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오르드랜드펭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오르드랜드펭귄은 중간 크기의 흑백 펭귄으로, 머리에 노란색 볏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뉴질랜드 남섬의 피오르드랜드 국립공원에서 유래된 이름처럼, 뉴질랜드 남섬과 주변 섬에서 번식하며, 과거에는 북섬에서도 번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살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먹이로 하며, 1년에 한 번 털갈이를 한다.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 감소에 대한 위협을 받고 있으며, 외래 포식자, 서식지 파괴, 인간의 간섭 등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관펭귄속 - 스네어스펭귄
스네어스펭귄은 뉴질랜드 스네어스 제도에 서식하며 검은색 머리와 노란색 볏을 가진 펭귄으로, 크릴, 작은 물고기, 두족류를 먹고 9월부터 1월까지 번식하며, 서식지 보호를 위해 뉴질랜드 정부가 조치를 취하고 있다. - 왕관펭귄속 - 마카로니펭귄
마카로니펭귄은 1837년 기술된 볏이 특징인 펭귄의 일종으로, 남극과 아남극 지역에 서식하며 오징어와 크릴 등을 먹고, 개체 수 감소 등의 위협에 직면한 취약종이다. - 1845년 기재된 새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1845년 기재된 새 - 동박새
동박새는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길이 약 12cm의 작은 새이며, 녹색 깃털과 흰색 눈 테두리가 특징이고, 꽃꿀, 과실,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조류이다. - 피오르드랜드 - 피오르드랜드 국립공원
피오르드랜드 국립공원은 뉴질랜드 남섬 남서부에 위치하며 빙하 지형, 산맥, 호수, 폭포가 특징이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온대우림과 트레킹 코스, 크루즈 등의 관광 활동이 활발하지만 침입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는 곳으로, 195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 1986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피오르드랜드 - 더스키 사운드
더스키 사운드는 뉴질랜드 남섬 피오르드랜드 국립공원에 있는 거대한 피오르드로 복잡한 해안선, 섬, 험준한 절벽, 폭포, 풍부한 해양 생물이 특징이며, 피오르드랜드펭귄 번식지, 국제 중요 조류 지역이자 마오리족 이용 역사와 물개 사냥 중심지였던 역사를 지닌 곳이다.
피오르드랜드펭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Eudyptes pachyrhynchus |
명명자 | G. R. Gray, 1845 |
영문명 | Fiordland penguin |
다른 영문명 | Fiordland crested penguin |
국문명 | 키마유펭귄 |
다른 국문명 | 피오르드랜드펭귄 |
속 | Eudyptes |
목 | 펭귄목 |
과 | 펭귄과 |
보호 상태 | |
IUCN | 취약 |
IUCN 기준 | 3.1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697776/182279725 |
IUCN 평가일 | 2020년 |
생태 및 행동 | |
서식지 | 뉴질랜드 남서부 해안 |
먹이 | 어류 오징어 갑각류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https://www.amazon.com/dp/0253008580 |
참고 문헌 저자 | Thomas Mattern P. Dee Boersma Pablo Garcia-Borboroglu |
추가 정보 링크 | https://www.abc.net.au/news/2023-07-11/fiordland-penguins-found-sa-wa-victoria-tough-feeding-conditions/102586060 |
추가 정보 링크 2 | http://tokyo.birdlife.org/archives/news-and-world/world/13126 |
뉴질랜드 조류 온라인 | http://nzbirdsonline.org.nz/species/fiordland-crested-penguin |
2. 분류
피오르드랜드펭귄은 1845년 영국의 동물학자 조지 로버트 그레이(George Robert Gray)가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종소명 ''pachyrhynchus''는 고대 그리스어로 '두껍다'(영어: thick)는 의미의 pachy-|파키-grc와 '부리'(영어: beak)를 뜻하는 rhynchos|륀코스grc를 합쳐 만든 이름이다.[4][35] 이 펭귄은 황금털펭귄속(Eudyptes)에 속하며, 속명 ''Eudyptes''는 고대 그리스어로 '좋다', '뛰어나다'(영어: good)는 의미의 eu|에우-grc와 '잠수하는 새'(영어: diver)를 뜻하는 dyptes|딥테스grc에서 유래했다.[4][35][36]
뉴질랜드 남섬의 서해안(웨스트코스트), 특히 브루스 만과 오픈 베이 제도 남쪽 지역, 피오르드랜드, 포보 해협 주변, 그리고 스튜어트 섬과 그 주변 섬들에서 번식하며 분포한다.[6][37] 이 펭귄은 주로 서늘한 온대 해안 삼림 지대에서 서식하며, 나무뿌리나 바위 틈 사이에 집단 서식지를 만들어 번식한다.
