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벵겔라 해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벵겔라 해류는 남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해류이다. 대서양 심해에서 솟아오르는 차가운 용승수와 남대서양 환류의 일부가 합류하여 형성되며, 아굴라스 해류의 소용돌이가 합류하기도 한다. 벵겔라 해류는 용승 현상을 통해 영양 염류를 공급하여 높은 생물 생산성을 유지하며, 이는 어류 자원의 풍부함으로 이어진다. 벵겔라 니뇨는 엘니뇨와 유사하게 따뜻하고 영양 염류가 부족한 물이 유입되는 현상으로, 어족량 변화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류 - 쿠로시오 해류
    쿠로시오 해류는 적도 부근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흑색 난류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며 해저 지형, 탄소 순환, 기후 변화, 해상 운송, 어업 등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이다.
  • 해류 - 쓰시마 해류
    쓰시마 해류는 쿠로시오 해류에서 갈라져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난류로, 동해의 수온을 높이고 한반도와 일본의 기후, 특히 일본해 쪽의 폭설과 고온 다습한 기후에 영향을 주며 풍부한 어장을 형성한다.
  • 대서양의 해류 - 북대서양 해류
    북대서양 해류는 걸프 해류에서 시작되어 대서양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해류이며, 유럽 기후에 온난화 영향을 미치고 기후 변화에 따라 순환 붕괴로 인한 기온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 대서양의 해류 - 카나리아 해류
  • 바다 - 순다 해협
    순다 해협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과 자바섬 사이에 위치하며, 수심이 얕고 조류가 강하여 항해가 어려운 지역으로, 역사적으로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였지만, 현재는 대형 선박 대신 말라카 해협을 이용하고,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로 인해 지형이 변화하였으며, 인도네시아 국내 교통로 및 국제 항로로 사용되지만, 대형 선박 통항에는 적합하지 않아 대체 항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바다 - 롬복 해협
    롬복 해협은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롬복 섬 사이에 위치하며, 해양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30여 종의 해양 포유류가 서식하며 몬순과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으며, 해적 활동과 불법 어업과 같은 해양 안보 위협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벵겔라 해류
지도
해류 정보
위치남아프리카 서부 해안, 남아프리카 대서양
시작점케이프 반도
종점앙골라
유향북쪽
속도약 (해안 가까이)
수송량13~15 스베드럽
특징동쪽 경계류
표층 해류
냉수 해류
용승 현상 활발
영향건조한 기후
풍부한 어장
지리적 범위
영역남아프리카
나미비아
앙골라
해양학적 특징
수온(표면), 더 깊은 곳은 더 차가움
염분34.5 ~ 35.5 psu
영양분풍부
용승강한 용승으로 영양염 풍부, 식물성 플랑크톤 번성
생태계
어업정어리
멸치
대구 등 풍부한 어장 형성
기타
관련 해류남극 환류
관련 기상 현상건조한 해안 기후

2. 경계

벵겔라 해류의 수원은 연안에 가까운 대서양 깊은 곳에서 솟아오른 차가운 용승수이며, 더 멀리 떨어진 연안에서는 남대서양 환류의 일부로 남아메리카에서 남대서양을 건너온 영양분이 부족한 물이 합류한다. 남아프리카 동부 해안을 따라 흐르는 따뜻한 남인도양 아굴라스 해류의 소용돌이는 때때로 희망봉을 돌아 벵겔라 해류에 합류한다. 벵겔라 해류는 폭이 200~300km이며 북쪽과 북서쪽으로 흐를수록 폭이 더 넓어진다. 서쪽의 바다쪽 가장자리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일시적이고 계절에 따른 소용돌이와 구불구불한 현상이 많다. 그러나 벵겔라 용승 체계와 관련된 물과 아프리카 대륙에 의해 북쪽으로 편향되지 않는 동쪽으로 흐르는 대서양 해류 사이에는 잘 정의된 열 전선이 있다. 얼음이 많은 벵겔라 해류와 남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아굴라스 해류는 희망봉에서 만나지 않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쪽 해안, 동쪽, 특히 서쪽에는 수역이 있다. 두 해류의 소용돌이로 구성된 아굴라스곶은 아프리카 남해안의 연안 수온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현상이다.[1]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해안을 따라 흐르는 따뜻한 아굴라스 해류(빨간색)와 서해안을 따라 흐르는 차가운 벵겔라 해류(파란색)의 흐름. 각각 인도양대서양에서 시작된다. 벵겔라 해류는 남대서양의 남극 해역에서 기원하는 것이 아니라 대륙 서해안을 따라 대서양 심해의 차가운 물이 용승하여 생겨난다는 점에 유의한다. 두 해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쪽 해안 어디에서도 만나지 않는다.


