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은 덴마크의 작가로, 1805년 4월 2일 오덴세에서 태어났다. 그는 동화 작가로 유명하며, 《인어공주》, 《미운 오리 새끼》, 《눈의 여왕》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안데르센의 작품은 가난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 인간 본성과 욕망에 대한 통찰, 사랑과 희생의 가치를 주제로 다루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으며, 1875년 8월 4일 사망했다. 그의 생일인 4월 2일은 세계 어린이 책의 날로 지정되어 기념되고 있으며,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이 제정되어 아동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은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가 아동 문학과 그림책 분야에 공헌한 작가와 삽화가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초기에는 개별 작품을 대상으로 했으나 현재는 작가 또는 삽화가의 전체 경력을 평가하며, 세계 아동 문학의 발전과 문화 교류에 기여하고 2022년에는 한국의 이수지 작가가 삽화상을 수상했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69년의 안데르센
이름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어 이름Hans Christian Andersen
로마자 표기Hanseu Keuriseutian Andeoreuseon
출생일1805년 4월 2일
출생지덴마크-노르웨이 오덴세
사망일1875년 8월 4일
사망지덴마크 코펜하겐 외스터브로
묘소아시스텐스 묘지, 코펜하겐 (쾨벤하운)
국적덴마크-노르웨이
덴마크
직업작가, 동화 작가, 시인
활동 기간덴마크 황금기
장르아동 문학, 여행 문학
대표 작품인어 공주
미운 오리 새끼
눈의 여왕
벌거벗은 임금님
성냥팔이 소녀
서명
웹사이트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센터
교육
학력슬라겔세 귐나시움 (1822~1826)
코펜하겐 대학교
가족
아버지한스 안데르센
어머니아네 마리 안데르스다테르
형제카렌 마리 안데르센
언어
사용 언어덴마크어

2. 어린 시절

오덴세에 위치한 안데르센의 어린 시절 생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은 1805년 4월 2일 덴마크 오덴세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환경 속에서 성장했으며, 그의 아버지는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다가 정신 질환을 얻어 1816년에 사망했다.[93] 아버지는 안데르센에게 《천일야화》를 읽어주는 등 문학적 상상력을 키워주었다.[109]

14세에 배우가 되고자 코펜하겐으로 이주했으나, 변성기로 인해 덴마크 왕립극장에서 오래 활동하지 못했다. 극장 동료의 제안으로 글쓰기에 집중하기 시작했다.[109] 요나스 콜린의 도움으로 슬라겔세 문법학교에 다니고, 프레데리크 6세의 지원을 받아 교육을 이어갔다.[110] 1822년 첫 이야기 《팔나토케의 무덤에 있는 유령》을 출판했고,[111] 1827년까지 헬싱외르에서 학교를 다녔으나, 이 시기를 인생에서 가장 어두웠던 시기로 회고했다.[111]

2. 1. 가족 배경과 초기 생애



안데르센은 1805년 4월 2일 덴마크 오덴세에서 태어났으며, 카렌이라는 이복 누이가 있었다.[105] 아버지 한스 안데르센은 제한적이나마 초등 교육을 받았으며, 아들에게 《천일야화》를 읽어주며 문학을 접하게 해주었다.[109] 반면 어머니 안네 마리 안데르스다터는 글을 읽지 못하는 세탁부였다.[109]

안데르센의 할머니는 아버지에게 가문이 높은 사회 계급에 속했다고 말했기 때문에, 아버지는 자신이 귀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겼다.[106] 그러나 이후 조사에서 이러한 이야기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06][107] 안데르센이 크리스티안 8세의 사생아라는 주장도 제기된다.[108] 덴마크 역사학자 옌스 요르겐센은 그의 저서 《H.C. 안데르센, 진실한 신화》에서 이 견해를 지지했다.[108]

안데르센은 1805년 4월 15일 오덴세의 성 한스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1823년 11월에 작성된 출생증명서에 따르면, 세례식에는 6명의 대부모가 참석했다.

2. 2. 유년기의 영향

안데르센은 1805년 4월 2일 덴마크 오덴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초등 교육을 받았으며, 아들에게 《천일야화》를 읽어주고 인형극 무대를 만들어 주는 등 문학적 상상력을 키워주었다.[109],[94] 안데르센은 인형 옷을 만들고 이야기를 지어내며 즐거워했다.[94]

안데르센의 어머니는 글을 읽지 못하는 세탁부였다. 1816년 남편이 사망한 후, 어머니는 1818년에 재혼했다.[109] 아버지는 정신 질환을 앓다가 1816년에 사망했는데, 안데르센은 자신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불안감을 평생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93]

안데르센은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지역 학교에 보내져 기초 교육을 받았다. 그는 직조공과 재봉사의 견습생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해야 했다.[109] 이러한 가난과 아버지의 죽음, 어머니의 어려운 삶은 훗날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작가로서의 경력

1829년, 안데르센은 단편 소설 《홀멘 운하에서 아마게르 동쪽 끝까지의 도보 여행》으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96] 주인공은 성 베드로부터 말하는 고양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을 만난다. 이후 희곡 《성 니콜라스 교회탑의 사랑》과 짧은 시집을 출간했다. 1833년 국왕으로부터 작은 여행 보조금을 받아 유럽 전역을 여행했다.[13]

1836년의 안데르센


Eventyr, fortalt for Børn. Første Samling.da로 알려진 '''어린이를 위해 들려주는 동화. 첫 번째 모음집'''은 1835년 5월부터 1837년 4월까지 코펜하겐의 C. A. 라이첼 출판사에서 세 차례에 걸쳐 연재 형식으로 출판된 안데르센의 동화 9편을 묶은 작품집이다. 첫 번째 책자는 《부싯돌 상자》, 《작은 클라우스와 큰 클라우스》, 《공주와 완두콩》, 《어린 이다의 꽃》이, 두 번째 책자에는 《엄지공주》, 《못된 아이》, 《여행의 동반자》가, 세 번째 책자에는 《인어공주》와 《벌거숭이 임금님》이 수록되었다.