피오르드랜드펭귄은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전체적으로 흑백의 깃털 색을 띤다.[5][37]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부리 밑부분에서 시작하여 눈 위를 지나 머리 뒤로 이어지는 넓고 노란색의 볏(장식깃)이다.[5][37] 뺨에는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37], 부리 기저에는 노출된 피부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6][31]
'피오르드랜드펭귄'이라는 이름은 이 펭귄의 주요 번식지인 뉴질랜드 남섬의 피오르드랜드 국립공원에서 따왔다.[31]
3. 분포
과거에는 분포 범위가 더 넓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뉴질랜드 북섬 남쪽 해안에서도 번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38] 남섬 북단에서도 이 종의 화석이 발견되었다.[9] 폴리네시아 시대의 사냥으로 인해 서식 범위가 크게 줄어들어, 현재는 뉴질랜드 내에서도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10]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서식했다는 기록이 있다.[11][12]
4. 형태
4. 1. 외형적 특징
중간 크기의 흑백 펭귄으로, 전장은 약 40cm에서 60cm 정도이며[37][30], 평균 몸무게는 3.5kg이고 무게 범위는 2kg에서 5kg 사이이다.[5] 머리부터 등까지 윗면은 검은색 깃털로 덮여 있고 배 쪽 아랫면은 흰색이다.[5][37]
부리의 밑부분(기저)에서 시작하여 눈 위를 지나 목덜미까지 이어지는 넓고 두꺼운 노란색 볏(장식깃)이 특징적이며, 이 볏은 뒤쪽으로 갈수록 아래로 처진다.[5][37] 뺨에는 흰색 줄무늬가 있다.[37] 홍채는 갈색이며[37], 부리는 굵고 짧다.[37] 다리는 분홍색이다.[37]
스네어스펭귄(''Eudyptes robustus'')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부리 기저 주변에 맨살(노출된 피부)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6][31]
4. 2. 크기
몸길이는 40cm에서 60cm 사이이며[37][30], 약 55cm까지 자라기도 한다.[5] 몸무게는 평균 3.5kg이고, 범위는 2kg에서 5kg이다.[5]
중간 크기의 흑백 펭귄으로, 머리부터 등까지 이어지는 윗면은 검은색 깃털로 덮여 있고, 가슴과 배 부분의 아랫면은 흰색이다[5][37]. 얼굴 뺨에는 흰색 줄무늬가 있다[37]. 부리의 기부에서 시작하여 눈 위쪽을 지나 뒤통수까지 이어지는 넓고 노란색의 볏(Crest)이 있으며, 이 볏은 머리 뒤쪽에서 아래로 처진다[5][37]. 홍채는 갈색이며[37], 부리는 굵고 짧고[37], 다리는 분홍색이다[37].
비슷하게 생긴 황금털펭귄(''Eudyptes sclateri'')이나 스네어스펭귄(''Eudyptes robustus'')과는 달리, 부리 기저 주변에 맨살 부분이 없다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6][31]
4. 3. 유사 종과의 구별
이 종은 황금털펭귄(''Eudyptes sclateri'') 및 스네어스펭귄(''Eudyptes robustus'')과 유사하지만, 부리 기저 주변에 맨살(노출된 피부)이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6][31] 특히 스네어스펭귄과 매우 닮았으나 이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5. 생태
5. 1. 서식지
피오르드랜드펭귄은 서늘한 온대 해안 삼림 지역에서 서식하며, 주로 나무뿌리나 바위 사이에 집단을 이루어 번식한다.[6] 현재 주요 번식지는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의 브루스 만(Bruce Bay)과 오픈 베이 제도(Open Bay Islands) 남쪽 지역, 피오르드랜드(Fiordland), 포보 협수로(Foveaux Strait) 주변, 그리고 스튜어트 섬/라키우라(Stewart Island/Rakiura)와 그 주변 섬들이다.[6]과거에는 서식 범위가 더 넓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섬 북단에서 이 종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과거에는 북섬에서도 번식했을 가능성이 있다.[9] 또한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에도 서식했던 기록이 있다.[11][12] 그러나 폴리네시아인들이 뉴질랜드에 정착한 이후 사냥으로 인해 서식 범위가 크게 줄어들어, 현재는 뉴질랜드 내에서도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10]
5. 2. 식성
