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크트모리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크트모리츠는 스위스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족 시대부터 온천지로 알려졌으며, 1864년 겨울 관광의 시작과 함께 알프스 지역의 대표적인 겨울 스포츠 및 관광 중심지로 발전했다. 1928년과 194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20개 이상의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스포츠 대회를 유치했다. 현재는 연중 300일 이상 맑은 날씨를 보이며, 스키, 스노보드, 하이킹 등 다양한 활동과 명품 상점, 스파 시설을 갖춘 관광 명소로, 특히 "화이트 터프" 경마와 같은 문화 행사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크트모리츠 - 장크트모리츠역
장크트모리츠역은 스위스 장크트모리츠에 있는 래티셰 철도 노선의 주요 분기역으로, 현대화 공사를 거쳐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과거 빙하 특급과 베르니나 특급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파노라마 익스프레스로 통합되었다.
장크트모리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독일어) | Sankt Moritz (장크트모리츠) |
공식 명칭 (로만슈어) | San Murezzan (산무레찬) |
공식 명칭 (이탈리아어) | San Maurizio (산마우리치오) |
공식 명칭 (프랑스어) | Saint-Moritz (생모리츠) |
위치 | 스위스 그라우뷘덴주 |
속한 지역 | 말로야구 |
언어 | 독일어 프랑스어 로만슈어 이탈리아어 |
별칭 | 토프 오브 더 월드 |
지리 | |
면적 | 28.69 km² |
해발 고도 | 1,822 m (Traunter Plazzas 기준) |
인접 지방 자치 단체 | 베버 첼레리나/슐라리냐 사메단 실바플라나 |
지역 | 장크트모리츠-도르프 장크트모리츠-바트 수브레타 샹페르 (동부 지역) |
인구 | |
총 인구 | 4,945 명 (2020년 12월 기준) |
인구 밀도 | 172 명/km² |
데모님 | St. Moritzer(in) (장크트모리처(인)) |
정치 및 행정 | |
자치체 코드 | 3787 |
시장 |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 7500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앙 유럽 표준시 (CET) |
협정 세계시 (UTC) 와의 시차 | +1 |
하계 시간대 | 중앙 유럽 하계 시간 (CEST) |
섬머 타임 (DST) 동안 UTC와의 시차 | +2 |
공식 웹사이트 | 장크트모리츠 공식 웹사이트 |
자매 도시 | (정보 없음) |
2. 역사
장크트모리츠는 오래전부터 온천지로 알려졌지만, 본격적인 관광지로 발전한 것은 서민들 사이에 여행이 정착된 19세기 후반 이후이다. 특히 영국에서 리조트지로 알려지게 되었고, 1859년에는 장크트모리츠에 최초의 호텔(쿨름 호텔)이 개업했다.
그 후 윈터 스포츠의 지역으로 점차 발전해 갔다. 많은 스위스 도시가 관광 산업에 주목하여 발전해 갔지만, 장크트모리츠는 그 선구자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말에는 시가 전차도 개통되었고, 20세기에 들어서면서는 스키장의 본격적인 정비도 이루어졌다 (스위스 최초의 리프트 설치도 장크트모리츠이다).
장크트모리츠는 1928년 동계 올림픽과 194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그 외에도 20회 이상의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 세계 선수권 대회, 4회의 국제스키연맹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1934/1974/2003/2017) 및 40회 이상의 엥가딘 스키 마라톤을 개최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골프 토너먼트(1979년), 스노 폴로 토너먼트(1985년부터 매년 1월 시작), 얼음 위 크리켓(Cricket on Ice, 1989)와 같은 대회가 개최되었다.[1] 장크트모리츠는 또한 많은 세일링 및 윈드서핑 세계 선수권 대회의 개최지였다.
1980년대 초반부터 장크트모리츠는 "Top of the World"로 알려져 있으며, 이 표현은 1987년 관광청에 상표로 등록되었다.
2. 1. 중세와 초기 발전
성 모리츠의 샘 밑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의 봉헌물, 칼, 바늘은 켈트족이 이미 그것들을 발견했음을 나타낸다. 장크트 모리츠는 1137-39년경에 ''ad sanctum Mauricium''으로 처음 언급되었다.[32] 마을 이름은 테베 군단의 지도자로 복무하던 3세기 로마 시대 스위스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지는 이집트 남부의 초기 기독교 성인인 성 마우리시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순례자들은 성 마우리시우스로 여행을 갔고, 종종 샘의 교회로 갔다. 그곳에서 치유를 바라는 마음으로 모리셔스 샘의 축복받은 부글부글 끓는 물을 마셨다. 1519년에 메디치 가문 출신의 교황 레오 10세는 샘의 교회를 순례하는 모든 사람에게 완전한 사면을 약속했다. 16세기에 장크트모리츠 광천에 관한 최초의 과학 논문이 작성되었다. 1535년에 위대한 자연 요법의 수행자인 파라켈수스는 장크트 모리츠에서 시간을 보냈다.