1836년 덴마크 비평가들은 처음 두 책자에 대해 아동 문학이 즐거움보다는 교육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안데르센 작품의 수다스럽고 격식 없는 문체와 비도덕성을 비판했다. 안데르센은 비평가들의 선입견에 맞서 싸우고 있다고 믿었고, 소설 집필로 돌아가 세 번째 연재분을 출판하기까지 1년을 기다렸다.[120] 세 책자에 실린 9편의 동화는 한 권으로 묶여 출판되었으며, 표지, 목차, 안데르센의 서문이 포함되었다.[121]

안데르센은 대학 졸업 대신 여행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여러 여행기를 남겼다. 유럽을 여행하면서 그림 형제, 발자크, 디킨스, 위고 등 다양한 작가, 학자, 예술가들과 교류했다.[93]

3. 1. 초기 작품 활동

1829년, 안데르센은 단편 소설 《홀멘 운하에서 아마게르 동쪽 끝까지의 도보 여행》으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96] 이 작품의 주인공은 성 베드로부터 말하는 고양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을 만난다. 안데르센은 이 성공에 이어 희곡 《성 니콜라스 교회탑의 사랑》과 짧은 시집을 출간했다.

이후 안데르센은 글쓰기와 출판에서 큰 진전을 보이지 않았지만, 1833년 국왕으로부터 작은 여행 보조금을 받았다. 이를 통해 그는 유럽 전역을 여행하는 첫 번째 여정을 시작할 수 있었다.[13]

3. 2. 동화 작가로의 전환



Eventyr, fortalt for Børn. Første Samling.da로 알려진 '''어린이를 위해 들려주는 동화. 첫 번째 모음집'''은 1835년 5월부터 1837년 4월까지 코펜하겐의 C. A. 라이첼 출판사에서 세 차례에 걸쳐 연재 형식으로 출판된 안데르센의 동화 9편을 묶은 작품집이다.

1835년 5월 8일에 출간된 첫 번째 책자는 61페이지 분량의 무선 제본 책자로, 《부싯돌 상자》, 《작은 클라우스와 큰 클라우스》, 《공주와 완두콩》, 《어린 이다의 꽃》이 실려 있었다. 처음 세 이야기는 안데르센이 어린 시절 들었던 민담을 바탕으로 한 것이고, 네 번째 이야기는 안데르센의 초기 후원자인 민속학자 유스트 마티아스 티엘레의 딸 이다 티엘레를 위해 안데르센이 직접 창작한 것이다. 라이첼은 안데르센에게 원고료로 30 리그스달러를 지급했고, 책은 24실링에 판매되었다.[116][117]

1835년 12월 16일에 출간된 두 번째 책자에는 《엄지공주》, 《못된 아이》, 《여행의 동반자》가 수록되었다. 《엄지공주》는 《엄지손가락 톰》과 다른 소인 이야기들에서 영감을 얻었다. 《못된 아이》는 《아나크레온테아》의 에로스에 관한 시를 바탕으로 했으며, 《여행의 동반자》는 안데르센이 1830년에 실험했던 귀신 이야기였다.[117]

1837년 4월 7일에 출간된 세 번째 책자에는 《인어공주》와 《벌거숭이 임금님》이 실려 있었다. 《인어공주》는 프리드리히 드 라 모테 푸케의 《운디네》(1811년)와 인어 전설의 영향을 받아 탄생한 작품으로, 안데르센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118] 《벌거숭이 임금님》은 아랍과 유대의 기원을 가진 중세 스페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다. 안데르센은 세 번째 연재분 출판 전날, 원래 임금님이 행진을 계속하는 것으로 끝나는 결말을 "임금님이 아무것도 입지 않았다!"라고 외치는 아이가 등장하는 오늘날의 유명한 결말로 수정했다.[119]

1836년에 덴마크 비평가들은 처음 두 책자에 대해 혹평을 쏟아냈다. 당시 비평가들은 아동 문학이 즐거움보다는 교육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안데르센 작품의 수다스럽고 격식 없는 문체와 비도덕성을 비판하며 이러한 스타일을 추구하지 말라고 충고했다. 안데르센은 자신이 비평가들의 선입견에 맞서 싸우고 있다고 믿었고, 소설 집필로 돌아가 세 번째 연재분을 출판하기까지 1년을 기다렸다.[120]

세 책자에 실린 9편의 동화는 한 권으로 묶여 72실링에 판매되었으며, 표지, 목차, 안데르센의 서문이 포함되었다.[121]

3. 3. 여행과 문학적 성장

안데르센은 대학을 졸업하는 대신 여행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여러 여행기를 남겼다. 유럽을 여행하면서 그림 형제, 발자크, 디킨스, 위고, 슈포어, 케루비니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 학자, 예술가들과 교류했다.[93]

4. 작품의 특징과 주제

안데르센은 성관계를 거부했다는 기록을 남길 정도로 성적인 부분에 있어 보수적인 면모를 보였으나, 동성애적 끌림을 경험하기도 했다.[128][129][130] 에드바르 콜린에게 보낸 편지에서 "당신에 대한 나의 감정은 여성의 그것과 같습니다."라고 고백했을 정도였다.[131][132]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젊은 세습 공작 카를 알렉산더와의 관계는 실제 연인 관계로 발전하기도 했다.[133]

