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옐리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1851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난 법학자이자 법철학자이다. 빈 대학교, 바젤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등에서 법학, 법철학 등을 강의했으며, 1900년에는 그의 대표작인 《일반국가학》을 출간하여 국가 본질과 목적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또한, 저서 《인권선언론》에서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을 주장하며 인권 확립에 기여했다. 옐리네크의 사상은 일본과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사회학자 - 니클라스 루만
니클라스 루만은 독일의 사회학자로, 자기생산 개념을 도입한 사회 시스템 이론을 정립하여 사회를 의사소통 네트워크로 규정하고 기능적 분화와 복잡성 감소를 통해 사회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은 추상성과 인간 소외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법사회학자 - 프란츠 오펜하이머
프란츠 오펜하이머는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로, 의사에서 사회과학 연구자로 전향하여 독일 최초의 사회학 교수가 되었고, 시오니즘 운동에 참여했으며, 국가의 기원을 분석한 《국가론》을 저술했고,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 후 헨리 조지의 사상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의 사회적 시장 경제 개념에 영향을 주었다. - 독일의 법학자 - 루돌프 슈타믈러
독일의 법철학자이자 신칸트 학파의 주요 인물인 루돌프 슈타믈러는 법이 경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며 마르크스주의적 법 결정론을 비판하고 '변화하는 내용을 가진 자연법' 개념을 제창하여 후대 법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법학자 - 볼프강 아벤트로트
볼프강 아벤트로트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공산주의 및 저항 운동에 참여했고, 동독 대학교수에서 서독 마르부르크 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이주하여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며, 사회민주당 출당 후에도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했다. - 헌법학자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헌법학자 - 성낙인
성낙인은 프랑스 파리 제2대학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대학교수, 공공기관단체인으로서, 영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헌법학회, 한국공법학회, 한국법학교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헌법 및 공법 분야에서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쳤으며, 제26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지낸 인물이다.
게오르크 옐리네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게오르크 옐리네크 |
출생일 | 1851년 6월 16일 |
출생지 | 라이프치히, 작센 왕국, 독일 연방 |
사망일 | 1911년 1월 12일 |
사망지 | 하이델베르크, 바덴 대공국, 독일 제국 |
국적 | 독일 |
직업 | 법학자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알려진 업적 | 알 수 없음 |
주요 저서 | 알 수 없음 |
학문 | |
관심 분야 | 법학(공법) |
모교 | 빈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직장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학위 | 철학 박사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발터 옐리네크 (법학자) |
기타 | |
독일어 이름 | Georg Jellinek |
독일어 표기 | Georg Jellinek |
2. 생애
1851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나 빈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빈 대학교와 바젤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893년부터 집필을 시작해 1900년에 출간한 《일반국가학》(Allgemeine Staatslehre)은 국가 본질과 국가 목적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법학적·사회학적 고찰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하여 일본의 천황기관설에도 영향을 미쳤다.[1] 한스 켈젠과 상스기 신키치가 그의 지도 아래 수학했다. 1911년 1월 12일에 하이델베르크에서 타계했다.[1]
말년에는 병약했지만,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으로 여행을 다녔다. 1907년부터 1년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51년 6월 16일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아돌프 옐리네크는 저명한 율법학자이자 유대교 랍비였으나, 옐리네크는 기독교로 개종했다.[2] 16세에 대학 진학 자격(아비투어)을 취득하고, 빈 대학교에서 법학, 철학, 미술사를 공부했다. 이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철학, 역사, 법학을 공부했다.[2]1872년 라이프치히에서 "정의, 불의 및 처벌의 사회 윤리적 의미"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Dr. phil.) 학위를, 1874년에는 빈에서 법학 박사(Dr. jur.) 학위를 취득했다. 1879년 빈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2. 2. 학문적 경력
1879년 빈 대학교에서 법철학 강사가 되었고, 1881년에는 국가 시험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883년 빈 대학교 헌법학 비정규 교수가 되었다. 1889년 바젤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고, 189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법학 교수가 되었다.1900년 그의 대표작인 《일반국가학》(Allgemeine Staatslehre)을 출판했다.[1] 이 책은 국가 본질과 국가 목적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법학적·사회학적 고찰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했다.[1] 1907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2. 3. 가족 관계
1884년부터 1896년 사이에 베르트하임 출신 카밀라 옐리넥(1860-1940)과 결혼하여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2] 1900년 마리안네 베버에 의해 여성 운동에 참여한 카밀라는 여성들에게 법률 지원을 제공하고 형법 개정안을 작성하는 일로 유명해졌다. 자녀 중 네 명만이 유년기를 넘겼는데, 아들 발터 옐리네크는 법학 교수가 되어 "일반 국가론"의 최종 유고판을 편집했고, 딸 도라는 테레지엔슈타트 강제 수용소에서 살아남았으며, 막내아들 오토는 1943년 게슈타포의 학대 때문에 사망했다.[2]3. 주요 연구 및 업적
옐리네크는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 인권의 보편성, 국가론 등을 연구했다. 그는 저서 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de[3]에서 국가가 스스로 제정한 법에 의해 구속되어야 한다는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을 주장하며, 절대주의적 군주주의에 반대하여 인권 확립에 힘썼다. 또한 프랑스 혁명에 대한 논쟁에서 혁명 이론이 장-자크 루소에게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하더라도, 앙시앵 레짐 등 프랑스 특유의 전통에 중점을 두는 것을 비판하며, 영국 혁명이나 미국 독립 혁명과의 관련 속에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에 준 영향
하이델베르크에서 우에스기 신키치가 그의 문하에 있었다.