여름 동안 일부 방문객을 받기는 했지만, 겨울 리조트의 기원은 158년 전인 1864년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장크트 모리츠 호텔의 개척자 카스파 바드루트는 영국인 여름 손님 4명과 마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는 여행 경비를 돌려주겠다고 내기를 했다. 그들이 겨울에 장크트모리츠를 매력적으로 여긴다면,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그의 손님으로 머물도록 초대할 것이라고 약속한 것이다. 이는 장크트모리츠의 겨울 관광의 시작일 뿐만 아니라 알프스 전체의 겨울 관광의 시작이기도 하다. 같은 해 스위스 최초의 관광 안내소가 마을에 설립되었다. 장크트 모리츠는 19세기 후반에 빠르게 발전했다. 1878년 쿨름호텔에 스위스 최초의 전등이 설치되었고, 1880년에는 대륙 최초의 컬링 대회가 열렸다. 1882년에는 제1회 유럽 아이스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가 장크트모리츠에서 개최되었고, 1889년 알프스에서 제1회 골프 대회가 개최되었다. 1890년에 최초의 봅런 및 봅슬레이 경기가 열렸다. 1896년까지 장크트모리츠는 알프스에서 전기 트램을 설치한 최초의 마을이 되었고, 팰리스 호텔을 오픈했다. 1906년에는 눈 위에서, 이듬해에는 얼어붙은 호수에서 경마가 열렸다. 스위스 최초의 스키 학교는 1929년 장크트모리츠에 설립되었다.
2. 2. 근대: 겨울 관광의 시작
1864년 9월, 장크트모리츠 호텔의 선구자 카스파 바드루트는 영국인 여름 손님 4명과 흥미로운 내기를 했다. 여름에만 장크트모리츠를 방문했던 손님들에게 겨울에도 마을을 방문해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여행 경비를 돌려주겠다는 제안이었다. 만약 그들이 겨울의 장크트모리츠를 매력적으로 느낀다면,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그의 손님으로 머물 수 있도록 초대하겠다고 약속했다.[1] 이 내기는 장크트모리츠뿐만 아니라 알프스 전체 겨울 관광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같은 해, 스위스 최초의 관광 안내소가 장크트모리츠에 설립되었다. 이후 장크트모리츠는 19세기 후반에 걸쳐 빠르게 발전했다. 1878년 쿨름 호텔에 스위스 최초의 전등이 설치되었고, 1880년에는 유럽 대륙 최초의 컬링 대회가 열렸다.[1] 1882년에는 제1회 유럽 아이스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가 장크트모리츠에서 개최되었으며, 1889년에는 알프스 최초의 골프 대회가 열렸다. 1890년에는 최초의 봅런 및 봅슬레이 경기가 열렸고, 1896년에는 알프스 최초로 전기 트램이 설치되었으며, 팰리스 호텔이 개장했다.[1] 1906년에는 눈 위에서, 이듬해에는 얼어붙은 호수에서 경마가 열렸다. 1929년에는 스위스 최초의 스키 학교가 장크트모리츠에 설립되었다.[1]
2. 3. 현대: 국제적인 스포츠 중심지
여름 동안 일부 방문객을 받기는 했지만, 겨울 리조트의 기원은 1864년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장크트모리츠 호텔의 개척자 캐스퍼 바트루트는 영국인 여름 손님 4명과 내기를 했다. 그 내용은 마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여행 경비를 돌려주고, 겨울에 장크트모리츠가 매력적이라면 원하는 만큼 오랫동안 그의 손님으로 머물도록 초대하는 것이었다.[1] 이는 장크트모리츠의 겨울 관광의 시작일 뿐만 아니라 알프스 전체의 겨울 관광의 시작이기도 하다. 같은 해 스위스 최초의 관광 안내소가 마을에 설립되었다. 장크트 모리츠는 19세기 후반에 빠르게 발전했다. 1878년 쿨름호텔에 스위스 최초의 전등이 설치되었고, 1880년에는 대륙 최초의 컬링 대회가 열렸다.[1] 1882년에는 제1회 유럽 아이스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가 장크트모리츠에서 개최되었고, 1889년 알프스에서 제1회 골프 대회가 열렸다. 1890년에 최초의 봅런 및 봅슬레이 경기가 열렸다. 1896년까지 장크트모리츠는 알프스에서 전기 트램을 설치한 최초의 마을이 되었고, 팰리스 호텔을 오픈했다.[1] 1906년에는 눈 위에서, 이듬해에는 얼어붙은 호수에서 경마가 열렸다. 스위스 최초의 스키 학교는 1929년 장크트모리츠에 설립되었다.[1]장크트모리츠는 1928년 동계 올림픽과 194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경기장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1969년 이래로 20개 이상의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 세계 선수권 대회, 4개의 국제스키연맹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 (1934/1974/2003/2017) 및 40개 이상의 엥가딘 스키 마라톤을 주최했다. 골프 토너먼트(1979), 스노우 폴로 토너먼트(1985년부터 매년 1월 시작), 얼음 위 크리켓(Cricket on Ice, 1989)와 같은 대회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개최되었다.[1] 장크트모리츠는 또한 많은 세일링 및 윈드서핑 세계 선수권 대회의 장소이기도 하다.
