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기 플레하노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 발렌티노비치 플레하노프는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자 이론가이다. 그는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선구자로서,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에 소개하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플레하노프는 나로드니키 사상을 비판하고, 러시아의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서는 자본주의 발전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결성을 주도하고,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분열 과정에서 멘셰비키를 지지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에는 볼셰비키에 반대하며 레닌과 대립했다. 플레하노프는 유물사관, 유물론 철학, 역사 속 개인의 역할에 대한 저술을 통해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레닌은 그의 철학적 저작을 높이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크라 관련자 - 블라디미르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10월 혁명을 주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연방 건설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혁명에 적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이끌면서 그의 이론과 전략은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희생과 논란, 전체주의적 독재와 폭력 정치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 이스크라 관련자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인민주의자 - 세르게이 네차예프
19세기 러시아 혁명가 세르게이 네차예프는 급진적 사상에 심취하여 학생 운동에 참여하고 미하일 바쿠닌과 함께 극단적인 혁명 방법론을 제시한 "혁명가의 교리문답"을 집필했으나, 동료 살해 사건으로 체포되어 옥사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 혁명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폭력과 테러의 논란 대상이 되었다. - 인민주의자 - 표트르 크로폿킨
표트르 크로폿킨은 러시아의 지리학자이자 아나키스트 사상가로, 지리학 발전에 기여하고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 진화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아시아 아나키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멘셰비키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멘셰비키 - 조지아 민주공화국
조지아 민주공화국은 1918년에 수립되어 1921년 붉은 군대의 침공으로 멸망한, 멘셰비키가 주도한 코카서스 지역의 독립 국가였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게오르기 발렌티노비치 플레하노프 |
원어 이름 | Георгий Валентинович Плеханов |
로마자 표기 | Georgiy Valentinovich Plekhanov |
출생 | 1856년 12월 11일 |
출생지 | 구달로프카, 탐보프 현, 러시아 제국 |
사망 | 1918년 5월 30일 |
사망지 | 테리요키, 핀란드 |
국적 | 러시아 |
배우자 | 로잘리야 보그라드-플레하노바 |
학력 | |
교육 | 보로네시 군사 학교 |
교육 | 상트페테르부르크 금속 공학 연구소 (중퇴) |
사상 및 활동 | |
분야 | 러시아 철학 |
시대 | 19세기 철학 |
사상 | 마르크스주의 |
사상 | 변증법적 유물론 |
사상 | 역사적 유물론 |
2. 생애
게오르기 발렌티노비치 플레하노프는 1856년 11월 29일(구력) 탐보프 현 구달로프카 마을에서 볼가 타타르 출신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러시아 귀족의 하위 계층에 속했으며, 약 270에이커의 토지와 약 50명의 농노를 소유했다.[4] 그의 어머니는 유명한 문학 평론가 비사리온 벨린스키의 먼 친척이었다.[5]
1873년 보로네시 군사학교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콘스탄티놉스크 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금속 공학 연구소에 입학했으나, 파벨 악셀로드의 영향으로 인민주의 운동에 참여하면서 졸업하지 못했다.[9]
플레하노프는 러시아 최초의 정치 시위 조직자 중 한 명이다. 1876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카잔 대성당 앞 시위에서 차르 전제 정치를 비난하고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사상을 옹호하는 연설을 했다.
1879년 '토지와 자유'가 테러리즘을 중시하는 인민의 의지파와 온건 노선을 추구하는 흑토(黑土) 재분할파로 분열되자, 플레하노프는 흑토 재분할파를 이끌었다.
1880년 체포 위기에 처해 스위스 제네바로 망명하여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1882년 공산당 선언을 번역했고, 1883년 노동자해방당을 조직해 러시아 정통 마르크스주의 체계를 세웠다. 레닌 등과 함께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신문 《이스크라 (불꽃)》를 편집하며 대중 정치 선동을 주도했다.
1898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결성을 주도했고, 1903년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레닌과 노선 갈등으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되자, 멘셰비키에 가담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에서 레닌과 볼셰비키를 비판하며, 사회주의 혁명 이전에 자본주의 발전 단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국을 지지하며 독일 제국주의를 비판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귀국하여 멘셰비키를 선택하고 볼셰비키당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레닌의 4월 테제를 "헛소리"라고 비판하며, 단계적 혁명론을 주장했다.
