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소자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소자임은 펩티도글리칸의 배당체 결합을 가수 분해하는 효소로, 1909년 라슈첸코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1922년 알렉산더 플레밍에 의해 '리소자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965년 데이비드 칠튼 필립스가 엑스선결정학을 통해 3차원 구조를 규명했다. 리소자임은 항균 작용을 하며, 식품 첨가물, 생명공학, 생화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과거 한국에서는 의약품으로 사용되었으나, 유효성 논란으로 인해 2016년 제조 및 판매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3.2.1 - 락테이스
    락테이스는 유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하는 효소로, 유당 불내증 치료 보충제나 유당 분해 우유 제조에 사용되며, 효모와 곰팡이에서 얻을 수 있고 일부 인구 집단에서는 락타아제 지속성이 나타난다.
  • EC 3.2.1 - 아밀레이스
    아밀레이스는 다당류를 작은 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로, 여러 종류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류 식습관 변화 연구에도 기여한다.
  • 인간 12번 염색체상 유전자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인간 12번 염색체상 유전자 - CD4
    CD4는 보조 T 세포 표면에서 T 세포 수용체의 공동수용체로 작용하여 항원제시세포와 상호작용을 돕고 T 세포 활성화 신호를 증폭시키는 면역계의 당단백질이며, HIV의 숙주 세포 침투 수용체로 작용하여 HIV 감염 및 AIDS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면역학 - 체취
    체취는 인간의 피부상재균이 분비물을 대사하여 발생하는 냄새로, 유전자,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데오드란트 등으로 관리하거나 심한 경우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 면역학 - 면역계
    면역계는 물리적 장벽, 선천 면역, 후천 면역으로 구성되어 감염으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하는 다층적인 방어 시스템이며, 기능 이상 시 자가면역 질환, 과민 반응,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리소자임
기본 정보
효소 분류 번호3.2.1.17
CAS 등록번호9001-63-2
유전자 온톨로지0003796
메틸렌 블루로 염색된 리소자임 결정
메틸렌 블루로 염색된 리소자임 결정
단백질 계열 정보
이름글리코사이드 가수분해 효소, 22번 계열, 리소자임
인터프로IPR000974
프린트PR00137
상세 정보
다른 이름뮤라미다제 (muramidase)
기능펩티도글리칸 내의 N-아세틸무람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 잔기 사이, 그리고 키토덱스트린 내의 N-아세틸-D-글루코사민 잔기 사이의 (1->4)-베타 결합을 가수분해한다.
발견알렉산더 플레밍이 1922년에 발견
분포동물
특징항균 효소
열 안정성 (다양한 pH에서 고농도 리소자임의 열 안정성 연구)
기질세균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
키틴
용도식품 보존제
의약품
구조닭 알 흰자에서 추출한 리소자임의 3차원 구조가 밝혀짐 (PDB: )
유전자 정보
인간 리소자임 유전자위치 및 염기서열 정보 확인됨
발현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에서 발현 및 분비됨
인체 내 분포
눈물세균 감염으로부터 눈을 보호
모유농도가 높음
유아의 장내 세균총 조절
항균 작용
반응 메커니즘
작용 기작리소자임 전이 상태 아날로그 설계를 기반으로 반응 메커니즘 검증됨

2. 역사

1909년 Laschtschenko가 암탉의 달걀 흰자에 포함된 항균적 속성을 처음 발견했고,[75] 1922년 알렉산더 플레밍은 콧물에서 세균을 죽이는 작용을 확인하고 "리소자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76][77][50] 알렉산더 플레밍은 이 효소 물질이 다양한 분비물에 존재하며, 특히 그가 연구한 노란색 "구균"을 빠르게 용해(즉, 용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2]

이후 리소자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다. 필립스가 처음 제안한 리소자임의 작용 메커니즘은 최근 수정되었다.[19]

