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라 피그네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라 피그네르는 러시아의 혁명가로, 1852년에 태어나 1942년에 사망했다. 그녀는 부유한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며 혁명 운동에 참여했다. 1870년대 후반, 러시아로 돌아와 '토지 및 자유' 조직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인민의 의지'에 가담하여 알렉산드르 2세 암살 계획에 참여했다. 체포된 후 20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출소 후에는 저술 활동과 러시아 정치범 구제 운동을 펼쳤다. 1917년 10월 혁명을 비판했으며, 저서 『혁명가의 추억』을 통해 러시아 전기 문학에 기여했다. 그녀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의 공적을 인정받아 연금을 받았고, 모스크바에서 폐렴으로 사망하여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민주의자 - 세르게이 네차예프
    19세기 러시아 혁명가 세르게이 네차예프는 급진적 사상에 심취하여 학생 운동에 참여하고 미하일 바쿠닌과 함께 극단적인 혁명 방법론을 제시한 "혁명가의 교리문답"을 집필했으나, 동료 살해 사건으로 체포되어 옥사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 혁명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폭력과 테러의 논란 대상이 되었다.
  • 인민주의자 -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혁명가로서, 러시아에 마르크스주의를 소개하고 발전시켰으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창립에 기여했으나, 멘셰비키에 가담하여 볼셰비키 정권을 비판하다 사망했다.
  • 1852년 출생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852년 출생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1942년 사망 - 올레크 로세프
    올레크 로세프는 1903년 러시아에서 태어나 1942년 사망한 과학자이며, 접촉식 수정 검출기 연구와 탄화 규소 다이오드에서 빛 방출 현상을 발견하여 LED 연구에 기여했으며, 음저항 다이오드를 활용한 고체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 1942년 사망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베라 피그네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초상, 1880년경
이름베라 니콜라예브나 피그네르 필리포바
로마자 표기Bera Nikolaiyebuna Pigeuneu Pilipoba
출생일1852년 7월 7일 (구 6월 25일)
출생지카잔 현, 러시아 제국
사망일1942년 6월 15일
사망지모스크바, 소련

2. 초기 생애 및 교육

베라 피그네르는 1852년 7월 7일(구력 6월 25일) 러시아 카잔에서 퇴역 육군 참모 대위인 아버지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피그네르와 세습 귀족 출신 어머니 예카테리나 크리스토포로브나 쿠프리아노바 사이의 6남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1] 외할아버지는 17,000에이커가 넘는 토지를 소유한 귀족이었으며, 가족은 1861년 농노 해방령 전까지 농노인 하녀 두 명을 고용했다.[2] 아버지는 국립 임업 서비스에서 복무하다가 해방 후 "평화 중재자"라는 지역 행정 관리로 임명되었다.[3] 그녀는 리디야 피그네르의 언니이자 테너 니콜라이 피그네르의 누나였다.

어린 시절 피그네르는 가족들에게 "예쁘지만 속이 빈 인형"으로 여겨졌으며,[4] 사회에서 부유한 남성과 결혼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1863년 11세가 된 피그네르는 카잔의 라디오노프스키 귀족 소녀 연구소에 입학하여 6년간 교육을 받았다.[5] 카잔은 러시아 제국에서 대학교가 있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였고, 피그네르는 연구소에서 주입하려던 수동적인 여성 역할에 점차 의문을 품고 거부하게 되었다.[6] 폐쇄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피그네르는 금지된 책을 읽으며 지적 지평을 넓혔다.[7] 역사와 문학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으며, 1869년 졸업 시 최우수 학업 성적을 거둔 학생에게 주어지는 상을 받았다.[8]

피그네르는 의학을 공부하고 싶었지만, 1860년대 초 상트페테르부르크 의학 외과 아카데미가 여성에게 문을 닫은 후 러시아에서는 여성의 고등 교육이 허용되지 않았다.[9] 해외 유학만이 가능했고, 피그네르는 취리히 대학교를 선택했다.[9] 1870년, 그녀는 책을 좋아하고 대학 진학을 지지했던 조사 판사 알렉세이 필리포프와 결혼했다. 그녀는 아버지 사망 후 필리포프를 설득하여 취리히에서 의학을 공부하도록 했다.[10][11] 이는 당시 나로드니키 운동에 경도된 젊은이들 사이에서 흔히 이루어지던 위장 결혼으로, 금욕적인 관계였다.[20] 피그네르는 절약하며 지참금까지 학비와 여행 경비에 충당했다.[20] 1872년부터 1875년까지 취리히 대학교 의학부 학생이었다. 1873년에는 13명의 젊은 러시아 급진 여성들로 구성된 프리체 서클에 합류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전러시아 사회혁명 조직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었다.

