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리스 아사피예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스 아사피예프는 러시아의 작곡가, 음악학자, 평론가이다. 188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와 아나톨리 랴도프에게 사사받았으며, 1949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그는 마린스키 극장 발레 부문의 코레페티토르, 레닌그라드 음악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11개의 오페라, 28개의 발레 음악, 5개의 교향곡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특히 발레 작품 중 《파리의 불꽃》과 《바흐치사라이의 샘》은 대표작으로 꼽힌다. 음악학자로서도 활동하며 평론 활동을 시작했고,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1947년에는 구소련 국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2. 생애

188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49년 모스크바에서 별세하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역사철학과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졸업하고, 아나톨리 랴도프에게서 작곡을 배웠다. 마린스키 극장, 볼쇼이 극장, 키로프 기념극장의 고문 겸 작곡가, 음악원 교수로 활동했다. 1943년부터는 모스크바에서 음악원 교수, 구소련 과학아카데미 예술사연구소 최고참 연구소원으로 있었으며, 1947년 구소련 국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2. 1. 출생과 교육

1884년 7월 29일(구력 1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무원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음악을 배웠고, 1903년에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1904년부터 1910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아나톨리 랴도프에게 사사받았다. 음악원에서는 프로코피예프와 미야스코프스키를 알게 되었고, 이후 오랫동안 교류하게 되었다. 음악원에 재학하는 동시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역사문학부에서 공부하여 1908년에 졸업했다.[3]

2. 2. 경력

19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졸업하고, 리야도프에게서 작곡을 배웠다. 1910년부터 1937년까지 마린스키 극장,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 키로프 기념극장의 고문 겸 작곡가였다. 1925년부터 음악원 교수가 되었다. 1943년까지 포위된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레르부르크)에 있었으나, 이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음악원 교수, 구소련 과학아카데미 예술사연구소 최고참 연구소원 등 음악학자로서 중요한 지위에 올랐다. 1947년에는 구소련 국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3]

1910년마린스키 극장 발레 부문의 코레페티토르로 취임했으며, 1921년부터 국립예술사 협회 음악 부문을 감독했다. 1925년에 레닌그라드 음악원에 음악학부를 창설했다. 1943년에 모스크바 예술사 연구소를 창설했다.

작곡가로서 아사피예프는 11개의 오페라와 28개의 발레 음악 외에도, 5개의 교향곡과 2개의 칸타타, 다수의 가곡을 작곡했다.[3]

음악학자로서는, 1914년 잡지 '음악'에서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경과로서의 음악 형식』, 『19세기 초두 이후의 러시아 음악』(일본어 제목: 『러시아의 음악』), 『글린카』, 『스트라빈스키』를 저술했다.[3]

2. 3. 사망

Борис Владимирович Асафьев|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 아사피예프ru는 1884년 7월 29일(구력 1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49년에 모스크바에서 별세하였다.[3] 1943년까지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었으나, 이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음악원 교수, 구소련 과학아카데미 예술사연구소 최고참 연구원 등 음악학자로서 중요한 지위에 올랐다. 1947년에는 구소련 국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3]

3. 작품 세계

아사피예프는 가극, 발레, 기악곡, 극 부대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연구 논문 또한 많아 <선집>이 간행될 정도였다. 특히 발레곡은 20여 곡에 달하며, 프랑스 혁명을 소재로 한 파리의 불꽃(1932)과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시를 바탕으로 한 바흐치사라이의 샘(1934)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초기 연구 논문으로는 《Русская музыка|루스카야 무지카|러시아 음악ru》, 《Глинка|글린카|글린카ru》(1947) 등이 유명하다.

3. 1. 주요 작품

아사피예프는 가극, 발레, 기악곡, 극의 부대음악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발레곡은 20여 곡에 달하며, 파리의 불꽃과 바흐치사라이의 샘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의 연구논문으로는 《러시아 음악》, 《글린카》(1947) 등이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트루다 광장에 있는 아사피예프 기념 동판