Георгий Валентинович Плехановru는 1918년 5월 30일 핀란드 테리요키(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교외 젤레노고르스크)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45] 향년 61세였다.[45] 상트페테르부르크 볼코보 묘지에 비사리온 벨린스키, 니콜라이 도브로류보프 무덤 근처에 묻혔다.[45]
2. 1. 초기
플레하노프는 하급 귀족 집안 출신으로, 1873년 보로네시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콘스탄티놉스크 사관학교를 졸업했다.[2][3] 그는 러시아 귀족의 일원이었다.[4] 그의 아버지 발렌틴 플레하노프는 볼가 타타르 출신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4] 게오르기의 어머니 마리아 표도로브나는 유명한 문학 평론가 비사리온 벨린스키의 먼 친척이었다.[5]1866년, 10세의 나이로 보로네시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873년까지 교육을 받았다.[5] 그의 어머니는 아들이 혁명가가 된 것은 학교에서 접한 자유주의 사상 때문이라고 회고했다.[6]
사관학교 졸업 후 상트페테르부르크 금속 공학 연구소에 입학했으나,[7] 파벨 악셀로드의 영향으로 인민주의 운동에 참여하면서 졸업하지 못했다.[9] 당시 대학을 중심으로 인민주의 운동이 확산되던 시기였고, 이 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당했다. 자진해서 학업을 그만두었다는 설도 있으나, 퇴학 쪽이 더 신빙성 있게 받아들여진다.

2. 2. 인민주의자 시절
1877년 토지와 자유당의 지도자로서 지하 정치 선동활동에 몰두하던 시절에 쓴 글에 일부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이 나타난다.1879년 '토지와 자유당'은 정치 혁명을 최우선시하며 테러리즘을 가장 중요한 투쟁 수단으로 삼는 인민의 의지파와 다소 온건한 노선을 취하는 흑토(黑土) 재분할파로 분열되었는데, 플레하노프가 이끈 흑토 재분할파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모체가 되었다. 토지와 자유당이 점차 테러리즘으로 기울자 플레하노프는 반(反)테러리스트 분파 그룹을 결성하여 대중선동을 계속했다.[10]

플레하노프는 러시아에서 최초의 정치 시위를 조직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876년 12월 6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카잔 대성당 앞에서 열린 시위에서 격렬한 연설을 통해 차르 전제 정치를 비난하고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사상을 옹호했다. 이후 보복을 두려워 한 플레하노프는 지하 생활을 해야 했다. 1877년과 1878년, 두 차례에 걸쳐 정치 활동으로 체포되었지만, 짧은 수감 기간 후 모두 석방되었다.
원래 나로드니키였던 그는 서유럽으로 이주한 후 서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운동과 연결되었고,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저작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879년 민족주의 운동에서 테러리즘 문제가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자, 플레하노프는 정치적 암살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11] 역사가 레오폴드 하임손에 따르면 플레하노프는 "테러리즘을 혁명가들의 에너지를 고갈시키고 대중 사이에서 어떤 선동도 불가능하게 만들 정도로 심각한 정부 탄압을 유발할, 경솔하고 성급한 운동"으로 비난했다.[11] 플레하노프는 자신의 견해가 옳다고 확신했기에 이 문제에 대해 타협하기보다는 혁명 운동을 완전히 떠나기로 결심했다.[11]
플레하노프는 새로운 조직이자 테러리스트 운동인 ''나로드나야 볼랴''(인민의 의지)에 맞서 사상의 전투를 벌이려 했던 작은 민족주의 분파인 ''체르니 페르델''(검은 재분배)을 설립했다.[12]
2. 3. 망명과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형성
플레하노프는 1880년 체포 위기에 처하자 스위스 제네바로 망명했는데, 이 시기에 공식적으로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 1882년 공산당 선언을 번역했으며, 1883년 노동자해방당을 조직하여 러시아 정통 마르크스주의 체계를 세워나갔다. 이후 여러 저서를 통해 인민주의자들을 비판하고, 레닌, 악셀로트 등과 함께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신문 《이스크라 (불꽃)》를 편집하며 대중 정치 선동을 주도하였다.[17]1898년 3월 벨로루시 민스크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결성을 주도한 것도 플레하노프였다. 1903년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당원 자격에 대한 당 규약 제1조를 두고 레닌과 의견이 갈리면서, 혁명적 전위정당이냐 국민적 대중정당이냐는 노선 갈등으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되자, 플레하노프는 레닌과 결별하고 멘셰비키에 가담했다.