3. 1.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
옐리네크는 대표적인 저서 《인권선언론》(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3]에서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을 주장했다. 이는 국가가 스스로 제정한 법에 의해 구속되어야 한다는 이론으로, 절대주의적 군주주의에 반대하고 국가 권력을 제한하여 인권 확립에 기여했다. 그는 당시 프랑스 혁명에 대한 논쟁에서 혁명 이론이 장-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에게 직접적으로 기인한다고 하더라도, 앙시앵 레짐(Ancien Régime) 등 프랑스 특유의 전통에 중점을 두는 것을 비판하며, 영국 혁명이나 미국 독립 혁명과의 관련 속에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 2. 인권선언론
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de[3]에서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을 주장하며, 절대주의적 군주주의에 반대하여 인권 확립에 힘썼다. 그는 당시 프랑스 혁명에 대한 논쟁에 대해서, 혁명 이론이 장 자크 루소에게 직접적으로 기인한다 하더라도, 앙시앵 레짐 등 프랑스 특유의 전통에 중점을 두는 것을 비판하며, 영국 혁명이나 미국 독립 혁명과의 관련 속에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 옐리네크 사상의 영향
옐리네크의 사상은 독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법학과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국가론과 기본권 이론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헌법 제정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3] 우에스기 신키치는 하이델베르크에서 옐리네크의 가르침을 받았다.[3]
4. 1. 일본에 준 영향
우에스기 신키치가 하이델베르크에서 옐리네크의 문하에 있었다.[3]4. 2. 한국에 준 영향
옐리네크의 국가론과 기본권 이론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헌법 제정 과정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그의 저서 『인권선언론』[3]에서 주장된 국가의 자기구속 이론은 국가 권력을 제한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미노부 다츠키치(美濃部達吉) 등 일본 학자들을 통해 옐리네크의 사상이 간접적으로 한국에 소개되었지만, 이는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권 조항과 국가 권력 제한 원칙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5. 저서
- Die Lehre von den Staatenverbindungen|디 레레 폰 덴 슈타텐페어빈둥겐de, 하이링, 베를린, 1882 ([https://archive.org/details/dielehrevondens01jellgoog 디지털 사본])
- Die sozialethische Bedeutung von Recht, Unrecht und Strafe|디 조치알에티셰 베도이퉁 폰 레히트, 운레히트 운트 슈트라페de, 비엔나: 홀더, 1878 ([https://archive.org/details/diesocialethisc00jellgoog 디지털 사본])
- Die rechtliche Natur der Staatenverträge: Ein Beitrag zur juristischen Construction des Völkerrechts|디 레히트리헤 나투어 데어 슈타텐페어트레게: 아인 바이트라크 추어 유리스티셴 콘스트룩치온 데스 푈커레히츠de, 비엔나: 홀더, 1880 ([https://archive.org/details/dierechtlichena00jellgoog 디지털 사본])
- Österreich-Ungarn und Rumänien in der Donaufrage: Eine völkerrechtliche Untersuchung|외스터라이히-웅가른 운트 루메니엔 인 데어 도나우프라게: 아이네 푈커레히트리헤 운터주훙de, 비엔나: 홀더, 1884 ([https://archive.org/details/sterreichungarn00jellgoog 디지털 사본])
- Gesetz und Verordnung: Staatsrechtliche Untersuchungen auf rechtsgeschichtlicher und -vergleichender Grundlage|게제츠 운트 페어오르트눙: 슈타츠레히트리헤 운터주훙겐 아우프 레히츠게쉬히트리허 운트 -페어글라이헨더 그룬트라게de,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 모어, 1887 ([https://archive.org/details/gesetzundverord00jellgoog 디지털 사본])