1980년대 초반부터 장크트 모리츠는 "Top of the World"로 알려져 있으며, 이 표현은 1987년 관광청에 상표로 등록되었다.
3. 지리
장크트모리츠는 삼림한계선 근처의 높은 고도 때문에 아극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fc'')를 보인다. 추운 밤과 함께 시원한 여름, 매우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이 나타나며, 최고 기온은 거의 영하에 머무르고 연간 평균 강설량은 254cm이다. 평균 기온은 약 2°C(인근 자메단 마을에서 측정)로 스위스 고원에 비해 매우 낮으며, 전통적으로 스위스에서 가장 추운 거주지로 간주되었던 라 브레빈보다도 낮다.[27]
3. 1. 위치 및 지형

장크트모리츠의 면적은 2004/09 조사 기준으로 28.69km2이다. 이 면적 중 약 26.3%가 농업용으로 사용되며 20.0%는 산림이다. 나머지 토지 중 9.0%는 정착지(건물 또는 도로)이고 44.8%는 비생산적인 토지이다. 2004/09 조사에서 총 160ha (전체 면적의 약 5.6%)가 건물로 덮여 있었는데, 이는 1985년에 비해 23ha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동안 시정촌의 레크리에이션 공간은 3ha 증가했으며, 현재 전체 면적의 약 1.15%이다. 농경지 중 149ha는 들판과 초원이고 643ha는 고산 목초지로 구성되어 있다. 1985년 이래로 농경지는 37ha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안 삼림 면적은 33ha 증가했다.[25][26]
동부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정상은 마을에서 남동쪽으로 15km 떨어진 4048.6m의 피츠 베르니나이다.
2017년 이전에 시정촌은 말로야 지역의 오버엥가딘 하위 지구에 위치했으며 2017년 이후 말로야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장크트모리츠는 장크트모리츠-도르프(해발 1830m), 바트(1775m), 샴퍼(1825m})의 정착지 및 주프레타(Suvretta)의 마을 구역으로 구성된다.
인 강을 따라 장크트모리츠 호수 호반에 위치해 있다. 여름에는 하이킹, 겨울에는 윈터 스포츠가 성행하며, 근처에 광천도 솟아나 연중 많은 레저객과 휴양객이 찾아온다. 이탈리아 국경과 가까우며, 국경까지 직선 거리는 약 15km 정도이다(단, 산악 지대를 사이에 두고 있어 실질적인 거리는 더 멀다). 인근 도시로는 북서쪽으로 약 45km 거리에 쿠어가 있다.
3. 2. 행정 구역
2004/09년 조사 기준으로 장크트모리츠의 면적은 28.69km2이다. 이 면적 중 약 26.3%가 농업용으로 사용되며 20.0%는 산림이다. 나머지 토지 중 9.0%는 정착지(건물 또는 도로)이고 44.8%는 비생산적인 토지이다.[25][26] 2004/09년 조사에서 총 160ha (전체 면적의 약 5.6%)가 건물로 덮여 있었는데, 이는 1985년에 비해 23ha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동안 시정촌의 레크리에이션 공간은 3ha 증가했으며, 현재 전체 면적의 약 1.15%이다. 농경지 중 149ha는 들판과 초원이고 643ha는 고산 목초지로 구성되어 있다. 1985년 이래로 농경지는 37ha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안 삼림 면적은 33ha 증가했다.[25][26]동부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정상은 마을에서 15km 남동쪽으로 떨어진 피츠 베르니나이며, 해발 4048.6m이다.
2017년 이전에는 말로야구의 오버엥가딘 하위 지구에 위치했으며, 2017년 이후 말로야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장크트모리츠는 장크트모리츠-도르프(해발 1830m), 바트(1775m), 샴퍼(1825m})의 정착지 및 주프레타(Suvretta)의 마을 구역으로 구성된다.