2. 4. 멘셰비키 활동과 러시아 혁명
1903년,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플레하노프는 처음에는 레닌의 편을 들었지만, 이는 나중의 그의 정치적 행보와는 상반되는 것이었다.[18] 이후 플레하노프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한 민주주의의 종속에 대한 자신의 발언을 후회했다.이후 플레하노프는 멘셰비키에 가담하였다. 1905년 러시아 혁명 동안, 플레하노프는 레닌과 볼셰비키를 끊임없이 비판했다.[19] 그는 볼셰비키가 경제적, 사회적으로 뒤떨어진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사회의 설립이 가능하기 전에 자본주의 발전 단계를 요구하는 객관적인 역사 법칙에 반하여 행동하고 있다고 믿었으며, 그의 급진적 반대자들의 광범위한 목표를 "정치적 환상"이라고 특징지었다.[19] 플레하노프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더 큰 혁명적 목표와는 별개로 일상적인 투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야 한다고 믿었고, 이를 위해서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 조직이 민주적으로 운영되어야 했다고 주장했다.[20]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플레하노프는 연합국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며, 이 때문에 레닌과 그의 동료들로부터 "사회적 애국주의"라는 비난을 받았다. 플레하노프는 전쟁의 원인이 독일 제국주의에 있다고 확신했으며, 독일의 승리가 유럽 노동자 계급에게 엄청난 재앙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40]
1917년 2월 혁명이 발발하자, 플레하노프는 40여년 만에 러시아로 귀국했다. 그는 이 사건을 오랫동안 예상했던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 여기고, 멘셰비키를 선택하여 볼셰비키당에 매우 적대적인 입장을 취했다.[40] 그는 레닌의 혁명적인 4월 테제를 "헛소리"라고 비판했으며, 사회주의 혁명을 옹호하면서 농업 국가인 러시아에서 자본주의 발전 단계를 뛰어넘으려는 것처럼 보이는 레닌 자신을 "혁명의 연금술사"라고 불렀다.[40] 플레하노프는 사회 진화 과정과 단계적 혁명론을 주장하며 레닌과 대립했다. 그는 레닌이 "독일 첩자"라는 생각에 동조했으며,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의 러시아 임시 정부에 볼셰비키 조직에 대한 심각한 탄압 조치를 취하여 그들의 정치적 책략을 막도록 촉구했다.[40]
2. 5. 사망
Георгий Валентинович Плехановru는 1918년 5월 30일 핀란드 테리요키(현재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교외의 젤레노고르스크)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45] 향년 61세였다.[45] 그의 장례식에서 니콜라스 슬로님스키는 피아노 연주를 요청받아 베토벤의 장례 행진곡을 연주했다.[45] 플레하노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볼코보 묘지에 비사리온 벨린스키와 니콜라이 도브로류보프의 무덤 근처에 묻혔다.[45]3. 플레하노프의 철학과 사상
플레하노프는 나로드니키 사상을 비판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러시아 사회 구조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농촌 공동체가 붕괴되어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러시아가 사회주의로 나아가기 전에 자본주의적 발전을 거쳐야 하며, 다가올 혁명은 부르주아 혁명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러시아에서 생겨나기 시작한 노동 계급은 제정으로부터 정치적 권리와 자유를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했다. 『사회주의와 정치 투쟁』(1883년, Социализм и политическая борьбаru), 『우리 견해의 차이』(1885년, Наши разногласияru)에서 나로드니키를 비판하고 노동 계급의 혁명에서의 역할을 논증했다.
플레하노프는 유럽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최초 해설자였으며, 변증법적 유물론을 시대의 철학에 대결시키는 업적을 쌓았다. 『일원론적 역사관의 발전 문제』(1895년, К вопросу о развитии монистического взгляда на историюru)는 그 방면의 걸작으로, 레닌은 이 책을 읽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동지들에게 극찬하며 추천했다. 이후에도 "플레하노프가 철학에 대해 쓴 것을 전부 연구하지 않고 지적이고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자가 될 수 없다"고 그의 철학적 권위를 인정했다. 문학 및 미술 평론으로 쓴 글은 안토니오 라브리올라나 프란츠 메링에 필적한다.
