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냐민 라이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냐민 라이히는 오스트리아의 은퇴한 알파인 스키 선수이다. 그는 1996년 월드컵에 데뷔하여, 회전과 대회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회전에서 은메달,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2005년에는 종합 월드컵 2위를 기록했고, 2006년 월드컵 종합 우승과 토리노 올림픽에서 회전과 대회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라이히는 2015년 은퇴할 때까지 월드컵에서 총 36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롤주 출신 - 미하엘 마트
    오스트리아 알파인 스키 선수 미하엘 마트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회전 동메달과 팀 이벤트 은메달을 획득하고 2017년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첫 승리를 거둔 스키 명문가 출신이다.
  • 티롤주 출신 -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는 18세기 이탈리아 출신의 의사이자 박물학자이며, 알프스 산맥에서 식물 채집과 곤충학 연구를 수행하고 칼 린네와 교류하며 다양한 동식물 종에 대한 학명을 명명했다.
  • 오스트리아의 남자 알파인 스키 선수 - 미하엘 마트
    오스트리아 알파인 스키 선수 미하엘 마트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회전 동메달과 팀 이벤트 은메달을 획득하고 2017년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첫 승리를 거둔 스키 명문가 출신이다.
  • 오스트리아의 남자 알파인 스키 선수 - 헤르만 마이어
    헤르만 마이어는 성장 장애를 극복하고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금메달과 월드컵 종합 우승 4회를 달성하며 세계적인 알파인 스키 선수로 이름을 알렸고, 오토바이 사고 후 복귀하여 월드컵 54승을 기록한 후 은퇴하였다.
  • 오스트리아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미하엘 마트
    오스트리아 알파인 스키 선수 미하엘 마트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회전 동메달과 팀 이벤트 은메달을 획득하고 2017년 FIS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첫 승리를 거둔 스키 명문가 출신이다.
  • 오스트리아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펠릭스 고트발트
베냐민 라이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이히 (2017년 3월)
라이히 (2017년 3월)
이름벤야민 라이히
출생일1978년 2월 28일
출생지티롤, 오스트리아 아르츨임피츠탈
신장1.81m
웹사이트Raich.at
경력
종목회전
대회전
알파인 복합
슈퍼대회전
활강
소속 클럽S.V. Leins Pitztal – Tirol
월드컵 데뷔1996년 3월 10일 (만 18세)
은퇴2015년 9월 10일 (만 37세)
올림픽
올림픽 참가4회 (20022014)
올림픽 메달4개
올림픽 금메달2개
세계 선수권
세계 선수권 참가9회 (1999–2015)
세계 선수권 메달10개
세계 선수권 금메달3개
월드컵
월드컵 시즌 참가18회 (1998–2015)
월드컵 우승36회 (회전 14회, 대회전 14회, 슈퍼대회전 1회, 알파인 복합 7회)
월드컵 포디움92회
월드컵 종합 우승1회 (2006)
월드컵 타이틀8회 (회전 3회, 대회전 2회, 알파인 복합 3회)
올림픽 메달 (세부)
2006 토리노알파인 스키 남자 대회전: 금메달
2006 토리노알파인 스키 남자 회전: 금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알파인 스키 남자 회전: 동메달
2002 솔트레이크시티알파인 스키 남자 복합: 동메달
세계 선수권 메달 (세부)
2005 보르미오회전: 금메달
2005 보르미오복합: 금메달
2007 오레팀 이벤트: 금메달
2001 장크트안톤회전: 은메달
2005 보르미오대회전: 은메달
2005 보르미오팀 이벤트: 은메달
2007 오레슈퍼 복합: 은메달
2009 발디제르대회전: 은메달
2011 가르미슈팀 이벤트: 은메달
2005 보르미오슈퍼대회전: 동메달
주니어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
1996 호흐-이브리그회전: 금메달
1997 슐라트밍대회전: 금메달
1998 메제브대회전: 금메달
1998 메제브회전: 금메달
1998 메제브복합: 금메달

2. 경력

베냐민 라이히는 회전과 대회전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1996년 3월에 월드컵에 데뷔했다. 그는 1999년 회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 회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시즌 마지막에 회전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올림픽에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나이가 들면서 슈퍼-G와 활강과 같은 더 빠른 종목에서도 기량을 향상시킨 라이히는 2005년 종합 월드컵 타이틀을 아쉽게 놓치고 미국인 보데 밀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각 종목에서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2006년 월드컵 종합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토리노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대회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 중 가장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라이히는 선수 경력 내내 꾸준함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 결과 2005년, 2007년, 2008년, 2009년 및 2010년에 월드컵 종합 2위를 차지했다 (2007년과 2009년 모두 스비달에 각각 13점과 2점 차이로 아깝게 타이틀을 놓쳤다).