3. 3. 기후
장크트모리츠는 삼림한계선 근처의 높은 고도로 인해 아극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fc'')를 보인다. 추운 밤과 함께 시원한 여름과 매우 춥고 눈이 내리는 겨울이 나타나며, 최고 기온은 거의 영하에 머무르고 연간 평균 강설량은 254cm이다. 평균 기온은 약 2°C(인근 자메단 마을에서 측정)로 스위스 고원에 비해 매우 낮다. 또한 전통적으로 스위스에서 가장 추운 거주지로 간주되었던 라 브레빈보다도 훨씬 낮다.[27]
4. 인구통계
2000년 기준 장크트모리츠 주민 대부분은 독일어(58.8%)를 사용하며, 이탈리아어가 2위(21.8%), 포르투갈어가 3위(6.6%)이다.[28] 원래 이 지역 전체 인구는 엥가딘 계곡 상부 지역의 방언인 푸터 로만슈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외부 세계와의 무역이 증가하면서 로만슈어 사용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1880년에는 인구의 50.2%만이 로만슈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이후 로만슈어는 독일어와 이탈리아어에 밀려났다. 1900년에는 인구의 31%가 이탈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고, 1910년에도 비슷한 비율을 유지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로만슈어와 이탈리아어 사용자의 비율은 독일어 사용자에 비해 감소했다. 1941년에는 20%만이 로만슈어를 사용했고, 1970년에는 8%, 2000년에는 인구의 4.7%만이 로만슈어를 사용했다.[33]
언어 | 1980년 인구 조사 | 1990년 인구 조사 | 2000년 인구 조사 | |||
---|---|---|---|---|---|---|
수 | 비율 | 수 | 비율 | 수 | 비율 | |
독일어 | 3,092 | 52.41% | 3,186 | 58.72% | 3,286 | 58.79% |
이탈리아어 | 1,608 | 27.25% | 1,157 | 21.32% | 1,220 | 21.83% |
로만슈어 | 569 | 9.64% | 338 | 6.23% | 264 | 4.72% |
인구 | 5,900 | 100% | 5,426 | 100% | 5,589 | 100% |
4. 1. 인구 변화
기준 장크트모리츠의 인구는 명이다.[30] 2008년 현재 전체 인구의 38.0%가 외국인이다.[14] 2009년까지 10년 동안 인구는 4.9% 감소했다.[28]2000년 기준으로 인구의 성별 분포는 남성 45.4%, 여성 54.6%였다.[29] 2000년 현재 장크트모리츠의 연령 분포는 다음과 같다. 0~9세 어린이는 423명(인구의 7.6%), 10~19세 청소년은 502명(9.0%)이다. 성인 인구 중 20~29세는 960명(17.2%), 30~39세는 1,055명(18.9%), 40~49세는 864명(15.5%), 50~59세는 820명(14.7%)이다. 고령자 분포는 60세 이상 69세는 532명(9.5%), 70~79세는 289명(5.2%), 80~89세는 121명(2.2%), 90세 이상은 23명(0.4%)이다.[30]
2014년에 장크트모리츠에는 2,822개의 개인 가구가 있었고 평균 가구 규모는 1.84명이었다. 2000년 기준으로 시정촌 884채의 주거동 중 단독주택이 29.1%, 다가구주택이 40.8%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1919년 이전에 건설된 건물의 약 19.9%, 1991년에서 2000년 사이에 8.6%가 건설되었다.[31] 2013년 인구 1000명당 신규 주택 건설 비율은 9.32이다. 2015년 시정촌 공실률은 3.18%였다.[26]
과거 인구[32][29] | |
---|---|
년도 | 인구 |
1803 | 183 |
1850 | 228 |
1900 | 1,603 |
1910 | 3,197 |
1950 | 2,558 |
1960 | 3,751 |
1970 | 5,699 |
1980 | 5,900 |
1990 | 5,426 |
2000 | 5,589 |
2000년 국적별 인구[32] | ||
---|---|---|
국적 | 인원 (이중 국적 제외) | 인원 (이중 국적 포함) |
스위스 | 3,079 | 3,527 |
이탈리아 | 897 | 1,162 |
포르투갈 | 435 | 445 |
독일 | 202 | 232 |
세르비아-몬테네그로 | 106 | 108 |
오스트리아 | 74 | 104 |
프랑스 | 56 | 73 |
크로아티아 | 62 | 63 |
스페인 | 33 | 41 |
영국 | 30 | 41 |
네덜란드 | 17 | 29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27 | 28 |
4. 2. 언어
2000년 기준 인구 대부분은 독일어(58.8%)를 사용하며, 이탈리아어가 두 번째로 많고(21.8%), 포르투갈어가 세 번째(6.6%)이다.[28] 원래 전체 인구는 어퍼 엥가딘의 푸터 로만슈 방언을 사용했다. 외부 세계와의 무역 증가로 인해 로만슈어 사용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1880년에는 인구의 50.2%만이 로만슈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로만슈어는 독일어와 이탈리아어 모두에게 밀려났다. 1900년에는 인구의 31%가 이탈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고, 1910년에도 거의 비슷했다. 이후 몇 년 동안 로만슈어와 이탈리아어 사용자의 비율은 독일어 사용자에 비해 감소했다. 1941년에는 20%만이 로만슈어를 사용했고, 1970년에는 8%였다. 2000년에는 인구의 4.7%만이 로만슈어를 사용했다.[33]언어 | 1980년 인구 조사 | 1990년 인구 조사 | 2000년 인구 조사 | |||
