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총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총새과는 파랑새목에 속하는 조류 과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머리가 크고 목이 짧으며 튼튼한 몸통과 짧은 다리를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 밝은 깃털을 가지며, 물고기, 곤충 등을 먹는 육식성 조류이다. 물총새과는 물총새아과, 호반새아과, 뿔호반새아과의 세 아과로 분류되며, 19속 95종이 존재한다. 일부 종은 인간 문화에 등장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총새과 - 호반새
    호반새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적갈색 윗면과 등황색 아랫면, 하늘색 허리를 가진 물총새류 새로, 숲에 살며 물고기, 갑각류, 곤충 등을 먹고 대한민국에서는 여름에 볼 수 있는 철새이다.
  • 물총새과 - 청호반새
    청호반새는 등이 짙은 파란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며 턱 밑과 목, 가슴 윗부분이 하얀색을 띠는 30cm 크기의 물총새목 물총새과 새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고 갑각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을 먹고 사는 나그네새이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해마 (동물)
    해마는 말과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품는 독특한 생식 방식을 가지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규제를 받는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전갱이과
    전갱이과는 전갱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몸길이와 형태가 다양하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식용으로 어획되는 종들이 있으며, 4개의 아과와 30여 개의 속으로 나뉜다.
물총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분포 지역전 세계
물총새과 분포 지역
물총새과의 전 세계 분포 지역
분류
학계 분류조강
파랑새목
아목물총새아목 (Alcedines)
물총새과 (Alcedinidae)
명명자라피네스크, 1815
하위 분류물총새아과
쇼빈아과
야마세미아과
일반 정보
과명물총새과
영어 이름Kingfishers
일본어 이름카와세미 (カワセミ, 翡翠, 魚狗, 川蝉)
학명Alcedinidae

2. 특징

물총새과는 머리가 크고 목이 짧으며, 몸통은 튼튼하다. 다리는 짧고, 일부 발가락은 서로 붙어있는 합지(合指) 형태이다. 물총새과에서 가장 작은 종은 아프리카난쟁이물총새로, 평균 길이가 10cm이고 무게는 9g~12g이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물총새는 큰물총새로, 길이는 42cm~46cm이고 무게는 255g~426g이다. 웃음물총새는 가장 무거운 종으로, 암컷의 무게가 거의 500g에 이른다.

2. 1. 형태

대부분의 물총새는 밝은 깃털(plume)을 가지고 있으며, 녹색과 파란색이 가장 흔하다. 이러한 색은 깃털 구조에 의해 발생하며, 파란색 빛을 산란시키는 [틴들 효과](Tyndall effect) 때문이다.[11] 대부분의 종에서 암컷과 수컷 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거나 매우 작다.[12]

물총새는 길고 칼날 같은 부리를 가지고 있다. 부리는 물고기를 사냥하는 종에서 더 길고 압축되어 있으며, 지상에서 먹이를 사냥하는 종에서는 더 짧고 넓다. 삽부리웃음물총새의 부리는 먹이를 찾기 위해 숲 바닥을 파는 데 사용되는 크고 특이한 형태이다. 다리는 짧지만, 땅에서 먹이를 먹는 종은 발목이 더 길다. 대부분의 종은 네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세 개는 앞을 향하고 기저부에서 어느 정도 융합되어 있다.[13] 두 번째 발가락과 세 번째 발가락은 부분적으로 유합(합지족)되어 있으며, 네 번째 발가락이 퇴화한 종도 있다.

대부분 종의 홍채는 짙은 갈색이다. 물총새는 양안시가 가능하고 특히 색각이 좋은 것으로 여겨지는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다. 안구 내에서 눈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어 머리 움직임을 사용하여 먹이를 추적한다. 또한, 물속에서 먹이를 사냥할 때 물의 굴절과 반사를 보정할 수 있으며, 수중 깊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물에 부딪힐 때 눈을 보호하는 순막을 가지고 있다. 흑백물총새는 물에 부딪힐 때 눈 위를 가로질러 미끄러지는 뼈판을 가지고 있다.[12] 머리는 크고, 목은 짧다. 몸통은 튼튼하다. 뒷다리는 짧다.