2. 1. 발견

1909년 Laschtschenko가 암탉의 달걀 흰자에 포함된 항균 속성을 처음 발견했다.[75][49] 1922년 알렉산더 플레밍은 콧물에서 세균을 죽이는 작용을 확인하고 "리소자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76][77][50] 그는 "이 물질은 효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리소자임'이라고 명명했다"라고 말했다.[51]

2. 2. 구조 연구

리소자임은 1937년 에드워드 에이브러햄에 의해 처음 결정화되었으며,[78] 이를 통해 1965년 데이비드 칠튼 필립스는 엑스선 결정을 통해 2-옹스트롬(200 pm) 해상도 모델을 얻어 닭의 알 흰자위 리소자임의 3차원 구조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78][79] 이 구조는 1965년 왕립 연구소 강연에서 공개적으로 발표되었다.[80] 리소자임은 X선 회절법을 통해 구조가 밝혀진 두 번째 단백질 구조이자, 첫 번째 효소 구조였으며, 20개의 일반적인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는 완전하게 서열이 밝혀진 최초의 효소였다.[81] 필립스의 리소자임 구조 규명의 결과, 리소자임은 촉매 작용 방식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메커니즘이 제안된 최초의 효소이기도 했다.[57]

3. 기능 및 작용 기전

리소자임은 효소로서 펩티도글리칸의 배당체 결합을 가수 분해한다. 키티나아제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지만, 키틴의 배당체 결합을 끊을 수도 있다.[10]

리소자임에 의해 촉매되는 반응 개요


리소자임의 활성 부위는 두 도메인 사이의 뚜렷한 틈새에서 펩티도글리칸 분자를 결합시킨다. 리소자임은 그람 양성 세균의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펩티도글리칸을 공격하며, ''N''-아세틸무람산 (NAM)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NAG)의 네 번째 탄소 원자 사이를 공격한다.

테트라사카라이드와 같은 짧은 탄수화물이나 키틴도 리소자임의 기질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인공 기질 또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2]

3. 1. 기능

리소자임은 효소로서 펩티도글리칸의 배당체 결합을 가수 분해하는 기능을 한다. 이 효소는 키티나아제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지만, 키틴의 배당체 결합을 끊을 수도 있다.[10]

리소자임의 활성 부위는 두 도메인 사이의 뚜렷한 틈새에서 펩티도글리칸 분자를 결합시킨다. 리소자임은 그람 양성 세균의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펩티도글리칸을 공격하며, ''N''-아세틸무람산 (NAM)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NAG)의 네 번째 탄소 원자 사이를 공격한다.

테트라사카라이드와 같은 짧은 탄수화물도 더 긴 사슬을 가진 중간체를 통해 실행 가능한 기질인 것으로 나타났다.[11] 키틴 또한 리소자임의 실행 가능한 기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인공 기질 또한 개발되어 리소자임에 사용되고 있다.[12]

리소자임은 그람 양성균에 작용하며, 그람 음성균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는 각 균의 구조 차이에 기인한다.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N-아세틸무라민산이 β-1,4 결합한 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리소자임이 작용한다. 반면 그람 음성균은 이 세포벽 바깥쪽에 리포다당에 의한 외막이 형성되어 있어, 리소자임이 작용해도 세포벽 성분이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단한 펩티도글리칸 층이 분해되기 때문에,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구형을 띤다.

리소자임에 의한 용균 작용을 받기 쉬운 균으로는 고초균(Bacillus subtillis), ''Micrococcus lysodeikticus'' 등이 알려져 있다.

3. 2. 작용 기전

리소자임은 효소의 일종으로,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인 펩티도글리칸의 배당체 결합을 가수분해한다. 키틴의 배당체 결합도 끊을 수 있지만, 그 효과는 키티나아제만큼 뛰어나지는 않다.[10]

리소자임의 활성 부위는 두 도메인 사이의 틈에 펩티도글리칸 분자를 결합시킨다. 펩티도글리칸은 그람 양성 세균의 세포벽에서 주로 발견되며, 리소자임은 N-아세틸무람산(NAM)과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사이의 결합을 공격한다.