---|---|---|---|---|---|---|
수 | 비율 | 수 | 비율 | 수 | 비율 | |
독일어 | 3,092 | 52.41% | 3,186 | 58.72% | 3,286 | 58.79% |
이탈리아어 | 1,608 | 27.25% | 1,157 | 21.32% | 1,220 | 21.83% |
로만슈어 | 569 | 9.64% | 338 | 6.23% | 264 | 4.72% |
인구 | 5,900 | 100% | 5,426 | 100% | 5,589 | 100% |
4. 3. 국적 구성
2000년 인구 조사 기준 장크트모리츠의 국적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29][32]국적 | 인원 (이중 국적 제외) | 인원 (이중 국적 포함) |
---|---|---|
스위스 | 3,079 | 3,527 |
이탈리아 | 897 | 1,162 |
포르투갈 | 435 | 445 |
독일 | 202 | 232 |
세르비아-몬테네그로 | 106 | 108 |
오스트리아 | 74 | 104 |
프랑스 | 56 | 73 |
크로아티아 | 62 | 63 |
스페인 | 33 | 41 |
영국 | 30 | 41 |
네덜란드 | 17 | 29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27 | 28 |
5. 경제
생모리츠는 지역 경제 중심지이자 관광 커뮤니티이다.[34] 2014년 기준으로 자치단체에 고용된 인원은 총 7,590명이다.
다음은 2014년 기준 고용 현황이다.
산업 부문 | 사업체 수 | 근로자 수 | 비고 |
---|---|---|---|
1차 산업 | 7개 | 24명 | |
2차 산업 | 74개 | 1,039명 | 이 중 17%는 소규모 사업체 |
2차 산업 소계 | 22개 소규모 사업체 | 533명 | |
3개 중규모 사업체 | 329명 | ||
3차 산업 | 768개 | 6,527명 | |
3차 산업 소계 | 752개 소규모 사업체(50인 미만) | 3,820명 | |
14개 중규모 사업체 | 1,928명 | ||
2개 대규모 사업체 | 779명 | 평균 389.5명 |
바드루트 팰리스 호텔(5성급)은 52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장크트 모리츠에서 가장 큰 고용주이다.
2014년에는 전체 인구의 9.3%가 사회 지원을 받았다.[26]
2016년 2분기에 평균 1,062명의 근로자가 스위스 외부에서 지방 자치 단체로 통근했으며, 이는 소수의 근로자를 대표한다.[36]
2015년 국내 호텔은 총 599,734건의 숙박을 했으며, 그중 69.2%가 해외 방문객이었다.[37] 같은 해에 지자체에는 267석의 영화관이 하나 있었다.[38]
6. 교통
장크트모리츠는 스위스에서 기차역이 있는 가장 높은 도시이다. 장크트모리츠역은 마을 중심부, 호숫가 근처, 비아 제르라스의 바닥에 있다. 래티셰 철도가 운영하며 알불라와 베르니나 철도 노선의 종점이다. 빙하특급과 베르니나 익스프레스 열차는 장크트모리츠에서 정차한다.
기차역 근처에는 중요한 PostBus 스위스 정류장이 있다.
장크트모리츠-코르빌리아 삭도는 장크트모리츠를 코르빌리아 정상 및 스키 지역과 연결한다.
- 레티셰 철도 장크트모리츠역
7. 스포츠
장크트모리츠는 19세기부터 겨울 스포츠 휴양지였다. 옥스포드와 케임브리지 학생들은 그곳에서 서로 경기를 하기 위해 방문했다. 1885년 장크트모리츠에서 열린 밴디 경기는 아이스하키 대표팀 경기의 전신이다.[39] 1928년 동계 올림픽과 194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한 장크트모리츠는 인스브루크와 함께 동계 올림픽을 두 번 개최한 세 도시(오스트리아,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중 하나이다. 또한 1934년, 1974년, 2003년, 2017년에 FIS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장크트모리츠는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경주를 하는 FIBT 세계선수권대회를 21회 개최했다. 1985년부터 세계 최고의 팀이 참가하고 얼어붙은 호수의 특별히 표시된 필드에서 경기를 하는 스노우 폴로 장크트모리츠를 개최했다.[39]
1904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마지막으로 남은 천연 봅슬레이 트랙이 개장했다. 1.72km의 얼음 채널은 세계에서 가장 큰 "얼음 조각품"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매년 겨울 눈과 물로 만들어진다. 봅슬레이 트랙은 수많은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으며 두 번의 동계 올림픽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1930년대 초, 봅슬레이 클럽의 일부 회원들은 손님을 택시로 데려가기 시작했고, 오늘날에는 약간 수정된 레이싱 봅슬레이로 운행한다.