주요 먹이는 두족류이며, 전체 먹이의 약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살오징어(*Nototodarus sloanii*)를 주로 먹는다. 그 다음으로는 갑각류(약 13%)와 어류(약 2%) 순이며, 갑각류 중에서는 주로 크릴(*Nyctiphanes australis*), 어류 중에서는 빨간대구와 남방아귀를 먹는다.[31][32] 다만, 두족류가 먹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실제보다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 서식지에 따라 먹이 종류가 다른데, 코드피시 아일랜드와 피오르드랜드 북부 지역 간에 차이를 보인다.[14]5. 3. 번식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단독으로 둥지를 틀거나 소규모 번식지(집단 번식지)를 형성한다.[37] 짝은 장기간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37] 해안의 온대 우림으로 덮인 가파른 경사면[18]이나 바위 틈, 동굴, 나무 뿌리 아래[37], 또는 잭슨 헤드(Jackson Head)와 같은 개방된 해안 지역[23] 등지에 흩어져 작은 무리를 이루어 둥지를 튼다. 둥지 장소에 대한 충실도가 높으며 이는 번식 성공에 기여한다.[24]출생 후 5~6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하여 첫 번식에 참여한다.[19] 번식기는 7월부터 12월까지이며,[17][32][33] 이 기간 동안 약 20주간 해안가에 머문다.[18] 수컷은 6월, 암컷은 그보다 조금 늦게 번식지로 돌아온다.[32] 구애 행동에는 날개와 볏을 이용한 시각적 과시와 함께, 큰 소리로 짖거나 우는 듯한 소리를 내는 것이 포함된다.[18][19]
7월에서 8월 사이에 보통 3~6일 간격으로 알을 두 개 낳는다.[32][33] 두 번째 낳은 알이 첫 번째 알보다 더 크다.[22][32] 첫 번째 알은 두 번째 알보다 폐사율이 높은 경향이 있는데,[25] 이는 다른 조류에서 보기 드문 독특한 새끼 수 조절 방식으로 보인다.[7]
포란 기간은 30~36일이다.[32] 산란 초기 5~10일 동안은 암수가 짧은 주기로 교대하며 알을 품고 둥지를 지키며,[32] 그 후에는 10~14일씩 긴 주기로 교대하며 한쪽이 알을 품는 동안 다른 한쪽은 먹이를 구하러 바다로 나간다.[32][33]
알은 9월 이후에 부화하며, 보통 크기가 더 큰 두 번째 새끼만 살아남는다.[32] 하지만 밀포드 사운드(Milford Sound) 지역 조사에서는 두 마리 모두 성공적으로 키워낸 사례도 확인되었다.[38] 부화 후 첫 2~3주 동안 수컷은 둥지에서 새끼를 지키고, 암컷은 거의 매일 바다에 나가 먹이를 구해와 새끼에게 먹인다.[32][18] 이후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면 크레시(새끼들끼리 모인 무리)를 형성하기도 하며,[32][19] 이때부터는 부모 모두 먹이를 구해와 새끼에게 준다.[18] 새끼는 부화 후 약 75일이 지난 11월 중순에서 12월 상순경 이소(둥지를 떠남)하여 바다로 나간다.[32][33][18] 폭우와 잦은 폭풍은 새끼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며 폐사율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18]
5. 4. 포란
포란 기간은 30~36일이다.[32]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 알을 품는데,[32] 초기 5~10일 동안은 둥지에 함께 머물며 교대로 알을 품는다.[32] 그 후에는 한쪽이 10~14일 동안 알을 품는 동안 다른 한쪽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번식지를 떠나 바다로 나간다.[32][33]피오르드랜드펭귄은 보통 두 개의 알을 낳으며, 두 번째 알이 첫 번째 알보다 크다.[32] ''Eudyptes'' 속 펭귄의 특징처럼, 첫 번째 알은 알 선택적 폐기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두 번째 알보다 부화 성공률이 낮고 사망률이 높은 경향이 있다.[25][26] 대부분의 경우 두 번째로 태어난 새끼만 성공적으로 자란다.[32]
5. 5. 새끼 양육
9월 이후에 부화하며[32], 일반적으로 두 개의 알 중 두 번째로 태어난 새끼가 주로 자란다.[32] 하지만 밀포드 사운드에서의 조사에서는 두 마리 모두를 성공적으로 키우는 사례도 여러 건 확인되었다.[38] 폭우와 잦은 폭풍은 새끼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되며[18], 두 알이 모두 부화할 경우, 나중에 낳은 더 큰 알에서 태어난 새끼가 먹이를 우선적으로 받아 성장하기 때문에 먼저 태어난 작은 새끼의 폐사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8]부화 후 첫 2~3주 동안은 수컷이 둥지에 남아 새끼를 보호하고, 암컷은 거의 매일 바다로 나가 먹이를 구해와 새끼에게 먹인다.[18][32] 새끼가 생후 약 21일에서 28일[19]이 되면, 근처의 다른 새끼들과 함께 모여 일종의 공동 육아 집단인 크레시(crèche)를 형성하기도 한다.[32] 이 시기부터는 부모 모두가 새끼에게 먹이를 가져다준다.[18] 새끼는 부화 후 약 75일이 지난 11월 중순에서 12월 상순 사이에 완전히 자라 둥지를 떠나 바다로 나가는데, 이를 이소라고 한다.[18][32][33] 이소 후 부모 펭귄들도 곧이어 바다로 나간다.[18]