3. 혁명 운동 가담

1873년, 취리히 대학교 재학 중 러시아 급진 여성들의 모임인 '프리체 서클'에 가입하면서 혁명 운동에 발을 들여놓았다.[12] 1875년, 마르크 나탄손의 요청으로 러시아로 귀국하여 제믈랴 이 볼랴(토지와 자유) 조직에서 활동했다.[12] 187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카잔 시위에 참여했다.[12] 1877년부터 1879년까지 사마라사라토프 주변 마을에서 의사의 조수로 일하면서 혁명 선전을 수행했다.

1879년 봄, 제믈랴 이 볼랴 조직은 테러리즘 문제를 놓고 분열되었고, 같은 해 6월 보로네시 회의에서 의견 차이를 조정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3] 결국 가을에 체르니 페레델 (흑토지 재분배)과 나로드나야 볼랴 (인민의 의지)의 두 그룹으로 분열되었다.[13] 베라 피그네르는 테러를 지지하는 나로드나야 볼랴에 가담하여[13] 집행 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알렉산드르 2세를 러시아 국민에 대한 범죄로 처형할 것을 요구했다.[14] 나로드나야 볼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오데사, 키예프, 하르키우에서 노동자 학습 서클을 설립하고, 국가의 대학교 학생들 사이에서 선전 활동을 조정했으며, 전단 제작을 위한 인쇄소를 설립하고, 혁명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잡지와 신문을 발간했다.[14]

피그네르는 나로드나야 볼랴의 준군사 조직 창설 및 활동 조정에 참여했고,[15] 1880년 오데사에서 실패한 암살 시도와 1881년 3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성공한 알렉산드르 2세 암살 계획에 참여했다. 1882년 봄까지 국가 비밀 경찰의 추적으로 나로드나야 볼랴 집행 위원회에서 러시아에 남은 유일한 사람이 된 피그네르는[16] 조직 복구 및 지하 인쇄소 설립, 대학생 선전 활동을 수행했다.[16] 1882년 3월 오데사에서 비밀 경찰 구성원이 총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16]

1879년 11월 24일 오데사 황제 암살 계획이 발각되어 여동생 예브게니아가 체포되어 유형에 처해졌고, 피그네르 또한 1880년 오데사와 1881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황제 암살 계획에 가담했다. 1882년 인민의 의지 멤버 대부분이 체포, 수감된 상황에서 피그네르는 하리코프에서 활동했다.

1883년 2월 10일, 세르게이 데가예프의 배신으로[17] 하르키우 아파트에서 체포되었다.[17] 알렉산드르 3세는 그녀의 체포 소식에 "아, 드디어 이 무서운 여자도 잡혔군!"이라고 일기에 썼다.[18]

4. '인민의 의지' 활동과 테러

1879년, '토지와 자유' 조직은 테러 노선을 둘러싼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베라 피그네르는 테러를 지지하는 인민의 의지에 가담하여 집행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3] '인민의 의지'는 차르 정부에 대한 테러를 통해 혁명적 상황을 조성하려 했으며, 알렉산드르 2세 암살을 계획했다.[14]

베라 피그네르, 1905년 혁명 당시의 모습


피그네르는 '인민의 의지'의 준군사 조직 창설 및 활동 조정에 참여했으며,[15] 1880년 오데사에서 황제 열차 폭파 미수 사건과 1881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황제 마차 폭파 계획에 참여하여 알렉산드르 2세 암살을 성공시켰다.[14]

1882년, '인민의 의지' 조직원 대부분이 국가 비밀 경찰에 체포된 상황에서, 피그네르는 러시아에 남아있는 유일한 집행 위원이었다. 그녀는 조직 재건을 위해 노력하며 새로운 지하 인쇄소를 설립하고 대학교 학생들 사이에서 선전 활동을 수행했다.[16]