1890년대 후반에는 에두아르드 베른슈타인 등 수정주의자에 대항하여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논쟁에 참여했다. 이 논쟁에서 플레하노프는 수정주의에 대한 비타협성에서 로자 루센부르크와 함께 인상적이었으며, 후일 볼셰비키들의 모범이 되었다. 또한 러시아 국내에서 , 등 마르크스의 교리에서 혁명성을 제거하려는 경향에 대해서도 맹렬히 비판했다. 제2차 당대회에서 "혁명의 이익은 최고의 법칙이다"( Salus revolutiae suprema lexla)라는 공언은 플레하노프에 의해 이루어졌다.
러일 전쟁 당시 "국제 사회 민주주의는 국제 전쟁에 반대하는 항쟁에 나서야 한다"면서 러시아의 적국인 일본의 사회주의자 가타야마 센과 악수했지만,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시에는 레닌과 로자 루센부르크가 "전쟁을 내란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중앙동맹국의 독일 사회민주당 및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의 논객들을 프로이센적인 군국주의로 부정하고, 부르주아 민주주의인 연합국의 제정 러시아 및 임시 정부를 지지하여 사회 배외주의를 주장하며, 당내 파벌 통일을 이끌었다. 플레하노프는 나로드니키 비판 시절부터 "농민은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확신을 가졌고, 레닌이 농민과 동맹하여 혁명을 일으킨 것에 대해 나로드니키적이라고 비난했다. 드미트리 볼코고노프는 플레하노프를 " '결사의 거장', 즉 그가 레닌과 함께 만들어낸 당의 지도자로서가 아니라, 볼셰비키의 재앙을 예언한 인물로서 역사에 이름을 올렸다"고 평가했다.
3. 1. 인식론
플레하노프의 인식론은 독특한 측면을 가진다. 과학적 예측을 강조하는데,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기보다는 앞으로 어떻게 변해가며, 그렇게 변해가도록 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변증법적 사고의 특징적 요소로, 현상은 일시적이며 본질은 현실의 부정과 갈등, 그리고 그 극복 과정 속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3. 2. 당조직론
플레하노프는 독자적 당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890년대에서 1900년대 초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독자적인 당조직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프롤레타리아는 모든 계급과 연합할 수 있지만, 프롤레타리아의 헤게모니는 관철되어야 하며 그럴 수 있다고 믿었다. 이는 러시아 부르주아의 취약성에 근거한다. 러시아 부르주아는 국가의 보호 아래 성장했기 때문에 전제권과의 투쟁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노동자 계급을 주축으로 하는 혁명적 변혁을 통해 러시아 역사가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는 300만 명 정도밖에 안 되는 노동자 계급이지만, 미래에는 러시아의 주도적 계급이 될 것이며, 이는 프롤레타리아의 헤게모니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의 사회경제적 상황만 보아서는 역사의 발전 방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3. 3. 역사관
플레하노프의 역사관은 엄격한 객관주의였다. 이 점은 레닌 등 플레하노프 이후에 형성된 러시아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충돌되는 것으로, 오히려 제2인터내셔널의 경제주의적 관점과 유사한 점이 있다. 역사의 발전이 사람의 의지와 희망에 따라 변화, 회피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재적, 자연적 법칙에 의해 모든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이다. 인민주의자와의 논쟁 속에서 이러한 그의 주장은 더욱 부각되었다. 그러한 법칙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나중에 볼셰비키나 레닌과 차이가 나게 된다. 플레하노프에게는 계급 투쟁 등을 통해 그 역사 발전 과정을 촉진시킨다는 것이 배제되었다. 경제적, 실리적 이슈를 중시하는 것과 정치적 이슈를 중시하는 것은 동일시되었다.3. 4. 정치투쟁 강조
플레하노프는 정치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마르크스주의자 그룹 내에서는 두 가지 투쟁 노선에 대한 갈등이 있었는데, 플레하노프는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사회주의 사회 건설 이후에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아 정치투쟁을 강조했다.이러한 문제는 인텔리겐치아(지식인 계층) 문제와도 연결되었다. 1890년대 러시아 인텔리겐치아는 노동운동과 연계하여 조직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는데, 노동자 출신 지도부와 외부에서 온 인텔리겐치아 지도부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레닌은 혁명적 지식인에 의한 사회주의적 의식 부여가 중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노동운동은 조합주의 이상으로 발전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즉, 노동자 계층과 그 운동의 자발성보다 혁명적 지식인의 역할을 중시했다. 반면 플레하노프는 공산주의가 궁극적인 목표이기는 하지만, 현 단계에서는 자본주의 혁명을 강조했다. 이는 레닌 중심의 볼셰비키와 결별하는 내용이었다.