5. 6. 털갈이
성체 피오르드랜드펭귄은 1년에 한 번 털갈이를 한다.[18] 보통 번식기가 끝나고 바다에서 60일에서 80일 정도 생활한 후 털갈이를 시작한다.[18] 털갈이는 약 3주 동안 계속되며,[31][33][39] 이 기간 동안에는 새로운 깃털이 완전히 자랄 때까지 아무것도 먹지 않고 단식한다.[18][31][33][39] 이 때문에 털갈이가 끝나면 체중이 거의 절반까지 줄어들기도 한다.[31][33][39]6. 인간과의 관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며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 개, 쥐, 족제비 등 외래 포식자의 유입,[37][33] 어업과의 먹이 경쟁 및 혼획,[30][33] 원유 유출로 인한 해양 오염 가능성,[40][30] 그리고 번식지에 대한 인간의 접근 및 간섭 등이 있다.[41]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과거 5,000~10,000쌍으로 추정되던 개체 수는[37] 크게 감소하여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의 2017년 적색 목록 기준 성조 약 5,500~7,000마리로 추정된다.[30]
6. 1. 위협 요인
피오르드랜드펭귄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육상에서는 서식지 파괴와 함께 인위적으로 유입된 개, 쥐, 특히 족제비와 같은 외래 포식자들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37][33] 집에서 기르는 개는 특히 큰 위협이 되며, 피오르드랜드펭귄 서식지 근처에서는 개에게 목줄을 채우도록 하는 보존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17]번식 중에는 인간의 간섭에 매우 취약하다. 사람이 펭귄의 둥지를 조사하는 행위는, 특히 알을 품는 기간 전반부에 이루어질 경우, 펭귄이 일시적으로 둥지를 버리게 만들어 포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16] 또한 뉴질랜드 자연보호부(Department of Conservation)는 사우스웨스트랜드와 피오르드랜드 지역의 관광 산업 증가가 펭귄에게 미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41]
해양 환경에서도 여러 위협에 직면한다. 어업과의 먹이 경쟁 가능성이 있으며,[30] 어망, 특히 정치망과 트롤어망에 의한 혼획으로 인해 많은 수가 희생된다. 2011년 기준으로 연간 38마리에서 176마리가 혼획되는 것으로 추정된다.[33] 뿐만 아니라, 번식지가 있는 뉴질랜드 남섬 웨스트코스트 지역의 원유 시추 사업으로 인한 해양 오염 가능성도 잠재적인 위협으로 남아있다.[40][30]
이러한 복합적인 위협 요인들로 인해 피오르드랜드펭귄의 개체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왔다. 1984년에는 번식 가능한 쌍이 5,000~10,000쌍으로 추정되었으나, 1991년~1993년에는 1,000쌍 미만으로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37] IUCN(세계자연보전연맹)의 2017년판 적색 목록에서는 성조 개체 수를 약 5,500~7,000마리로 추정하고 있다.[30]
6. 2. 보존 상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피오르드랜드펭귄을 위기근접종(VU)으로 분류하고 있다.[1] 뉴질랜드 환경보전부는 2013년에 이 종의 등급을 취약종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상향 조정하였다.[14] 과거 추세를 볼 때 개체 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14]개체 수 추정치는 시기별로 차이가 있다. 1984년에는 5,000~10,000쌍으로 추정되었으나,[37] 1991년~1993년에는 1,000쌍 미만으로 추정되었다.[37] 1990년대 조사에서는 2,500쌍이 확인되었지만, 이는 과소평가되었을 수 있다.[14] 2017년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성체 개체 수를 약 5,500~7,000마리로 추정하였다.[30]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위협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육상 위협: 서식지 파괴[37]와 함께 개, 고양이, 쥐, 특히 족제비와 같은 외래 포식자의 유입이 큰 위협이다.[14][37][33] 또한 인간의 간섭에 취약하여, 사람들이 접근하면 둥지를 버리고 새끼를 포식자에게 노출시키는 경우가 있다.[14] 뉴질랜드 환경보전부는 사우스웨스트랜드와 피오르드랜드 지역의 관광객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41]
