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 (콩고 민주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니는 1894년 식민지화 과정에서 마을로 시작된 콩고 민주 공화국 북키부주의 도시이다. 벨기에령 콩고 시기에는 우간다 및 케냐로의 교역 중심지였으며 커피 산업으로 번성했으나, 1990년대 이후 커피 가격 하락, 정권의 압제 등으로 산업이 쇠퇴했다. 제1차 및 제2차 콩고 전쟁을 거치며 난민 유입으로 도시가 확장되었고, 1998년 시로 승격되었다. 베니는 2014년부터 2016년 사이 우간다 이슬람 반군으로 추정되는 세력의 공격, 2016년 베니 학살, 2018년 에볼라 바이러스병 발생, 2019년 ISIL의 공격 등 분쟁과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었다. 2020년대에도 연합 민주군의 공격과 마쿠그웨 학살 등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키상가니
키상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헨리 모턴 스탠리에 의해 재건축되어 스탠리빌로 불리다 키산가니로 개명되었으며, 콩고 강의 주요 교통 및 상업 중심지이자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6개의 코뮌으로 나뉘어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상업, 금융, 산업, 문화, 예술의 중심지이자 교육 및 스포츠 시설과 풍부한 자연, 문화 유산을 가진 관광 도시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부카부
부카부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키부 주에 있는 도시로 키부 호반에 위치하며, 과거 키부 지역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내전과 난민 위기를 겪었고, 100채가 넘는 아르데코 건축물이 남아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동부저지대고릴라의 주요 서식지인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으로 가는 관문이자 전쟁으로 인한 여성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의료 지원 시설이 위치해 있다.
베니 (콩고 민주 공화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 | |
좌표 | 0°30′N 29°28′E |
시간대 | 중앙 아프리카 시간 |
UTC 오프셋 | +2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Ville de Beni (베니 시) |
지위 | 도시 |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속한 주 | 북키부 주 |
행정 정보 | |
시장 | Nyonyi Bwanakawa Masumbuko |
코뮌 수 | 4 |
코뮌 | Beni (베니) Bungulu (붕굴루) Muhekera (무헤케라) Ruwenzori (루웬조리) |
인구 정보 | |
인구 (2013년) | 231,952명 |
기후 정보 | |
기후 | 열대 우림 기후(Af) |
2. 역사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까지 베니는 로부스타 커피나무와 아라비카 커피나무를 재배하며 커피 산업으로 번성했다. 하지만 1990년 커피 가격 하락,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압정, 유가 급등에 따른 비용 증가, 품질 저하, 병해 등으로 커피 산업은 파탄났다. 설상가상으로 치안 악화로 교통 안전까지 확보되지 않아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제1차 콩고 전쟁과 제2차 콩고 전쟁을 거치면서 베니에도 난민이 유입되어 도시 규모가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경제 성장과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1998년 베니는 시로 승격되었고, 교외에 베니 공항을 정비하여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나, 2012년 기준으로 전력화는 미완성 상태이다.
2. 1. 벨기에 식민지 이전
1894년, 식민지화가 진행되면서 마을로 성립되었다.[12] 그 이전의 기록은 선교사에 의한 것 등 소수가 남아 있으며, 스와힐리어를 배운 기록이 있는 것으로부터 당시부터 스와힐리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2. 2. 벨기에 식민지 시대
1894년, 식민지화가 진행되면서 마을로 성립되었다.[12] 그 이전의 기록은 선교사에 의한 것 등 소수가 남아 있으며, 스와힐리어를 배운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부터 스와힐리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2]초기에는 북이투리 주에 속했지만 1902년에 키부 주로 변경되었다.
벨기에령 콩고 시절, 카신디는 우간다 및 케냐로의 교역 지점으로 지정되어 경제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교회, 학교, 행정 기관 등이 설치되었다.