붉은색 영역은 주요 용승 지역을 나타낸다. 벵겔라 해류는 아프리카 남서해안에 있다.

3. 용승과 기초 생산

벵겔라 해류의 수원에는 연안 가까운 대서양 깊은 곳에서 솟아오른 차가운 용승수가 포함되며, 남대서양 환류의 일부로 남아메리카에서 남부 대서양을 건너온 영양분이 부족한 물과 더 멀리 떨어진 연안에서 합류한다.[1]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부는 바람은 해안에서 멀어지는 에크만 수송과 영양이 풍부한 심해수의 용승유광층으로 유도한다. 용승의 강도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결정된다.[2] 바람의 세기 변화는 용승의 맥동을 초래하며, 이는 초속 5~8m의 속도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파된다.

용승의 맥동은 생물학적 생산을 유도한다. 벵겔라 해류 시스템에서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에는 용승 기간과 성층화 및 비교적 고요한 수역 기간이 필요하다. 식물 플랑크톤 대발생은 일반적으로 용승 사건보다 1~4일 늦게 발생하며 4~10일 동안 지속된다. 벵겔라 해류 시스템에서 용승의 맥동은 일반적으로 10일 동안 지속되며, 이는 생물학적 생산에 최적의 기간이다. 벵겔라 해류 시스템의 연간 생물량 생산량은 4.7×1013 gC/y로 추정되며, 이는 벵겔라 해류 시스템의 단위 면적당 생산성이 전 세계 평균 해양보다 30~65배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3]

용승은 수주 상층부와 해안 근처에서 풍부한 1차 및 2차 생산을 촉진하지만, 산소 교환이 제한적인 심해는 해안 대륙붕과 상부 해안 사면에서 저산소 지역인 산소 최소층을 만든다. 벵겔라 해류의 산소 최소층은 약 100m의 수심에서 시작하여 수백 미터 두께이다. 산소 대신 황을 사용하는 박테리아인 황원성 박테리아는 산소 최소층에 서식한다.[4]

벵겔라 해류 시스템에서 가장 풍부한 어류는 ''Sardinops''와 ''Engraulis''이다. 남아프리카 청어 (''S. s. ocellatus'')는 1950년대에 집중적으로 어획되었으며, 1968년에 어획량이 130만 톤을 넘어 정점에 달했다. 그 이후로 ''Sardinops''의 어업은 감소했고 남아프리카 멸치 (''Engraulis capensis'')의 어업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5]

4. 벵겔라 니뇨

엘니뇨와 유사하게, 영양분이 부족한 따뜻한 물의 두꺼운 층이 나미비아 해안에서 벵겔라 용승 시스템의 북쪽 부분으로 10년에 한 번 정도 유입된다.[5] 벵겔라 니뇨(Benguela Niño) 동안, 앙골라 해류의 따뜻하고 염분이 많은 물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남위 15°와 남위 25° 사이에 위치한다. 이 따뜻하고 염분이 많은 물의 층은 해안에서 약 150km까지, 수심 50m까지 확장된다. 폭우, 어족량 변화, 태평양 엘니뇨와의 시간적 근접성이 관찰되었지만, 벵겔라 니뇨의 원인과 영향은 아직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5] 한 연구팀은 벵겔라 니뇨가 적도 서중부 대서양의 바람에 의해 발생하며, 이 바람이 해저 해수 온도 이상으로 아프리카 해안까지 전파된다는 것을 밝혀냈다.[6]

최근 연구에서는 나미비아와 앙골라 해안에서 벵겔라 니뇨의 발생에 있어서 지역 바람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이러한 지역적 과정과 적도 지역의 원격 신호는 형성 메커니즘의 기초를 이루며, 두 과정이 서로 강화하는 경우도 있다.[7]

참조

[1] 논문 Equatorial wind and atmospheric pressure spectra as metrics for primary productivity in the Benguela system
[2] 논문 Temporal organization of upwelling in the southern Benguela ecosystem by resonant coastal trapped waves in the ocean and atmosphere
[3] 논문 Nitrate supply and potential new production in the Benguela system
[4] 논문 El Niño and similar perturbation effects on the benthos of the Humboldt, California, and Benguela Current upwelling ecosystems https://hal.archives[...]
[5] 서적 Dynamics of Marine Ecosystems: Biological-Physical Interactions in the Oceans Blackwell Publishing Ltd
[6] 논문 The source of Benguela Niños in the South Atlantic Ocean
[7] 논문 On the triggering of Benguela Niños: Remote equatorial versus local infl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