2. 2. 생태

물총새는 숲, 초원, 물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많은 종이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며 영역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종은 철새 이동을 하지 않지만, 일부 종은 서식지 변화에 따라 이동하기도 한다.[12]

물총새는 동물성 먹이를 먹으며, 물고기, 양서류, 파충류,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물가에 사는 종은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고, 숲에 사는 종은 곤충을 주로 먹는다. 붉은등물총새는 제비물떼새의 진흙 둥지를 쪼아 새끼를 잡아먹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하였다.[14] 먹이를 잡는 방법은 종에 따라 다양한데, 수목 위에서 또는 공중 정지 비행(호버링)을 하면서 물속의 먹이를 찾아 급강하하여 잠수해서 먹이를 잡는 종도 있고, 땅 위에서 곤충을 잡아먹는 종도 있다. 삽부리물총새는 부드러운 진흙에서 벌레를 파는 데 넓고 큰 부리를 삽으로 사용한다. 세 종류의 물총새는 모두 횃대에 큰 먹이를 쳐서 죽이고 보호용 가시와 뼈를 제거하거나 부순다. 먹이를 때린 후에는 조작한 다음 삼킨다.[12] 때로는 뼈, 비늘 및 기타 소화되지 않는 잔해 덩어리가 뱉어지기도 한다.[15]

물총새가 에스토니아 쾨르베마에서 물고기를 잡고, 먹고, 배설하고, 나는 모습 (2022년 10월)


물총새는 땅에 구멍을 파거나, 흰개미 둥지, 나무 구멍 등에 둥지를 짓는다.[12]

3. 분포

물총새과는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극지방과 매우 건조한 사막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특히 남부 및 동태평양의 섬 지역, 구대륙 열대 지역, 오스트랄라시아가 물총새과의 핵심 분포 지역이다. 유럽과 북미 지역에는 매우 적은 수의 종이 분포하는데, 유럽에는 유럽물총새, 얼룩물총새, 흰목물총새가, 미국 남서부에는 고리물총새와 녹색물총새가 서식한다. 남아메리카에는 5종의 물총새와 겨울철에 이동하는 띠물총새가 서식한다. 이에 비해 감비아에는 약 193.12km 지역에 8종의 토착종이 서식한다.[12]

개별 종의 분포 범위를 살펴보면, 얼룩물총새는 유럽에서 아일랜드, 오스트랄라시아의 솔로몬 제도, 아프리카,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반면, Kofiau 천국물총새처럼 뉴기니 앞바다의 Kofiau 섬에만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섬 고유종도 있다.[12]

물총새는 강과 호수뿐만 아니라 숲, 숲 개울, 산호 환초, 인간이 개조한 서식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호주의 붉은허리물총새는 건조한 사막에서도 서식하지만, 사하라 사막과 같은 다른 건조 사막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4. 분류

물총새과는 지배목(Coraciiformes)에 속하며, 벌매류, 벌잡이새류, 토디류, 롤러류, 땅꼬리롤러류도 포함된다.[2] 이 과의 이름은 1815년 프랑스 박식가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에 의해 (Alcedia로) 도입되었다.[1]

물총새 다양성의 중심지는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이지만, 이 그룹은 약 2700만 년 전(Mya) 인도말라야 지역에서 기원하여 여러 차례 오스트랄라시아 지역으로 침입했다.[9] 화석 물총새는 약 30–40 Mya인 와이오밍주의 초기 에오세 암석과 독일의 중기 에오세 암석에서 기술되었다. 더 최근의 화석 물총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미오세 암석(5–25 Mya)에서 기술되었다.[1]

일부 분류학자들은 물총새과의 3개 아과를 과 수준으로 격상시키기도 한다.[3][4] 영어 이름에 "kingfisher"라는 단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새들 중 많은 종은 물고기를 전문적으로 먹지 않으며, 호반새아과에 속하는 종은 전혀 그렇지 않다.[2]

학명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새들이 공해에서 둥지를 틀고, hals(바다)와 kyon(태어남)에서 따온 halkyons(라틴어 halcyon)라고 불렀다는 고대 신념에서 유래되었다.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은 할키온에게 둥지를 틀 때 바다를 잔잔하게 하는 능력을 주었다. 플레이아데스 성단 중 한 명인 알키오네(라틴어 Alcedo)는 난파선 사고로 사망한 케익스와 결혼했다. 알키오네는 슬픔에 잠겨 자살했고, 신들은 그들을 물총새로 부활시켰다.[13]

4. 1. 하위 분류

물총새과는 3개의 아과로 나뉜다.