덴마크 남부대학교 H. C. 안데르센 센터의 클라라 봄과 아냐 아렌스트루프는 안데르센이 남성과 "육체적 관계"를 가졌다는 주장에 대해, 그의 도덕적, 종교적 관념에 반하는 일이었을 것이라며 반박했다.[145]

안데르센은 또한 여러 여성들을 짝사랑했으며, 이들에 대한 감정을 작품에 투영했다.[146] 리보르 보이트,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의 딸 소피 외르스테드, 요나스 콜린의 딸 루이제 콜린 등이 그 대상이었다. 특히 제니 린드에게 청혼했다가 거절당한 경험은 《눈의 여왕》에 영향을 주었다는 해석도 있다.[148][149][150]

프란츠 한프슈텐글(Franz Hanfstaengl)이 1860년 7월에 그린 안데르센의 초상화


1840년대에 안데르센은 다시 연극 무대에 관심을 가졌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대신 『그림 없는 그림책』(1840)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1845년부터 1864년까지 안데르센은 코펜하겐의 Nyhavn 67에 거주했으며, 현재 그곳에는 기념 명판이 설치되어 있다.[23]

안데르센은 열렬한 여행가였다. 그는 『스웨덴에서』(1851)를 비롯하여, 『1831년 여름 하르츠, 작센 스위스 등지 여행의 그림자』, 『시인의 바자』, 『스페인에서』, 『1866년 포르투갈 방문』 등 여러 편의 여행기를 출판했다. 그의 여행기는 단순한 경험의 기록을 넘어, 저술, 불멸, 문학적 허구 등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었다.

안데르센의 후원자로는 덴마크 왕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뤼크스부르크 가문 등이 있었다. 크리스티안 9세의 초대로 안데르센의 이야기는 덴마크 왕실에 깊이 뿌리내렸고, 알렉산드르 3세와 결혼한 마리아 표도로브나를 통해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에도 전해졌다.[24]

4. 1. 가난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

안데르센의 작품에는 가난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 의식이 담겨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성냥팔이 소녀》는 추운 겨울날 성냥을 팔아야 했던 어린 소녀가 결국 길거리에서 얼어 죽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통해, 당시 사회의 냉혹함과 빈부 격차 문제를 드러낸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4. 2. 인간 본성과 욕망에 대한 통찰

안데르센은 자신의 작품에서 인간 본성과 욕망, 그로 인한 소외와 극복의 과정을 깊이 있게 다루었다. 《인어공주》, 《미운 오리 새끼》 등 그의 대표작들은 단순한 동화를 넘어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과 경험을 탐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45]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사랑과 욕망, 좌절에 대한 감정을 작품에 투영했다. 안데르센은 양성애적 성향을 보였으며,[103]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대한 갈망을 일기에 기록하기도 했다. "전능하신 하나님, 당신만이 내게 계십니다; 당신께서 내 운명을 조종하시니, 나는 당신께 나를 맡겨야만 합니다! 제게 생계를 주소서! 제게 신부를 주소서! 내 피는 사랑을 원하고, 내 마음도 그러합니다!"[46]

안데르센은 리보르 보이트, 소피 외르스테드, 루이제 콜린 등 여러 여성에게 사랑을 느꼈지만, 그의 마음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7] 특히 '스웨덴의 나이팅게일'이라 불리던 제니 린드에게 청혼했으나 거절당했고, 이 경험은 《눈의 여왕》의 반영웅적 캐릭터에 반영되었다는 해석도 있다.[49]

한편, 안데르센은 에드바르 콜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젊은 세습 공작 카를 알렉산더, 덴마크 무용수 하랄드 샤르프 등 남성에게도 강한 감정을 느꼈다.[32] 특히 샤르프와의 관계는 그의 일기에서 "에로틱한 시기"로 묘사될 정도로 깊었으며,[38] 《눈사람》에 영감을 주었다고도 한다.[34] 그러나 당시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이러한 감정들은 비밀로 유지되어야 했다.[31]

이처럼 안데르센은 자신의 복잡한 감정과 경험을 동화 속에 녹여내어 인간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4. 3. 사랑과 희생의 가치

안데르센의 작품에서는 《눈의 여왕》, 《꿋꿋한 주석 병정》 등에서 사랑과 희생의 가치를 강조한다. 안데르센의 동화는 단순한 권선징악을 넘어, 숭고한 사랑과 희생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5. 안데르센의 유산과 영향

안데르센의 동화는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영화, 연극,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창작 및 재해석되었다.


