria에 대한 설명
[21] 논문 Phylogenetics of Cucumis (Cucurbitaceae): Cucumber (C. sativus) belongs in an Asian/Australian clade far from melon (C. melo)
[22] 웹사이트 http://www2.mmc.atom[...]
[23] 서적 Genera Plantarum
[24] 서적 Linnaea
[25] 서적 Genera Plantarum
[26] 논문
[27] 서적 Mémoires de la Société de Physique et d'Histoire Naturelle de Genève
[28] 논문
[29] 서적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30] 서적 Kew Bulletin
[31] 논문
[32] 논문
[33] 서적 Linnaea
[34] 논문
[35] 서적 Genera Plantarum
[36] 서적 Genera Plantarum (정보 없음) 1839
[37] 서적 Histoire physique, politique et naturelle de l'ile de Cuba (정보 없음) 1845
[38] 간행물 Mémoires de la Société de Physique et d'Histoire Naturelle de Genève Société de Physique et d'Histoire Naturelle de Genève 1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