4. 주요 저작 및 활동
플레하노프는 당시 러시아 좌익을 지배하던 나로드니키 사상을 비판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러시아의 사회 구조 변화를 관찰하며 농촌 공동체가 붕괴되어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러시아가 사회주의로 나아가기 전에 자본주의적 발전을 거쳐야 하며, 다가올 혁명은 부르주아 혁명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러시아에서 생겨나기 시작한 노동 계급은 제정으로부터 정치적 권리와 자유를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했다. 『사회주의와 정치 투쟁』(1883년), 『우리 견해의 차이』(1885년)에서 나로드니키를 비판하고 노동 계급의 혁명에서의 역할을 주장했다.[23][21][24][25][26][27]
플레하노프는 유럽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최초 해설자로, 변증법적 유물론을 시대의 철학에 대결시키는 업적을 쌓았다. 1895년에 출간된 『'''일원론적 역사관의 발전 문제'''』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레닌은 이 책을 읽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동지들에게 추천하며 극찬했다. 레닌은 "플레하노프가 철학에 대해 쓴 것을 전부 연구하지 않고 지적이고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자가 될 수 없다"고 그의 철학적 권위를 인정했다.[29] 그의 문학 및 미술 평론은 안토니오 라브리올라나 프란츠 메링에 필적하는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1890년대 후반, 플레하노프는 에두아르드 베른슈타인 등 수정주의자들에 대항하여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는 논쟁에 참여했다. 이 논쟁에서 그는 수정주의에 대한 비타협적인 태도로 로자 루센부르크와 함께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훗날 볼셰비키들의 모범이 되었다. 또한, 러시아 국내에서 Legal Marxism|합법 마르크스주의영어, Economism|경제주의영어 등 마르크스 교리에서 혁명성을 제거하려는 경향에 대해서도 맹렬히 비판했다. 제2차 당대회에서 "혁명의 이익은 최고의 법칙이다"( ''Salus revolutiae suprema lex''la)라는 발언은 플레하노프가 한 것이다.
러일 전쟁 당시 플레하노프는 "국제 사회 민주주의는 국제 전쟁에 반대하는 항쟁에 나서야 한다"면서 러시아의 적국인 일본의 사회주의자 가타야마 센과 악수하기도 했다. 그러나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시에는 전쟁을 내란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 레닌과 로자 루센부르크와 달리, 중앙동맹국의 독일 사회민주당 및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을 프로이센적인 군국주의로 부정하고, 연합국에 속한 제정 러시아 및 임시 정부를 지지하는 사회 배외주의를 주장하며, 당내 파벌 통일을 이끌었다.[40]
플레하노프는 "농민은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레닌이 농민과 동맹하여 혁명을 일으킨 것에 대해 나로드니키적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볼셰비키는 도시부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 드미트리 볼코고노프는 플레하노프를 "볼셰비키의 재앙을 예언한 인물로서 역사에 이름을 올렸다"고 평가했다.