  • 영화:
  • 장 르누아르 감독의 ''성냥팔이 소녀''(1928)는 "성냥팔이 소녀"를 원작으로 한다.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의 ''미운 오리 새끼''(1931)와 1939년 리메이크작은 "미운 오리 새끼"를 원작으로 한다.
  • ''스웨덴의 나이팅게일''(1941)은 안데르센과 가수 제니 린드와의 관계를 묘사한다.
  • ''빨간 구두''(1948)는 "빨간 구두"를 원작으로 한다.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1952)은 안데르센의 삶에서 영감을 받은 뮤지컬 영화이다.
  • ''눈의 여왕''(1957)은 "눈의 여왕"을 충실히 묘사한 소련 애니메이션이다.
  • ''황제의 새 옷''(1961)은 안데르센의 동화를 원작으로 한 크로아티아 영화이다.
  • ''야생 백조''(1962)는 "야생 백조"를 원작으로 한 소련 애니메이션이다.
  • ''몽상가''(1966)는 젊은 안데르센이 이야기들을 구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인어공주''(1968)는 "인어공주"를 원작으로 한 소련 애니메이션이다.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세계''(1968)는 안데르센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 ''안데르센 이야기''(1971)는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소나무''(약 1974년)는 안데르센의 동화를 원작으로 한 컬러 영화이다.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인어공주''(1975)는 "인어공주"를 충실하게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 ''인어공주''(1976)는 "인어공주"를 원작으로 한 체코 판타지 영화이다.
  • ''야생 백조''(1977)는 "야생 백조"를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 ''엄지공주''(1978)는 "엄지공주"를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 ''요정 이야기 극장: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이야기''(2009)는 여러 안데르센 이야기를 소개하는 DVD이다.
  • ''인어공주''(1989)는 "인어공주"를 원작으로 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이다.
  • ''엄지공주''(1994)는 "엄지공주"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판타지아 2000''의 한 장면은 "굳건한 주석 병정"을 원작으로 한다.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나의 동화 같은 삶''(2003)은 안데르센의 초기 성공을 허구적으로 묘사한 영국 TV 영화이다.[60][61]
  • ''동화 작가''(2003)는 여러 안데르센 동화를 원작으로 한 덴마크-영국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성냥팔이 소녀''(2006)는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단편 영화이다.
  • ''눈의 여왕''(2012)는 "눈의 여왕"을 원작으로 한 러시아 3D 애니메이션 영화이다.[62]
  • ''겨울왕국''(2013)은 "눈의 여왕"에서 느슨하게 영감을 받은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이다.
  • ''진저의 이야기''(2020)는 "성냥갑"을 느슨하게 원작으로 한 러시아 애니메이션 영화이다.[63]
  • ''인어공주''(2023)는 "인어공주"를 원작으로 한 실사 영화이다.

  • TV 드라마:
  • ''로버트 몽고메리 프레젠츠''의 에피소드 "크리스마스의 이틀째"(1955년 12월 26일)는 안데르센과 제니 린드의 관계를 각색한 작품이다.[56]


5. 1. 국제적인 명성과 기념 사업

안데르센은 덴마크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세계적인 동화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생일인 4월 2일은 세계 어린이 책의 날로 지정되어 기념되고 있다.[73] 2005년은 덴마크에서 "안데르센의 해"로 지정되어 그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삶과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기념되었다.[74] 이 해에 덴마크 코펜하겐의 파르켄 스타디움에서는 그를 기리는 대규모 공연이 열렸다.[74]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다양한 기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제아동도서협의회(IBBY)는 1956년부터 "아동 문학에 대한 지속적인 공헌"을 한 작가와 삽화가에게 국제 안데르센 상을 격년으로 수여하고 있다.[71] 이 상은 "아동 문학의 노벨상"이라고도 불리며 높은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2010년에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문학상이 제정되어 덴마크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의 이름을 딴 시설들도 여럿 존재한다. 덴마크 오덴세에는 안데르센 박물관과 그의 어린 시절 집이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53] 덴마크계 이민자들이 세운 캘리포니아주 솔뱅에는 안데르센 박물관이 그의 삶과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53] 미국 의회도서관 희귀 서적 및 특별 소장품 부서는 덴마크계 미국 배우 진 허셜트(Jean Hersholt)로부터 안데르센 관련 자료를 대량으로 기증받았다.[54][55]

일본 후나바시시에는 안데르센을 테마로 한 어린이 테마파크 후나바시 안데르센 공원이 있으며,[84] 중국 상하이시 양푸구에는 안데르센의 이야기와 삶을 바탕으로 한 테마파크가 2017년에 개장했다.[85][86]

안데르센의 초상화는 덴마크의 구 10크로네 지폐에 그려져 있었으며, 코펜하겐에는 인어공주 동상과 댄스 박물관에 왕립 발레단 시절 자료가 보관되어 있다.

안데르센의 묘는 코펜하겐 뇌르브로 지역의 아시스텐스 공동묘지에 있다.[98]

코펜하겐 뇌르브로 지역 아시스텐스 공동묘지에 있는 안데르센의 새 단장된 묘비

5. 2. 한국에서의 안데르센

안데르센의 작품은 한국에서도 널리 읽히고 있으며, 그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그의 작품에 나타난 사회 비판 의식과 휴머니즘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중도진보 성향의 독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5. 3. 후대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

안데르센의 동화는 《바람과 버드나무》, 《곰돌이 푸》 등 후대 아동 문학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무생물에 생명을 불어넣는 기법은 루이스 캐럴, 비아트릭스 포터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6. 주요 작품 목록