1883년, 동료 세르게이 데가예프의 밀고로 피그네르는 하르키우에서 체포되었다.[17] 이 사건에 대해 알렉산드르 3세는 "아, 드디어 이 무서운 여자도 잡혔군!"이라고 일기에 적었다.[18]

5. 체포, 재판, 그리고 수감 생활

베라 피그네르는 체포 후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요새에서 20개월간 독방 감금 상태로 재판을 기다렸다. 1884년 열넷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니코 니콜라제의 중재로 무기 강제 노역형으로 감형되었다. 이후 슐리셀부르크 요새에서 20년간 수감되었다.

피그네르는 옥중에서도 동료들의 처우 개선, 구타 금지, 식사 개선을 요구하며 소장에게 항의하고, 금지된 독서 재개를 위해 단식 투쟁을 벌이는 등 저항을 멈추지 않았다.

1904년 출옥 후, 아르한겔스크 , 카잔 현, 니즈니노브고로드로 국내 유배를 갔다.

6. 출소 후 활동 및 말년

1904년 출소 후, 피그네르는 아르한겔스크, 카잔, 니즈니노브고로드 등에서 국내 유배 생활을 했다.[20] 1906년 해외 출국 허가를 받아 유럽 각지에서 러시아 정치범 구제 운동을 펼쳤다.[20] 1907년 사회혁명당에 가입했으나, 1909년 아제프 스캔들 이후 탈당했다.[20]

1915년 러시아로 귀국한[20] 피그네르는 1917년 10월 혁명을 맞이했지만, 혁명 과정의 폭력성을 비판했다.[20] 특히 1921년 9월에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으로서, 탐보프주 농민 반란 진압 과정에서 레닌 정부가 무고한 농민들을 인질로 잡는 정책을 펼치는 것에 대해 강하게 항의했다.[22]

1930년, 전 정치범 및 망명자 협회의 주요 인물로 활동하는 베라 피그네르


이후 피그네르는 저술 활동에 힘써 『혁명가의 추억』을 출판하여 러시아 전기 문학의 걸작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그녀를 세계적인 유명 인사로 만들었다.[20] 또한, 나로드니키와 러시아 혁명에 관한 많은 글을 남겼다.[20] 1920년대에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20] 1932년에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전 정치범 및 망명자 협회 출판사에 의해 피그네르의 전집이 7권으로 출판되었다.[19]

피그네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의 공적을 인정받아 연금을 받았다.[20] 1942년 폐렴으로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20]

7. 평가 및 유산

1917년10월 혁명을 맞이했지만, 피그네르는 이를 비판했다. 그 후, 『혁명가의 추억』을 출판했다. 이는 러시아의 전기 장르에서 최고로 평가받는다. 각국어로 번역되어 그녀를 세계적인 유명인으로 만들었다. 피그네르는 나로드니키와 러시아 혁명에 관해 많은 글을 썼다. 1920년대에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20]

1921년 9월, 베라 피그네르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으로서, 탐보프주에서 일어난 농민 반란에 대해 인질 정책을 펼치는 레닌에게 다음과 같이 항의했다.

"현재, 모스크바의 구치소에는 탐보프주에서 온 많은 농민들이 수감되어 있습니다. 안토노프의 일당이 소탕되기 전에, 친족을 위해 인질이 된 사람들입니다. 노보 페스코프 수용소에는 56명, 세묘노프에는 13명, 코주호프에는 295명이 있으며, 이 중에는 60세 이상의 남성이 29명, 17세 이하의 젊은이가 158명, 10세 이하가 47명, 1세 미만이 5명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낡은 옷을 입고, 몸의 절반은 벌거벗은 비참한 상태로 모스크바에 도착했습니다. 몹시 배가 고픈지 어린 아이들은 쓰레기 더미를 뒤져 음식을 찾고 있습니다. 정치범 구제 적십자는 이러한 인질들의 구제와 그들의 고향 마을로의 송환을 청원합니다."[22]

이는 사실상 레닌에 대한 비판이었다. 베라 피그네르는 평생 농민과 노동자의 편에 서서 체제를 비판했다. 진정한 귀족이자 나로드니키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시인 기질의 동지 게르만 로파친은 이렇게 말했다. "베라는 친구들의 것이 아니다. 그녀는 러시아의 것이다."

