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벽산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벽산그룹은 1958년 한국스레트 설립을 시작으로 건설 자재, 에너지, 유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었다. 1970년대 증권 시장 상장 및 제일스레트공업㈜ 흡수 합병을 거쳐 1980년대 생산 시설 확장에 주력했다. 1990년대에는 사업 다각화를 추진했으나, 1998년 외환 위기 여파로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2002년 워크아웃 졸업 후 경영 정상화를 시도했지만, 2014년 주력 계열사인 벽산건설㈜의 파산으로 인해 현재는 벽산페인트, ㈜하츠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건축자재 기업 - KCC (기업)
    KCC는 195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건자재, 도료, 실리콘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국내 최대 도료 생산업체이다.
  • 대한민국의 건축자재 기업 - LX하우시스
    LX하우시스는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로 설립되어 LG화학을 거쳐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 1972년 해체된 기업 - 한진
    한진은 1945년 한진상사로 시작하여 물류 및 운송 사업을 해왔으며, 대한항공과 한진해운을 인수 및 설립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2013년 지주회사 한진칼을 설립한 기업이다.
  • 1972년 해체된 기업 - 기샤세이조
    기샤세이조는 이노우에 마사루가 1896년에 설립한 일본의 철도 차량 및 교량 제작 회사로, KS형 대차 개발을 통해 일본 철도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1972년 가와사키 중공업과 합병될 때까지 일본 철도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83년 해체된 기업 - 비씨카드
    비씨카드는 대한민국 5대 시중은행이 출자한 카드 프로세싱 전문 기업으로, 은행들과 연계하여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상품을 출시하고 다수의 금융기관과 제휴하여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KT가 최대 주주이고 프로세싱 수수료가 주요 수익원이다.
  • 1983년 해체된 기업 - 야시카
    야시카는 1949년 일본에서 설립되어 시계 부품 생산으로 시작, 1953년 카메라 시장에 진출하여 야시카 Mat 시리즈와 일렉트로 35 등의 인기 모델을 생산하고 칼 자이스와 협력하여 콘탁스 RTS를 개발하기도 했으나, 1983년 교세라에 인수된 후 2005년 카메라 생산을 중단했으며 현재는 홍콩 기반 기업이 상표권을 소유하여 디지털 카메라 관련 제품에 사용하고 있다.
벽산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주식회사 벽산
원어BYUCKSAN Corporation
창립1983년 2월 (모체는 1958년 11월)
이전 회사한국스레트 (1972년)
상장일1972년 1월
장소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07 (광희동1가, 광희빌딩)
인물김성식 (사장)
김찬식 (부사장)
자본금34,280,000,000원 (2014)
매출액428,396,770,651원 (2014)
영업 이익31,561,130,783원 (2014)
순이익21,358,724,933원 (2014)
자산 총액399,992,604,279원 (2014)
주주김희철 8.8%
벽산건설 8.19%
KCC 7.29%
소양제이차 7.29%
자회사벽산페인트
하츠
종업원323명 (2014)
웹사이트벽산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1958년 11월 한국스레트를 설립했다. 1970년 4월 대전공장을 준공하여 아스칼, 스레트, 밤라이트 등을 생산하였고, 1972년 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1호)했으며, 1975년 6월에는 제일스레트공업㈜을 흡수 합병했다. 1977년 4월에는 진해공장을 준공하여 석고보드를 생산했다.

1980년대에 벽산은 생산 시설 확장에 주력했다. 1981년 2월 정남공장(아이소핑크)을 시작으로, 1983년 2월에는 주식회사 벽산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1984년 4월 부산 내장재 공장(아스텍스, 스레트, 베이스), 1985년 12월 여천공장(석고보드), 1986년 7월에는 동양유리섬유㈜를 흡수 합병했다. 1990년 12월 영동공장(미네랄울)을 차례로 준공했다.

1990년대 들어 벽산은 사업 다각화를 추진했다. 1994년 12월 페인트사업부를 벽산화학㈜로 분리했으며, 1996년 12월에는 중국 심양에 심양벽산신형건재 유한공사를 설립하여 석고보드 생산 및 판매를 시작하며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같은 해 익산공장(스레트, 아스칼, 아스텍스, 밤라이트)을 완공하고, 1997년 10월에는 중국 파이프 공장을 가동했다. 1998년 3월 경영 전보 팀 신설 및 1998년 5월 사내 기업가 제도를 도입하였다

1998년 8월, 벽산그룹은 외환 위기의 여파로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같은 해 11월, 채권은행단과 MOU를 체결하며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2000년 3월에는 건축자재 관련 인터넷 사업을 추진하고, 4월에는 워크아웃 졸업을 신청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스틸하우스 자재물류센터 1호점을 대전에, 11월에는 2호점을 광주에 오픈하며 사업 확장을 모색했다. 또한 11월에는 공식 홈페이지를 개장하며 온라인 소통 강화에 나섰다.