안데르센의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천사 (1843)
  • 종 (1845)
  • 바보 한스 (1855)
  • 요정 언덕 (1845)
  • 황제의 새 옷 (1837)
  • 전나무 (1844)
  • 하늘을 나는 상자 (1839)
  • 행운의 장화 (1838)
  • 낙원의 정원 (1839)
  • 도깨비와 식료품점 주인 (1852)
  • 황금 보물 (1865)
  • 행복한 가족 (1847)
  • 얼음 처녀 (1861)
  • 정말이야 (1852)
  • 점프하는 사람들 (1845)
  • 작은 클라우스와 큰 클라우스 (1835)
  • 리틀 이다의 꽃들 (1835)
  • 성냥팔이 소녀 (1845)
  • 인어 공주 (1837)
  • 작은 투크 (1847)
  • 가장 놀라운 것 (1870)
  • 장난꾸러기 소년 (1835)
  • 나이팅게일 (1843)
  • 옛집 (1847)
  • 올레 루코이에 (1841)
  • 현자의 돌 (1858)
  • 공주와 완두콩 (1835)
  • 빨간 구두 (1845)
  • 장미 요정 (1839)
  • 그림자 (1847)
  • 양치기 소녀와 굴뚝 청소부 (1845)
  • 눈의 여왕 (1844)
  • 눈사람 (1861)
  • 견고한 주석 병정 (1838)
  • 황새들 (1839)
  • 어머니의 이야기 (1847)
  • 연인들; 또는, 팽이와 공 (1843)
  • 돼지치기 (1841)
  • 개심지 촛불 (1820년대)
  • 주전자 (1863)
  • 엄지 공주 (1835)
  • 성냥갑 (1835)
  • 여행 동반자 (1835)
  • 미운 오리 새끼 (1843)
  • 늙은이가 하는 일은 항상 옳다 (1861)
  • 사악한 왕자 (1840)
  • 백조왕자 (1838)
  • 즉흥시인 (1835)
  • 어린이를 위한 동화집 (1835-1837)
  • * 마법의 성냥갑
  • * 완두콩 공주
  • * 작은 클라우스와 큰 클라우스
  • * 이다의 꽃
  • * 엄지공주
  • * 장난꾸러기
  • * 여행의 동반자
  • * 인어공주
  • * 벌거벗은 임금님
  • 어린이를 위한 새 동화집 (1838-1842)
  • * 씩씩한 주석병정
  • * 야생 백조 (백조 왕자)
  • * 날으는 여행 가방
  • * 데이지
  • * 낙원의 정원
  • * 황새
  • 그림 없는 그림책 (1839-1855)
  • 새 동화집 (1843-1848)
  • * 천사
  • * 나이팅게일
  • * 단짝 친구
  • * 미운 오리 새끼
  • * 크리스마스트리
  • * 눈의 여왕
  • * 빨간 구두
  • * 성냥팔이 소녀
  • * 어머니의 이야기
  • 동화 (1850)
  • 이야기집 (1852-1855)
  • * 뛰쳐나온 다섯 개의 완두콩
  • * 마지막 진주
  • 동화와 이야기의 새집 제1권 (1858-1860)
  • * 늪의 왕의 딸
  • * 빵을 훔친 소녀
  • 동화와 이야기의 새집 제2권 (1861-1866)
  • * 눈사람
  • * 아버지가 하는 일은 언제나 옳다
  • * 나비
  • 새로운 동화와 이야기집 (1871-1872)
  • * 장애인

7. 개인사

롤리게드의 안데르센: 이스라엘 멜키오르 (약 1867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은 1805년 4월 2일 덴마크 퓔레 섬 오덴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떠돌이 구두 수선공(22세)이었고, 어머니는 그보다 몇 살 더 많았다. 어머니는 미혼모에 문맹이었으며, 결혼 전 빈곤으로 매춘을 하기도 했지만 성실하고 독실한 사람이었다.[93] 아버지는 "신은 우리와 같은 인간이다. 악마는 자신의 가슴 속에 있는 것 외에는 없다"는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다. 집은 가난하여 한 방을 온 가족의 거실 겸 침실로 사용했다.[93] 안데르센은 부모의 지극한 사랑과 맹목적인 신뢰 속에서 상상력을 키웠다.[93] 아버지는 루드비히 홀베르크의 희극이나 《아라비안나이트》를 읽어주고, 인형극 무대를 만들어 주었다. 안데르센은 인형 옷을 만들고 이야기를 지어내며 즐거워했다.[94]

1812년, 아버지는 이웃 농부 아들의 징집을 대신해 2년간 군 복무를 했지만, 1813년 덴마크 재정 파탄으로 급료를 받지 못했다. 정신 질환을 앓던 아버지는 1816년 절망 속에 사망했다. 안데르센은 외조부와 외할머니도 정신 이상과 허언증을 앓았기에 자신도 그렇게 될까 불안해했지만, 이는 작가로서의 창작력에 도움이 되었다. 아버지의 죽음으로 안데르센은 학교를 중퇴하고 직조공 견습생으로 일했지만, 15세에 오페라 가수가 되기 위해 1819년 9월 코펜하겐으로 갔다.[93]

처음 3년간 안데르센은 극심한 빈곤에 시달렸다. 희곡과 노래는 인정받지 못했고, 덴마크 왕립 발레단 발레 학교에서도 좌절을 겪었다. 변성기로 소프라노 목소리마저 잃었지만, 작곡가 크리스토프 바이제, 코펜하겐 왕립극장 가수 주세페 시보니, 시인 프레데리크 뢰그 굴드베르그 등의 도움을 받았다.[93] 왕립극장 무용수 수습생이 된 그는 극장장 요나스 콜린의 총애를 받아 국왕의 학비 지원으로 대학에 갈 수 있었다. 1822년 처녀시 "팔나토케의 무덤의 유령" 등을 필명으로 출판했지만,[93][95] 5년간(1822-1828) 학장에게 문학적 재능을 조롱받아 콜린이 개인 지도를 받게 했다. 1828년 대학에 입학하여 문헌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1829년 『홀멘 운하에서 아마게르 섬 동쪽 끝까지의 도보 여행──1828년과 1829년에』[96]를 자비 출판하여 독일어판까지 나왔다. 1833년 4월부터 이듬해 8월까지 유럽을 여행하며 파리에서 "아그네테와 인어"를 쓰고 스위스를 거쳐 이탈리아 로마에서 『즉흥시인』을 쓰기 시작했다. 베르텔 토르발센과도 친분을 맺었다.