리소자임은 주로 그람 양성균에 작용하며, 그람 음성균에는 효과가 떨어진다.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리소자임의 공격에 취약하지만, 그람 음성균은 펩티도글리칸 층 바깥에 리포다당 외막이 있어 리소자임의 접근을 막는다. 하지만 리소자임에 의해 펩티도글리칸 층이 분해되면 그람 음성균도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구형으로 변한다.

고초균(Bacillus subtillis)과 ''Micrococcus lysodeikticus'' 등이 리소자임에 의한 용균 작용에 취약한 균으로 알려져 있다.

테트라사카라이드와 같은 짧은 탄수화물도 리소자임의 기질이 될 수 있으며, 키틴 역시 리소자임의 기질로 작용할 수 있다.[11] 인공 기질도 개발되어 리소자임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12]

3. 2. 1. 필립스 메커니즘 (Phillips mechanism)

효소의 촉매 작용은 결합된 기질에 대한 입체적 변형과 옥소-카르베늄 중간체의 정전기적 안정화에서 비롯된다. X선 결정 구조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립스는 헥사사카라이드가 결합하는 효소의 활성 부위를 제안했다. 리소자임은 헥사사카라이드의 네 번째 당(D 또는 -1 서브사이트)을 반의자 형태로 변형시킨다. 이러한 스트레스 상태에서 글리코시드 결합은 더 쉽게 파괴된다.[13] 글리코시드 결합이 파괴된 결과로 옥소-카르베늄을 포함하는 이온 중간체가 생성된다.[14] 따라서 기질 분자가 전이 상태와 유사한 변형된 형태를 채택하도록 유발하는 변형은 반응의 에너지 장벽을 낮출 것이다.[15]

1978년 아리에 워셜은 활성 부위의 아스파트산 및 글루탐산 잔기에 의해 옥소-카르보늄 중간체가 정전기적으로 안정화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정전기적 안정화 주장은 벌크 물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하며, 물 쌍극자의 재배열은 전하 상호 작용의 안정화 에너지를 상쇄할 수 있다. 워셜의 모델에서 효소는 초용매 역할을 하며, 이온 쌍의 방향을 고정하고 초용매화(이온 쌍의 매우 우수한 안정화)를 제공하며, 특히 두 이온이 서로 가까이 있을 때 에너지를 낮춘다.[16]

이 메커니즘에서 반응 속도 결정 단계(RDS)는 옥소-카르베늄 중간체의 형성과 관련이 있다. 정확한 RDS를 나타내는 몇 가지 모순된 결과가 있었다. 생성물 (p-니트로페놀)의 형성을 추적하여 RDS가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모순된 결과의 원인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RDS가 글리코실 효소 중간체의 형성이고, 더 낮은 온도에서는 해당 중간체의 분해이다.[17]


3. 2. 2. 공유 결합 메커니즘 (Covalent mechanism)

1969년 초 논쟁에서 달키스트는 동위원소 효과를 기반으로 리소자임에 대한 공유 결합 메커니즘을 제안했지만,[14] 오랫동안 이온성 메커니즘이 더 널리 받아들여졌다. 2001년, Vocadlo는 이온성 중간체가 아닌 공유 결합 중간체를 거치는 수정된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ESI-MS 분석 결과 공유 결합 중간체가 나타났다. 반응 속도를 낮추고 특성 분석을 위한 중간체를 축적하기 위해 2-플루오로 치환된 기질이 사용되었다.[19] 아미노산 측쇄 글루탐산 35(Glu35)와 아스파트산 52(Asp52)가 이 효소의 활성에 결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Glu35는 배당체 결합에 양성자를 공여하여 기질의 C-O 결합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고, Asp52는 친핵체로서 글리코실 효소 중간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Glu35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 이온을 형성하며, 이는 물보다 더 강력한 친핵체로 작용하여 글리코실 효소 중간체를 공격하여 가수 분해 생성물을 생성하고 효소는 변하지 않고 남는다.[20] 이와 같은 유형의 효소 촉매 반응에 대한 공유 결합 메커니즘은 코슐랜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21]