플레하노프는 러시아 최초의 정치 시위 조직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 1876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카잔 대성당 앞 시위에서 차르 전제 정치를 비난하고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를 옹호했다.[10] 이후 지하 활동을 하다 나로드니키에서 마르크스주의로 전향,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교류했다.[14] 1883년 레프 도이치, 베라 자술리치 등과 최초의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조직인 노동 해방단을 결성했고,[16] 1900년에는 레닌, 마르토프 등과 함께 이스크라 신문 발행에 참여했다.[17] 1905년 러시아 혁명 당시에는 레닌과 볼셰비키를 비판했다.[19] 2월 혁명 이후 귀국했으나, 볼셰비키에 적대적이었고, 레닌의 4월 테제를 비판했다.[40]
4. 1. 주요 저작
Социализм и политическая борьба|Sotsializm i politicheskaya bor'ba|사회주의와 정치 투쟁ru, 1883}}: 러시아 사회주의의 첫 번째 '신앙 고백'으로 평가받는 저작으로, 마르크스주의 입장을 표명하고 민족주의 운동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23] 레닌은 이 책을 "러시아 사회주의의 첫 번째 '신앙 고백'"이라고 불렀다.[21]
Наши разногласия|Nashi raznoglasiya|우리의 차이점ru, 1885}}
: 자본주의가 주로 섬유 산업[24]과 농업[25]에서 러시아에 자리 잡기 시작했고, 농민 러시아에서 노동 계급이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26] 또한 이 확장되는 노동 계급이 궁극적으로 러시아에서 사회주의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27]
К вопросу о развитии монистического взгляда на историю|K voprosu o razvitii monisticheskogo vzglyada na istoriyu|역사관의 일원론적 발전ru, 1895}}
: 유물론적 역사관을 옹호하는 매우 인기 있는 책이었다. 레닌은 이 책이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 전체 세대를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했다.[29]
О материалистическом понимании истории|O materialisticheskom ponimanii istorii|유물론 역사에 대한 에세이ru, 1896}}
К вопросу о роли личности в истории|K voprosu o roli lichnosti v istorii|역사에서 개인의 역할에 관하여ru, 1898}}
: "역사의 위인 이론"을 주장하는 부르주아 철학자들을 경제적 결정론적 관점에서 공격했다.[39]
Основные вопросы марксизма|Osnovnyye voprosy marksizma|마르크스주의의 근본 문제ru, 1908}}
Art and Social Life|Art and Social Life|예술과 사회 생활영어, 1912–1913}}
Анархизм и социализм|Anarkhizm i sotsializm|무정부주의와 사회주의 Anarchismus und Socialismusru, 1894}}
- ''G. I. 우스펜스키'' (1888)
- [http://www.marxists.org/archive/plekhanov/1889/champ/index.htm ''전제정치의 새로운 챔피언''] (1889)
- ''S. 카로닌'' (1890)
- [https://archive.org/details/BourgeoisRevolution ''부르주아 혁명''] (1890–1891)
- [http://www.marxists.org/archive/plekhanov/1897/history/part1.htm ''역사 유물론적 이해''] (1891)
- ''헤겔 사망 60주년 기념'' (1891)
- ''N. I. 나우모프'' (1897)
- ''A. L. 볼린스키: 러시아 비평가. 문학 에세이'' (1897)
- ''N. G. 체르니셰프스키의 미학 이론'' (1897)
- [http://www.marxists.org/archive/plekhanov/1897/belinski/index.htm ''벨린스키와 합리적 현실''] (1897)
- [https://archive.org/details/nanekrasov00plekgoog ''N. A. 네크라소프''] (1903)
- ''과학적 사회주의와 종교'' (1904)
- [https://archive.org/details/NaDvaFronta ''두 개의 전선에서: 정치 기사 모음''] (1905)
-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18세기 프랑스 드라마와 프랑스 회화'' (1905)
- ''프롤레타리아 운동과 부르주아 예술'' (1905)
- ''헨리크 입센'' (1906)
- [https://archive.org/details/MyIOni ''우리와 그들''] (1907)
- ''노동자 운동의 심리학에 관하여'' (1907)
- ''오늘날 우리 시대 속물들의 이데올로기'' (1908)
- ''톨스토이와 자연'' (1908)
- ''러시아에서의 소위 종교적 탐구에 관하여'' (1909)
- ''N. G. 체르니셰프스키'' (1909)
- ''칼 마르크스와 레프 톨스토이'' (1911)
- ''A. I. 헤르첸과 농노제'' (1911)
- ''도브롤류보프와 오스트로프스키'' (1911)
- ''조국의 해: 1917–1918년의 완전한 논문 및 연설집, 전 2권.'' (1921)
4. 2. 기타 활동
플레하노프는 러시아 최초의 정치 시위 조직자 중 한 명이었다. 1876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카잔 대성당 앞 시위에서 차르 전제 정치를 비난하고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를 옹호했다.[10] 이후 지하 활동을 하다 나로드니크에서 마르크스주의로 전향,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교류했다.[14]1883년 레프 도이치, 베라 자술리치 등과 최초의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조직인 노동 해방단을 결성했다.[16] 1900년에는 레닌, 마르토프 등과 함께 이스크라 신문 발행에 참여했다.[17] 1905년 러시아 혁명 당시에는 레닌과 볼셰비키를 비판했다.[19]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연합국을 지지하여 사회적 애국주의라는 비난을 받았다.[40] 2월 혁명 이후 귀국했으나, 볼셰비키에 적대적이었고, 레닌의 4월 테제를 비판했다.[40]
5. 평가와 영향
플레하노프는 러시아와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그는 러시아에 마르크스주의를 처음 소개하고 전파한 선구자 중 한 명으로, 나로드니키 사상을 비판하고 노동 계급의 혁명적 역할을 강조했다. 유럽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초기 해설자로 활동하며 변증법적 유물론을 옹호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의 저작은 레닌을 비롯한 후대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90년대 후반에는 에두아르드 베른슈타인 등의 수정주의에 맞서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는 논쟁에 참여하여 로자 루센부르크와 함께 수정주의에 대한 비타협적인 태도를 보였다.