192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노르딕 복합 경기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부분이 장크트모리츠 언덕 주변에서 열렸다.[40] 20년 후인 194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경기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부분, 아이스하키 경기가 장크트모리츠에서 열렸다.[41]
7. 1. 주요 스포츠 시설 및 행사
장크트모리츠는 19세기부터 동계 스포츠 휴양지로 자리 잡았다.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학생들이 서로 경기를 하기 위해 이곳을 찾았는데, 1885년 장크트모리츠에서 열린 밴디 경기는 정기적으로 열리는 아이스하키 버시티 매치의 전신이었다.
장크트모리츠는 1928년과 1948년 동계 올림픽 개최 도시였으며,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와 함께 두 번 개최한 세 도시 중 하나이다. 또한 1934년, 1974년, 2003년, 2017년에 FIS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장크트모리츠는 FIBT 세계 선수권 대회(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경기)를 21번 개최하여 최다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85년부터는 세계 최고의 팀들이 참가하여 얼어붙은 호수 위에 특별히 표시된 경기장에서 열리는 스노우 폴로 장크트모리츠 대회를 개최해 왔다.[39]
장크트모리츠는 특히 사이클 선수, 러너, 경보 선수와 같은 지구력 운동 선수들을 위한 고도 훈련 기지로 여름철에도 매우 인기가 높다. 그 인기는 고도, 날씨, 세계적인 수준의 육상 트랙, 그리고 이 지역의 길과 산책로의 활용 가능성에서 기인한다.
1904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천연 봅슬레이 트랙이 개장했다. 1.72km 길이의 이 얼음 채널은 세계에서 가장 큰 "얼음 조각"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매년 겨울 눈과 물만으로 처음부터 만들어진다. 봅슬레이 트랙은 수많은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으며 두 번의 동계 올림픽에서 사용되었다. 1930년대 초, 봅슬레이 클럽의 일부 회원들이 손님들을 태우고 택시를 운행하기 시작했고, 오늘날에는 약간 개조된 레이싱 봅슬레이로 운행하고 있다.
1928년 올림픽에서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노르딕 복합 경기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가 장크트모리츠의 언덕 주변에서 열렸다.[40] 20년 후,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경기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부분, 아이스하키 경기가 장크트모리츠에서 열렸다.[41]
이 외에도 장크트모리츠는 요트 경기의 목적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곳은 장크트모리츠 호수에서 매년 열리는 장크트모리츠 매치 레이스의 개최지이다. 장크트모리츠 매치 레이스 경기는 3개 대륙을 포괄하는 권위 있는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의 일부이다. 동일하게 제공되는 (BLU-26) 보트가 한 번에 두 대씩 물 위에서 도그파이트 방식으로 경주하며, 이는 선원과 스키퍼의 신체적 능력을 극한까지 시험한다. 획득한 점수는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 점수에 반영되며, 최종 이벤트 진출 자격을 얻게 되며, 최종 우승자는 ISAF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 챔피언의 타이틀을 얻게 된다.
7. 2. 여름 스포츠
장크트모리츠는 여름에 사이클 선수, 러너, 경보 선수와 같은 지구력 운동 선수들을 위한 고도 훈련 기지로 매우 인기가 높다. 그 인기는 고도, 날씨, 세계적 수준의 육상 트랙, 해당 지역의 경로 및 트레일 가용성에서 기인한다.이 외에도 장크트모리츠는 요트 경기의 목적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장크트모리츠 호수에서 매년 열리는 장크트모리츠 매치 레이스는 3개 대륙을 포괄하는 권위 있는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의 일부이다. 동일한 (BLU-26) 보트가 한 번에 두 대씩 물 위에서 도그파이트 방식으로 경주하며, 이는 선원과 스키퍼의 신체적 능력을 극한까지 시험한다. 획득한 점수는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 점수에 반영되며, 최종 이벤트 진출 자격을 얻게 되고, 최종 우승자는 ISAF 월드 매치 레이싱 투어 챔피언의 타이틀을 얻게 된다.
8. 관광
장크트모리츠는 스키를 비롯한 동계 스포츠의 메카이지만, 여름철에도 하이킹, 사이클링, 승마 등을 즐길 수 있다. 빙하 특급과 베르니나 특급 등 인기 절경 루트의 출발지이기도 하다.
유명 브랜드 상점이 늘어선 도르프 지구와 스파 시설이 있는 바트 지구가 있다. 연중 인구는 5,600명이며, 호텔 및 임대 시설에는 총 13,000개의 침대가 있고 약 3,000명의 계절별 직원이 이를 지원한다. 쿨름 호텔 장크트모리츠는 장크트모리츠의 대형 고급 호텔이다.
