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코프의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코프의 정리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구면 대칭 중력장은 원점에 있는 질량 있는 물체에 의해 생성된다는 정리이다. 1923년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가 재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정리에 따르면, 외부 중력장은 정지 상태이며, 구면 펄스를 겪는 별의 외부 기하학은 슈바르츠실트 해로 유지된다. 또한, 구면 대칭 얇은 껍질 내부에서는 중력장이 사라진다. 버코프의 정리는 아인슈타인-맥스웰 방정식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구면 대칭 전하를 띤 별의 외부 기하학은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전자기 진공에 의해 주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학 정리 - 뇌터 정리
뇌터 정리는 대칭성과 보존 법칙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라그랑지안의 대칭 변환 불변성에 따라 에너지, 운동량 등 보존량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물리학 정리 - 보어-판레이우언 정리
보어-판레이우언 정리는 고전 역학으로는 자기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음을 밝히는 정리이며, 양자 역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보어 모형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중력 특이점
중력 특이점은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이 정의되지 않고 물리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지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론에 따라 존재가 부정되거나 사건 지평선 뒤에 숨겨져 있다고 여겨지기도 하고 블랙홀의 엔트로피와 관련된 호킹 복사 이론과도 관련된다.
버코프의 정리 |
---|
2. 역사
1921년에 노르웨이의 외르크 토프테 옙센(Jørg Tofte Jebsenno)이 증명하였으나,[6][7][8]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23년에 미국의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가 재발견하였고,[9] 그의 이름을 따서 알려져 있다. 이후 스탠리 데저(Stanley Deser영어)가 옙센의 앞선 발견을 지적하였다.
버코프의 정리는 구면 대칭 중력장은 원점에 있는 질량체에 의해 생성된다는 직관적인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만약 다른 곳에 질량-에너지가 존재한다면, 이는 구면 대칭을 깨뜨리게 되므로, 해는 고립된 물체를 나타내야 한다. 이는 장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라져야 함을 의미하며, 점근적으로 평탄한 해를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일반 상대성 이론이 뉴턴 중력으로 수렴한다는 사실에서 예측 가능하다. 이는 뉴턴 극한에서 일어난다.
3. 이론적 배경 및 내용
3. 1. 함의 및 시사점
외부 장 역시 '정지 상태'여야 한다는 결론은 더욱 놀랍고, 흥미로운 결과를 낳는다. 질량이 고정된 구대칭 별이 구면 펄스를 경험한다고 가정해 보면, 버코프의 정리에 따라 외부 기하학은 슈바르츠실트 해여야 한다. 펄스의 유일한 영향은 별의 표면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는 구면 펄스 별이 최소한 질량 사중극 구조를 필요로 하는 중력파를 방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5]
버코프의 정리에 의한 또 다른 흥미로운 결론으로, 구면 대칭 얇은 껍질 형태의 내부 해는 민코프스키 계량에 의해 주어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력장은 구면 대칭 껍질 내부에서는 사라진다. 이것은 뉴턴 중력에 의한 예측과 일치한다.
4. 일반화
버코프의 정리는 다음과 같이 일반화될 수 있다. Λ가 없는 아인슈타인-맥스웰 방정식의 구면 대칭이며 점근적으로 평탄한 모든 해는 정적이어야 하므로, 구면 대칭 전하를 띤 별의 외부 기하학은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전자기 진공에 의해 주어져야 한다. 아인슈타인-맥스웰 이론에서, 베르토티-로빈슨 우주와 같이 구면 대칭이지만 점근적으로 평탄하지 않은 해가 존재한다.[1]
참조
[1]
논문
Event Horizons in Static Vacuum Space-Times
https://journals.aps[...]
1967-12-25
[2]
서적
General Relativity
Springer Graduate texts in Physics
[3]
서적
Cosmology and Astrophysics through probl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Sleeping beauties in theoretical physics: 26 Surprising insights
Springer Lecture notes in Physics
[5]
논문
Gravitational Collapse and Space-Time Singularities
https://doi.org/10.1[...]
1965-01-18
[6]
저널
[7]
저널
[8]
저널
[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