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잡이새사촌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잡이새사촌류는 몸길이 17~50cm의 조류로, 굵고 아래로 굽은 부리와 꼬리깃이 라켓 모양인 것이 특징이다. 중남미 지역의 멕시코부터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걸쳐 분포하며, 곤충, 도마뱀, 과일 등을 먹는다. 굴을 파서 둥지를 만들고 약 4개의 흰색 알을 낳으며, 꼬리를 좌우로 흔드는 행동을 통해 포식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낸다. 국제 조류 학회(IOC)에 따르면 6속 14종으로 분류되며, 파랑새목에 속하며 물총새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피오르드랜드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에 서식하며 노란색 볏이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오징어, 크릴, 물고기를 먹고, IUCN 적색 목록에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외래 포식자와 인간의 간섭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도요타조
    도요타조는 주로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육상 조류로, 구악류에 속하며 레아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짧은 거리를 날거나 주로 걸어 다니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르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일부 종은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벌잡이새사촌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트리니다드벌잡이새사촌
트리니다드벌잡이새사촌 Momotus bahamensis
학명Momotidae
명명자GR Gray, 1840
영어 이름Motmots
한국어 이름벌잡이새사촌 (蜂喰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부리 부리 부리 부리 부리부리부리파랑새목
아목가와세미아목
벌잡이새사촌과
Aspatha
Baryphthengus
Electron
Eumomota
Hylomanes
Momotus

2. 특징

몸길이는 17~50cm 정도이며, 부리는 굵고 약간 아래로 굽어 있다. 제3, 제4 발가락이 유착되어 있다.[1]

깃털 색깔은 선명하다. 중앙 꼬리깃 2개가 길게 뻗어 있고, 깃털 섬유가 끝부분에만 있는 "라켓" 모양을 하고 있다. 그러나 토디모토모토, 파란목모토모토, 적갈색머리모토모토 등 꼬리가 "정상적인" 여러 종도 있으며, 아마존 지역에 서식하는 적갈색 및 넓은부리모토모토가 이에 해당한다.[1]

모토모토는 종종 꼬리를 앞뒤로 흔드는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눈에 띄지 않는 새에게 주의를 끄는 행동이다. 연구에 따르면 모토모토는 포식자를 감지할 때 (청록색모토모토에 대한 연구를 기반) 꼬리 흔들기 행동을 보이며, 이는 모토모토가 포식자를 인지하고 도주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형태의 종간 추격 방지 신호는 모토모토와 포식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즉, 모토모토는 도망가는 데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포식자는 포획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은 추격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수컷의 꼬리가 암컷보다 약간 더 크며, 청록색모토모토에게서 성적인 신호로 기능한다는 증거도 있다.

3. 생태

벌잡이새사촌류는 주로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곤충, 도마뱀과 같은 작은 먹이와 과일을 먹는다. 니카라과코스타리카에서는 벌잡이새사촌류가 독화살개구리를 먹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

대부분의 파랑새목 조류처럼 둑에 굴을 파서 둥지를 만들고 약 4개의 흰색 알을 낳는다. 일부 종은 최대 40쌍의 개체가 모여 큰 집단을 이루기도 한다. 알은 약 20일 후에 부화하고, 새끼는 30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암컷과 수컷 모두 새끼를 돌본다.[1]

벌잡이새사촌류는 종종 꼬리를 앞뒤로 흔드는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눈에 띄지 않는 새에게 주의를 끄는 행동이다. 연구에 따르면 벌잡이새사촌류는 포식자를 감지했을 때 (\[\[청록색모토모토]]에 대한 연구를 기반) 꼬리 흔들기 행동을 보이며, 이는 벌잡이새사촌류가 포식자를 인지하고 도망갈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신호는 벌잡이새사촌류와 포식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하는데, 벌잡이새사촌류는 도망에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포식자는 포획 가능성이 낮은 추격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4. 하위 분류

국제 조류 학회(IOC)에 따르면 6속 14종으로 분류된다.[8]

학명 및 명명자영어 이름(en)한국어 이름
Hylomanes작은벌잡이새사촌Hylomanes momotula|Hylomanes momotulalaTody Motmot영어작은벌잡이새사촌
Aspatha푸른목벌잡이새사촌Aspatha gularis|Aspatha gularislaBlue‐throated Motmot영어푸른목벌잡이새사촌
Momotus적갈색머리벌잡이새사촌Momotus mexicanus|Momotus mexicanuslaRusset‐crowned Motmot영어적갈색머리벌잡이새사촌
Momotus coeruliceps|Momotus coerulicepslaBlue‐crowned Motmot영어
Momotus lessonii|Momotus lessoniilaBlue‐diademed Motmot영어
Momotus subrufescens|Momotus subrufescenslaWhooping Motmot영어
Momotus bahamensis|Momotus bahamensislaTrinidad Motmot영어
벌잡이새사촌Momotus momota|Momotus momotalaAmazonian Motmot영어벌잡이새사촌
Momotus aequatorialis|Momotus aequatorialislaAndean Motmot영어
Baryphthengus아마존큰벌잡이새사촌Baryphthengus martii|Baryphthengus martiilaRufous Motmot영어아마존큰벌잡이새사촌
큰벌잡이새사촌Baryphthengus ruficapillus|Baryphthengus ruficapilluslaRufous‐capped Motmot영어큰벌잡이새사촌
Electron녹색넓적부리벌잡이새사촌Electron carinatum|Electron carinatumlaKeel‐billed Motmot영어녹색넓적부리벌잡이새사촌
넓적부리벌잡이새사촌Electron platyrhynchum|Electron platyrhynchumlaBroad-billed Motmot영어넓적부리벌잡이새사촌
Eumomota청자눈썹벌잡이새사촌Eumomota superciliosa|Eumomota superciliosalaTurquoise-browed Motmot영어청자눈썹벌잡이새사촌


5. 계통 분류

다음은 2014년 자비스 등(Jarvis, E.D.)[10]과 2013년 유리 등(Yury, T. ''et al.'')의 연구[11]에 기초한 천공조류의 계통 분류이다.

물총새과는 벌잡이새사촌과의 자매군이다.[7] 이름이 비슷한 벌새과와는 같은 파랑새목에 속하지만 특히 근연 관계는 아니다.

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단형의 벌잡이새사촌소목으로 분류되었다.

파랑새목 내에서 벌잡이새사촌과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파랑새목

|-

|

{| class="wikitable"

|-

! 파랑새아목

|-

|

파랑새과
땅파랑새과



|-

! 물총새아목

|-

|

{| class="wikitable"

|-

|

물총새과
벌잡이새사촌과



|-

| 난쟁이새과

|}

|-

| 벌잡이새과

|}

|}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2]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irds (Aves) using targeted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3]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2021
[4] 논문 Complexity of avian evolution revealed by family-level genomes
[5]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4.1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6] 서적 三省堂 世界鳥名事典 三省堂
[7] 간행물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8]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5) http://www.worldbird[...]
[9]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6 Draft) http://www.worldbird[...]
[10] 저널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https://pgl.soe.ucsc[...] 2014
[11] 기타 Parsimony and Model-Based Analyses of Indels in Avian Nuclear Genes Reveal Congruent and Incongruent Phylogenetic Signals http://www.mdpi.com/[...]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