장크트모리츠의 저명한 부동산 소유주로는 손자 치만, 군터 작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락슈미 미탈, 이반 글라센버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마우리치오 구찌, 조르조 아르마니, 잉그바르 캄프라드, 헬무트 호르텐, 조반니 아넬리, 레모 루피니, 딘과 댄 카튼, 하이네켄 가문,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 스타브로스 니아르코스 등이 있다.
8. 1. 주요 관광 명소
장크트모리츠는 유리한 위치 덕분에 연간 300일 이상 햇빛을 볼 수 있다.[42] 매년 겨울, 얼어붙은 장크트모리츠 호수에서는 국제 상류층이 참가하는 "화이트 터프(White Turf)" 경마 대회가 열린다.[7]스키, 스노보드, 하이킹이 인기 있는 여가 활동이며, 인근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크레스타 런 봅슬레이 코스도 있다.[7]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세간티니 미술관: 엥가딘에서 생애 마지막 5년을 보낸 조반니 세간티니에게 헌정된 미술관이다. 스위스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8]
- 봅슬레이 트랙: 매우 희귀한 천연 경기장으로, 보통 12월 중순에 개장한다.
- 빙하 풍경: 디아볼레자에서 모르테라치 빙하로 내려가는 길에 여러 전망대가 있다.
- 피츠 코르바츠: 3300m 고도에 얼음 동굴이 있고, 장크트모리츠-바트까지 8km 길이의 스키 슬로프가 이어진다.
- 코르빌리아/피츠 닐: 장크트모리츠의 하우스 마운틴으로 불리며, 도르프 지구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챤타렐라를 거쳐 코르빌리아까지 갈 수 있다. 로프웨이로 피츠 닐까지 올라갈 수도 있다.
- 무오타스 무라이유: 푼토 무라이유에서 케이블카로 연결되며, 산정역에는 산악 호텔과 레스토랑이 있다.

8. 2. 문화 행사
장크트모리츠는 연간 300일 이상 맑은 날씨를 보인다. 매년 겨울, 얼어붙은 장크트모리츠 호수에서는 국제적인 상류층이 참가하는 "화이트 터프(White Turf)" 경마 대회가 열린다.[42]인기 있는 여가 활동으로는 스키, 스노보드, 하이킹이 있으며, 인근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크레스타 런 봅슬레이 코스도 있다.
8. 3. 자매 도시
장크트모리츠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9. 대중문화 속 장크트모리츠
- 앨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1934년 스릴러 영화 ''나는 비밀을 알고 있다''의 오프닝 장면에 등장한다.[1]
- 제임스 본드 영화로는 1964년의 ''골드핑거''와 1981년의 ''007 유어 아이즈 온리''에서 언급되었고,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와 ''007 뷰 투 어 킬''의 스키 장면이 장크트모리츠에서 촬영되었지만, 대사에서는 다른 장소로 언급되었다.[1]
- 피터 사르스테트의 1969년 히트곡 "Where Do You Go To (My Lovely)?"에서 유로 제트족이 장크트모리츠로 날아가는 것을 묘사하며 언급되었다.[1]
- 시드니 셸던의 1990년 로맨틱 스릴러 소설 ''미드나잇의 기억''에서 등장인물 캐서린 알렉산더와 커크 레이놀즈가 휴가를 가는 스키 리조트로 언급되었다.[1]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제2부 전투조류''에서 카스의 은신처가 있는 곳이다.[1]
- 2004년 영화 ''프린세스 다이어리''에서 언급되었다.[1]
- 스몰빌 에피소드에서, 로이스 레인의 여동생이 갱들에게서 도망치는 장면이 나온다.[1]
- ''Cheap Seats'' 첫 번째 시즌 에피소드에서 등장한다. 스클라 형제는 1960년대에 장크트모리츠 호수에서 열린 경마 대회를 보여주는 ''와이드 월드 오브 스포츠'' 에피소드를 패러디했다.[1]
- 노라 로버츠의 1990년 소설 ''Public Secrets''에서 등장인물 엠마 맥아보이가 휴가를 가는 곳으로 언급되었다.[1]
- 글로벌 디제이스의 사운드 오브 샌프란시스코 (스노우 라디오) 버전 리믹스 후렴구에 등장하는 스키 리조트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키츠뷔엘, 슐라트밍, 이슈글, 장크트안톤, 질레르탈, 제이저 알름, 카프룬, 애스펜, 제머링, 장크트모리츠, 코르티나, 장크트요한, 에베레스트산, 로키 산맥".[1]
- 넷플릭스 영화 아미 오브 씨브스의 일부이다.[1]
- 마우리치오 구찌가 이탈리아 경찰로부터 숨어 파올라 프란치를 만나는 곳 (2021년 영화 ''하우스 오브 구찌'', 2001년 책 ''하우스 오브 구찌: 살인, 광기, 매력, 탐욕의 센세이셔널한 이야기'',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함).[1]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www.stmoritz.ch
2010-01-03
[2]
웹사이트
Arealstatistik Land Use - Gemeinden nach 10 Klassen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6-11-24
[3]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Regional portraits
https://www.bfs.admi[...]