러일 전쟁 당시에는 제국주의에 갇히지 않은 노동자의 반전을 호소하며 일본 대표 가타야마 센과 악수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연합국을 지지하며 사회 배외주의를 주장했고, 10월 혁명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행보는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논란을 일으켰으며, 특히 레닌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드미트리 볼코고노프는 플레하노프를 " '결사의 거장', 즉 그가 레닌과 함께 만들어낸 당의 지도자로서가 아니라, 볼셰비키의 재앙을 예언한 인물로서 역사에 이름을 올렸다"고 평가했다. 볼셰비키 정권은 플레하노프 사후 그의 초기 논문만을 출판하고,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러시아 경제 아카데미 및 G.V. 플레하노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광산 대학교에 그의 이름을 붙이는 등 정치적으로 이용했다. 플레하노프의 만년 레닌 비판은 소련 붕괴 이후에야 러시아에서 출판되어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5. 1. 긍정적 평가
플레하노프는 러시아에 마르크스주의를 소개하고 발전시킨 선구자로,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그의 철학 저작들은 레닌을 비롯한 후대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플레하노프는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최초 해설자 중 한 명이었으며, 변증법적 유물론을 당대 철학과 대결시키는 업적을 쌓았다. 그의 저서 '''일원론적 역사관의 발전 문제'''''(1895년)는 레닌이 극찬하며 추천할 정도로 뛰어난 저작으로 평가받았다. 레닌은 "플레하노프가 철학에 대해 쓴 것을 전부 연구하지 않고 지적이고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자가 될 수 없다"고 평가하며 그의 철학적 권위를 인정했다.1890년대 후반, 플레하노프는 에두아르드 베른슈타인 등의 수정주의에 맞서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는 논쟁에 참여했다. 이 논쟁에서 그는 로자 루센부르크와 함께 수정주의에 대해 비타협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훗날 볼셰비키의 모범이 되었다.
드미트리 볼코고노프는 플레하노프를 " '결사의 거장', 즉 그가 레닌과 함께 만들어낸 당의 지도자로서가 아니라, 볼셰비키의 재앙을 예언한 인물로서 역사에 이름을 올렸다"고 평가했다.
5. 2. 부정적 평가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플레하노프는 연합국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으며, 이 때문에 레닌과 그의 동료들로부터 "사회적 애국주의"라는 비난을 받았다.[40] 레닌과의 노선 갈등, 멘셰비키 가담, 그리고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대한 반대 입장은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플레하노프는 전쟁의 원인이 독일 제국주의에 있다고 확신했으며, 독일의 승리가 유럽 노동자 계급에게 엄청난 재앙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40]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조국 방위론을 주장하며 연합국을 지지한 점은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플레하노프는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당에 매우 적대적이었으며, 레닌의 혁명적인 4월 테제를 "헛소리"라고 비판했다.[40] 사회주의 혁명을 옹호하면서 농업 국가인 러시아에서 자본주의 발전 단계를 뛰어넘으려는 것처럼 보이는 레닌 자신을 "혁명의 연금술사"라고 불렀다.[40]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대한 적대감 때문에 다시 러시아를 떠났으며, 드미트리 볼코고노프는 플레하노프는 "'결사의 거장', 즉 그가 레닌과 함께 만들어낸 당의 지도자로서가 아니라, 볼셰비키의 재앙을 예언한 인물로서 역사에 이름을 올렸다"고 평가했다.