3개의 아과는 다음과 같다.

3개의 아과 사이의 계통 관계는 불확실하다. 물총새아과가 먼저 분기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확실하지 않으며[22], 호반새아과가 먼저 분기했다고 하는 연구도 있다.[23]

시블리-알퀴스트 조류 분류 (1990)는 물총새과의 3개 아과를 3개 과로 분리했다. 물총새과를 물총새소목(Alcedinida), 물총새과+호반새아과를 산새물총새소목(Cerylida)으로 하고, 그것들은 자매군이라고 했지만[24], 그것들을 합친 광의의 물총새과에 분류군은 부여하지 않았다.

2과로 나누는 설도 있으며[25], 물총새아과+호반새아과호반새과로 분리하거나, 계통적으로는 의심스럽지만, 물총새아과만을 분리한다.

4. 2. 계통 분류

물총새과는 파랑새목에 속하며, 벌잡이새과, 꿀벌오리과 등과 가까운 관계이다.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물총새과는 파랑새목 내에서 다음과 같은 위치를 차지한다.[5][6][7]

물총새과는 꿀벌오리과와 자매군을 이룬다.[21] 물총새과 내에서는 물총새아과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그 다음으로 호반새아과와 뿔호반새아과가 분기되었다.[22][23]

{{Clade

|label1='''물총새과'''

|1={{clade

|label1=알세디니나에

|1={{clade

|1={{clade

|1=''이시피디나'' – (2종)

|2=''코리토르니스'' – (4종)

}}

|2={{clade

|1=''알세도'' – (7종)

|2=''세익스'' – (21종)

}}

}}

|2={{clade

|label1=세릴리나에

|1={{clade

|1=''메가세릴레'' – (4종)

|2={{clade

|1=''세릴레'' – (얼룩물총새)

|2=''클로로세릴레'' – (4종)

}}

}}

|label2=할키오니나에

|2={{clade

|1={{clade

|1=''라케도'' – (띠물총새)

|2={{clade

|1=''펠라르고프시스'' – (3종)

|2=''할키온'' – (12종)

}}

}}

|2={{clade

|1={{clade

|1=''키투라'' – (2종, 라일락물총새)

|2=''타니시프테라'' – (9종, 극락물총새)

}}

|2={{clade

|1={{clade

|1={{clade

|1=''멜리도라'' – (부리갈고리물총새)

|2=''다켈로'' (''클리토세익스'' 포함) – (5종, 웃음물총새)

}}

|2=''악테노이데스'' (''카리도낙스'' 포함) – (6종)

}}

|2={{clade

|1=''시마'' – (2종)

|2=''토디람푸스'' – (30종)

}}

}}

}}

}}

}}

5. 인간과의 관계

물총새는 튼튼한 부리를 지탱하는 큰 머리, 밝은 깃털, 흥미로운 행동 때문에 인간 문화에 자주 등장한다.[18]

보르네오의 두순족은 동양난쟁이물총새를 불길한 징조로 여겨, 전투를 앞둔 전사가 이 새를 보면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보르네오의 다른 부족은 띠물총새를 징조의 새로 여기지만, 일반적으로는 좋은 징조로 생각한다.[12]

성스러운물총새는 다른 태평양 물총새들과 함께 폴리네시아인들에게 숭배받았으며, 그들은 이 새가 바다와 파도를 지배한다고 믿었다.