2002년 10월, 벽산그룹은 워크아웃을 졸업하고, 2003년 6월에는 본사를 현 위치(광희빌딩)로 이전하며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했다. 2004년 2월에는 공간시스템연구소 (RISA)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2005년 1월에는 벽산 익산 공장에 그라스울(유리섬유) 생산 시설을 준공했다.

벽산그룹은 2007년 신광페인트공업㈜을 인수하고, 2008년에는 ㈜하츠를 인수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2009년에는 벽산페인트㈜와 신광페인트공업㈜을 합병했다. 2013년에는 ㈜효성으로부터 건자재사업부(외단열 사업)를 영업양수했다.

하지만 2014년 4월 16일, 벽산건설㈜이 파산 선고를 받았다. 이후 2016년에는 벽산 블루밍 상표권을 벽산엔지니어링㈜에 양도했다.

2. 1. 설립 초기 (1958년 ~ 1970년대)

1958년 11월 한국스레트를 설립했다. 1970년대에는 생산 시설을 확장하였는데, 1970년 4월 대전공장을 준공하여 아스칼, 스레트, 밤라이트 등을 생산하였고, 1977년 4월에는 진해공장을 준공하여 석고보드를 생산했다. 1972년 1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1호)했으며, 1975년 6월에는 제일스레트공업㈜을 흡수 합병했다.

2. 2. 성장 및 사업 다각화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벽산은 생산 시설 확장에 주력했다. 1981년 2월 정남공장(아이소핑크)을 시작으로, 1984년 4월 부산 내장재 공장(아스텍스, 스레트, 베이스), 1985년 12월 여천공장(석고보드), 1990년 12월 영동공장(미네랄울)을 차례로 준공했다. 1983년 2월에는 주식회사 벽산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1986년 7월에는 동양유리섬유㈜를 흡수 합병했다.

1990년대 들어 벽산은 사업 다각화를 추진했다. 1994년 12월 페인트사업부를 벽산화학㈜로 분리했으며, 1996년 12월에는 중국 심양에 심양벽산신형건재 유한공사를 설립하여 석고보드 생산 및 판매를 시작하며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같은 해 익산공장(스레트, 아스칼, 아스텍스, 밤라이트)을 완공하고, 1997년 10월에는 중국 파이프 공장을 가동했다.

2. 3. 외환 위기와 구조조정 (1998년 ~ 2000년대 초)

1998년 8월, 벽산그룹은 외환 위기의 여파로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같은 해 11월, 채권은행단과 MOU를 체결하며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2000년 3월에는 건축자재 관련 인터넷 사업을 추진하고, 4월에는 워크아웃 졸업을 신청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스틸하우스 자재물류센터 1호점을 대전에, 11월에는 2호점을 광주에 오픈하며 사업 확장을 모색했다. 또한 11월에는 공식 홈페이지를 개장하며 온라인 소통 강화에 나섰다.

2002년 10월, 벽산그룹은 워크아웃을 졸업하고, 2003년 6월에는 본사를 현 위치(광희빌딩)로 이전하며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했다. 2004년 2월에는 공간시스템연구소 (RISA)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2005년 1월에는 벽산 익산 공장에 그라스울(유리섬유) 생산 시설을 준공했다.

2. 4. 최근 현황 (2000년대 후반 ~ 현재)

벽산그룹은 2007년 신광페인트공업㈜을 인수하고, 2008년에는 ㈜하츠를 인수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2009년에는 벽산페인트㈜와 신광페인트공업㈜을 합병했다. 2013년에는 ㈜효성으로부터 건자재사업부(외단열 사업)를 영업양수했다.

하지만 2014년 4월 16일, 벽산건설㈜이 파산 선고를 받았다. 이후 2016년에는 벽산 블루밍 상표권을 벽산엔지니어링㈜에 양도했다.

3. 파산 선고

벽산그룹의 주력 계열사였던 벽산건설은 2012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최대 주주가 오너 일가에서 채권단으로 변경되어 그룹에서 분리되었다.[1] 이후 2014년 4월 16일, 서울중앙지법 파산6부는 벽산건설에 대해 파산을 선고했다.[1][2] 2014년 현재, 그룹에는 벽산, 벽산페인트, 하츠(주방후드제작업체)만이 남아있다.[3]

4. 계열사

4. 1. 현 계열사

4. 2. 이전 계열사

벽산그룹에서 계열 분리, 매각, 합병, 파산 등으로 인해 현재는 그룹에 속하지 않는 이전 계열사들은 다음과 같다.