1835년 귀국하여 출판한 『즉흥시인』은 유럽 각국에서 번역 출판되며 안데르센의 출세작이 되었다. 같은 해부터 코펜하겐에서 『동화집』을 발표했지만, 처음에는 비평을 받았다.[93]

1843년 1월부터 파리를 방문하여 오노레 드 발자크, 빅토르 위고, 알렉상드르 뒤마, 알퐁스 드 라마르틴, 하인리히 하이네 등 유명 인사들과 교류했다. 제니 린드와 재회하여 덴마크 초연을 지원하고, 1850년 이후 친구 자녀들을 위해 종이 오리기 그림책을 만들었다.[97]

안데르센은 평생 많은 창작 동화를 발표했다. 초기 작품은 빈곤층의 한탄과 사회의 무관심을 주제로 주인공이 죽는 결말이 많았으나, 말년에는 행복해지는 방법도 서술했다. 그는 극도의 걱정쟁이로, 외출 시 로프를 휴대하고 잠잘 때 "죽지 않았습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안데르센은 여행을 자신의 학교로 삼아 많은 여행기를 남겼고, 그림 형제, 오노레 드 발자크, 찰스 디킨스, 빅토르 위고 등과 교류했다.

1872년 초, 안데르센은 침대에서 떨어져 간암 증상을 보이다[50] 1875년 8월 4일, 모리츠 G. 멜키오르 부부의 집 롤리게드에서 70세로 사망했다.[50] 사망 직전, 장례식 음악에 대해 "저를 따라올 사람들 대부분은 아이들이 될 것입니다. 그러니 작은 발걸음에 맞춰 박자를 맞추세요."라고 말했다.[50]

안데르센의 시신은 아시스텐스 교회 묘지 뇌르브로 지역 콜린 가문 묘지에 매장되었다가 1914년 다른 묘지로 옮겨졌다. 한동안 표식이 없었으나, 두 번째 돌이 세워져 콜린 부부 언급 없이 같은 구획을 공유한다.[51]

사망 당시 안데르센은 국제적 존경을 받았으며, 덴마크 정부는 그를 "국보"로 여겨 매년 연금을 지급했다.[52]

7. 1. 사랑과 낭만적 관계

안데르센은 평생 독신으로 살았으며, 여러 여성에게 구애했으나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는 남성에게도 끌림을 느꼈으며, 에드바르트 콜린, 카를 알렉산더 등에게 보낸 편지에서 동성애적 감정을 드러냈다. 쇠렌 키르케고르는 "소설가로서의 안데르센"이라는 글에서 안데르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그는 자의적인 기분의 망에 둘러싸인 인격의 가능성으로 특징지어진다. 거의 메아리 없는, 사라져가는 음조의 비가적 12음계를 통해 움직이며, 쉽게 고조되기도 하고 억제되기도 하는데, 인격이 되기 위해서는 강한 삶의 발전이 필요하다."[125]

7. 2. 찰스 디킨스와의 관계

1847년 6월, 안데르센은 처음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사교계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블레싱턴 백작부인은 그를 자신의 파티에 초대했고, 그곳에서 안데르센은 찰스 디킨스를 처음 만났다. 그들은 악수를 나누고 베란다로 걸어갔는데, 안데르센은 이를 일기에 "우리는 베란다에 있었고, 나는 내가 가장 사랑하는 현존하는 영국 작가를 보고 이야기할 수 있어서 너무나 행복했다."라고 기록했다.[126]

두 작가는 서로의 작품과 작가로서의 서로를 존중했으며, 산업 혁명과 극심한 빈곤으로 인해 종종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하층민을 묘사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1857년, 안데르센은 디킨스를 만나기 위해 다시 영국을 방문했다. 안데르센은 가즈 힐 플레이스에 있는 디킨스의 집을 짧게 방문하려던 계획을 5주간의 체류로 연장했는데, 이는 디킨스 가족에게 큰 고통을 안겼다. 안데르센이 떠나라는 말을 들은 후, 디킨스는 점차 그들 사이의 모든 서신 교환을 중단했다. 이는 안데르센에게 큰 실망과 혼란을 안겼다. 그는 방문을 즐겼고 왜 자신의 편지들이 답장을 받지 못하는지 결코 이해하지 못했다.[126]

일각에서는 디킨스가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유라이어 히프의 외모와 버릇을 안데르센을 모델로 삼아 묘사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된다.[127]

7. 3. 죽음

1872년 봄, 안데르센은 침대에서 떨어져 큰 부상을 입었다. 이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1875년 8월 4일 코펜하겐 근교의 롤리헤드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93]