5. 3. 한국적 관점에서의 평가 (더불어민주당 관점)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러일 전쟁 당시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을 지지한 점은 제국주의 전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한국의 진보 진영,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비판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플레하노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독일 제국주의에 있다고 확신했으며, 독일의 승리가 유럽 노동자 계급에게 큰 재앙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40] 이러한 그의 판단은 사회적 애국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40]
1917년의 2월 혁명에 대해 처음에는 러시아의 전쟁 노력을 망칠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곧 이 사건을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 간주하고 러시아로 귀국했다.[40]
플레하노프는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당에 매우 적대적이었으며, 레닌의 혁명적인 4월 테제를 "헛소리"라고 비판했다.[40] 그는 레닌이 "독일 첩자"라는 생각에 동조했으며,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의 러시아 임시 정부에 볼셰비키 조직을 탄압하도록 촉구했다.[40]
참조
[1]
논문
Plekhanov and the Origins of Russian Marxism
https://www.jstor.or[...]
1954
[2]
서적
Russian Philosophy: Pre-Revolutionary Philosophy and Theology Philosophers in Exile Marxists and Communists
1965
[3]
서적
Scriabin, a Biography
Courier Corporation
1996
[4]
서적
Plekhanov: The Father of Russian Marx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3
[5]
서적
Plekhanov: The Father of Russian Marxism
[6]
서적
Plekhanov: The Father of Russian Marxism
[7]
서적
The Russian Marxists and the Origins of Bolshev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955
[8]
서적
Perezhitoe i peredumannoe
Berlin
1923
[9]
서적
Plekhanov in Russian History and Soviet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95
[10]
논문
Between Marx and Lenin: G.V. Plekhanov
1960-04-01 # Assuming April-June means April 1st
[11]
서적
The Russian Marxists and the Origins of Bolshevism
[12]
논문
Between Marx and Lenin: G.V. Plekhanov
[13]
서적
The Russian Marxists and the Origins of Bolshevism
[14]
서적
Plekhanov's role in the Defence and Substantiation of Marxist Philosophy (Introductory Essay)
Progress Publishers
1974
[15]
서적
The Russian Marxists and the Origins of Bolshevism
[16]
서적
Programme of the Social-Democratic Emancipation of Labor Group
Progress Publishers
1974
[17]
논문
Between Marx and Lenin: G.V. Plekhanov
[18]
서적
Lenin: Building the Party
[19]
서적
Plekhanov in Russian History and Soviet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95
[20]
서적
Stalinism and the Politics of Mob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1]
서적
Socialism and Political Struggle
Progress Publishers
1974
[22]
서적
Our Differences
[23]
서적
Plekhanov: The Father of Russian Marxism
[24]
서적
Our Differences
[25]
서적
Our Differences
[26]
서적
Plekhanov: The Father of Russian Marxism
[27]
서적
Our Differences
[28]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Monist View of History
[29]
서적
Introductory Essay
[30]
서적
letter to Vera Zasulich
International Publishers
2004
[31]
서적
note 505
[32]
서적
note 504
International Publishers
2004
[33]
서적
letter to Georgi Plekhanov
[34]
서적
Essays on the History of Materialism
Progress Publishers
1976
[35]
서적
Essays on the History of Materialism
[36]
서적
G. V. Plekhanov's Defence and substantiation of Dialectical and Historical Materialism in the Struggle Against Revisionism
Progress Publishers
[37]
서적
A Few Words in Defence of Economic Materialism and On the Economic Factor
[38]
서적
Introduction
[39]
서적
Selected Philosophical Works: Volume II
[40]
서적
Georgii Valentinovich Plekhanov
Greenwood Press
[41]
서적
Russia in the Age of Reaction and Reform
Longman
[42]
서적
Mothers and Daughters: Women of the Intelligentsia in Nineteenth Century Russia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43]
서적
Scriabin: A Biography of the Russian Composer 1871–1915
Dover
[44]
웹사이트
Bograd, Rozaliia Markovna Bograd-Plekhanova
http://www.proza.ru/[...]
2016-03-24
[45]
서적
Perfect Pitch
[46]
웹사이트
В.И.Ленин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том 42 В. И. ЛЕНИН стр. 290
http://leninvi.com/t[...]
2023-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