2. 3. 독립 이후
이 마을은 2001년경 제2차 콩고 전쟁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 MONUC 기지가 많이 있으며, 인도가 이끄는 북부 키부 여단(North Kivu Brigade)의 부대가 이 마을에 주둔하고 있다.[1]2014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우간다 이슬람 반군이 베니와 그 주변 지역을 공격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련의 공격으로 500명 이상이 사망했다.[1] 2016년 8월 이곳에서 베니 학살이 발생했다.[1]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8년 12월 현재 베니는 200건이 넘는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EVD)에 걸렸다.[1] 베니는 2018~19년 키부 에볼라 발병의 진원지인 망기나 근처에 있다.[1]
2019년 6월 3일 도시에서 공격이 발생해 25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1] ISIL은 직후 책임을 주장했다.[1]
2020년 연합민주군(ADF) 반군은 캉바이 교도소에서 탈옥을 조직해 팅궤 마을에서 25명을 살해하고 많은 경우 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1] 반군은 800명의 사망자를 낸 혐의를 받고 있다.[1]
2013년 5월, 마이마이 (콩고)에 의한 습격이 행해졌고, 이에 대항하여 국제 연합 콩고 민주 공화국 주둔군이 1개 여단을 전개하여 소탕에 나서는 사건이 발생했다.[13]
2019년 11월, 베니 및 주변 지역에서 연합민주군(ADF)의 활동이 활발해져 약 1개월 동안 100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태가 발생했다.[14] 지역 주민들의 분노에서 비롯된 시위의 화살은, 동 지역에 전개하고 있는 국제 연합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파견단(MONUSCO)에도 미쳤고, 같은 달 25일에는 베니 근교에 있는 주둔지의 사무소 중 하나가 방화되었다.[14]
2023년, 인근 마을에서 마쿠궤 학살이 일어났다.[1]
2. 4. 콩고 전쟁과 그 이후
이 도시는 제2차 콩고 전쟁에서 2001년경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3] 베니에는 MONUC 기지가 많이 있으며, 인도 주도의 북 키부 여단의 병력이 이 도시에 주둔하고 있다.2014년 10월부터 2016년 5월 사이에 우간다 이슬람 반군으로 추정되는 일련의 공격으로 베니와 그 주변 지역에서 500명 이상이 사망했다.[3] 베니 학살은 2016년 8월 이곳에서 발생했다.
세계 보건 기구에 따르면 2018년 12월 현재 베니는 200건이 넘는 에볼라 바이러스병(EVD)에 걸렸다.[4] 베니는 2018-19 키부 에볼라 발병의 진원지인 망기나 근처에 있다.[5]
2019년 6월 3일, 이 도시에서 발생한 공격으로 25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ISIL은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6]
2020년에는 연합 민주군(ADF) 반군이 강바이 교도소에서 탈옥을 조직하고, 팅게 마을에서 25명을 살해하고, 많은 경우 참수했다는 보도가 있었다.[7] 반군은 800명의 사망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8]
2023년에는 인근 마을에서 마쿠그웨 학살이 발생했다.[9]
3. 최근 분쟁 및 인도주의적 위기
2010년대와 2020년대에 베니는 지속적인 분쟁과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었다. 2014년부터 2016년 사이 우간다 이슬람 반군으로 추정되는 세력의 공격으로 500명 이상이 사망했고, 2016년 8월에는 베니 학살이 발생했다. 2018년에는 에볼라 바이러스병 발병으로 200건 이상의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2019년에는 ISIL이 자신들의 소행이라 주장하는 공격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2020년대에도 연합 민주군(ADF)의 활동으로 인한 폭력 사태와 학살이 이어졌다.