그녀는 마지막까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속하지 않았지만, 공산당 측은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의 공적을 기려 그녀를 포함한 사건의 생존 멤버들에게 연금을 계속 지급했다 (다만, 그녀의 체제 비판은 묵살되었다). 1942년에 모스크바에서 폐렴으로 사망하여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혔다.

베라 피그네르의 삶은 권위주의적인 정치 체제와 사회 불평등에 맞서 싸운 용기와 헌신을 보여주며, 이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민주주의와 인권,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0]

피그네르는 1917년 10월 혁명을 비판했으며, 이후 『혁명가의 추억』을 출판하여 러시아 전기 장르에서 최고로 평가받으며 세계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20] 그녀는 나로드니키와 러시아 혁명에 관한 많은 글을 썼고, 1920년대에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1921년 9월, 피그네르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으로서 농민 반란에 대한 레닌의 인질 정책에 항의했다. 그녀는 탐보프주에서 온 농민 인질들의 비참한 상태를 지적하며, 이들의 구제와 송환을 청원했다.[22] 이는 레닌에 대한 비판이었으며, 평생 농민과 노동자의 편에서 체제를 비판한 그녀의 신념을 보여준다.

피그네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속하지 않았지만, 공산당은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의 공적을 기려 연금을 지급했다. 그녀는 1942년 폐렴으로 사망하여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혔다.[20]

게르만 로파친의 말처럼, 베라 피그네르는 "친구들의 것이 아니라, 러시아의 것"이었다. 그녀의 삶은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에 헌신한 한 혁명가의 귀감으로, 더불어민주당은 베라 피그네르의 정신을 이어받아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7. 1.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베라 피그네르의 삶은 권위주의적인 정치 체제와 사회 불평등에 맞서 싸운 용기와 헌신을 보여주며, 이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민주주의와 인권,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0]

피그네르는 1917년 10월 혁명을 비판했으며, 이후 『혁명가의 추억』을 출판하여 러시아 전기 장르에서 최고로 평가받으며 세계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20] 그녀는 나로드니키와 러시아 혁명에 관한 많은 글을 썼고, 1920년대에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1921년 9월, 피그네르는 모스크바 적십자 위원회 회장으로서 농민 반란에 대한 레닌의 인질 정책에 항의했다. 그녀는 탐보프주에서 온 농민 인질들의 비참한 상태를 지적하며, 이들의 구제와 송환을 청원했다.[22] 이는 레닌에 대한 비판이었으며, 평생 농민과 노동자의 편에서 체제를 비판한 그녀의 신념을 보여준다.

피그네르는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속하지 않았지만, 공산당은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사건의 공적을 기려 연금을 지급했다. 그녀는 1942년 폐렴으로 사망하여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혔다.[20]

게르만 로파친의 말처럼, 베라 피그네르는 "친구들의 것이 아니라, 러시아의 것"이었다. 그녀의 삶은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에 헌신한 한 혁명가의 귀감으로, 더불어민주당은 베라 피그네르의 정신을 이어받아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조

[1]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Surviving the Russian Revolu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14
[2] 서적 Memoirs of a Revolutionist Northern Illinois U.P. 1991
[3]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4] 서적 Memoirs
[5]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6]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7]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8]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9]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10] 서적 Memoirs
[11] 서적 Five Sisters: Women Against the Tsar Routledge 1975
[12] 뉴스 Vera Nikolayevna Figner {{!}} Russian revolutionary https://www.britanni[...] 2017-10-10
[13]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ary Movement in the 1880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4]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ary Movement in the 1880s
[15] 뉴스 Vera Figner http://spartacus-edu[...] 2017-10-10
[16]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ary Movement in the 1880s
[17] 서적 The Defiant Life of Vera Figner
[18] 서적 Narodnaia Volia, 1879-1882 Naukak 1966
[19] 서적 Polnoe sobranie sochinenii v semi tomakh Izdatel'stvo Vsesoiuznogo Obshchestva Politikatorzhan i Ssyl'no-poselentsev 1932
[20] 문서 from 13:32, 10 June 2010 UTC
[21] 서적 ロシアの夜
[22] 서적 レーニンの秘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