- 해양 위협: 해양에서는 어업과의 먹이 경쟁 가능성이 있다.[30] 또한 어망, 특히 정치망과 트롤어망에 의한 혼획도 심각한 문제로, 연간 혼획되는 개체 수는 38~176마리로 추정된다(2011년 기준).[33] 뉴질랜드 남섬 웨스트코스트 지역의 시추 사업으로 인한 원유 유출과 해양 오염 가능성도 잠재적인 위협으로 지적된다.[40][30]
6. 3. 보호 정책
피오르드랜드펭귄은 IUCN에 의해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며,[1] 2013년에는 뉴질랜드 환경보전부에 의해 취약종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등급이 변경되었다.[14]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NZTCS)에서는 "위협(Threatened)" 등급 중 "국가적으로 취약(Nationally Vulnerable)"으로 분류되어 있다.[41][42] 이는 뉴질랜드 국내에서 중장기적으로 멸종 위험에 직면한 종임을 의미한다.[42]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개, 고양이, 쥐, 특히 족제비와 같은 외래종 포식자가 지목된다. 또한 인간의 간섭에도 취약하여, 둥지를 버리고 새끼가 포식자에게 노출되기도 한다.[14]뉴질랜드 환경부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피오르드랜드펭귄 복원 전략(Fiordland penguin Recovery Strategy)을 시행하여 지역별 개체 수 모니터링, 섬의 생물 안전(Biosecurity) 강화, 외래종 관리 효과 조사 등을 진행했다.[30] 또한, 2016년 뉴질랜드 정부는 2050년까지 특정 외래종인 쥐(*Rattus* 속)[43], 족제비(*Mustela erminea*)[44], 주머니여우(''Trichosurus vulpecula'')[45]가 없는 국가를 목표로 하는 'Predator Free 2050'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피오르드랜드펭귄을 포함한 다양한 토착종에 위협이 되는 외래종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46][47]
미국에서는 2010년부터 멸종위기에 처한 종의 보호에 관한 법률(Endangered Species Act of 1973, ESA)에 따라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었다.[48]
6. 4. 사육 현황
일본에서는 1970년에 일본평동물원에 들어온 1마리가 유일한 사육 사례이다.[49] 호주 시드니에 있는 타롱가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다.[50]참조
[1]
IUCN
Eudyptes pachyrhynchus
2021-11-19
[2]
서적
Penguins: Natural History and Conserv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
뉴스
Rare penguins' Aussie arrival not a good sign, researcher says
https://www.abc.net.[...]
2023-07-11
[4]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Eudyptes pachyrhynchus (Fiordland penguin)
https://animaldivers[...]
2024-10-14
[6]
서적
The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ew Zealand
Penguin
[7]
학술지
Incubation Behavior, Brood Patch Formation and Obligate Brood Reduction in Fiordland Crested Penguins
1992-00-00
[8]
학술지
A comprehensive demographic assessment of the endangered Fiordland crested penguin Eudyptes pachyrhynchus
https://www.tandfonl[...]
2017-04-03
[9]
학술지
The identification of fossil Eudyptes and Megadyptes bones at Marfell's Beach, Marlborough, South Island, New Zealand.
[10]
서적
The Lost World of the Moa
Indiana University Press
2002-00-00
[11]
학술지
A preliminary stud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musical concerts on the behavior of captive fiordlan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and collared peccaries (Pecari tajacu).