그의 마지막 월드컵 레이스 우승은 2012년 2월 스위스 크랑-몽타나에서 있었으며, 여기서 그는 슈퍼-G에서 첫 번째이자 유일한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 3월, 그는 테드 리게티에 이어 크란스카 고라에서 열린 대회전 레이스에서 2위를 차지하며 2년여 만에 처음으로 시상대에 올랐으며, 이곳은 그가 15년 이상 전에 처음으로 3위 안에 들었던 곳이기도 했다 (1999년 1월). 그의 마지막 3위권 진입은 2015년 3월 초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대회전 레이스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그의 알파인 월드컵 마지막 레이스 중 하나가 되었다.

2015년 9월 10일, 그는 은퇴를 발표했다.

1996년에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 데뷔했다. 2년 후인 1998-1999년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출전했다. 그 해 슬로베니아 크란스카고라 경기에서 회전 3위에 입상하여 첫 시상대에 올랐다. 또한 다음 날 오스트리아 슈라트밍 경기에서 회전으로 월드컵 첫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에는 또 오스트리아 플라하우 경기에서 대회전 우승, 클래식 레이스로 유명한 스위스 벵겐 경기에서 회전 우승을 차지하여 이 시즌 3승을 거두었다. 그 후에도 1999-2000년에는 2승, 2000-2001년에는 4승으로 순조롭게 승수를 쌓아갔다. 또한 2000-2001년 시즌에는 회전에서 첫 종목별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그 해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장크트안톤 대회에서는 회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첫 출전이었던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복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다음 해 세계 선수권 장크트모리츠 대회에서는 회전과 대회전에 출전했지만, 회전 4위가 최고 성적으로 세계 선수권 메달에는 미치지 못했다.

2년 후인 2005년에 열린 세계 선수권 보르미오 대회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4종목에 출전하여, 회전과 복합에서 금메달, 대회전에서 은메달, 슈퍼대회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출전한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는 전년도의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여 회전과 대회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회전에서는 2위의 라인프리트 헤르프스트, 3위의 라이너 쇤펠더와 함께 오스트리아 선수들이 시상대를 독점했다. 이 해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7승을 거두어 생애 처음으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그 후 2007년 오레 대회에서 슈퍼 복합 은메달, 2009년 발디제르 대회에서 대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4종목에 참가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최종적으로 오스트리아 남자 알파인 선수단은 알파인 첫 개최로 1종목밖에 실시되지 않았던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대회 이후 메달 0개로 끝나는 대참패를 겪었다.

기술 계열에 강한 올라운더로, 활강 종목을 다소 어려워하며,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도 이 종목은 대개 10위권이 고정적인 성적이다. 슈퍼대회전도 가끔 시상대에 오르지만, 기술 계열 종목인 회전대회전만큼의 강점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다른 시드 선수와 비교했을 때의 이야기이며, 몇 안 되는 전 종목 입상을 여러 시즌에 걸쳐 계속하고 있다는 점 자체가 평범한 선수는 아니다.

2. 1. 초기 경력

베냐민 라이히는 1996년에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 데뷔했다. 2년 후인 1998-1999년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출전하여, 슬로베니아 크란스카고라 경기에서 회전 3위에 입상하여 첫 시상대에 올랐다. 다음 날 오스트리아 슈라트밍 경기에서 회전으로 월드컵 첫 우승을 차지했고, 오스트리아 플라하우 경기에서 대회전 우승, 스위스 벵겐 경기에서 회전 우승을 차지하여 이 시즌 3승을 거두었다. 1999-2000년에는 2승, 2000-2001년에는 4승을 기록했고, 2000-2001년 시즌에는 회전에서 첫 종목별 우승을 차지했다. 장크트안톤에서 열린 2001년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회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복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5년 세계 선수권 보르미오 대회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4종목에 출전하여, 회전과 복합에서 금메달, 대회전에서 은메달, 슈퍼대회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출전한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대회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회전에서는 오스트리아 선수들이 시상대를 독점했다. 이 해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7승을 거두어 생애 처음으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 오레 대회에서 슈퍼 복합 은메달, 2009년 발디제르 대회에서 대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라이히는 기술 계열에 강한 올라운더로,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활강 종목은 다소 어려워하며, 슈퍼대회전도 가끔 시상대에 올랐지만, 회전, 대회전만큼의 강점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2. 2. 전성기