  • 에너지:
  • 강원도시가스(구 춘천도시가스), 전북에너지서비스(구 익산도시가스), 전남도시가스(구 동부해양가스)는 SK(구 선경그룹)에 매각되었다.[4]
  • 벽산에너지와 보배도시가스는 1999년 SK그룹에 매각된 후 익산에너지, 익산도시가스가 되었다가 2005년 SK E&S에 합병되었다.[9]
  • 건설 및 화학:
  • 한국보랄석고보드(구 벽산 여수공장)는 라파즈에 매각되었다.
  • 벽산건설은 2014년 파산했다.
  • 벽산엔지니어링(구 정우엔지니어링)은 김인득 창업주의 셋째 아들인 김희근 몫으로 1999년 계열 분리되었다.[4]
  • 벽산개발(구 정우개발)은 2000년 벽산건설에 합병되었다.
  • 벽산ALC가 있다.
  • 제일스레트공업(구 광천석면), 대륙선면, 한서광업은 1970년대 한국스레트공업(벽산)에 합병되었다.
  • 벽산산업개발(구 벽산금속)은 1998년 인희에 합병되었다.
  • 한국건업엔지니어링은 1985년 인희산업에 합병되었다.
  • 벽산화성(구 대한아이소플라스트)은 1985년 벽산에 합병되었다.
  • 벽산니또보는 일본 닛토방적과의 합작사로 2002년 벽산에 합병되었다.
  • 동양유리섬유는 1986년 벽산에 합병되었다.
  • 벽산화학은 1999년 벽산특수화학에 합병되었다.
  • 신광페인트공업은 2009년 벽산페인트에 합병되었다.
  • 한창전기공업과 한국몰티선은 1991년 대한아이소풀라스트에 합병되었다.
  • 제조 및 기타:
  • 동양물산이 있다.
  • 극동필트론은 1979년 동양물산기업에 합병되었다.
  • 창신산업은 1997년 동양물산기업에 합병되었다.
  • 한국이기와 한국경금속은 1968년 동양물산기업에 합병되었다.
  • 인희(구 동양영화)는 건자재 유통업체로 2019년 법원 회생인가 결정 후 계열 제외되었다.
  • 인희산업(구 동양흥행)은 1994년 동양영화에 합병되었다.
  • 미디어 및 금융:
  • 단성사는 1962년 이남규 전 남한기업공사 사장에게 매각[5], 2008년 아산엠그룹에 매각[6], 2016년 법인이 폐업되었다.
  • 반도극장은 1962년 경영권 매각 후[7] '피카디리극장'으로 변경, 2017년 폐업되었다.
  • 한국케이블TV전남동부방송은 1999년 계열 분리 후[8] 2001년 오리온그룹, 2009년 CJ그룹에 매각, 2015년 CJ헬로비전에 합병되었다.
  • 벽산상호신용금고(구 유신상호신용금고)는 1999년 MCI코리아에 매각되었으나 2000년 '진승현 게이트' 여파로 퇴출되었다.[10]
  • 한벽창업투자(현 한빛인베스트먼트)는 1996년 지분 매각 후 계열 분리되었다.
  • 유통 및 IT:
  • 벽산쇼핑은 1999년 안양점을 이랜드에 넘겼고, 기존 법인은 계열 분리 후 청산, 2009년 폐업되었다.
  • 한국유니백은 1971년 미국 스페리랜드코리아에 인력 및 고객지원업무 등을 양도했다.
  • 벽산정보산업(구 인희산업 소프트웨어사업부)은 1997년 벽산엔지니어링에 합병, 1999년 계열 분리 후 벽산정보통신으로 재분사, 2013년 폐업되었다.
  • 정우정보산업(구 우리전산)은 1990년 벽산정보산업에 합병되었다.
  • 식품:
  • 펭귄(구 대한종합식품)은 1974년 벽산그룹에 인수, 1988년 상호 변경, 1991년 진로그룹에 매각, 1992년 진로음료와 합병[11], 1999년 펭귄종합식품[12], 2008년 모 중소기업, 2013년 펭귄F&B[13], 2017년 남일종합식품산업사에 브랜드가 매각되었다.

5.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보수 진영과의 관계 (별도 목차)

참조

[1] 뉴스 벽산건설 파산 선고 http://news.naver.co[...] 매일경제 2014-04-16
[2] 뉴스 벽산건설, 파산 선고에 하락 http://news.naver.co[...] 조선비즈 2014-04-21
[3] 뉴스 벽산, 벽산건설 파산 불똥튈까 '끙끙'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4-04-03
[4] 뉴스 [2006 재계 인맥·혼맥 대탐구] 벽산그룹 김희철 회장家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20-06-21
[5] 뉴스 3일 재개관 단성사 이성호 사장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20-06-21
[6] 뉴스 '단성사 잔혹사’… 국내 최초 영화관 주인 못 찾는 신세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20-06-21
[7] 뉴스 <프로필> 故 金仁得 벽산그룹 명예회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6-21
[8] 뉴스 [2006 재계 인맥·혼맥 대탐구] 벽산그룹 김희철 회장家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20-06-21
[9] 뉴스 碧山그룹, 益山 보배도시가스 인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6-21
[10] 뉴스 진승현게이트 信金 '불똥'…예금인출사태 파장 확산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20-06-21
[11] 뉴스 眞露, 재무구조개선작업 3월중 마무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6-21
[12] 뉴스 통조림 대명사 '펭귄종합식품' 부도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20-06-21
[13] 뉴스 [Sea&Talk] ㈜펭귄 F&B 김영조 영업이사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20-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