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아밀레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타-아밀레이스는 전분의 α-1,4-글리코시드 결합을 비환원 말단에서 엑소형으로 가수분해하여 β 아노머의 말토스를 생성하는 효소이다. 식물에 널리 분포하며, 에너지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밀로펙틴의 경우 55-60%, 아밀로스의 경우 70-96%까지 분해한다. 세균에서는 1974년에 Bacillus megaterium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타-아밀레이스 | |
---|---|
기본 정보 | |
EC 번호 | 3.2.1.2 |
CAS 번호 | 9000-91-3 |
GO 코드 | GO:0016161 |
![]() | |
효소 정보 | |
이름 | 베타-아밀레이스 |
IUBMB EC 번호 | 3/2/1/2 |
상세 정보 | |
기능 | 다당류에서 알파-1,4-D-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 |
참고 문헌 | Balls, A. K., Walden, M. K., & Thompson, R. R. (1948). A crystalline β-amylase from sweet potatoe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73(1), 9–19. Manners, D. J. (1962). Enzymic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starch and glycogen. Advances in Carbohydrate Chemistry, 17, 371–430. French, D. (1960). β-Amylases. In Boyer, P. D., Lardy, H., & Myrbaumlck, K. (Eds.), The Enzymes (2nd ed., Vol. 4, pp. 345–368). Academic Press. |
2. 특징
β-아밀레이스는 전분의 비환원 말단에서부터 이당 단위인 β-말토스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엑소형 아밀레이스이다. 전분의 분지 구조(α-1,6-글리코시드 결합) 앞에서 작용이 멈추기 때문에 β-리미트 덱스트린이 남는다.[1]
β-아밀레이스는 식물에 널리 분포하며, 에너지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균에서는 1974년에 ''Bacillus megaterium''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2. 1. 작용 메커니즘
β-아밀레이스는 전분의 α-1,4-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비환원 말단에서 엑소형으로 이당 단위로 가수분해하여 β 아노머의 말토스를 생성하는 효소로, 첫 번째 엑소형 아밀레이스이다.[1] 전분의 분지 구조(α-1,6-글리코사이드 결합) 앞에서 작용이 멈추어 고분자의 β-리미트 덱스트린이 남는다.[1] 아밀로펙틴의 β-아밀레이스에 의한 분해 한도는 55~60%이고, 아밀로스의 β-아밀레이스 분해 한도는 70~96%이다.[1]2. 2. 분해 한도
아밀로펙틴의 β-아밀레이스에 의한 분해 한도는 55~60%이고, 아밀로스의 β-아밀레이스 분해 한도는 70~96%이다.3. 분포
β-아밀레이스는 식물에 널리 분포하며, 세균에서는 1974년에 ''Bacillus megaterium''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3. 1. 식물
β-아밀레이스는 식물에 널리 분포하며,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균에서는 1974년에 ''Bacillus megaterium''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3. 2. 세균
세균에서는 1974년에 ''Bacillus megaterium''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3. 3. 동물
동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참조
[1]
논문
Chemical genetics and cereal starch metabolism: structural basis of the non-covalent and covalent inhibition of barley β-amylase
2011-03
[2]
논문
A crystalline β-amylase from sweet potatoes
1948-03
[3]
서적
The Enzymes
Academic Press
[4]
논문
Enzymic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starch and glycogen
[5]
웹사이트
"Amylase, Alpha", I.U.B.: 3.2.1.11,4-α-D-Glucan glucanohydrolase
http://www.worthingt[...]
[6]
서적
『澱粉の科学と技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