1996년에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 데뷔했다. 2년 후인 1998-1999년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출전하여 그 해 슬로베니아 크란스카고라 경기에서 회전 3위에 입상하여 첫 시상대에 올랐다. 또한 다음 날 오스트리아 슈라트밍 경기에서 회전으로 월드컵 첫 우승을 차지했고, 오스트리아 플라하우 경기에서 대회전 우승, 스위스 벵겐 경기에서 회전 우승을 차지하여 이 시즌 3승을 거두었다. 1999-2000년에는 2승, 2000-2001년에는 4승을 기록했고, 2000-2001년 시즌에는 회전에서 첫 종목별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장크트안톤 대회에서는 회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복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다음 해 세계 선수권 장크트모리츠 대회에서는 회전 4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2005년 세계 선수권 보르미오 대회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4종목에 출전하여, 회전과 복합에서 금메달, 대회전에서 은메달, 슈퍼대회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출전한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대회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회전에서는 2위 라인프리트 헤르프스트, 3위 라이너 쇤펠더와 함께 오스트리아 선수들이 시상대를 독점했다. 이 해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7승을 거두어 생애 처음으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 오레 대회에서 슈퍼 복합 은메달, 2009년 발디제르 대회에서 대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4종목에 참가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기술 계열에 강한 올라운더로, 활강 종목을 다소 어려워하며,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도 이 종목은 대개 10위권이 고정적인 성적이다. 슈퍼대회전도 가끔 시상대에 오르지만, 기술 계열 종목인 회전, 대회전만큼의 강점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몇 안 되는 전 종목 입상을 여러 시즌에 걸쳐 계속하고 있다.

2. 3. 후기 경력

1996년에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 데뷔했다. 2년 후인 1998-1999년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출전했다. 그 해 슬로베니아 크란스카고라 경기에서 회전 3위에 입상하여 첫 시상대에 올랐고, 오스트리아 슈라트밍 경기에서 회전으로 월드컵 첫 우승을 차지했다. 오스트리아 플라하우 경기에서 대회전 우승, 스위스 벵겐 경기에서 회전 우승을 차지하여 이 시즌 3승을 거두었다. 1999-2000년에는 2승, 2000-2001년에는 4승을 기록했고, 2000-2001년 시즌에는 회전에서 첫 종목별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장크트안톤 대회에서는 회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는 회전과 복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5년 세계 선수권 보르미오 대회에서는 활강을 제외한 4종목에 출전하여, 회전과 복합에서 금메달, 대회전에서 은메달, 슈퍼대회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출전한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회전과 대회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회전에서는 2위 라인프리트 헤르프스트, 3위 라이너 쇤펠더와 함께 오스트리아 선수들이 시상대를 독점했다. 이 해 시즌에는 월드컵에서 7승을 거두어 생애 처음으로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 오레 대회에서 슈퍼 복합 은메달, 2009년 발디제르 대회에서 대회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기술 계열에 강한 올라운더로,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 활강 종목은 10위권, 슈퍼대회전은 가끔 시상대에 올랐지만, 회전과 대회전만큼의 강점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2. 4. 대한민국과의 인연

3. 경기 스타일

4. 수상 및 수훈


  • 스키외르도르(2006년)
  • 오스트리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2006년)
  • 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명예장 공로은장
    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명예장 공로은장(2001년)
  • 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명예장 대명예장
    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명예장 대명예장(2006년)

FIS 월드컵

  • 36승 (회전: 14승, 대회전: 14승, 슈퍼대회전: 1승, 복합: 7승)
  • 종합 우승: 1회 (2005-2006)

5. 월드컵 성적

wikitable

시즌나이종합회전대회전슈퍼-G활강복합
1998209637
199921107632
200022964
200123414
2002249192
20032586837
2004263348352
2005272116261
20062813115281
20072921313325
2008302823366
200931210214325
20103226341
20113311151985418
20123412161373112
201335201816388
20143620176
20153728239



시즌종목
2001회전
2005대회전
회전
복합
2006종합
대회전
복합
2007회전
2010복합



시즌날짜장소경기
19991999년 1월 7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1999년 1월 10일플라차우, 오스트리아대회전
1999년 1월 17일벵겐, 스위스슬라롬
20002000년 2월 26일용평, 대한민국대회전
2000년 3월 18일보르미오, 이탈리아대회전
20012001년 1월 14일벵겐, 스위스슬라롬
2001년 1월 21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슬라롬
2001년 1월 23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2001년 3월 11일오레, 스웨덴슬라롬
20022001년 12월 21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42004년 1월 3일플라차우, 오스트리아대회전
2004년 1월 18일벵겐, 스위스슬라롬
2004년 1월 27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20052004년 12월 5일비버 크리크, CO, 미국슬라롬
2005년 1월 14일벵겐, 스위스복합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5년 2월 26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62005년 12월 21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6년 1월 7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2006년 1월 13일벵겐, 스위스슈퍼 복합
2006년 1월 22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복합
2006년 2월 3일샤모니, 프랑스슈퍼 복합
2006년 동계 올림픽
2006년 3월 10일시가 고원, 일본슬라롬
2006년 3월 17일오레, 스웨덴대회전
20072006년 11월 12일레비, 핀란드슬라롬
2007년 1월 6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2007년 1월 23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3월 3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7년 3월 9일크비트피엘, 노르웨이슈퍼 복합
2007년 3월 18일렌체르하이드, 스위스슬라롬
20082007년 12월 9일바트 클라인키르히하임, 오스트리아슬라롬
20092008년 12월 7일비버 크리크, CO, 미국대회전
2008년 12월 12일발디제르, 프랑스슈퍼 복합
2009년 1월 10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2009년 3월 13일오레, 스웨덴대회전
20102009년 12월 11일발디제르, 프랑스슈퍼 복합
20122012년 2월 25일크랑스 몽타나, 스위스슈퍼-G