- System der subjektiven öffentlichen Rechte|쥐스템 데어 줍옉티벤 외펜트리헨 레히테de,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 모어, 1892 ([https://archive.org/details/systemdersubjek00jellgoog 디지털 사본])
- Allgemeine Staatslehre|알게마이네 슈타츠레레de (= Das Recht des modernen Staates|다스 레히트 데스 모데르넨 슈타테스de. 제1권). 베를린, 1900; 제2판 1905 ([https://archive.org/details/allgemeinestaat00jellgoog 디지털 사본]); 제3판 1914 ([https://www.archive.org/details/allgemeinestaats00jelliala 디지털 사본])
- 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디 에어클레룽 데어 멘셴- 운트 뷔르거레히테de, 미노부 다츠키치(美濃部達吉) 역, 유히가쿠쇼방(有斐閣書房), 1906년
-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外三篇|에어클레룽 데어 멘셴- 운트 뷔르거레히트――가이산펜de, 미노부 다츠키치(美濃部達吉) 역, 일본평론사(日本評論社), 1929년
-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에어클레룽 데어 멘셴- 운트 뷔르거레히테de (W. 예리네크 개정), 와타나베 노부히데(渡辺信英)·아오야마 무네노리(青山武憲) 역, 난소샤(南窓社), 1978년
- Allgemeine Staatslehre|알게마이네 슈타츠레레de, 오니시 쿠니토시(大西邦敏)·미즈가키 스스무(水垣進) 역, 경문당서점(敬文堂書店), 1932년
- Allgemeine Staatslehre|알게마이네 슈타츠레레de, 아시베 노부요시(芦部信喜) 외 역, 가쿠요쇼방(学陽書房), 1974년
- Die sozialethische Bedeutung von Recht, Unrecht und Strafe|디 조치알에티셰 베도이퉁 폰 레히트, 운레히트 운트 슈트라페de, 오모리 에이타로(大森英太郎) 역, 오하타쇼텐(大畑書店), 1934년
- 法・不法及刑罰の社會倫理的意義|호·후호오요비케이바쓰노샤카이린리테키이기일본어, 오모리 에이타로(大森英太郎) 역, 이와나미쇼텐(岩波書店) (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 1936년
- Die Erklärung der Menschen- und Bürgerrechte: ein Beitrag zur modernen Verfassungsgeschichte|디 에어클레룽 데어 멘셴- 운트 뷔르거레히테: 아인 바이트라크 추어 모데르넨 페어파숭스게쉬히테de, 하츠슈쿠 마사노리(初宿正典) 편역, 미스즈쇼보(みすず書房), 1981년
- Das Recht der Minoritäten――転機に立つ憲法政治と憲法学|다스 레히트 데어 미노리테텐――텐키니타쓰켄포세이지토켄포가쿠de, 모리 히데키(森英樹)·시노하라 이와오(篠原巖) 역, 일본평론사(日本評論社), 1989년
- Leibniz und Schopenhauer in ihrem Verhältniß zur Weltanschauung: nach ihren Grundlagen und in ihrer Berechtigung ; eine Untersuchung über Optimismus und Pessimismus|라이프니츠 운트 쇼펜하우어 인 이렘 페어헬트니스 추어 벨탄샤우웅: 나흐 이렌 그룬트라겐 운트 인 이러 베레히티궁 ; 아이네 운터주훙 위버 옵티미스무스 운트 페시미스무스de, 비엔나: 홀더, 1872 ([http://www.bsb-muenchen-digital.de/~db/1101/bsb11017954/images/index.html 디지털 사본])
6. 가족 및 친족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아돌프 옐리네크 | 율법학자, 개혁파 랍비 |
동생 | 막스 옐리네크 (Max H. Jellinek) | 언어학자, 빈 대학교 교수 |
배우자 | 카밀라 옐리네크 (Camilla Jellinek) | 여성 운동가 |
아들 | 발터 옐리네크 (Walter Jellinek) | 행정법학자 |
참조
[1]
서적
Georg Jellinek: Beiträge zu Leben und Werk
Mohr Siebeck
[2]
학술지
Georg Jellinek
https://www.cambridg[...]
1911
[3]
간행물 #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제목 없음) # 1895년에 邦題에 포함되었다는 정보만 있으므로 제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18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