최근에는 양자 역학/분자 역학(QM/MM)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HEWL의 결정 구조를 사용하여 공유 결합 중간체의 존재를 예측하고 있다.[22] ESI-MS 및 X-선 구조에 대한 증거는 공유 결합 중간체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주로 활성이 낮은 돌연변이체 또는 비-네이티브 기질을 사용하는 것에 의존한다. 따라서 QM/MM 분자 역학은 야생형 HEWL 및 네이티브 기질의 메커니즘을 직접 조사할 수 있는 고유한 능력을 제공한다. 계산 결과 공유 결합 메커니즘의 공유 결합 중간체가 필립스 메커니즘의 이온성 중간체보다 약 30kcal/mol 더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계산은 이온성 중간체가 에너지적으로 매우 불리하며, 활성이 낮은 돌연변이체 또는 비-네이티브 기질을 사용한 실험에서 관찰된 공유 결합 중간체가 야생형 HEWL의 메커니즘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3. 비효소적 작용

리소자임은 뮤라미다아제 활성 외에도 비효소적 항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 부위의 주요 아미노산인 52-Asp을 52-Ser으로 바꾸는 돌연변이를 통해 리소자임의 촉매 활성을 차단하여도 항균 활성은 유지된다.[25] 리소자임은 분해 활성 없이 세균 탄수화물 항원을 인식하는 렉틴 유사 능력을 가지는데, 이는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의 지질다당류와 관련된 사당류에서 보고되었다.[26] 또한, 리소자임은 항체 및 T 세포 수용체와 상호작용한다.[27]

4. 성질 (일본어 문서 기반)


  • 분자량: 14,307
  • 등전점: 11.1~11.35
  • 최적 pH: 5 부근 (용균법에서는 7 부근)
  • 최적 온도: 50℃


; 1차 구조

닭의 난백 리소자임은 129개의 아미노산잔기로 구성된다. 사람 리소자임은 130개의 아미노산잔기로 구성된다. 산성 아미노산 (Asp 7개, Glu 2개)에 비해 염기성 아미노산 (Arg 11개, Lys 6개)이 더 많으며, 분자량에 비해 S-S 결합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5. 세균에 대한 작용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N-아세틸무라민산이 β-1,4 결합한 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리소자임이 작용한다. 반면 그람 음성균은 이 세포벽 바깥쪽에 리포다당에 의한 외막이 형성되어 있어, 리소자임이 작용해도 세포벽 성분이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단한 펩티도글리칸 층이 분해되기 때문에,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구형을 띤다.

리소자임에 의한 용균 작용을 받기 쉬운 균으로는 고초균(Bacillus subtillis), ''Micrococcus lysodeikticus'' 등이 알려져 있다.

6. 질병 및 치료에서의 역할

리소자임은 선천 면역계의 일부이다. 신생아의 경우 기관지폐 이형성증과 관련하여 리소자임 수치 감소가 관찰된다.[31] 바실루스, 연쇄상구균과 같은 그람 양성 세균 병원체로부터 자연적인 보호를 받는데, 이는 모유에 리소자임이 풍부하기 때문이다.[34][35] 모유 수유를 하는 유아는 이러한 이점을 가진다.

결막(눈을 덮는 막)은 주로 리소자임과 데펜신과 같은 분비 효소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보호 장벽이 실패하면 결막염이 발생한다.

특정 암, 특히 골수단핵구 백혈병의 경우 암세포가 과도하게 리소자임을 생산하여 혈액 내 리소자임 농도가 독성 수준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신부전 및 저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원발성 악성 종양을 치료하면 개선되거나 해결될 수 있다.