안데르센의 장례식은 코펜하겐 성모 교회에서 거행되었는데, 프레데리크 왕세자를 비롯하여 각국 대사, 어린이부터 노인, 심지어 부랑자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airy tales https://andersen.sdu[...]
[2] 뉴스 Unknown Hans Christian Andersen fairy tale discovered https://cphpost.dk/2[...] 2012-12-15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Life https://andersen.sdu[...] 2021-06-10
[6] 논문
[7] 웹사이트 The Lineage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museum.odense[...] Odense City Museums
[8] 논문
[9] 논문
[10]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 Childhood and Education https://www.danishne[...] 2023-11-17
[11] 웹사이트 H.C. Andersens skolegang i Helsingør Latinskole http://www.hcanderse[...] 2010-04-02
[12] 웹사이트 Local historian finds Hans Christian Andersen's first fairy tale https://politiken.dk[...] 2023-11-17
[13] 웹사이트 Premio e Festival Andersen di Sestri Levante https://andersensest[...] 2023-11-17
[14]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tic Era, 1760–18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candinavian Literature and Theate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서적 Hans Christian Anderson, Writer and Citizen of the World Rodopi
[23] 웹사이트 In the footsteps of Andersen https://web.archive.[...] 2010-04-02
[24] 웹사이트 Дагмар – принцесса на русской горошине. Как Андерсен вошёл у нас в моду https://aif.ru/socie[...] 2020-12-20
[25] 웹사이트 H.C. Andersen og Charles Dickens 1857 https://www.hcanders[...] H.C. Andersen Information 2023-11-17
[26] 서적 Creating characters with Charles Dickens http://archive.org/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1
[27] 뉴스 Bedtime stories https://www.theguard[...] 2006-07-19
[28] 웹사이트 The Dreams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eb.archive.[...] 2020-08-19
[29] 서적 Just As Well I'm Leaving: To the Orient With Hans Christian Andersen Vintage
[30] 서적 Hans Christian Andersen's Correspondence with the Late Grand-Duke of Saxe-Weimar, Charles Dickens, Etc., Etc https://books.google[...] Dean & Son 1891
[31] 논문 The Little Transgender Mermaid: A Shape-Shifting Tale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2023-11-18
[32] 뉴스 His dark materials https://www.independ[...] 2023-11-18
[33] 웹사이트 The Timetable Year by Year https://andersen.sdu[...] H.C. Andersen Centret 2006-07-22
[34] 논문
[35] 뉴스 Hans Christian Andersen: The Life of a Storyteller https://web.archive.[...] Gay & Lesbian Review Worldwide 2009-06-10
[36] 뉴스 Andersen's Fairy Tales http://www.accessmyl[...] The Advocate 2009-06-10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텍스트
[42] 텍스트
[43] 논문
[44] 웹사이트 Homosexuality https://andersen.sdu[...] 2023-11-18
[45]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http://www.northern.[...] 2012-12-15
[46] 웹사이트 The Tales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candinavian.[...] Scandinavian.wisc.edu 2010-04-02
[47] 웹사이트 H.C. Andersen og Jenny Lind http://altomhistorie[...] 2014-07-02
[48] 웹사이트 Sangerinden Jenny Lind 1820 – 1867 https://www.hcanders[...] 2010-04-02
[49] 웹사이트 Jenny Lind: The very modern career of a 19th century superstar https://www.theneweu[...] 2023-11-18
[50] 서적 Private lives : curious facts about the famous and infamous http://archive.org/d[...] Cassell
[51] 웹사이트 Historien om H.C. Andersens gravsted på Assistens Kirkegård i København https://www.hcanders[...] 2012-04-13
[52]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ww.biograph[...] A&E Networks 2023-11-18
[53]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MUSEUM http://www.solvangca[...] 2023-11-18
[54] 웹사이트 Jean Hersholt Collections https://www.loc.gov/[...] 2010-04-02
[55] 웹사이트 Billedbog til Jonas Drewsen https://memory.loc.g[...] 2023-11-18
[56] 뉴스 Today's Tops in TV https://www.newspape[...] The San Francisco Examiner 2024-06-05
[56] 뉴스 Monday Evening, December 26 https://archive.org/[...] TV Guide 1955-12-24
[56] 서적 Radio Drama in Action: Twenty-five Plays of a Changing World https://books.google[...] Farrar & Rinehart, Inc
[57] 뉴스 Screen: Disney ala Soviet: The Snow Queen' at Neighborhood Houses https://www.nytimes.[...] 2020-11-22
[58] 뉴스 BY WAY OF REPORT; Soviet 'Snow Queen,' Other Animated Features Due – 'Snowman's' Story https://www.nytimes.[...] 2020-11-22
[59] 웹사이트 PINE TREE, the https://movingimage.[...]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60] 뉴스 Upcoming TV schedules focus on events of 9/11 https://www.newspape[...] 2002-09-06
[61] 간행물 'The Snow Queen': Queer Coding in Male Directors' Films https://www.proquest[...] 2015
[62] 웹사이트 Russian Animation on Ice https://www.animatio[...] 2020-11-22
[63] 뉴스 Annecy 2020, Ginger's Tale, recensione, un principe da salvare https://www.cineblog[...] 2020-11-22
[64] 서적 Animal Rights: A Reference Handbook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65] 웹사이트 Ledger Legends: J. M. Barrie, Beatrix Potter and Lewis Carroll https://home.barclay[...] 2020-05-30
[66] 웹사이트 It Is What It Isn't, Too! https://open.spotify[...] Smart Dad Living 2023-11-18
[67] 서적 Annotated catalogue of the H. Colin Slim Stravinsky collection : donated by him to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ibrary http://archive.org/d[...]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ibrary
[68] 웹사이트 Sam the Lovesick Snowman' http://puppet.org/pe[...] 2010-04-02
[69] 웹사이트 Striking 12 https://variety.com/[...] 2023-11-18
[70] 서적 Operas in English: A Dictionar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71]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 https://en.wikipedia[...] 2023-11-18
[72] 웹사이트 Prometheus Awards http://www.lfs.org/a[...] 2023-11-18
[73]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ildren's Book Day http://www.ibby.org/[...] 2012-12-17