현대 분류학에서도 고전 그리스 신화에 따라 물총새의 이름을 지을 때 바람과 바다를 언급한다. 신화 속 새 할시온(물총새)의 첫 번째 부부는 알키오네와 케이엑스의 결혼으로 만들어졌다. 신으로서 그들은 자신들을 제우스헤라라고 칭하는 신성모독적인 행위를 했다. 그들은 이 때문에 죽었지만, 다른 신들은 동정심으로 그들을 새로 만들어 원래의 해안 서식지로 돌려보냈다. 또한 특별한 "할시온 데이"가 주어졌는데, 이 날들은 동지 전후 7일 동안 그들을 위해 폭풍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는 시기이다. 할시온 새의 "날"은 겨울에 부화한 병아리를 돌보기 위한 것이었지만, "할시온 데이"라는 구절은 과거의 목가적인 시간, 또는 일반적으로 평화로운 시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변신 신화를 언급하며 다양한 종류의 물총새와 인간 문화 유물이 그 부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케이엑스(Ceyx)'' (강물총새 과)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물총새아과(Halcyoninae)는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할시온''(Halcyon) 속]도 마찬가지다.
  • 띠물총새의 종명 (''Megaceryle alcyon'') 역시 그녀의 이름을 참조한다.


모든 물총새가 이런 식으로 명명된 것은 아니다. 물총새(''Alcedo atthis'')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이 용어는 "왕의 물고기잡이"에서 유래했지만, 왜 그 이름이 붙여졌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9]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수렵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

6. 보존

많은 물총새 종들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으며 멸종의 위험에 처해 있다. 이들 대부분은 분포가 제한적인 산림 종, 특히 섬 종이다. 이들은 삼림 개간 또는 황폐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일부 경우 외래종에 의해 위협을 받는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마르케사스물총새는 도입된 소에 의한 서식지 손실 및 황폐화와 도입된 종의 포식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17] 붉은목물총새는 열대 우림 서식지의 급격한 손실로 인해 취약근접종으로 분류된다.[17]

붉은목물총새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수렵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

참조

[1] 서적 Analyse de la nature ou, Tableau de l'univers et des corps organisés https://www.biodiver[...] Self-published 2018-02-21
[2] 웹사이트 Rollers, ground rollers & kingfisher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7-05-28
[3] 서적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Birds of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Systematics and Taxonomy of Australian Birds CSIRO
[5] 저널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irds (Aves) using targeted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6] 저널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2021
[7] 저널 Complexity of avian evolution revealed by family-level genomes
[8]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4.1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9] 저널 A phylogeny of kingfishers reveals an Indomalayan origin and elevated rates of diversification on oceanic islands
[10] 저널 A molecular phylogeny of kingfishers (Alcedinidae) with insights into early biogeographic history https://kuscholarwor[...] 2017-10-24
[11] 저널 Blue feathers http://sora.unm.edu/[...] 2013-03-03
[12]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Lynx Edicions
[13] 서적 Birds of the world : a survey of the twenty-seven orders and one hundred and fifty-five families Hamlyn
[14] 저널 Bats and other fauna in disused Fairy Martin ''Hirundo ariel'' nests
[15] 서적 Kingfishers, Bee-eaters and Rollers Christopher Helm
[16] 저널 Social and mating system of cooperatively breeding laughing kookaburras (''Dacelo novaeguineae'')
[17] IUCN ''Todiramphus godeffroyi'' 2019
[18] 저널 Kingfisher: contemplating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through science, art, literature, and lived experiences https://www.publish.[...] 2023
[19]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07-07-14
[20] 백과사전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21] 저널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22] 저널 A molecular phylogeny of kingfishers (Alcedinidae) with insights into early biogeographic history
[23] 저널 Molecular support for a sister group relationship between Pici and Galbulae (Piciformes ''sensu'' Wetmore 1960) http://www.nrm.se/do[...]
[24] 저널 A classification of the living birds of the world based on DNA-DNA hybridization studies http://elibrary.unm.[...]
[25] 웹사이트 Yahoo!オンライン野鳥図鑑 http://www.yachoo.or[...]
[26]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27]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28] 저널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https://pgl.soe.ucsc[...] 2014
[29] 저널 Parsimony and Model-Based Analyses of Indels in Avian Nuclear Genes Reveal Congruent and Incongruent Phylogenetic Signals http://www.mdp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