사르코이드증의 경우, 혈청 리소자임은 혈청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보다 진단 특이성은 낮지만 민감도가 더 높다. 따라서 혈청 리소자임은 사르코이드증 질병 활성의 지표로 사용되며, 질병 모니터링에 적합하다.[36]

7. 응용

리소자임은 식품, 생명공학, 생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식품 첨가물로 보존성을 높이는 데 사용되며, 특히 글리신과 병용하거나 유기산으로 pH를 조절하면 효과가 좋다. 생명공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는 그람 양성 세균을 용해시키는 데 사용되며, 세포벽 분해 및 삼투압 쇼크를 통해 세균의 주변세포질에서 단백질을 방출하는 데 활용된다.[42][43][44] 또한, 리소자임 결정은 촉매 작용 및 생의학적 응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 성장에 사용되기도 한다.[39][40][41]

7. 1. 식품

식품 첨가물로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글리신과 병용하거나 유기산으로 pH를 조절하면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난백 리소자임-글리신-유기산을 조합한 제제 형태로 식품 제조사에 유통되고 있다.

7. 2. 생명공학/생화학

리소자임은 그람 양성 세균을 용해시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효소이다.[42] 세포벽을 분해하고 삼투압 쇼크를 일으켜 세균의 주변세포질에서 단백질을 방출하는 데 사용된다.[43][44] 예를 들어, ''대장균''은 리소자임을 사용하여 주변세포질 공간의 내용을 방출할 수 있다.[1] 리소자임 처리는 특정 온도, pH 범위 및 염 농도에서 최적이며, 염화나트륨은 용해를 유도하지만 고농도에서는 억제제로 작용한다.[45]

리소자임 결정은 촉매 작용 및 생의학적 응용 분야를 위한 다른 기능성 물질을 성장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39][40][41] 단백질 결정화를 위해 재조합 단백질을 추출하는 데 리소자임을 사용하면 결정이 리소자임 단위로 오염될 수 있다.[46][47]

8. 한국에서의 의약품 사용 및 규제

과거 염화 리소자임(리소자임 염산염)은 감기약, 부비강염 치료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2011년 2월 재평가 시험에서 위약과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다케다 제약은 소염 효소 제제 '다젠'을 자율 회수했다.[67] 그러나 다젠의 일반명은 serrapeptase|세라펩타아제영어이며, 미국에서는 보충제로 분류되어 일반에 판매되고 있다. 2016년 3월에는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아 염화 리소자임 제조 및 판매사들이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를 발표했다.[63][64][65][66]