3. 1. 2010년대
이 마을은 2001년경 제2차 콩고 전쟁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베니에는 MONUC 기지가 많이 있으며, 인도가 이끄는 북부 키부 여단(North Kivu Brigade)의 부대가 이 마을에 주둔하고 있다.[15]2014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우간다 이슬람 반군으로 추정되는 세력의 공격으로 베니와 그 주변 지역에서 500명 이상이 사망했다.[3] 2016년 8월 이곳에서 베니 학살이 발생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8년 12월 현재 베니에서 200건이 넘는 에볼라 바이러스병(EVD)이 발생했다.[4] 베니는 2018-19 키부 에볼라 발병의 진원지인 망기나 근처에 있다.[5]
2019년 6월 3일 도시에서 공격이 발생해 25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ISIL은 직후 이 공격에 대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6]
2019년 11월, 베니 및 주변 지역에서 민주 동맹군(ADF)의 활동이 활발해져 약 1개월 동안 100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지역 주민들의 분노는 이 지역에 전개하고 있는 국제 연합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파견단(MONUSCO)으로 향했고, 같은 달 25일에는 베니 근교에 있는 주둔지 사무소 중 하나가 방화되었다.[14]
3. 2. 2020년대
2020년 연합 민주군(ADF) 반군은 캉바이 교도소에서 탈옥을 조직하고, 팅게 마을에서 25명을 살해하고 많은 경우 참수했다는 보도가 있었다.[7] 이 반군은 800명의 사망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8]2023년에는 인근 마을에서 마쿠그웨 학살이 발생했다.[9]
4. 지리 및 행정 구역
베니는 베니, 붕굴루, 루웬조리, 물레케라 등 4개의 코뮌(commune) 또는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15] 2013년 기준 인구는 약 231,952명으로 추산되었다.[2]
5. 경제
벨기에령 콩고 시기, 카신디는 우간다 및 케냐와의 교역 지점으로 발전하여 교회, 학교, 행정 기관 등이 설치되면서 경제 중심지로 성장하였다.[12]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에는 로부스타 커피나무와 아라비카 커피나무 두 종류를 재배하여 커피 산업으로 번성했다. 그러나 1990년 커피 가격 하락,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압정, 유가 급등에 따른 비용 증가, 품질 저하, 병해 등으로 커피 산업은 쇠퇴했다. 또한 치안 악화로 교통 안전이 확보되지 않아 위기 상황을 맞았다.[12]
제1차 콩고 전쟁과 제2차 콩고 전쟁을 거치며 도시로 난민이 유입되면서 베니의 규모가 커지고, 이 환경에서 경제적 성장을 이루며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1998년, 시로 승격되었고, 교외에 베니 공항을 정비하여 발전을 꾀하고 있으나, 2012년 기준으로 시의 전력 공급은 미완성 상태이다.
6. 사회
(참조할 원본 소스가 없어 이전 단계와 동일하게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보건
세계 보건 기구(WHO)에 따르면 2018년 12월 현재 베니는 200건이 넘는 에볼라 바이러스병(EVD) 사례가 발생했다.[4] 베니는 2018-19 키부 에볼라 발병의 진원지인 망기나 근처에 있다.[5]참조
[1]
뉴스
RDC-Beni : le Maire de la ville condamne l'incendie d'une jeep de la riposte Ebola
http://www.depeche.c[...]
2019-08-10
[2]
간행물
Superficie et Densité de la Population en 2013
2014-11
[3]
웹사이트
Congo police arrest at least four activists protesting massacres
http://www.sabc.co.z[...]
SABC
2016-05-14
[4]
웹사이트
Ebola virus disease –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who.int/[...]
2018-12-17
[5]
간행물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Between Ebola and machetes
https://www.icrc.org[...]
2018-11-27
[6]
웹사이트
ISIL claims deadly attack in Ebola-wracked eastern DR Congo | ISIS/ISIL News | al Jazeera
https://www.aljazeer[...]
[7]
뉴스
DR Congo jail break: 'Islamist ADF rebels' free 1,300 inmates
https://www.bbc.com/[...]
BBC News
2020-10-20
[8]
뉴스
At least 25 killed by rebels in eastern Congo; some beheaded
https://apnews.com/a[...]
2021-01-01
[9]
웹사이트
Suspected Islamists loot, torch several homes and kill at least 23 in east DRC attack
https://www.africani[...]
2023-01-24
[10]
웹사이트
ORDONNANCE N°08/055 DU 24 SEPTEMBRE 2008 PORTANT NOMINATION DES MAIRES ET MAIRES ADJOINTS DES VILLES
http://presidentrdc.[...]
2008-09-24
[11]
웹사이트
MONUSCO February 2013
http://www.un.org/De[...]
국제연합콩고민주공화국미ッション
2013-06-12
[12]
문서
Naissance et croissance d'une église locale (1896/97-1996)
리ヨン第2大学
2006
[13]
웹사이트
Congo Troops Repel Militia Attack on Gold Mining Town of Beni
http://online.wsj.co[...]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3-06-12
[14]
웹사이트
コンゴで武装勢力の襲撃相次ぐ 国連PKOに批判、デモで死者も
https://www.afpbb.co[...]
AFP
2019-12-02
[15]
간행물
Superficie et Densité de la Population en 2013
201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