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의 대한민국 국군 포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 포로는 베트남 인민군에 의해 포로가 된 국군을 지칭하며, 주월 국군 포로라고도 불린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1973년 공식 발표를 통해 7명의 국군이 실종되었다고 밝혔지만, 이후 추가적인 증언과 미국의 기록, 베트남 정부의 전투상보 등을 통해 더 많은 국군 포로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1992년에는 생존 국군 포로가 6명 이상일 수 있다는 주장과 북한 억류설이 나왔으며,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는 1966년 포로 10여 명의 상세 기록과 23명의 포로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 정부는 추가 포로 존재를 부인했지만, 북한으로 강제 납북된 국군 포로가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베트남 인민군에 의해 포로가 된 대한민국 국군을 '''주월 국군포로'''라 한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1973년 3월 27일, 1965년 4월 초부터 1973년 3월 15일까지 연병력 31만 5천여 명 중 장교 2명을 포함한 7명이 비전투 중 실종되었다고 공식 발표했다.[1] 1973년 3월 25일 귀환한 유종철 일병은 전투 중 부상을 입고 포로가 되었으나, 실종자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2]
2. 베트남 전쟁 당시 국군 포로 및 실종자
그러나 1992년 2월, 1969년에 귀환한 박정환 육군 소위의 증언과 미국 베트남 전쟁 참전 전우회는 1987년까지 총 6명의 국군 포로가 생존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방부 발표 실종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3] 이들 중 3명은 박우식 대위, 박성률 병장, 김인수 상병이며, 나머지 3명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1992년 5월에는 북한에 억류 중인 안학수 하사라는 추가 생존자 주장이 제기되었다.[4]
1993년 서울대 전경수 교수는 하노이 현지 답사에서 발견한 베트남 정부의 전투상보와 포로 사진을 증거로 제시하며, 상당수의 국군 포로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5]
1994년 5월, 대한민국 정부의 확인 요청에 대해 베트남 정부는 기존에 밝혀진 내용 외에 추가적인 포로나 실종자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6]
한편,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는 1966년에 포로가 된 10여 명의 한국군 포로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었으며, 여기에는 한국군 병장의 키(155cm), 한국군 군의관의 키(170cm) 등 신체 묘사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미국의 기록을 종합하면 남베트남 전 지역에서 최소 18명의 포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MBC의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베트남전의 포로, 실종자들”(2000년 7월 30일 방영)에서 다뤄진 또 다른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는 한국군 포로 23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다낭(5명), 푸깟(3명), 닌호아(3명), 호이안(1명), 쭐라이, 빈케, 송까우, 뚜이호아 등에서 전투 중 포로가 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2. 1. 대한민국 국방부의 공식 발표
2. 2. 추가 증언 및 자료
1992년 2월, 베트남 인민군에 포로가 되었다가 1969년 귀환한 박정환 육군 소위의 증언과 미국 베트남 전쟁 참전 전우회에 의하면 총 6명의 국군 포로가 1987년까지 생존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 이들 중 3명은 박우식 대위, 박성률 병장, 김인수 상병이고 나머지 3명은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다. 1992년 5월 후속 기사에서는 북한에 억류 중인 안학수 하사라는 추가 생존자 1명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다.[4]
1993년 서울대학교 전경수 교수는 2개월 동안 하노이 현지 답사에서 발견한 베트남 정부의 전투상보와 포로 사진을 증거자료로 제시하며, 국군 포로의 숫자가 상당수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5]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는 1966년에 포로가 된 10여 명의 한국군 포로에 대한 기록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었고, 여기에는 한국군 병장 키 155cm, 한국군 군의관 키 170cm’이라는 신체 묘사까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미국의 기록을 종합해 보면 적어도 18명의 포로가 남베트남 전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MBC의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베트남전의 포로, 실종자들”편(2000년 7월 30일 방영)에서 다뤄진 또 다른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는 한국군 포로 23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다낭(5명), 푸깟(3명), 닌호아(3명), 호이안(이하 1명), 쭐라이, 빈케, 송까우, 뚜이호아 등의 전투에서 포로가 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2. 3. 베트남 정부의 입장
1994년 5월, 대한민국 정부의 확인 요청에 대해 베트남 정부는 포로나 실종자에 관해 이미 밝혀진 것 이상은 없다는, 즉 베트남 내에 한국군 포로는 없다는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6]
3. 귀환자
3. 1. 박정환 소위
1968년 1월 구정 대공세에서 박정환 소위가 포로가 된 후 1969년 6월 귀환했다.[7][8]
3. 2. 유종철 일등병
유종철 일등병은 1972년 4월 안케패스 전투에서 포로가 된 후 1973년 3월 귀환했다.[9][10]
4. 북한으로의 강제 납북
베트남 전쟁에서 포로가 된 후 북한으로 강제 납북된 소수의 국군 포로들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베트남 전쟁에서 포로가 된 후 북한으로 강제 납북된 소수의 포로들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92년에는 북한에 억류 중인 안학수 하사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4. 1. 생존 가능성
베트남 전쟁에서 포로가 된 후 북한으로 강제 납북된 소수의 국군 포로들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4. 2. 안학수 하사 관련 논란
베트남 전쟁에서 포로가 된 후 북한으로 강제 납북된 소수의 포로들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92년에는 북한에 억류 중인 안학수 하사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 진상 규명 및 송환 노력
참조
[1]
뉴스
派越(파월)된國軍(국군) 실종자7명 국방부 발표
https://newslibrary.[...]
1973-03-27
[2]
뉴스
파월군 7명 실종
https://newslibrary.[...]
1973-03-27
[3]
뉴스
실종 파월용사 셋 살아있다
https://newslibrary.[...]
1992-02-29
[4]
뉴스
"실종 派越(파월)장병 北韓(북한)에 또 있다"
https://newslibrary.[...]
1992-05-12
[5]
뉴스
"베트남에 國軍(국군)포로 생존가능성"
https://newslibrary.[...]
1993-05-10
[6]
뉴스
베트남"韓國軍(한국군)포로 없다"
https://newslibrary.[...]
1994-05-23
[7]
뉴스
캄보디아,두韓國人(한국인)석방
https://newslibrary.[...]
1969-06-18
[8]
뉴스
九死一生(구사일생)의祕技(비기)…태권도 朴正煥(박정환)소위는 이렇게 살아왔다
https://newslibrary.[...]
1969-06-25
[9]
뉴스
「안케의 死者(사자)」生還(생환)
https://newslibrary.[...]
1973-03-27
[10]
뉴스
포로生活(생활) 三五(삼오)○日(일) 本社朴特派員(본사박특파원)이 單獨取材(단독취재)한 劉鍾鐵(유종철) 一兵(일병) 베트콩 抑留記(억류기)
https://newslibrary.[...]
1973-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