참조

[1] 서적 Handbook of Detection of Enzymes on Electrophoretic Gels https://archive.org/[...] CRC Press
[2] 웹사이트 Glycoside hydrolase family 22 https://www.cazypedi[...] 2017-04-11
[3] 학술지 Human lysozyme: sequencing of a cDNA, and expression and secre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1988-01-01
[4] 학술지 The human lysozyme gene. Sequence organization and chromosomal localization 1989-07-01
[5] 학술지 Thermal stability of high concentration lysozyme across varying pH: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tudy 2013-04-01
[6] 학술지 Lysozyme Content of Human Milk 1964-10-01
[7] 웹사이트 Lysozyme, Product information https://www.sigmaald[...] Sigma-Aldrich
[8] 웹사이트 Lysozyme, Product information https://www.sigmaald[...] Sigma-Aldrich
[9] 학술지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milk lysozyme 1969-03-01
[10] 학술지 Adsorption and reactions of chitinase and lysozyme on chitin 1973-12-01
[11] 학술지 The chemical structure of lysozyme substrates and their cleavage by the enzyme 1967-04-01
[12] 서적 Lysozymes: Model Enzymes in Biochemistry and Biology 1996-01-01
[13] 학술지 Crystallographic studies of the activity of hen egg-white lysozyme 1967-04-01
[14] 학술지 Application of secondary α-deuterium kinetic isotope effects to studies of enzyme catalysis. Glycoside hydrolysis by lysozyme and β-glucosidase 1969-10-01
[15] 학술지 Lysozyme and α-lactalbumin: structure, function, and interrelationships
[16] 학술지 Energetics of enzyme catalysis 1978-11-01
[17] 학술지 Temperature-dependent change in the rate-limiting step of β-glucosidase catalysis 1980-10-01
[18] 웹사이트 Hen Egg-White (HEW) Lysozyme - Proteopedia, life in 3D http://proteopedia.o[...]
[19] 학술지 Catalysis by hen egg-white lysozyme proceeds via a covalent intermediate https://eprints.whit[...] 2001-08-01
[20] 서적 Biochemistry Thomson Brooks/Cole
[21] 학술지 Stereochemistry and the Mechanism of Enzymatic Reactions https://digital.libr[...] 1953-11-01
[22] 학술지 QM/MM simulations predict a covalent intermediate in the hen egg white lysozyme reaction with its natural substrate 2008-10-01
[23] 학술지 The inhibition of hen egg-white lysozyme by imidazole and indole derivatives 1972-03-01
[24] 학술지 Lipopolysaccharide interaction with lysozyme. Binding of lipopolysaccharide to lysozyme and inhibition of lysozyme enzymatic activity 1989-03-01
[25] 학술지 Genetic evidence that antibacterial activity of lysozyme is independent of its catalytic function 2001-09-01
[26] 학술지 Lysozyme's lectin-like characteristics facilitates its immune defense function 2017-01-01
[27] 서적 Lysozyme: Antigenic structure as defined by antibody and T cell responses CRC Press
[28] 학술지 Single-molecule lysozyme dynamics monitored by an electronic circuit 2012-01-01
[29] 학술지 Structural Relationships in the Lysozyme Superfamily: Significant Evidence for Glycoside Hydrolase Signature Motifs 2010-11-09
[30] 학술지 Evolution of the vertebrate goose-type lysozyme gene family 2014-12-01
[31] 학술지 Lactoferrin and lysozyme deficiency in airway secretions: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https://zenodo.org/r[...] 1992-08-01
[32] 학술지 Consuming transgenic goats' milk containing the antimicrobial protein lysozyme helps resolve diarrhea in young pigs
[33] 웹사이트 Spilled Milk http://undark.org/ar[...] Undark: Truth, Beauty, Science 2016-06-30
[34] 서적 Microbiology: A Human Perspectiv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35] 학술지 Immunological aspects of human milk 1978-09-01
[36] 논문 Serum lysozyme levels and clinical features of sarcoidosis
[37] 논문 The Bakerian lecture. Towards synthesis of proteins 1977-06-00
[38] 논문 Convergent chemical synthesis and high-resolution x-ray structure of human lysozyme 2007-03-00
[39] 논문 Time-dependent, protein-directed growth of gold nanoparticles within a single crystal of lysozyme 2011-02-00
[40] 논문 Expanding coordination chemistry from protein to protein assembly 2013-05-00
[41] 논문 Porous protein crystals as reaction vessels 2013-07-00