3. 1. 1. 발레

아사피예프는 20여 곡의 발레 작품을 남겼으며, 그 중 대표작은 파리의 불꽃(1932)과 바흐치사라이의 샘(1934)이다. 파리의 불꽃은 1789년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혁명 당시 불렸던 민요의 모티프를 활용하여 민중의 기쁨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피레네 바스크족의 활발한 춤 리듬과 멜로디를 통해 민중의 혁명적 에너지를 선명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금관악기의 밝고 건강한 울림을 포함한 맑은 관현악법이 돋보인다. 바흐치사라이의 샘은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시에 나오는 슬픈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서정적인 작품으로, 고전적인 낭만파 발레 양식을 따랐으며 러시아 발레 음악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아사피예프의 주요 발레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비고
요정의 선물1910
하얀 백합1911
파리의 불꽃1932프랑스 혁명 소재, 대표작
바흐치사라이의 샘1934대표작
코카서스의 포로1938푸슈킨의 「코카서스의 포로」 바탕
시골 아가씨
돌 손님1946
흰 백합(시인의 꿈)1910-1914
사육제의 왕1914
얼음 소녀(솔베이그)1918
카르마뇰라1918
구원 없는 환상1934
빨치산1935
크리스마스 이브1937고골의 디칸카 근교 야화 제5편 「강탄절 전야」 바탕
아름다운 라다1937
이반 볼로트니코프1938
스텐카 라진1939
아쉬크 케리브1939/40
발레 무용가의 초상1940발레 모음곡
슐라미스1940/41
눈 조각1941
누린 대공1941-1943
죽음의 묘지기1943
석고상1943푸슈킨의 소비극 제3편 「석고상」 바탕
라다1943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1943
농민으로 변장한 아가씨1945푸슈킨의 벨킨 이야기 제5편 「농민 아가씨」 바탕
봄의 동화1946
가족1947
밀리차1942-47


3. 1. 2. 오페라


  • 《출납원 부인》
  • 《미닌과 포자르스키》
  • 《지참금 없는 아가씨》
  • 《신데렐라》 (1906년)
  • 《눈의 왕》 (1907년) -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을 바탕으로 함
  • 《시종장의 아내》 (1935년)
  • 《미닌과 포자르스키》 (1936년 - 1938년)
  • 《금발의 아가씨》 (1938년)
  • 《청동 기사》 (1939년) - 푸시킨의 《청동 기마상》을 바탕으로 함
  • 《뇌우》 (1939년 - 1940년) - 오스트로프스키의 《뇌우》를 바탕으로 함
  • 《흑사병 시대의 연회》 (1940년) - 푸시킨의 소비극 제4편 《흑사병 시대의 연회》를 바탕으로 함
  • 《슬라브 미녀(마법의 성)》 (1940년)
  • (오페레타) 《클라레타의 경력》 (1940년)

3. 1. 3. 관현악

아사피예프는 교향곡 5곡, 클라리넷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1939), 기타와 실내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39),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1939)을 작곡하였다.

3. 1. 4. 실내악

제목연도
현악 사중주1940년
독주 비올라를 위한 소나타1938년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1935년
트럼펫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1939년
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1939년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1940년


3. 2. 음악학 연구

초기 연구 논문으로는 Русская музыка|루스카야 무지카ru(러시아 음악한국어)와 Глинка|글린카ru(1947)가 유명하다. 그의 연구논문은 매우 많아, <선집(選集)>이 간행되었다.

音楽教育論選集|온가쿠쿄이쿠론센슈일본어(음악 교육론 선집한국어, 1965년)가 출판되었다.

일본어 번역서로는 ロシア音楽|로시아 온가쿠일본어(러시아 음악한국어) 상하 2권 (수하 세츠 역/ 음악의 벗 출판사, 1954년)이 있다.

4. 평가 및 영향

아사피예프의 연구논문은 매우 많아, <선집(選集)>이 간행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초기의 <러시아 음악>, <글린카>(1947)가 유명하다. 가극, 발레, 기악곡, 극의 부대음악 등 작품의 수는 많으나, 그 중에서도 발레곡은 20곡에 달한다. 대표작으로는 파리의 불길(1932)과 <바프티살라이의 샘>이 있다.

<파리의 불길>은 1789년의 프랑스 혁명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프랑스 혁명 당시 불렸던 민요의 모티프를 활용하여 민중의 기쁨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또한 피레네의 바스크족의 활발한 춤 리듬과 멜로디를 사용하여 민중의 혁명적 에너지를 선명하게 나타냈다. 특히 금관악기의 밝고 건강한 울림을 포함한 맑은 관현악법이 돋보인다.

<바프티살라이의 샘>은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시에 나오는 슬픈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고전적인 낭만파 발레 양식으로 작곡된 서정적인 작품으로, 러시아 발레 음악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참조

[1] 웹사이트 BORIS VLADIMIROVICH ASAFIEV http://www.naxos.com[...] Naxos 2015-08-23
[2] 서적 『ロシヤの音楽』上巻あとがき 音楽之友社 1954
[3] 서적 『ロシヤの音楽』上巻あとがき 音楽之友社 19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