[12]
학술지
Ancient DNA reveals that the 'extinct' Hunter Island penguin (Tasidyptes hunteri) is not a distinct taxon
https://academic.oup[...]
2017-08-09
[13]
학술지
Diet of the Fiordland Crested penguin during the post-guard phase of chick growth
[14]
웹사이트
Fiordland crested penguin
http://nzbirdsonline[...]
2017-03-23
[15]
웹사이트
Research Portal
https://ourarchive.o[...]
2024-10-14
[16]
학술지
Assessing the impact of nest searches on breeding birds – a case study on Fiordland creste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http://www.jstor.org[...]
2015-00-00
[17]
웹사이트
Tawaki penguin are back
https://westcoast.co[...]
2024-10-14
[18]
학술지
THE FIORDLAND CRESTED PENGUIN EUDYPTES PACHYRHYNCHUS
https://onlinelibrar[...]
1974-01-00
[19]
학술지
Fiordland Penguin (Eudyptes pachyrhynchus), version 1.0
https://birdsofthewo[...]
2020-00-00
[20]
학술지
Foraging ecology of a winter breeder, the Fiordland penguin
https://www.int-res.[...]
2019-04-04
[21]
학술지
The Reproductive Endocrinology of Fiordland Creste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https://www.tandfonl[...]
1998-06-00
[22]
학술지
Egg Formation in Fiordland Creste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https://academic.oup[...]
1982-00-00
[23]
학술지
Fiordland penguin/tawaki
[24]
학술지
Fidelity to nest site and mate in Fiordland creste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25]
학술지
Incubation behavior, brood patch formation and obligate brood reduction in Fiordland crested penguins
https://link.springe[...]
1992-12-01
[26]
논문
Mechanisms of Brood Reduction in Fiordland Creste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https://ir.canterbur[...]
University of Canterbury
2024-10-14
[27]
서적
Foraging Strategy Plasticity in Fiordlan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A Stable Isotope Approach
Marshall University
[28]
학술지
A Preliminary Stud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Musical Concerts on the Behavior of Captive Fiordland Penguins (Eudyptes pachyrhynchus) and Collared Peccaries (Pecari tajacu)
2020-11-00
[29]
학술지
Marathon penguins – Reasons and consequences of long-range dispersal in Fiordland penguins / Tawaki during the pre-moult period
2018-08-29
[30]
IUCN
Eudyptes pachyrhynchus
2018-04-21
[31]
서적
[32]
서적
[33]
웹사이트
Fiordland crested penguin
http://nzbirdsonline[...]
2018-05-12
[34]
웹사이트
もっとも絶滅リスクの高いペンギンはどの種でしょうか?
http://tokyo.birdlif[...]
バードライフ・インターナショナル東京
2018-04-21
[3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Abridge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6]
논문
(제목 없음)
[37]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8 太平洋、インド洋
講談社
2001-00-00
[38]
웹사이트
Basic Facts About Tawaki (Fiordland penguin)
http://www.tawaki-pr[...]
the Tawaki Project
2018-04-21
[39]
논문
(제목 없음)
[40]
웹사이트
The Penguin
http://www.tawaki-pr[...]
the Tawaki Project
2018-04-21
[41]
웹사이트
Fiordland crested penguin/tawaki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8-04-21
[42]
웹사이트
Conservation status of plants and animals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8-04-21
[43]
웹사이트
Rats (Animal pests)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8-05-12
[44]
웹사이트
Stoats (Animal pests)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8-05-12
[45]
웹사이트
Possums (Animal pests)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8-05-12
[46]
웹사이트
Government reveals conservation project with aim to be predator free by 2050
http://www.nzherald.[...]
NZ Herald
2016-07-25
[47]
웹사이트
ニュージーランドが2050年には外来種のいない国に?
http://tokyo.birdlif[...]
バードライフ・インターナショナル東京
2016-09-05
[48]
간행물
Determination of Threatened Status for Five Penguin Species;The yellow-eyed penguin (Megadyptes antipodes), white-flippered penguin (Eudyptula minor albosignata), Fiordland crested penguin (Eudyptes pachyrhynchus), Humboldt penguin (Spheniscus humboldti), and erect-crested penguin (Eudyptes sclateri)
https://www.gpo.gov/[...]
2010-08-03
[49]
서적
長崎ペンギン物語
長崎文献社
2019-00-00
[50]
웹사이트
Fiordland Penguin
https://taronga.org.[...]
Taronga Conservation Society Australia
2018-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