[42] 논문 Lysis of gram-negative bacteria by lysozyme 1956-10-00
[43] 서적 Protein Condensation : Kinetic Pathways to Crystallization and Diseas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Fundamental Laboratory Approaches for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John Wiley
[45] 논문 The properties of lysozyme and its action on microorganisms 1957-06-00
[46] 논문 Lysozyme contamination facilitates crystallization of a heterotrimeric cortactin-Arg-lysozyme complex 2012-02-00
[47] 논문 Bi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n aromatic ring-hydroxylating dioxygenase for terephthalic acid catabolism 2022-03-00
[48] 논문 Reduced background expression and improved plasmid stability with pET vectors in BL21 (DE3) 2000-12-00
[49] 논문 Über die keimtötende und entwicklungshemmende Wirkung Hühnereiweiß
[50] 논문 Ernest Duchesne and the concept of fungal antibiotic therapy 1999-12-00
[51] 논문 On a remarkable bacteriolytic element found in tissues and secretions 1922-05-00
[52] 서적 Advances in Protein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91-06-13
[53] 논문 Structure of hen egg-white lysozyme. A three-dimensional Fourier synthesis at 2 Angstrom resolution 1965-05-00
[54] 논문 Structure of some crystalline lysozyme-inhibitor complexes determined by X-ray analysis at 6 Angstrom resolution 1965-05-00
[55] 논문 The early history of lysozyme 1998-11-00
[56] 논문 The Amino Acid Sequence of Egg White Lysozyme 1963-08-00
[57] 논문 The mechanisms of hydrolysis of glycosides and their revelance [sic] to enzyme-catalysed reactions 1967-04-00
[58] 논문 The binding and cleavage by lysozyme of N-acetylglucosamine oligosaccharides 1967-04-00
[59] 논문 The chemical structure of lysozyme substrates and their cleavage by the enzyme 1967-04-00
[60] 논문 Lysozyme-catalyzed hydrolysis and transglycosylation reactions of bacterial cell wall oligosaccharides https://pubmed.ncbi.[...] 1968-02-10
[61] 논문 リゾチーム遷移状態アナログの設計に基づく反応機構の検証 https://doi.org/10.1[...] 日本農芸化学会
[62] 논문 Structure of lysozyme. A Fourier map of the electron density at 6 angstrom resolution obtained by x-ray diffraction https://pubmed.ncbi.[...] 1962-12-22
[63] 웹사이트 製薬各社 リゾチーム塩酸塩製剤を販売中止、自主回収 厚労省再評価部会で「有用性確認できない」 https://www.mixonlin[...]
[64] 웹사이트 リゾチーム塩酸塩製剤「レフトーゼ」の販売中止と自主回収のお知らせ http://www.nippon-sh[...] 日本新薬
[65] 웹사이트 卵白リゾチーム製剤「ノイチーム」の販売中止と自主回収について http://www.eisai.co.[...] エーザイ株式会社
[66] 웹사이트 リゾチーム塩酸塩製剤「アクディーム」の販売中止と自主回収について http://www.aska-phar[...] あすか製薬株式会社
[67] 웹사이트 消炎酵素製剤「ダーゼン」の自主回収について http://www.takeda.co[...] 武田薬品工業 2011-02-21
[68] 서적 Handbook of Detection of Enzymes on Electrophoretic Gels CRC Press 1994
[69] 웹사이트 Glycoside hydrolase family 22 https://www.cazypedi[...]
[70] 논문 Human lysozyme: sequencing of a cDNA, and expression and secre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1988-01-00
[71] 저널 The human lysozyme gene. Sequence organization and chromosomal localization 1989-07-00
[72] 저널 Thermal stability of high concentration lysozyme across varying pH: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tudy 2013-04-00
[73] 저널 Lysozyme Content of Human Milk 1964-10-00
[74] 웹인용 Lysozyme, Product information https://www.sigmaald[...] Sigma-Aldrich
[75] 저널 Über die keimtötende und entwicklungshemmende Wirkung Hühnereiweiß
[76] 웹인용 Duckett S. Ernest Duchesne and the concept of fungal antibiotic therapy. The Lancet Department Of Medical History 354(9195):2068-2071, December 11, 1999 https://www.thelance[...]
[77] 저널 On a remarkable bacteriolytic element found in tissues and secretions 1922-05-00
[78] 저널 Structure of hen egg-white lysozyme. A three-dimensional Fourier synthesis at 2 Angstrom resolution 1965-05-00
[79] 저널 Structure of some crystalline lysozyme-inhibitor complexes determined by X-ray analysis at 6 Angstrom resolution 1965-05-00
[80] 저널 The early history of lysozyme 1998-11-00
[81] 저널 The Amino Acid Sequence of Egg White Lysozyme http://www.jbc.org/c[...] 1963-08-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