베냐민 라이히는 FIS 월드컵에서 총 36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슬라롬 14승, 대회전 14승, 슈퍼대회전 1승, 복합 7승이다. 2005-2006 시즌에는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5. 1. 시즌 순위

wikitable

시즌나이종합회전대회전슈퍼-G활강복합
1998209637
199921107632
200022964
200123414
2002249192
20032586837
2004263348352
2005272116261
20062813115281
20072921313325
2008302823366
200931210214325
20103226341
20113311151985418
20123412161373112
201335201816388
20143620176
20153728239



베냐민 라이히는 FIS 월드컵에서 36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세부적으로 회전 14승, 대회전 14승, 슈퍼대회전 1승, 복합 7승을 기록했다. 2005-2006 시즌에는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5. 2. 시즌 타이틀

wikitable

시즌종목
2001회전
2005대회전
회전
복합
2006종합
대회전
복합
2007회전
2010복합



베냐민 라이히는 FIS 월드컵에서 총 36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회전 14승, 대회전 14승, 슈퍼대회전 1승, 복합 7승). 2005-2006 시즌에는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5. 3. 개인별 경기

시즌날짜장소경기
19991999년 1월 7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1999년 1월 10일플라차우, 오스트리아대회전
1999년 1월 17일벵겐, 스위스슬라롬
20002000년 2월 26일용평, 대한민국대회전
2000년 3월 18일보르미오, 이탈리아대회전
20012001년 1월 14일벵겐, 스위스슬라롬
2001년 1월 21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슬라롬
2001년 1월 23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2001년 3월 11일오레, 스웨덴슬라롬
20022001년 12월 21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42004년 1월 3일플라차우, 오스트리아대회전
2004년 1월 18일벵겐, 스위스슬라롬
2004년 1월 27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20052004년 12월 5일비버 크리크, CO, 미국슬라롬
2005년 1월 14일벵겐, 스위스복합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5년 2월 26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62005년 12월 21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6년 1월 7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2006년 1월 13일벵겐, 스위스슈퍼 복합
2006년 1월 22일키츠부엘, 오스트리아복합
2006년 2월 3일샤모니, 프랑스슈퍼 복합
2006년 동계 올림픽
2006년 3월 10일시가 고원, 일본슬라롬
2006년 3월 17일오레, 스웨덴대회전
20072006년 11월 12일레비, 핀란드슬라롬
2007년 1월 6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2007년 1월 23일슐라드밍, 오스트리아슬라롬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07년 3월 3일크란스카 고라, 슬로베니아대회전
2007년 3월 9일크비트피엘, 노르웨이슈퍼 복합
2007년 3월 18일렌체르하이드, 스위스슬라롬
20082007년 12월 9일바트 클라인키르히하임, 오스트리아슬라롬
20092008년 12월 7일비버 크리크, CO, 미국대회전
2008년 12월 12일발디제르, 프랑스슈퍼 복합
2009년 1월 10일아델보덴, 스위스대회전
2009년 3월 13일오레, 스웨덴대회전
20102009년 12월 11일발디제르, 프랑스슈퍼 복합
20122012년 2월 25일크랑스 몽타나, 스위스슈퍼-G



베냐민 라이히는 총 36번의 FIS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슬라롬 14승, 대회전 14승, 슈퍼대회전 1승, 복합 7승이다. 2005-2006 시즌에는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6. 세계 선수권 대회 성적

연도나이회전대회전슈퍼대회전활강복합팀 이벤트
1999205DNF2미실시
2001222DNF2
20032449
20052612312
2007284DNF121
200930DSQ225DNF1취소됨
201132452
201334139DNF2
201536DNF1DNF1


7. 올림픽 성적

슬라롬슈퍼-G활강복합20022334——32006271121—DNF2010314614—6201435DNF17———


8. 사생활

베냐민 라이히의 여동생 카리나 라이히 또한 스키 선수이다. 베냐민 라이히는 스키 선수 마를리스 실트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세 자녀를 두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