[74] 뉴스 Enduring Legacy of Author Andersen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2-17
[75] 뉴스 The Hans Christian Andersen Statue http://flps.newberry[...] 1896-09-17
[76]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ww.centralp[...] 2023-07-19
[77]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ww.centralp[...]
[78] 웹사이트 The statue of H. C. Andersen at the City Hall Square https://www.visitcop[...]
[79] 웹사이트 Foreigners: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monumentaust[...]
[80]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ww.cityarts[...]
[81]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Statue https://www.atlasobs[...] 2022-09-22
[82] 웹사이트 H. C. Andersens Blvd. · Copenhagen, Denmark https://www.google.c[...] 2023-11-18
[83] 웹사이트 Centro https://www.colegioa[...] 2023-11-18
[84] 웹사이트 H.C. Andersen Park https://www.city.fun[...] 2017-04-12
[85] 웹사이트 安徒生童话乐园明年开园设七大主题区 http://sh.sina.com.c[...] 2016-11-11
[86] 웹사이트 Grim Fairy Tales: A Trip to Andersen Park https://www.smartsha[...] 2017-12-15
[87] 웹사이트 Fairy-tale park takes shape in city http://www.shanghaid[...] 2013-07-16
[88] 웹사이트 Papercuts by Hans Christian Andersen http://www.museum.od[...]
[89] 웹사이트 Drawings by Hans Christian Andersen http://museum.odense[...]
[90] 웹사이트 Portraits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museum.odense[...]
[91]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の発音の仕方 http://ja.forvo.com/[...] 2014-01-23
[92] 일반
[93] 백과사전 Andersen, Hans Christian
[94] 서적 Hans Christian Andersen: Danish Writer and Citizen of the World Rodopi
[95] 웹사이트 About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museum.odens[...] Odense City Museums 2020-04-16
[96] 위키소스 Fodreise fra Holmens Canal til Østpynten af Amager i Aarene 1828 og 1829
[97] 웹사이트 Astrid Stampe’s Picture Book 1853 https://andersen.mus[...] 오デンス市立博物館 2020-04-17
[98] 웹사이트 童話作家アンデルセンの眠る墓、ホモセクシュアル専用の区画設置 https://www.afpbb.co[...] 2008-04-10
[99] 웹사이트 アンデルセンの墓に落書き、怒れる若者たちの報復か https://www.afpbb.co[...] 2008-07-03
[100] 웹사이트 アンデルセンの「最初の童話」、デンマークで偶然発見 少年時代の作か https://www.afpbb.co[...] 2012-12-13
[101] 웹인용 Fairy tales https://andersen.sdu[...]
[102] 뉴스 Unknown Hans Christian Andersen fairy tale discovered https://cphpost.dk/2[...] 2012-12-13
[103] 일반
[104] 일반
[105] 웹인용 Life https://andersen.sdu[...]
[106] 논문
[107] 웹사이트 The Lineage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museum.odense[...] Odense City Museums
[108] 논문
[109] 논문
[110] 웹사이트 Hans Christian Andersen – Childhood and Education https://www.danishne[...] 2023-11-17
[111] 웹사이트 H.C. Andersens skolegang i Helsingør Latinskole http://www.hcanderse[...] 2010-04-02
[112] 웹사이트 Local historian finds Hans Christian Andersen's first fairy tale https://politiken.dk[...] 2023-11-17
[113] 웹사이트 Premio e Festival Andersen di Sestri Levante https://andersensest[...] 2023-11-17
[114]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tic Era, 1760–18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candinavian Literature and Theater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서적 Hans Christian Anderson, Writer and Citizen of the World Rodopi
[123] 웹사이트 In the footsteps of Andersen https://web.archive.[...] 2010-04-02
[124] 웹사이트 Дагмар – принцесса на русской горошине. Как Андерсен вошёл у нас в моду https://aif.ru/socie[...] 2020-12-20
[125] 논문 Andersen as a Novelist: with Continual Reference to His Latest Work: Only a Fiddler https://www.degruy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11-18
[126] 웹사이트 H.C. Andersen og Charles Dickens 1857 https://www.hcanders[...] H.C. Andersen Information 2023-11-17
[127] 서적 Creating characters with Charles Dickens http://archive.org/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1
[128] 뉴스 Bedtime stories https://www.theguard[...] 2006-07-19
[129] 웹사이트 The Dreams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eb.archive.[...] 2020-08-19
[130] 서적 Just As Well I'm Leaving: To the Orient With Hans Christian Andersen Vintage
[131] 서적 Hans Christian Andersen's Correspondence with the Late Grand-Duke of Saxe-Weimar, Charles Dickens, Etc., Etc https://books.google[...] Dean & Son 1891
[132] 논문 The Little Transgender Mermaid: A Shape-Shifting Tale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2023-11-18
[133] 뉴스 His dark materials https://www.independ[...] 2023-11-18
[134] 웹사이트 The Timetable Year by Year https://andersen.sdu[...] H.C. Andersen Centret 2006-07-22
[135] 논문
[136] 뉴스 Hans Christian Andersen: The Life of a Storyteller https://web.archive.[...] Gay & Lesbian Review Worldwide 2009-06-10
[137] 뉴스 Andersen's Fairy Tales https://web.archive.[...] The Advocate 2009-06-10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142] 텍스트
[143] 텍스트
[144] 논문
[145] 웹인용 Homosexuality https://andersen.sdu[...] 2023-11-18
[146] 웹인용 Hans Christian Andersen http://www.northern.[...] 2012-12-15
[147] 웹인용 The Tales of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eb.archive.[...] Scandinavian.wisc.edu 2010-04-02
[148] 웹인용 H.C. Andersen og Jenny Lind http://altomhistorie[...] 2014-07-02
[149] 웹인용 Sangerinden Jenny Lind 1820 – 1867 https://www.hcanders[...] 2010-04-02
[150] 웹인용 Jenny Lind: The very modern career of a 19th century superstar https://www.theneweu[...] 2023-11-18
[151] 서적 Private lives : curious facts about the famous and infamous http://archive.org/d[...] Cassell
[152] 웹인용 Historien om H.C. Andersens gravsted på Assistens Kirkegård i København https://www.hcanders[...] 2023-11-18
[153] 웹인용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www.biograph[...] A&E Networks 202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