2021-03-08
[4]
웹사이트
The Cradle of Snow Polo
http://www.snowpolo-[...]
Snow Polo World Cup
2017-01-03
[5]
간행물
1928 Wint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10-12-17
[6]
간행물
1948 Wint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08-04-10
[7]
웹사이트
The Thrill of Winter Sports in the Alpine Resort of St. Moritz
https://www.journeyh[...]
2020-09-26
[8]
웹사이트
Swiss inventory of cultural property of national and regional significance
http://www.bevoelker[...]
2009-05-01
[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12-13
[10]
웹사이트
Climate Norm Value Tables
https://web.archive.[...]
Federal Office of Meteorology and Climatology (MeteoSwiss)
2013-01-23
[11]
웹사이트
Samedan extreme values
http://eca.knmi.nl/i[...]
KNMI
2011-11-08
[12]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http://www.bfs.admin[...]
2016-01-05
[13]
웹사이트
Graubunden in Numbers
http://www.gr.ch/DE/[...]
2009-09-24
[14]
웹사이트
Graubunden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gr.ch/DE/[...]
2009-08-27
[15]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STAT-TAB - Thema 09 - Bau- und Wohnungswesen
https://www.pxweb.bf[...]
2017-04-02
[16]
문서
St. Moritz
[17]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Nationalratswahlen 2015: Stärke der Parteien und Wahlbeteiligung nach Gemeinden
http://www.bfs.admin[...]
2016-08-02
[18]
웹사이트
Die Raumgliederungen der Schweiz 2016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6-02-17
[19]
웹사이트
Federal Statistical Office -Arbeitsstätten und Beschäftigte nach Gemeinde, Wirtschaftssektor und Grössenklasse
https://www.bfs.admi[...]
2017-01-05
[20]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Cross Border Workers
https://www.bfs.admi[...]
2016-12-02
[21]
웹사이트
Federal Statistical Office - Hotellerie: Ankünfte und Logiernächte der geöffneten Betriebe
https://www.bfs.admi[...]
2017-01-05
[22]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Kinoinfrastruktur nach Gemeinde und Kinotyp
http://www.bfs.admin[...]
2016-09-26
[23]
웹사이트
Wohnbevölkerung mit Hauptsprache Rätoromanisch, 2000
https://web.archive.[...]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00
[24]
웹사이트
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Staatsangehörigkeitskategorie, Geschlecht und Gemeinde, definitive Jahresergebnisse, 2020
https://www.bfs.admi[...]
スイス連邦統計局
2021-01-09
[25]
웹인용
Arealstatistik Land Use - Gemeinden nach 10 Klassen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6-12-27
[26]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Regional portraits
https://www.bfs.admi[...]
[27]
웹인용
Climate Normals Samedan (Reference period 1991−2020)
https://www.meteoswi[...]
스위스 연방 기상청
2022-01-13
[28]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http://www.bfs.admin[...]
[29]
웹사이트
Graubunden in Numbers
http://www.gr.ch/DE/[...]
2009-09-24
[30]
웹사이트
Graubunden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gr.ch/DE/[...]
2009-08-27
[31]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STAT-TAB - Thema 09 - Bau- und Wohnungswesen
https://www.pxweb.bf[...]
[32]
문서
St. Moritz
[33]
웹인용
Wohnbevölkerung mit Hauptsprache Rätoromanisch, 2000
https://www.atlas.bf[...]
스위스 연방통계청
2000
[34]
웹인용
Die Raumgliederungen der Schweiz 2016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6-02-17
[35]
웹사이트
Federal Statistical Office -Arbeitsstätten und Beschäftigte nach Gemeinde, Wirtschaftssektor und Grössenklasse
https://www.bfs.admi[...]
[36]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Cross Border Workers
https://www.bfs.admi[...]
2016-10-27
[37]
웹사이트
Federal Statistical Office - Hotellerie: Ankünfte und Logiernächte der geöffneten Betriebe
https://www.bfs.admi[...]
2016-10-31
[38]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Kinoinfrastruktur nach Gemeinde und Kinotyp
http://www.bfs.admin[...]
2016-08-09
[39]
웹인용
The Cradle of Snow Polo
http://www.snowpolo-[...]
Snow Polo World Cup
2017-01-03
[40]
웹사이트
1928 Wint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41]
웹사이트
1948 Wint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42]
웹사이트
The Thrill of Winter Sports in the Alpine Resort of St. Moritz
https://www.journey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